“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건)
표제어 (5건)
-
무신정변(武臣政變)
고려 의종(毅宗) 24년 천대를 받던 무신들이 일으킨 정치적 변란. 정중부(鄭仲夫)ㆍ이의방(李義方)이 중심이 되어 정변을 일으켜 정치적 실권을 장악함. 고려를 전기와 후기로 나누는 분기점이 됨.
117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장단ㅣ경기도>개성 , 사건>역모
-
원상(元庠)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김저(金佇)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장단(長湍)에 은거함. 조선 개국 후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 등을 역임하였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장단 , 인명>관인>문신
-
상득용(尙得容)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목천(木川). 장단(長湍) 출신. 영의정 상진(尙震)의 후손이며, 상동기(尙東耆)의 아들로, 화량진 첨사(花梁鎭僉使) 등을 지냄. 병서와 경사(經史)에 밝고, 천문ㆍ주수(籌數)에 능하였으며, 저서로 《성루합편(星漏合編)》등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장단 , 인명>관인>무신
-
오관산(五冠山)
경기도 장단(長湍) 서쪽에 있는 산. 산꼭대기에 다섯 개의 작은 봉우리가 관(冠)처럼 둥그렇게 생겼으므로 오관산이라 부름. 이 산에 살던 효자 문충(文忠)의 이야기와 관련해 〈오관산곡(五冠山曲)〉이 전함.
경기도>장단 , 지명>자연지명
-
임강서원(臨江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경기도(京畿道) 장단(長湍)에 건립된 서원. 1694년(숙종 22)에 사액되고, 안향(安珦)ㆍ이색(李穡)ㆍ김안국(金安國)ㆍ김정국(金正國) 등을 배향함.
164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장단 , 유적>건물>서원,향교
유의어 (12건)
-
경인지난(庚寅之亂) - 무신정변(武臣政變)
고려 의종(毅宗) 24년 천대를 받던 무신들이 일으킨 정치적 변란. 정중부(鄭仲夫)ㆍ이의방(李義方)이 중심이 되어 정변을 일으켜 정치적 실권을 장악함. 고려를 전기와 후기로 나누는 분기점이 됨.
117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장단ㅣ경기도>개성 , 사건>역모
-
경인지란(庚寅之亂) - 무신정변(武臣政變)
고려 의종(毅宗) 24년 천대를 받던 무신들이 일으킨 정치적 변란. 정중부(鄭仲夫)ㆍ이의방(李義方)이 중심이 되어 정변을 일으켜 정치적 실권을 장악함. 고려를 전기와 후기로 나누는 분기점이 됨.
117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장단ㅣ경기도>개성 , 사건>역모
-
덕옹(德翁)@상득용 - 상득용(尙得容)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목천(木川). 장단(長湍) 출신. 영의정 상진(尙震)의 후손이며, 상동기(尙東耆)의 아들로, 화량진 첨사(花梁鎭僉使) 등을 지냄. 병서와 경사(經史)에 밝고, 천문ㆍ주수(籌數)에 능하였으며, 저서로 《성루합편(星漏合編)》등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장단 , 인명>관인>무신
-
득용(得容) - 상득용(尙得容)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목천(木川). 장단(長湍) 출신. 영의정 상진(尙震)의 후손이며, 상동기(尙東耆)의 아들로, 화량진 첨사(花梁鎭僉使) 등을 지냄. 병서와 경사(經史)에 밝고, 천문ㆍ주수(籌數)에 능하였으며, 저서로 《성루합편(星漏合編)》등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장단 , 인명>관인>무신
-
마하갑(摩訶岬) - 오관산(五冠山)
경기도 장단(長湍) 서쪽에 있는 산. 산꼭대기에 다섯 개의 작은 봉우리가 관(冠)처럼 둥그렇게 생겼으므로 오관산이라 부름. 이 산에 살던 효자 문충(文忠)의 이야기와 관련해 〈오관산곡(五冠山曲)〉이 전함.
경기도>장단 , 지명>자연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