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37건)
표제어 (50건)
-
도^목(陶^牧)
고려 말의 문신ㆍ학자인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과 목은(牧隱) 이색(李穡)을 함께 부르는 말. 문장(文章)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ㅣ경상도>성주 , 사상>술어>관용어
-
목^포^도(牧^圃^陶)
고려 말의 문신ㆍ학자인 목은(牧隱) 이색(李穡),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을 함께 부르는 말. 고려 말에 성리학의 기초를 세우고, 조선의 개국에 참여하지 않고 절의를 지킨 세 학자를 가리킴.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ㅣ경상도>영천(永川)ㅣ경상도>성주 , 사상>술어>관용어
-
문헌서원(文獻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충청도 한산(韓山)에 건립한 서원.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어 광해군(光海君) 때 이색(李穡)의 구택(舊宅) 터에 옮겨 복원하고 사액하였으며, 이곡(李穀)ㆍ이색(李穡)ㆍ이종학(李種學)ㆍ이개(李塏)ㆍ이자(李耔)를 배향함.
157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유적>건물>서원,향교
-
가^목(稼^牧)
고려 후기의 학자인 가정(稼亭) 이곡(李穀)과 그의 아들인 목은(牧隱) 이색(李穡)을 함께 부르는 말. 부자(夫子)가 문장과 학문으로 명성을 떨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사상>술어>관용어
-
신담(申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이조 참판에 증직된 신영원(申永源)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전주 부윤(全州府尹)으로 의병 2천여 명을 모집해 왜군에 대항함. 군자감 정(軍資監正)ㆍ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냄.
1519~159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유의어 (187건)
-
계아(季雅) - 이청(李淸)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덕윤(李德潤)의 아들로, 1511년(중종 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등을 지냄.
1483~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계옹(溪翁)@이산해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전(季甸) - 이계전(李季甸)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색(李穡)의 손자로, 《세종실록(世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과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04~145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주(季疇) - 이계주(李季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개(李塏)의 아버지로, 호조 정랑(戶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계통(季通)@이집 - 이집(李潗)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1725년(영조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시절 민생 구제에 노력함. 저서로 《한주집(韓州集)》이 있음.
1670~172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