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6건)
표제어 (9건)
-
묵가(墨家)
중국의 철학(哲學) 유파(流派)의 하나. 전국시대 초기의 사상가인 묵적(墨翟)이 창시한 것으로, 차별 없는 사랑의 실천인 겸애설(兼愛說)을 주장하였으나, 유가(儒家)의 사상과 배치되어 유교 사상가들로부터 맹렬한 공격을 받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이론>학설
-
납갑법(納甲法)
중국 전한(前漢)의 경방(京房)과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우번(虞翻)이 《주역(周易)》의 이치를 해설한 역법(曆法). 팔괘(八卦)를 십간(十干)ㆍ오행(五行)ㆍ오방(五方)과 서로 배합하는 방법임.
중국>삼국시대ㅣ중국>전한 , 중국 , 사상>이론>학설
-
북학(北學)
조선 영조(英祖)ㆍ정조(正祖) 이후 청(淸) 나라의 학술과 문물을 배우려 한 조선 학자들의 학문적 경향. 박제가(朴齊家)가 《북학의(北學議)》를 저술한 뒤부터, 북학은 청 나라의 선진문물을 배운다는 의미로 널리 사용하게 됨.
한국>조선후기 , 사상>이론>학설
-
사칠논변(四七論辯)
조선 성리학(性理學)에서 이황(李滉)과 기대승(奇大升) 간에 전개되었던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에 관한 논변. 이황의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과 기대승의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 사이에서 시작된 논쟁으로, 1559년(명종 14)부터 8년에 걸쳐 전개됨.
1559 한국>조선전기 , 사상>이론>학설
-
양명학(陽明學)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왕수인(王守仁)이 주창한 유가철학(儒家哲學)의 한 학파. 정주이학(程朱理學)과 대립되는 성격으로, 육구연(陸九淵)의 학설을 계승하여 심즉리(心卽理)ㆍ치양지(致良知)ㆍ지행합일설(知行合一說)을 주창함.
중국>명 , 중국 , 사상>이론>학설
유의어 (17건)
-
도학(道學) - 성리학(性理學)
중국 송(宋) 나라 때 유학(儒學)의 한 계통으로, 인간 본연의 성(性)을 발현하기 위해 물(物)에 대한 이(理)를 참고해야 한다는 것을 요지로 하는 철학. 남송(南宋)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이론>학설
-
송학(宋學) - 성리학(性理學)
중국 송(宋) 나라 때 유학(儒學)의 한 계통으로, 인간 본연의 성(性)을 발현하기 위해 물(物)에 대한 이(理)를 참고해야 한다는 것을 요지로 하는 철학. 남송(南宋)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이론>학설
-
사단칠정논쟁(四端七情論爭) - 사칠논변(四七論辯)
조선 성리학(性理學)에서 이황(李滉)과 기대승(奇大升) 간에 전개되었던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에 관한 논변. 이황의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과 기대승의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 사이에서 시작된 논쟁으로, 1559년(명종 14)부터 8년에 걸쳐 전개됨.
1559 한국>조선전기 , 사상>이론>학설
-
성명학(性命學) - 성리학(性理學)
중국 송(宋) 나라 때 유학(儒學)의 한 계통으로, 인간 본연의 성(性)을 발현하기 위해 물(物)에 대한 이(理)를 참고해야 한다는 것을 요지로 하는 철학. 남송(南宋)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이론>학설
-
사칠논변(四七論辨) - 사칠논변(四七論辯)
조선 성리학(性理學)에서 이황(李滉)과 기대승(奇大升) 간에 전개되었던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에 관한 논변. 이황의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과 기대승의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 사이에서 시작된 논쟁으로, 1559년(명종 14)부터 8년에 걸쳐 전개됨.
1559 한국>조선전기 , 사상>이론>학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