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2건)
표제어 (27건)
-
공손광(公孫光)
중국 전한(前漢)의 명의(名醫). 순우의(淳于意)의 스승으로, 의술에 뛰어났으며 비방(秘方)을 순우의에게 전수해 주고 공승양경(公乘陽慶)에게 순우의를 제자로 추천해 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공승양경(公乘陽慶)
중국 전한(前漢)의 명의(名醫). 순우의(淳于意)의 스승으로, ‘금방(禁方)’ㆍ‘맥서(脈書)’ 및 모든 치료 경험을 순우의에게 전수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공지학(孔志學)
중국 명(明) 나라의 의생(醫生). 요동(遼東) 사람. 서거정(徐居正)의 《사가집(四佳集)》에 그의 시권(詩卷)에 써 준 제시(題詩)가 실려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남영(南嶸)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의관ㆍ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예석(南禮錫)의 아들. 유성룡(柳成龍)의 천거로 벼슬하여 선조 때 어의(御醫)를 지냈으며, 광해군 때 음죽 현감(陰竹縣監) 등을 지냄.
1548~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문경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관인>문신
-
기백(岐伯)
중국 고대 황제(黃帝) 때의 명의(名醫). 황제와 함께 한의학계 내과경전인 《황제내경(黃帝內經)》을 저술했다고 전해짐.
고대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유의어 (55건)
-
계옹(溪翁)@정렴 - 정렴(鄭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유의(儒醫). 천문ㆍ지리ㆍ의서ㆍ복서(卜筮) 등에 두루 능통했고, 특히 약의 이치와 음률에 밝았음. 포천 현감(抱川縣監)을 지냄.
1505~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고산(孤山)@남영 - 남영(南嶸)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의관ㆍ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예석(南禮錫)의 아들. 유성룡(柳成龍)의 천거로 벼슬하여 선조 때 어의(御醫)를 지냈으며, 광해군 때 음죽 현감(陰竹縣監) 등을 지냄.
1548~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문경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관인>문신
-
경초(景初)@손방 - 손방(孫昉)
중국 송(宋) 나라의 태의(太醫). 스스로 ‘불탐불투 포난즉휴(不貪不妒飽暖卽休)’라 하여 물욕 없는 편안한 삶의 자세를 추구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경보(敬甫)@양예수 - 양예수(楊禮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의관(醫官). 본관은 하음(河陰). 의술(醫術)에 능하고 박학하였으며, 태의(太醫)로 《동의보감(東醫寶鑑)》 편찬에 참여함. 박세거(朴世擧)ㆍ손사명(孫士銘) 등과 함께 《의림촬요(醫林撮要)》를 저술함.
?~159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 , 인명>기술인>의원
-
기언(驥彦) - 주덕(周德)
중국 명(明) 나라의 수의(獸醫). 태복(太僕) 축 소경(祝少卿)과 병부(兵部) 단 주사(端主事)를 따라 조선(朝鮮)에 와서 말을 사감. 양촌(陽村) 권근(權近)이 〈제수의주기언덕자설후(題獸醫周驥彦德字說後)〉라는 시를 지어줌.
중국>명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