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4건)
표제어 (70건)
-
반문농부(班門弄斧)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뛰어난 목수 공수반(公輸班)의 집 앞에서 한 젊은 목수가 도끼를 꺼내들며 자신의 솜씨를 자랑하였으나, 공수반의 솜씨를 보고는 탄복하며 부끄러워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실력도 없으면서 잘난 척 한다는 뜻.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백락일고(伯樂一顧)
명마(名馬)도 백락(伯樂)을 만나야 세상에 알려진다는 뜻으로,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말(馬)을 잘 알아보는 백락의 고사에서 유래함. 재능 있는 사람도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야 빛을 발한다는 뜻으로, 밝은 임금과 어진 신하가 만난 것을 비유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백면서생(白面書生)
글만 읽어 얼굴이 창백한 사람이라는 뜻.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무신(武臣)인 심경지(沈慶之)가 문신을 얼굴이 검은 무관(武官)과 대비해서 한 말로, 《송서(宋書)》〈심경지전(沈慶之傳)〉에 전함. 글만 알고 세상 경험이 전혀 없는 사람을 말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백미(白眉)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마씨(馬氏) 형제 중에 흰 눈썹이 난 막내 마량(馬良)이 가장 뛰어났던 데서 나온 말로, 출중한 사람이나 물건을 비유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백보천양(百步穿楊)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인 양유기(養由基)가 백 보(步) 밖에서 버드나무 잎에 활을 쏘면 백발백중(百發百中)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 활 쏘는 솜씨가 매우 뛰어남을 이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유의어 (114건)
-
계응노(季鷹鱸)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계응순(季鷹蓴)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계응순로(季鷹蓴鱸)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계응어(季鷹魚)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계찰괘검(季札掛劍) - 계찰계검(季札繫劍)
계찰(季札)이 검을 걸어 놓다는 뜻.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계찰이 평소 자신의 검을 가지고 싶어하다 죽은 서(徐) 나라 왕의 집에 검을 풀어 놓고 온 고사에서 나온 말로, 신의를 중시함을 비유함.《사기(史記)》 〈오태백세가편(吳太伯世家篇)〉에 나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