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변옥성(卞玉成)
조선 중중(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초계(草溪). 부사용(副司勇) 변치원(卞致元)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유학
-
변우인(卞友仁)
조선 중중(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초계(草溪). 창신교위(彰信校尉) 변찬(卞瓚)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유학
-
변이녕(邊以寧)
조선 전기의 유학. 권문해(權文海)의 《초간집(草澗集)》에 그에 대한 만사(輓詞)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변이중(邊以中)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황주(黃州).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조도사(調度使)로서 전공을 세우고, 화차(火車)를 제조하여 행주대첩(幸州大捷)에 크게 기여함.
1546~161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변익부(邊益夫)
조선 전기의 유학. 이해수(李海壽)의 《약포유고(藥圃遺稿)》에 그에 대한 만사(輓詞)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변중량(卞仲良)
고려 말~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완산군(完山君) 이원계(李元桂)의 사위이며 사예(司藝) 변구상(卞九祥)의 아버지.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시에 능하였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鄭道傳)의 일파로 몰려 참살됨.
?~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변찬(卞瓚)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초계(草溪). 유학(幼學) 변우인(卞友仁)의 아버지로 부사과(副司果)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금산 , 인명>관인>무신
-
변처령(邊處寧)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원주(原州). 장악원 정(掌樂院正)을 지낸 변성(邊成)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유학
-
변치원(卞致元)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초계(草溪). 유학 변옥성(卞玉成)의 아버지로 부사용(副司勇)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무신
-
변한(弁韓)
삼한(三韓)의 하나. 기원전부터 기원후 4세기경까지 지금의 경상도 지역에 분포한 여러 정치집단 가운데 가야연맹체(伽倻聯盟體)의 모태가 된 세력들의 통칭(統稱).
고대 , 경상도>창원ㅣ경상도>김해 , 시간>국명
-
변협(邊協)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이이(李珥)로부터 《주역계몽(周易啓蒙)》을 강론받았으며, 천문ㆍ지리ㆍ산수에도 정통했음. 을묘왜변(乙卯倭變) 때 왜구를 격퇴한 공으로 장흥 부사(長興府使)가 되었고, 공조 판서ㆍ포도대장 등을 지냈음.
1528~1590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무신
-
변화(卞和)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 사람. 형산(荊山)에서 박옥(璞玉)을 얻어 왕에게 바쳤으나 속였다는 이유로 두 발이 잘리고 나중에야 보옥(寶玉)임을 인정받았던 화씨벽(和氏璧)의 고사로 유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양인
-
변훈남(卞勳男)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여러 관직을 거처 현령(縣令)을 지냈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별동집(別洞集)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윤상(尹祥)의 시문집. 3권 1책. 김종직(金宗直)의 서문과 이광정(李光庭)의 발문이 수록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별무반(別武班)
고려 예종 때 여진을 정벌하기 위해 조직한 임시 군대. 1106년(예종 1) 윤관(尹瓘)의 건의로 신기군(神騎軍)ㆍ신보군(神步軍)ㆍ항마군(降魔軍)으로 조직되어, 함흥(咸興) 등에 있던 여진족을 몰아내고 9성을 설치하는 공로를 세움.
1106 한국>고려전기 , 법제>제도
-
병^위(丙^魏)
중국 전한(前漢) 소제(昭帝)~선제(宣帝) 때의 문신인 병길(丙吉)과 위상(魏相)을 함께 부르는 말. 선제 때 승상(丞相)으로 국정을 보좌하여 중흥(中興)을 이룩함.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병계집(屛溪集)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윤봉구(尹鳳九)의 시문집. 60권 30책. ‘강문팔학사(江門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졌던 윤봉구의 문학성과 사상ㆍ학문 등이 잘 드러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병길(丙吉)
중국 전한(前漢) 소제(昭帝)~선제(宣帝) 때의 문신. 위태자(衛太子) 사건으로 투옥당한 선제를 구출한 뒤 황제로 세움. 승상(丞相)으로서 위상(魏相)과 함께 국정을 보좌한 공으로, 기린각(麒麟閣)에 초상이 모셔짐.
?~B.C.5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병만용(邴曼容)
중국 전한(前漢) 애제(哀帝) 때의 문신. 청렴하고 검소하여 녹(祿)이 육백 석을 넘기 전에 벼슬에서 물러났다고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병부(兵部)
6부(六部)의 하나로 군정(軍政)ㆍ병마(兵馬)ㆍ무기고(武器庫) 등을 관장하던 관제(官制). 고려시대에 상서육부(尙書六部)의 하나로 설치ㆍ유지되다가 뒤에 병조(兵曹)로 바뀌어 조선에 이어짐.
법제>제도
-
병산서원(屛山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한 서원. 정경세(鄭經世) 등 지방 유림의 공의로 유성룡(柳成龍)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였으며, 1863년(철종 14)에 사액됨.
161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병산집(屛山集)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유자휘(劉子翬)의 저서. 주희(朱熹)의 스승으로 병산선생(屛山先生)이라 불린 유자휘의 저술이 수록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병암집(屛巖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병암(屛巖) 소세량(蘇世良)의 저서.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병원(邴原)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학자. 화흠(華歆)ㆍ관녕(管寧) 등과 절친함. 조조(曹操)의 부름에 응하여 오관장장사(五官將長史) 등을 지냈고, 오(吳) 나라 정벌에 공을 세움.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병인양요(丙寅洋擾)
조선 고종(高宗) 때 프랑스함대가 강화도에 침범한 사건. 대원군(大院君)이 한강변 잠두봉(蠶頭峯)에서 많은 천주교 신자를 참수한 일로 촉발됨. 승전으로 쇄국정책 강화의 계기가 됨.
186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 , 사건>전쟁
-
병자호란(丙子胡亂)
조선 인조(仁祖) 14년에 일어난 조선과 청(淸) 나라의 전쟁. 이 전쟁에서 패배한 조선은 삼전도(三田渡)에서 청 나라와 굴욕적인 조약을 맺고 강화함. 전쟁 후에 소현세자(昭顯世子)와 봉림대군(鳳林大君) 등이 볼모로 끌려감.
1636 한국>조선후기 , 사건>전쟁
-
병진정사록(丙辰丁巳錄)
조선 명종(明宗) 11년부터 이듬해까지 문신 임보신(任輔臣)이 지은 사화집(史話集). 황희(黃喜)ㆍ허주(許稠) 등 20여 명의 재상ㆍ문호들의 언행ㆍ일화 등을 듣고 본 대로 간략하게 기록함.
1556~155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보^백(甫^白)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두보(杜甫)와 이백(李白)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보개(寶蓋)
통일신라 말기 후백제(後百濟)를 세운 견훤(甄萱)의 동생. 아자개(阿慈介)의 아들로 전해지며 능애(能哀)ㆍ용개(龍蓋)ㆍ소개(小蓋) 등의 형제가 있음.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광산 , 인명>왕실>종친
-
보광(輔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주자어류(朱子語類)》에 사단(四端)ㆍ칠정(七情)을 나누어 이(理)와 기(氣)에 배속시켜 기록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보덕(普德)
고구려 보장왕(寶藏王) 때의 승려. 고구려 말기에 불교가 쇠퇴함을 개탄하고 백제로 건너가 경복사(景福寺)를 짓는 등 부흥활동을 벌임. 이후 신라 열반종의 개조(開祖)가 됨.
한국>고구려 , 평안도>용강 , 인명>종교인>승려
-
보덕굴(寶德窟)
금강산(金剛山) 법기봉(法起峰) 중턱 만폭동(萬瀑洞)에 있는 사찰. 고구려 영류왕(榮留王) 때 보덕(普德) 화상이 자연 동굴을 이용하여 창건함.
627 한국>고구려 , 강원도>회양 , 유적>건물>사찰
-
보도집(輔道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양걸(楊傑)의 저서. 불승(佛乘)에 대한 내용으로 소식(蘇軾)의 서문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보련산(寶蓮山)
충청도 충주(忠州)에 있는 산. 높이 764m. 산세가 완만한 능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상 부근에는 둘레 약 1.8㎞ 되는 보련산성(寶蓮山城)이 둘러져 있음.
충청도>충주 , 지명>자연지명
-
보록사(寶錄寺)
평안도 선천(宣川)에 있는 사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보관함.
평안도>선천 , 유적>건물>사찰
-
보리집(甫里集)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학자인 육귀몽(陸龜蒙)의 저서. 육귀몽은 시재(詩才)가 뛰어나 ‘피육(皮陸)’으로 일컬어짐.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보문암(普門庵)
지리산(智異山)의 전라도 쪽에 속하는 만복대(萬福臺) 북쪽에 있던 암자.
전라도>남원ㅣ전라도>구례 , 유적>건물>사찰
-
보성(寶城)
전라도 남부에 있는 군(郡). 서쪽으로 장흥(長興), 동쪽으로 순천(順天)과 접함.
전라도>보성 , 지명>행정지명
-
보성선씨(寶城宣氏)
전라도 보성(寶城)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으로 고려에 귀화한 선윤지(宣允祉)를 시조로 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집단>성씨
-
보우(普愚)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선승(禪僧). 본관은 홍주(洪州). 중국 원(元) 나라 청공(淸珙)의 법을 계승하고 임제종(臨濟宗)을 열어 그 시조가 되었으며, 선교일체론(禪敎一體論)을 주장하고 불교와 유교의 융합을 강조함. 공민왕(恭愍王)과 우왕 때 국사(國師)로 봉해짐.
1301~138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종교인>승려
-
보우(普雨)
조선 명종(明宗) 때의 승려. 금강산 마하연암(摩訶衍庵)에서 참선(參禪)하고 경학(經學)을 연구했으며,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신임을 얻어 봉은사(奉恩寺) 주지(主持)가 됨. 선교 양종(禪敎兩宗)을 부활시켰으며, 도첩제(度牒制)에 의한 승과(僧科)를 설치함.
1509~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종교인>승려
-
보원(普願)
중국 당(唐) 나라의 선승(禪僧). 도일(道一)의 제자이며, 종심(從諗)의 스승. 대혜선사(大慧禪師)에게 출가한 뒤 후에 도일의 제자가 되었으며, 지주(池州)의 남천산(南泉山)에 선원(禪院)을 짓고 30여 년 동안 수행함.
748~835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보은(報恩)
충청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소백산맥(小白山脈)이 지나감.
충청도>보은 , 지명>행정지명
-
보익공신(保翼功臣)
조선 명종(明宗) 1년에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주도한 인물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선조(宣祖) 때 위훈(僞勳)으로 간주되어 모두 삭훈(削勳)됨.
1546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보인(保人)
조선시대 군사비 충당을 위하여 정군(正軍)에게 딸린 경제적 보조자. 1464년(세조 10) 보제(保制)의 시행에 따라 정군으로 번상(番上)한 집의 남은 가족을 재정적으로 돕다가, 임진왜란 이후 모병제(募兵制)로 변경되면서 없어짐.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보장대방록(寶章待訪錄)
중국 송(宋) 나라의 서화가 미불(米芾)의 저서. 송 나라 말의 회화사상을 아는 데 중요한 자료인 《화사(畵史)》등의 저서와 함께 전해짐.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보장왕(寶藏王)
고구려 제28대 마지막 왕. 재위 642~668. 연개소문(淵蓋蘇文)의 추대로 왕위에 올랐으나, 나당(羅唐) 연합군에 패하여 당 나라로 압송된 뒤 고구려의 부흥을 도모하다 실패함.
?~682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보주태후(普州太后)
가락국(駕洛國)의 시조인 수로왕(首露王)의 왕비. 인도 아유타국(阿踰陀國)의 공주로, 우리나라 허씨(許氏)의 도시조(都始祖)임.
?~188 한국>가야 , 경상도>김해 , 인명>왕실>왕비
-
보진영광집(寶晉英光集)
중국 송(宋) 나라의 서화가 미불(米芾)의 저서. 송 나라 말의 회화사상을 아는 데 중요한 자료인 《화사(畵史)》등의 저서와 함께 전해짐.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보한재집(保閑齋集)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신숙주(申叔舟)의 시문집. 17권 4책. 아들 신정(申瀞)ㆍ신준(申浚) 등이 유고를 모아 편차한 것을 1487년(성종 18)에 왕이 교서관(校書館)에 명하여 간행함.
148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보한집(補閑集)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인 최자(崔滋)가 지은 시화집(詩話集). 3권 1책. 1254년(고종 41)에 간행함. 《파한집(破閑集)》ㆍ《역옹패설(櫟翁稗說)》과 더불어 고려시대 비평문학의 3대 걸작으로 꼽히며, 담무갈(曇無竭) 보살에 대한 기록이 있음.
1254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보현(普賢)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보살(菩薩) 중의 하나. 불교의 진리와 수행의 덕을 맡은 보살로,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의 오른쪽에 위치하며, 왼쪽의 문수(文殊)와 함께 협시보살(脇侍菩薩)로서 석가의 중생 제도(衆生濟度)를 도움.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보현사(普賢寺)
고려 광종(光宗) 때 평안도 향산(香山) 묘향산(妙香山)에 창건한 사찰. 임진왜란 후 부처님 사리가 통도사(通度寺)와 이 절에 나뉘어 봉안되었으며, 이에 석가여래사리부도비(釋迦如來舍利浮屠碑)가 세워짐.
968 한국>고려전기 , 평안도>영원 , 유적>건물>사찰
-
보후(甫侯)
중국 주(周) 나라 선왕(宣王) 때의 어진 재상. 보국(甫國)의 후(侯)로, 《시경(詩經)》 〈대아(大雅)〉 "숭고(崧高)"에 신백(申伯)과 함께 칭송된 구절이 있음.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복^광^절(福^廣^浙)
중국 남동부 해안에 있는 복건성(福建省)과 남부 해안에 있는 광동성(廣東省), 남동부의 해안에 있는 절강성(浙江省)을 함께 부르는 말. 모두 바닷가에 면한 지역임.
중국 , 지명>기타지명
-
복^수(濮秀)
중국 송(宋) 나라의 복안의왕(濮安懿王) 조윤양(趙允讓)과 수왕(秀王) 조자칭(趙子稱)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복건성(福建省)
중국 남동부 해안을 따라 위치한 성(省)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복구(復邱)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 수선사(修禪社)의 제13세 국사(國師)로, 도영(道英)에게 공부하고 백암사ㆍ월남사ㆍ송광사 등에서 수행함. 1352년(공민왕 1)에 왕사(王師)가 됨.
1270~135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영광ㅣ전라도>광산ㅣ경상도>하동 , 인명>종교인>승려
-
복룡사(伏龍祠)
조선 순조(純祖) 때 전라도 광산(光山)에 세운 사당. 고려 후기의 학자 범세동(范世東) 및 임진왜란 때 순절한 범기생(范起生) 등이 제향됨.
182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유적>건물>사당
-
복부제(宓不齊)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선보(單父)의 읍재(邑宰)를 지냈으며, 공자로부터 군자(君子)라는 칭찬을 받음.
B.C.52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복비(宓妃)
고대 전설상의 낙수(洛水)의 여신(女神) 이름. 황하(黃河)의 수신(水神)인 하백(河伯)의 아내라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복상(卜商)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위(魏)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문학(文學)에 뛰어났으며, 공자(孔子)의 《춘추(春秋)》를 전하여 《공양전(公羊傳)》과 《곡량전(穀梁傳)》의 원류(源流)를 이루었고, 예(禮)의 객관적인 형식을 존중함.
B.C.507?~B.C.42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복생수경도(伏生授經圖)
중국 당(唐) 나라 때의 인물화. 중국 한(漢) 나라의 경학자(經學者) 복승(伏勝)이 《서경(書經)》을 강론하는 모습을 그린 것. 왕유(王維)의 작품으로 알려졌으나 확실치는 않음.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복성군(福城君)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서자. 경빈박씨(敬嬪朴氏)의 소생으로, 1533년(중종 28) 작서(灼鼠)의 변(變) 때 모자가 함께 사사(賜死)되었다가 1541년(중종 36)에 신원(伸寃)됨.
1509~153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복성서(復性書)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이고(李翺)의 저서. 성(性)의 본연인 선(善)으로 되돌아가야 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으며, 송대 성리학(性理學)의 선구가 됨.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복세현(卜世顯)
조선 전기의 문인. 충청도 홍주(洪州)에 매죽당(梅竹堂)을 짓고 거처하였으며, 심의(沈義)의 《대관재난고(大觀齋亂稿)》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문인
-
복수(濮水)
중국 하북성(河北省) 복양현(濮陽縣)에 있는 강. 은(殷) 나라 주(紂)의 악관(樂官) 사연(師涓)이 은 나라가 망하자 이곳에 빠져 죽었다고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복승(伏勝)
중국 한(漢) 나라 때의 경학자(經學者). 제남(濟南) 사람으로, 문제(文帝)가 경전을 복원할 때 《상서(尙書)》를 구술(口述)하여 세상에 전함.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복암강(伏巖江)
전라도 나주(羅州)에 있는 강. 건재(健齋) 김천일(金千鎰)이 이곳에 복암강사(伏巖江舍)를 짓고 극념당(克念堂)이라 편액하여 학문을 강론함.
전라도>나주 , 지명>자연지명
-
복암강사(伏巖江舍)
전라도 나주(羅州) 복암강(覆巖江)에 있는 사제. 건재(健齋) 김천일(金千鎰)이 1563년(명종 18)에 지은 것으로 극념당(克念堂)이라 편액함.
156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유적>건물>사제
-
복완(伏完)
중국 후한(後漢) 때의 외척. 헌제(獻帝)의 비(妃) 복황후(伏皇后)의 아버지로, 조조(曹操)를 죽이려고 모의를 꾀하다 발각되어 죽음. 시중(侍中)을 지냄.
?~20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복의(濮議)
중국 송(宋) 나라의 복안의왕(濮安懿王) 추숭(追崇)에 대한 논쟁. 영종(英宗)의 생부인 복안의왕(濮安懿王)의 호칭에 황백(皇伯)과 황친(皇親)을 두고 논의가 벌어져 전자를 논한 자는 파직당함.
1064 중국>송 , 중국 , 사건>기타사건
-
복재집(復齋集)@육구령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육구령(陸九齡)의 문집. 저자는 음양(陰陽), 오행(五行), 복서(卜筮) 등에 두루 통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복재집(復齋集)@정총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총(鄭摠)의 시문집. 2권 2책. 1446년(세종 28)에 아들 정효충(鄭孝忠)이 편집하고, 이선제(李先齊)ㆍ정호연(鄭浩然) 등이 간행함.
1446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복재집(復齋集)@한종유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인 복재(復齋) 한종유(韓宗愈)의 문집. 저자는 시문에 뛰어났으며, 서연(書筵)에 참여함.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복조부(鵩鳥賦)
중국 전한(前漢)의 문인(文人)인 가의(賈誼)가 지은 부(賦) 이름. 가의가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로 좌천되었을 때, 복조(鵩鳥)가 날아들자 불길하게 여겨 스스로 애도한 내용임.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작품명
-
복지겸(卜智謙)
고려의 개국공신(開國功臣). 태봉(泰封)의 마군장군(馬軍將軍)으로 있다가 궁예(弓裔)가 민심을 잃자, 918년에 배현경(裵玄慶)ㆍ신숭겸(申崇謙) 등과 함께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王建)을 추대하여 고려를 세움. 면천복씨(沔川卜氏)의 시조.
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충청도>면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복희(伏羲)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 삼황오제(三皇五帝) 중 첫머리에 꼽히며, 팔괘(八卦)를 처음 만들고 어획(漁獲)과 수렵(狩獵)의 방법을 가르쳤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본암집(本庵集)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종후(金鍾厚)의 시문집. 본집은 12권 6책. 속집은 6권 3책. 아우 김종수(金鍾秀)가 유고를 모아 편집하고, 1798년(정조 22) 문인 임육(任堉)이 간행함. 권두에 심환지(沈煥之)의 서문이 있음.
179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본초강목(本草綱目)
중국 명(明)나라의 학자인 이시진(李時珍)이 지은 약학서(藥學書). 52권. 전편을 부(部)ㆍ강(綱)ㆍ목(目)의 체제로 나누어 총 1,892종의 약재를 망라해 놓음.
1596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본초경집주(本草經集注)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학자 도홍경(陶弘景)이 찬(撰)한 의약서. 총 7권으로 모두 730종의 약재를 수록하고, 옥석류(玉石類)ㆍ초류(草類) 등 총 6가지로 분류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봉강서원(鳳岡書院)
조선 현종(顯宗) 때 충청도 청풍(淸風)에 건립한 서원. 1671년(현종 12)에 건립되어 1672년(현종 13)에 사액되었으며, 김식(金湜)ㆍ김권(金權)ㆍ김육(金堉) 등을 배향함.
167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풍 , 유적>건물>서원,향교
-
봉공기략(封貢紀略)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인 왕사기(王士琦)의 저서. 1권. 변경(邊境)에 근무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봉공(封貢)에 관한 것을 기술함.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봉래산(蓬萊山)
중국 전설에 나오는 산 이름. 선인(仙人)이 산다는 삼신산(三神山)의 하나.
중국 , 지명>기타지명
-
봉래시집(蓬萊詩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양사언(楊士彦)의 시문집. 3권 1책. 인조(仁祖) 때 양만고(楊萬古)가 편찬ㆍ간행함. 다양한 형식의 시 260여 수가 수록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봉륜(封倫)
중국 당(唐) 나라의 재상. 원래 수(隋) 나라에서 벼슬하였으나 당에 귀화함. 태종(太宗)이 치세(治世)의 방법을 묻자 시무(時務)에 입각한 형법설(刑法說)을 주장함.
568~627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봉명서원(鳳鳴書院)
조선 현종(顯宗) 때 평안도 정주(定州)에 건립한 서원. 1671년(현종 12) 사액(賜額)되었고, 김상헌(金尙憲)ㆍ김상용(金尙容)을 배향함.
1663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정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봉사종(奉嗣宗)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하음(河陰)으로,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공신 봉천우(奉天祐)의 후손. 안악 군수(安岳郡守)를 지냈으며 군자정(軍資正)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강화 , 인명>관인>문신
-
봉산(鳳山)
황해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원래 고구려의 휴암군(携巖郡)인데, 고려 때에는 방어사(防禦使)를 두었다가 조선 태종(太宗) 때 봉산군(鳳山郡)이 됨.
황해도>봉산 , 지명>행정지명
-
봉산서원(鳳山書院)@상주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상주(常州)에 건립한 서원. 성윤해(成允諧)ㆍ심희수(沈喜壽)ㆍ노수신(盧守愼)을 배향함.
170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봉산서원(鳳山書院)@예천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예천(醴泉)에 건립한 서원. 권오복(權五福)ㆍ권장(權檣)ㆍ권욱(權旭)이 배향됨.
168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봉서사(鳳棲祠)
조선시대 전라도 김제(金堤)에 세운 사당. 조선 전기의 학자인 강승(姜昇)을 배향하였고, 《성담집(性潭集)》과 《면암집(勉菴集)》에 축문(祝文)과 고유문(告由文)이 전함.
한국>조선시대 , 전라도>김제 , 유적>건물>사당
-
봉석주(奉石柱)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하음(河陰). 계유정난 때의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를 지냈으나, 탐욕스럽고 포악한 성품으로 여러 차례 탄핵을 받음.
?~146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강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봉선(奉先)
중국 섬서성(陜西省) 포성현(蒲城縣)의 지명. 두보(杜甫)의 시 ‘자경부봉선영회오백자(自京赴奉先詠懷五百字)’로 유명해짐.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봉선잡의(奉先雜儀)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이언적(李彦迪)이 지은 제례서. 목판본. 2권 1책. 《주자가례(朱子家禮)》및 선현들의 글에서 취사를 가려 수록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봉성군(鳳城君)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여섯 번째 서자. 희빈홍씨(熙嬪洪氏)의 소생. 인종(仁宗) 때 경기 관찰사 김명윤(金明胤)의 무고로, 계림군(桂林君) 이유(李瑠)와 함께 반역을 꾀한다 하여 유배되었다가 명종(明宗) 때 사사됨.
?~154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봉성민(奉聖民)
조선 전기의 문신.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 감찰(監察)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녹훈됨.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봉시장사(封豕長蛇)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공격을 받은 초(楚) 나라의 신하 신포서(申包胥)가 진(秦) 나라의 애공(哀公)에게 도움을 청하면서 오 나라를 '탐욕스러운 큰 돼지와 먹이를 통째로 삼키는 긴 뱀'에 비유한 데서 유래한 고사성어. 탐욕스럽고 잔인한 사람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봉안군(鳳安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여섯번째 아들. 어머니는 귀인정씨(貴人鄭氏).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이천(伊川)으로 귀양갔다가 다음해 사사(賜死)됨.
?~150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봉암사(鳳巖祠)
조선 숙종(肅宗) 때 전라도 진도(珍島)에 건립한 사당. 노수신(盧守愼)ㆍ이경여(李敬輿)ㆍ정홍익(鄭弘翼)ㆍ남이성(南二星)ㆍ김수항(金壽恒) 등을 배향함.
168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진도 , 유적>건물>사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