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5건)
표제어 (64건)
-
대동법(大同法)
조선 선조(宣祖) 때부터 공물(貢物)을 쌀로 통일하여 바치게 한 납세 제도. 1608년(선조 41) 이원익(李元翼)의 건의로 경기(京畿)에서 먼저 실시되었고, 이후 점차 확대 실시되다가 1708년(숙종 34) 함경도와 평안도 이외의 전국에서 실시됨.
1608~1894 한국>조선후기 , 법제>제도
-
도방(都房)
고려 명종(明宗) 때의 무신인 경대승(慶大升)이 설치한 사병(私兵) 기관. 1179년(명종 9)에 정중부(鄭仲夫) 등을 제거한 후 신변보호를 위하여 설치한 것을, 최충헌(崔忠獻)은 6번(番)으로 확대하여 숙위(宿衛) 기관으로 삼음. 1270년(원종 11)에 왕정의 복구로 폐지됨.
117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법제>제도
-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
통일신라 원성왕(元聖王) 때 시행된 관리등용법. 국학(國學)에서 배운 경학(經學)을 독서한 사람 가운데 시험을 봐서 그 성적에 따라 3등급으로 나누어 채용함.
788 한국>통일신라 , 법제>제도
-
벽상공신(壁上功臣)
고려시대 공신(功臣)에게 내린 호(號). 고려 건국 후 신흥사(新興寺) 공신당(功臣堂)에 그린 삼한공신(三韓功臣)을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으로 부른 데서 유래함.
한국>고려시대 , 법제>제도
-
별무반(別武班)
고려 예종 때 여진을 정벌하기 위해 조직한 임시 군대. 1106년(예종 1) 윤관(尹瓘)의 건의로 신기군(神騎軍)ㆍ신보군(神步軍)ㆍ항마군(降魔軍)으로 조직되어, 함흥(咸興) 등에 있던 여진족을 몰아내고 9성을 설치하는 공로를 세움.
1106 한국>고려전기 , 법제>제도
유의어 (101건)
-
계해정사공신(癸亥靖社功臣) - 정사공신(靖社功臣)
조선 인조(仁祖) 1년에 광해군(光海君)을 폐출하고 인조를 옹립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김류(金瑬)ㆍ이귀(李貴) 등 총 53명에게 내렸으나, 논공행상(論功行賞)이 불공평하여 이괄(李适)의 난(亂)을 초래함.
1623 한국>조선후기 , 법제>제도
-
가의대부(嘉義大夫) - 가정대부(嘉靖大夫)
조선시대 종2품 문관의 품계(品階). 고려시대 영록대부(榮祿大夫)에 해당. 1522년(중종 17) 가의대부(嘉義大夫)로 개칭.
1392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가정대부(嘉正大夫) - 가정대부(嘉靖大夫)
조선시대 종2품 문관의 품계(品階). 고려시대 영록대부(榮祿大夫)에 해당. 1522년(중종 17) 가의대부(嘉義大夫)로 개칭.
1392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갈성분위진무공신(碣誠奮威振武功臣) - 진무공신(振武功臣)
조선 인조(仁祖) 2년에 이괄(李适)의 난(亂)을 진압하는 데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나누어 장만(張晩)ㆍ정충신(鄭忠信)ㆍ남이흥(南以興) 등 총 27인에게 내림.
16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법제>제도
-
갈성분위출기진무공신(碣誠奮威出氣振武功臣) - 진무공신(振武功臣)
조선 인조(仁祖) 2년에 이괄(李适)의 난(亂)을 진압하는 데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나누어 장만(張晩)ㆍ정충신(鄭忠信)ㆍ남이흥(南以興) 등 총 27인에게 내림.
16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법제>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