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유의어(37,817건)
-
문록역(文祿役) - 임진왜란(壬辰倭亂)
조선 선조(宣祖)때 우리 나라를 침입한 일본과의 전란. 1592년(선조 25)부터 시작되었으며, 해상에서 이순신(李舜臣)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육상에서 이일(李鎰)ㆍ신립(申砬) 등이 패하여 선조가 의주로 파천함. 명(明) 나라의 원병과 권율(權慄)의 활약으로 화의했으나, 일본은 1597년(선조 30)에 재침략하여 다음해에 물러감.
1592 한국>조선후기 , 사건>전쟁
-
문룡(文龍) - 마문룡(馬文龍)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사제사신(賜祭使臣)으로 조선에 왔을 때 송인(宋寅)과 시문을 주고받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리(文鯉) - 이어(鯉魚)
잉어. 효성(孝誠)ㆍ서신(書信)ㆍ길몽(吉夢)ㆍ입신출세(立身出世)를 뜻하는 상징물로 많이 쓰임.
자연물>동물
-
문립(文立)@최문립 - 최문립(崔文立)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동주(東州). 중서시랑 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를 지낸 최온(崔昷)의 아들이며 밀직사사(密直司事)를 지낸 최운(崔雲)의 아버지로, 봉익대부(奉翊大夫)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문사>유학
-
문망(文望) - 강위룡(姜渭龍)
조선 전기의 유학. 유희춘(柳希春)에게 배우고 임운(林芸)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문망(文望)@이문망 - 이문망(李文望)
조선 후기의 유학. 박순(朴淳)의 외증손으로, 백헌(白軒) 이경석(李景奭)에게 편정을 부탁하고 발문을 받아 《사암집(思菴集)》을 간행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문명(文命) - 우(禹)
중국 최초의 국가를 세운 하(夏) 나라의 왕. 순(舜) 임금의 왕위를 계승하여 8년간 재위 중에 하 왕조의 기초를 세우고, 수토(水土)를 잘 다스렸으나 과로로 죽음.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문명(文明)@위단 - 위단(韋丹)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안진경(顔眞卿)의 외손으로, 신라 원성왕(元聖王)의 국상(國喪) 때 조위사(弔慰使)로 나왔다가 도중에 소성왕(昭聖王)의 훙서(薨逝) 소식을 듣고 본국으로 돌아감. 한유(韓愈)가 그의 묘지(墓誌)를 지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명(文明) - 소현(蕭顯)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진녕동지(鎭寧同知)ㆍ복건안찰첨사(福建按察僉事) 등을 지냈으며, 만년에 산해관(山海關) 위춘산(圍春山)의 별장에서 시서(詩書)로 소일하며 여생을 보냄.
1431~1506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문명(文明)@세조 - 세조(世祖)@고려
고려 태조(太祖) 왕건(王建)의 아버지. 통일신라 송악군(松嶽郡)의 사찬(沙飡)으로 있다가 진성여왕(眞聖女王) 때 궁예(弓裔)에게 귀복하여 금성 태수(金城太守)를 지냈으며, 태조 때에 추존됨.
?~897 한국>통일신라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문명황제(文明皇帝) - 태조(太祖)@남북조(전연)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 전연(前燕)의 제1대 왕. 재위 337~348. 모용외(毛容廆)의 아들이자 모용각(慕容恪)의 아버지. 337년 연왕(燕王)이라 칭하고 조양(朝陽)에 도읍하였고, 342년 고구려를 공격하여 영토를 확장함.
297~34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문모(文母) - 태사(太姒)
중국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비(妃). 무왕(武王)의 어머니. 부덕(婦德)이 훌륭하여 태임(太任)ㆍ태강(太姜)과 더불어 주 나라 왕실의 ‘삼모(三母)’로 일컬어짐.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문목(文穆)@정구 - 정구(鄭逑)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임해군 옥사(臨海君獄事) 때 관련 인물의 석방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린 뒤 고향으로 돌아감. 경서(經書)ㆍ의학ㆍ천문ㆍ지리 등에 통달하고 특히 예학(禮學)에 뛰어남.
1543~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목(文穆)@치음 - 치음(郗愔)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무신. 치초(郗超)의 아버지로, 한때 자부(姊夫)인 왕희지(王羲之)와 함께 황로(黃老)의 학술을 익히기도 함. 회계내사(會稽內史)ㆍ도독 절강 동오군 군사(都督浙江東五郡軍事) 등을 지냄.
313~38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문목(文穆)@윤신지 - 윤신지(尹新之)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부마(駙馬). 본관은 해평(海平). 윤방(尹昉)의 아들로, 선조의 두 번째 서녀인 정혜옹주(貞惠翁主)와 혼인함.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능했음.
1582~165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왕실>인척
-
문목(文穆)@유숭조 - 유숭조(柳崇祖)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대사성(大司成)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도학정치(道學政治)를 실현하려던 성리학자로, 조광조(趙光祖) 등 신진 유림을 배출하는 데 공이 큼. 저서로 《진일재집(眞一齋集)》이 있음.
1452~151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목(文穆)@박영 - 박영(朴英)@조선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무과(武科)에 급제했으나 학문에 전념함. 성리학(性理學)뿐만 아니라 역학(易學)ㆍ천문(天文)ㆍ의술(醫術)에도 조예가 깊었음.
1471~154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무신
-
문목(文穆)@전유연 - 전유연(錢惟演)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문인. 오월(吳越) 충의왕(忠懿王) 전숙(錢俶)의 둘째 아들로, 한림학사(翰林學士)ㆍ공부 시랑(工部侍郞) 등을 지내고, 시(詩)와 사(詞)에 능했음.
962~103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목(文穆)@범성대 - 범성대(范成大)
중국 송(宋) 고종(高宗)~광종(光宗) 때의 문신ㆍ시인. 시에 능하여 육유(陸游)ㆍ양만리(楊萬里)ㆍ우무(尤袤) 등과 더불어 중흥사대시인(中興四大詩人)으로 일컬어짐.
1126~119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목(文穆) - 김정국(金正國)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동생으로, 성리학에 조예가 깊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삭탈관직되었다가 복직됨.
1485~154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목(文穆)@박지계 - 박지계(朴知誡)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왕자사부(王子師傅)ㆍ동몽교관(童蒙敎官) 등에 임명되나 취임하지 않고,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지냄. 주자학에 조예가 깊고, 저서로 《잠야집(潛冶)》등이 있음.
1573~163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목(文穆)@서기 - 서기(徐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이천(利川). 제자백가(諸子百家)와 기술이론에 통달하였으며, 이지함(李之菡)을 사사하고 함께 각지를 유랑하며 민속과 학문을 연구하였음. 이소재(履素齋) 이중호(李仲虎)의 문인.
1523~159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ㅣ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
-
문묘(文廟)@공자묘 - 공자묘(孔子廟)
공자(孔子)와 그의 제자(弟子) 및 여러 성현(聖賢)들의 신위를 모시고 제향을 올리는 사당 이름. 원래는 중국 산동성(山東省) 곡부(曲阜)에 있는 사당을 지칭하였으나, 당(唐) 나라 태종(太宗) 이후로 각 주현(州縣)에 설치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유적>건물>사당
-
문묘(文廟)@문종(조선) - 문종(文宗)@조선
조선 제5대 왕. 재위 1450~1452. 20년 간 세자로 있으면서 세종(世宗)을 보필한 공이 컸으나, 몸이 약하여 재위 2년 4개월 만에 병사함.
1414~14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문묘(文廟)@문종(고려) - 문종(文宗)@고려
고려 제11대 왕. 재위 1046~1083. 각종 법률 제정으로 내치(內治)를 다지고 국방ㆍ외교에도 힘썼으며, 유학을 장려하고 송(宋) 나라 문화를 수입하여 문화의 황금기를 이룸.
1019~108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문묘가(文廟街) - 문옹방(文翁坊)
중국 사천성(四川省) 성도(成都) 남쪽에 있는 문묘가(文廟街)의 옛 이름. 동진(東晉)의 환온(桓溫)이 촉(蜀)을 칠 때 이 거리 어귀에 전한(前漢)의 문신인 문옹(文翁)을 기념하는 패루(牌樓)를 세운 데서 붙여진 이름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문무(文廡) - 문묘(文廟)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사성(四聖) 이하 중국 역대의 대유(大儒)와, 신라 이후 조선의 명현을 모시는 사당. 통일신라 714년(성덕왕 13)에 공자 및 그 제자의 화상(畵像)을 국학(國學)에 모신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고려ㆍ조선에 들어서 그 제도와 운영이 더욱 정비됨.
714 한국>통일신라 , 유적>건물>사당
-
문무대왕릉(文武大王陵) - 대왕암(大王巖)
경상북도 경주시(慶州市) 양북면(陽北面) 앞바다에 있는 통일신라 문무왕(文武王)의 수중릉.
681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유적>시설>능묘
-
문무릉(文武陵) - 대왕암(大王巖)
경상북도 경주시(慶州市) 양북면(陽北面) 앞바다에 있는 통일신라 문무왕(文武王)의 수중릉.
681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유적>시설>능묘
-
문무성황제(文武聖皇帝) - 태종(太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2대 황제. 재위 626~649. 고조(高祖)의 아들이며, 당 나라의 실질적인 창건자로, 돌궐족(突厥族)을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하였으며, ‘정관(貞觀)의 치(治)’로 일컬어지는 성세(盛世)를 이루어 후세 제왕의 모범이 됨.
598~649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문무왕릉(文武王陵) - 대왕암(大王巖)
경상북도 경주시(慶州市) 양북면(陽北面) 앞바다에 있는 통일신라 문무왕(文武王)의 수중릉.
681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유적>시설>능묘
-
문무황제(文武皇帝) - 세조(世祖)@원
몽고 제국의 제5대 칸으로, 중국 원(元) 나라의 시조. 재위 1260~1294. 칭기즈 칸의 손자이며, 예종(睿宗)의 아들로, 일본ㆍ중앙아시아ㆍ유럽에까지 원정(遠征)하여 대제국을 건설함.
1215~1294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문문산(文文山) - 문천상(文天祥)
중국 남송(南宋) 때의 문신ㆍ시인. 지방관으로 있을 때 천도를 반대하는 글을 올려 면직됨. 송 나라 멸망 후 옥중(獄中)에서 지은 〈정기가(正氣歌)〉로 유명함.
1236~1282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민(文愍)@기준 - 기준(奇遵)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교살됨.
1492~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문민(文愍)@박중림 - 박중림(朴仲林)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박팽년(朴彭年)ㆍ박인년(朴引年)ㆍ박기년(朴耆年)ㆍ박대년(朴大年)ㆍ박영년(朴永年)의 아버지로, 형조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단종(端宗) 복위운동을 도모하다가 자식들과 함께 처형됨.
?~14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문민(文愍)@탁문위 - 탁문위(卓文位)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탁영(卓英)의 맏아들로, 충렬왕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문민(文愍) - 김일손(金馹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스승인 김종직(金宗直)이 쓴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실록(實錄)에 기재한 일로 인해 훈구파(勳舊派)의 미움을 사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사형당함.
1464~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ㅣ경상도>밀양ㅣ경기도>용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민(文愍)@이정숙 - 이정숙(李正叔)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손자인 길안도정(吉安都正) 이의(李義)의 맏아들로,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 등과 교유하였으며, 기묘사화 때 관작을 삭탈당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재차 연루되어 처형됨.
?~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문민(文愍)@정총 - 정총(鄭摠)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정추(鄭樞)의 아들.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며 문장에 능하여 《고려사(高麗史)》 편찬에 참여했고, 중국으로 보내는 표전문(表箋文) 등을 많이 지음.
1358~139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문민(文愍)@이묵 - 이묵(李黙)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무종(武宗) 때의 문신. 시랑(侍郎) 등을 지냈으나, 엄숭(嚴嵩)과 대립하고 조문화(趙文華)의 모함으로 옥사함. 저서로 《고수부담(孤樹裒談)》ㆍ《군옥루고(群玉樓稿)》등이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민(文敏)@김광철 - 김광철(金光轍)@고려
고려 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1347년(충목왕 4) 밀직사 판사(密直司判事)로 있을 때 정치도감(整治都監)이 설치되자 그 판사를 겸하여 폐정개혁(弊政改革)을 주도함.
?~134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문민(文敏)@황신 - 황신(黃愼)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으로, 형조 정랑(刑曹正郞) 황대수(黃大受)의 아들. 성혼(成渾)과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되었으나,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유배되어 죽음.
1562~161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부여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민(文敏)@주세붕 - 주세붕(周世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상주(尙州). 풍기 군수(豊基郡守)가 되었을때 향촌을 교화하기 위하여 향교를 이전하고 사림 자제들의 교육기관으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건립함. 저서에 《무릉잡고(武陵雜稿)》가 있음.
1495~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민(文敏)@조맹부 - 조맹부(趙孟頫)
중국 원(元) 나라의 서화가ㆍ문인. 송(宋) 나라의 종실이면서 원 나라에서 한림학사 승지(翰林學士承旨)를 지내고, 사후 위국공(魏國公)에 추봉됨. 서화(書畵)와 시문에 뛰어나서 원 나라의 4대가 중 한 사람으로 꼽힘.
1254~1322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문민(文敏) - 신용개(申用漑)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ㆍ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명(明) 나라에 가서 고명(誥命)을 받아온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63~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민(文敏)@원명선 - 원명선(元明善)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조맹부(趙孟頫) 등과 함께 연경(燕京)의 만권당(萬卷堂)에 초빙되어 이제현(李齊賢) 등과 교류하였음.
1269~1322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문민(文敏)@김계휘 - 김계휘(金繼輝)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ㆍ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역임하였고, 동서 분당 때 당쟁 완화를 위하여 노력하였음.
1526~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문민(文敏)@양영 - 양영(楊榮)
중국 명(明) 나라 혜제(惠帝)~영종(英宗) 때의 문신. 성조(成祖)의 북정(北征)에 여러 차례 참여하고, 네 황제를 섬기면서 정사를 잘 보좌하여 양우(楊寓)ㆍ양부(楊溥)와 함께 ‘삼양(三楊)’이라 일컬어짐.
1371~1440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방(文房) - 유장경(劉長卿)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오언시(五言詩)에 능하여 오언장성(五言長城)이라 불리고, 전원과 산수 묘사는 도연명(陶淵明)ㆍ왕유(王維)ㆍ맹호연(孟浩然) 등과 통함. 육주 사마(陸州司馬)ㆍ수주 자사(隨州剌史) 등을 지냄.
725~791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방사보보(文房四寶譜) - 문방사보(文房四譜)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소이간(蘇易簡)의 저서. 종이ㆍ먹ㆍ붓ㆍ벼루 등 4가지 문방구의 종류와 역사에 대해 서술함. 5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문벌(文伐) - 육도(六韜)
중국 주(周) 나라의 신하인 여상(呂尙)이 지었다는 병서(兵書). 무경칠서(武經七書)의 하나로, 문도(文韜)ㆍ무도(武韜)ㆍ용도(龍韜)ㆍ호도(虎韜)ㆍ견도(犬韜)ㆍ표도(豹韜)로 구성됨.
중국>주 , 중국 , 문헌>서명
-
문범선생(文范先生) - 진식(陳寔)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 태구 현령(太丘縣令)을 지냄. 아들 진기(陳紀)ㆍ진심(陳諶)과 함께 세 군자란 명성이 있으며, 양상군자(梁上君子)란 고사로도 유명함.
104~18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병(文炳) - 허반(許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문신 강형(姜詗)의 사위로, 참봉(參奉)을 지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인해 참형됨.
?~149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문보(文俌) - 주문보(周文俌)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주세붕(周世鵬)의 아버지로, 세거하던 합천(陜川)에서 칠원(漆原)으로 옮겨 가 살았으며, 향인(鄕人)의 존경을 받았다 함.
1467~153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관인>문신
-
문보(文寶) - 안전(安瑑)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인. 본관은 순흥(順興). 안처순(安處順)의 아들이며 매담(梅潭) 안창국(安昌國)의 아버지로, 노진(盧禛)ㆍ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유함.
1518~157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곡성 , 인명>문사>문인
-
문보(文寶)@백문보 - 백문보(白文寶)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직산(稷山). 문장이 뛰어나 예종(睿宗)과 인종(仁宗) 양조(兩朝)의 국사를 초(草)하였으며, 불교(佛敎)를 배척하였음.
1303~137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직산 , 인명>관인>문신
-
문보(文甫)@허목 - 허목(許穆)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양천(陽川).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예송(禮訟) 논쟁에서 남인(南人)을 주도하며 송시열(宋時烈)의 서인(西人)과 대립함. 사상적으로 이황(李滉)ㆍ정구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익(李瀷)에게 연결함.
1595~168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연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보(文甫) - 조지주(趙之周)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판중추부사 조혜(趙惠)의 아들. 문음(門蔭)으로 인수부 승(仁壽府丞)에 서용되어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48~14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문보(文輔) - 장문보(張文輔)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풍기 군수(豊基郡守)ㆍ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진주 목사(晉州牧使)가 되었을 때 혜정(惠政)을 베풀어 칭송이 높았음.
1516~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문보(聞甫) - 강학손(姜鶴孫)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강희맹(姜希孟)의 아들이며, 강귀손(姜龜孫)의 아우로, 조지서 사지(造紙署司紙)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문복(聞福) - 안장(安長)
신라 경문왕(景文王) 때의 거문고 명인. 지리산에 은거한 거문고의 거장 귀금선생(貴金先生)에게 청장(淸長)과 함께 가서 거문고를 배운 다음 아들 안극상(安克相)ㆍ안극종(安克宗)에게 전수함.
한국>통일신라 , 인명>예술인>음악인
-
문봉(文峯) - 정유일(鄭惟一)@1533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한 뒤 대사간(大事諫)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시부(詩賦)에 뛰어났으며, 성리학에 있어서는 퇴계설(退溪說)을 발전시킴.
1533~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문봉선생문집(文峯先生文集) - 문봉집(文峯集)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정유일(鄭惟一)의 시문집(詩文集). 6권 3책. 목판본. 저자의 시문은 임진왜란 이후 대부분 산일되었으나, 1799년(정조 23)에 후손 정종박(鄭宗璞) 등이 유문(遺文)을 수습하여 간행함.
179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문비(文埤) - 이문비(李文埤)
조선 전기의 유학. 사가(四佳) 서거정(徐居正)과 교유하여 전라도 남원(南原) 축천정(丑川亭)에서 서거정이 베푼 시회에 참여한 일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산 , 인명>문사>유학
-
문빈(文彬)@문걸 - 문걸(文傑)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감천(甘泉). 문숭질(文崇質)의 아들로, 양양 부사(襄陽府使)를 지냈음.
?~150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문빈(文彬)@박문빈 - 박문빈(朴文彬)
고려 후기의 문인. 목은(牧隱) 이색(李穡)과 교유하였으며, 고려가 망하자 절개를 지키며 밀양(密陽)에 은거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문인
-
문사성(文司成) - 문경동(文敬仝)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안동(安東). 문속명(文續命)의 아들로, 음주와 독서를 즐기고 문장에 능하였으며, 특히 사부(詞賦)에 뛰어남.
1457~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산(文山) - 문천상(文天祥)
중국 남송(南宋) 때의 문신ㆍ시인. 지방관으로 있을 때 천도를 반대하는 글을 올려 면직됨. 송 나라 멸망 후 옥중(獄中)에서 지은 〈정기가(正氣歌)〉로 유명함.
1236~1282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산선생전집(文山先生全集) - 문산전집(文山全集)
중국 남송(南宋)의 문신이며 애국시인인 문천상(文天祥)의 시문집. 1552년 언무경(鄢懋卿)이 판각한 28권본 이래 여러 개의 판본이 전해짐. 송(宋)ㆍ원(元) 교체기의 시대적 배경으로 인해 비장하고 강개한 작품들이 대부분임.
1552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문산집(文山集) - 문산전집(文山全集)
중국 남송(南宋)의 문신이며 애국시인인 문천상(文天祥)의 시문집. 1552년 언무경(鄢懋卿)이 판각한 28권본 이래 여러 개의 판본이 전해짐. 송(宋)ㆍ원(元) 교체기의 시대적 배경으로 인해 비장하고 강개한 작품들이 대부분임.
1552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문상(文尙) - 탁문상(卓文尙)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낸 탁광수(卓光守)의 맏아들로, 성균 진사(成均進士)였음.
1479~152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문서(文恕) - 손문서(孫文恕)
조선 선조(宣祖) 때의 의관(醫官). 본관은 광주(光州). 어의(御醫) 손사명(孫士銘)의 아들로, 1590년(선조 23) 증광시(增廣試) 의과(醫科)에 입격하였으며, 의술이 뛰어나 추앙을 받음. 김성일(金誠一)의 《학봉집(鶴峯集)》에 그에게 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술인>의원
-
문서(文瑞)@여응구 - 여응구(呂應龜)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성산(星山). 주세붕(周世鵬)의 문인. 성균관 유생 시절 보우(普雨)와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불교진흥책을 강력히 비판하였으며, 학유(學諭)에 제수되었으나 출사하지 않고 향리에서 후학을 양성함.
1523~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금산 , 인명>문사>학자
-
문서(文瑞)@송인 - 송인(宋寅)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중종의 부마로, 이황(李滉)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시문(詩文)과 해서(楷書)에 뛰어남.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문서(文瑞)@백현룡 - 백현룡(白見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학자. 이황(李滉)에게 수학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창의(倡義)하여 공을 세우고, 정유재란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적을 무찌름.
1543~162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문사>학자
-
문서(文瑞)@김번 - 김번(金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관서지방에 전염병이 만연하자, 둔전책(屯田策)을 건의하고 군졸의 잡다한 세를 없애주어 백성의 주거를 편안하게 하였음.
1479~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문서(文瑞) - 권성익(權聖翊)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중심으로 그 변화에 대한 의견을 밝힘.
1735~182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문사>학자
-
문서감진색(文書監進色) - 문서응봉사(文書應奉司)
고려시대~조선 초기에 외교문서를 담당하던 기관. 고려시대 임시기구인 문서감진색(文書監進色)을 고친 이름이며, 조선 태종(太宗) 때 기구가 확장되고, 1410년(태종 10)에 승문원(承文院)으로 관제가 개편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청
-
문석(文錫) - 유문석(柳文錫)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형조 참의(刑曹參議)를 지낸 유조인(柳祖訒)의 아들로, 1624년(인조 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현감(縣監)을 지냄.
158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문선(文先) - 양표(楊彪)
중국 후한(後漢) 말의 문신. 양수(楊修)의 아버지로, 사도(司徒)ㆍ태위(太尉) 등을 지냄. 조조(曹操)의 미움을 받아 살해당할 뻔 했으나 공융(孔融)의 항의로 목숨을 건졌으며, 한 황실이 종말에 가까웠다는 것을 알고 병을 핑계로 은퇴함.
142~22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선(文宣)@공자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문선(文宣) - 소자량(蕭子良)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왕자ㆍ문인. 무제(武帝)의 둘째 아들로, 경릉군왕(竟陵郡王)에 봉해졌으며, 《사부요략(四部要略)》을 편찬함. 문인들을 모아놓고 시 짓기 놀이를 할 때 촛불 일촌(一寸)이 탈 동안 완성하기로 규정을 삼은 고사가 전해짐.
460~49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왕자
-
문선(文選)@동문선 - 동문선(東文選)
조선 성종(成宗) 때 서거정(徐居正) 등이 왕명을 받아 신라 때부터 조선 전기까지의 시문(詩文)을 모아 엮은 시문집. 이후 숙종(肅宗) 때 당시까지의 시문을 추가하여 개편(改編)한 것까지 통틀어 이르기도 함.
14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문선왕(文宣王)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문선왕묘(文宣王廟) - 공자묘(孔子廟)
공자(孔子)와 그의 제자(弟子) 및 여러 성현(聖賢)들의 신위를 모시고 제향을 올리는 사당 이름. 원래는 중국 산동성(山東省) 곡부(曲阜)에 있는 사당을 지칭하였으나, 당(唐) 나라 태종(太宗) 이후로 각 주현(州縣)에 설치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유적>건물>사당
-
문선왕묘(文宣王廟)@문묘 - 문묘(文廟)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사성(四聖) 이하 중국 역대의 대유(大儒)와, 신라 이후 조선의 명현을 모시는 사당. 통일신라 714년(성덕왕 13)에 공자 및 그 제자의 화상(畵像)을 국학(國學)에 모신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고려ㆍ조선에 들어서 그 제도와 운영이 더욱 정비됨.
714 한국>통일신라 , 유적>건물>사당
-
문성(文城) - 문화(文化)
황해도 삼천(三泉), 신천(信川) 서부, 안악(安岳) 남부 일대에 있었던 옛 고을 이름. 단군(檀君)의 전설이 깃들어 있으며 구월산(九月山)이 있는 곳으로 유명함.
황해도>문화 , 지명>행정지명
-
문성(文城)@유계분 - 유계분(柳桂芬)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유승순(柳承順)의 아들이며, 유성원(柳誠源)의 조카. 이조 정랑을 지냈으며, 서거정(徐居正)과 교유함.
139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장말익 - 장말익(張末翼)
고려 정종(靖宗) 때의 문신. 호부 상서(戶部尙書)ㆍ삭방도 안렴사(朔方道按廉使) 등을 지내고, 문하시중 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에 증직됨. 울진부원군(蔚珍府院君)으로 봉해지고, 울진장씨(蔚珍張氏)의 시조(始祖)가 되어 월계서원(月溪書院)에 배향됨.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울진 , 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정인지 - 정인지(鄭麟趾)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권우(權遇)의 문인.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내면서 문한(文翰)을 관장하고, 천문ㆍ역법ㆍ아악을 정리하는 등 문풍 육성과 제도 정비에 기여함.
1396~14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유보 - 유보(柳溥)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로 파직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호조(戶曹)와 공조(工曹)의 판서(判書)를 거쳐 우의정(右議政)을 역임함. 주계군(朱溪君) 이심원(李深源)의 사위.
?~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장작 - 장작(張鷟)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현종(玄宗) 때의 문신ㆍ문인. 글이 청동전(靑銅錢)과 같다고 하여 청전학사(靑錢學士)라고 칭하였으며, 고공원외랑(考功員外郞) 등을 지냈음. 문장에 이름이 있어 신라ㆍ일본의 사신(使臣)들이 그의 문장을 구입해 갔다고 함.
660?~74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이이 - 이이(李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중앙관서의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치고 국정 전반에 관한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나, 동인(東人)과 서인(西人) 간의 갈등 해소 노력이 실패하고 개혁안이 시행되지 않자 파주(坡州)로 낙향함.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왕수인 - 왕수인(王守仁)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ㆍ문신. 양명학(陽明學)의 창시자. 심성론(心性論)으로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철학 사상에 깊은 영향을 미침.
1472~1528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 - 강희경(姜希經)
고려 선종(宣宗) 때의 문신.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동지밀직제학(同知密直提學)ㆍ평의사(評議使) 등을 거쳐 내사령(內史令)에 이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김인존 - 김인존(金仁存)
고려 선종(宣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학문과 문장이 뛰어나 중국에 여러 번 사신으로 다녔으며, 중요한 국사(國事)마다 왕의 자문역을 했음.
?~1127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소옹 - 소옹(少翁)
중국 한(漢) 무제(武帝) 때의 방사(方士). 방술(方術)로 무제의 총애를 받았으나, 효력이 점점 없어지자 몰래 백서(帛書)를 소에게 먹이고는 소를 잡아 백서를 꺼내게 해 신통력을 과시하려다가 들통나 결국 죽임을 당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문성(文成)@안향 - 안향(安珦)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ㆍ학자. 원(元) 나라에서 주자서(朱子書)를 베껴오고 섬학전(贍學錢)을 설치하는 등 성리학(性理學)의 도입과 보급에 힘씀.
1243~130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윤증 - 윤증(尹拯)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윤선거(尹宣擧)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박세당(朴世堂)ㆍ박세채(朴世采)ㆍ민이승(閔以升) 등과 교유함. 후에 송시열과 대립하여 소론(少論)의 영수로 추대됨.
1629~171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이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최아 - 최아(崔阿)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