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71건)
표제어 (122건)
-
담^길(禫^吉)
제사의 일종인 담제(禫祭)와 길제(吉祭)를 함께 부르는 말.
법제>기타법제
-
담제(禫祭)
제사의 일종으로 초상으로부터 26개월 만에 지내는 제사. 아버지가 생존한 모상(母喪)이나 처상(妻喪)일 때에는 초상으로부터 15개월 만에 지냄.
법제>의례>가례
-
대동법(大同法)
조선 선조(宣祖) 때부터 공물(貢物)을 쌀로 통일하여 바치게 한 납세 제도. 1608년(선조 41) 이원익(李元翼)의 건의로 경기(京畿)에서 먼저 실시되었고, 이후 점차 확대 실시되다가 1708년(숙종 34) 함경도와 평안도 이외의 전국에서 실시됨.
1608~1894 한국>조선후기 , 법제>제도
-
대명률(大明律)
중국 명(明) 나라의 기본 법전. 태조(太祖) 주원장(朱元璋)이 직접 감독하여 1367년 제정하였으며, 당률(唐律)ㆍ송률(宋律)ㆍ전제(田制)를 계승하여 6률(六律)이라는 새로운 격식을 창조함. 주석서로 《율해변의(律解辯擬)》ㆍ《율조소의(律條疏議)》ㆍ《대명률직해(大明律直解)》 등이 있음.
1367 중국>명 , 중국 , 법제>법률
-
대사헌(大司憲)
고려~조선시대 사헌부(司憲府)의 장관. 정사(政事)를 논하고 백관(百官)을 감찰하여 기강을 진작하는 등의 업무를 맡았으며, 집의(執義)ㆍ장령(掌令)ㆍ지평(持平)ㆍ감찰(監察) 등의 관원을 감독하고 통솔함.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직
유의어 (249건)
-
계해정사공신(癸亥靖社功臣) - 정사공신(靖社功臣)
조선 인조(仁祖) 1년에 광해군(光海君)을 폐출하고 인조를 옹립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김류(金瑬)ㆍ이귀(李貴) 등 총 53명에게 내렸으나, 논공행상(論功行賞)이 불공평하여 이괄(李适)의 난(亂)을 초래함.
1623 한국>조선후기 , 법제>제도
-
고려태조십훈요(高麗太祖十訓要) - 훈요십조(訓要十條)
고려 태조(太祖)가 자손들에게 내린 열 가지 유훈(遺訓). 943년(태조 26) 4월에 박술희(朴述熙)를 통하여 전했으며, 주로 왕실의 안녕을 위해 지켜야 할 일을 담고 있음.
94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법제>법률
-
가선(嘉善) - 가선대부(嘉善大夫)
조선시대 문산계(文散階)의 종2품 품계(品階). 가정대부(嘉靖大夫)의 아래 등급으로, 1392년(태조 1)에 설치됨. 1865년(고종 2)부터 문무관, 의빈(儀賓)의 품계로도 쓰임.
1392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직
-
가의대부(嘉義大夫) - 가정대부(嘉靖大夫)
조선시대 종2품 문관의 품계(品階). 고려시대 영록대부(榮祿大夫)에 해당. 1522년(중종 17) 가의대부(嘉義大夫)로 개칭.
1392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가정대부(嘉正大夫) - 가정대부(嘉靖大夫)
조선시대 종2품 문관의 품계(品階). 고려시대 영록대부(榮祿大夫)에 해당. 1522년(중종 17) 가의대부(嘉義大夫)로 개칭.
1392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