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52건)
표제어 (530건)
-
누^진(樓^陳)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누약(樓鑰)과 진부량(陳傅良)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능^발(陵^勃)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때의 개국공신(開國功臣)인 왕릉(王陵)과 주발(周勃)을 함께 부르는 말. 둘 다 서주(徐州) 출신으로, 흔히 충신(忠臣)을 가리킴.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대윤(大尹)
조선 인종(仁宗) 때에 세도정치를 하던 외척 윤임(尹任) 일파를 지칭하는 말. 경원대군(慶元大君)의 세자 책봉 문제를 둘러싸고 윤원형(尹元衡)의 소윤(小尹) 일파와 치열한 암투를 벌이다가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모두 축출됨.
한국>조선전기 , 사상>술어>핵심어
-
도^두(陶^杜)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시인 도잠(陶潛)과 당(唐) 나라의 시인 두보(杜甫)를 함께 부르는 말. 시(詩)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당ㅣ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도^목(陶^牧)
고려 말의 문신ㆍ학자인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과 목은(牧隱) 이색(李穡)을 함께 부르는 말. 문장(文章)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ㅣ경상도>성주 , 사상>술어>관용어
유의어 (422건)
-
계응노(季鷹鱸)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계응순(季鷹蓴)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계응순로(季鷹蓴鱸)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계응어(季鷹魚)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계찰괘검(季札掛劍) - 계찰계검(季札繫劍)
계찰(季札)이 검을 걸어 놓다는 뜻.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계찰이 평소 자신의 검을 가지고 싶어하다 죽은 서(徐) 나라 왕의 집에 검을 풀어 놓고 온 고사에서 나온 말로, 신의를 중시함을 비유함.《사기(史記)》 〈오태백세가편(吳太伯世家篇)〉에 나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