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인재잡록(忍齋雜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홍섬(洪暹)이 지은 책.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에 그 일부가 인용되어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인재집(仁齋集)@강희안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인 강희안(姜希顔)의 문집.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인재집(仁齋集)@성희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인 성희(成熺)의 문집.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인재집(寅齋集)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신개(申槩)의 문집. 1929년 후손 신현국(申鉉國)ㆍ신우균(申佑均) 등이 문경(聞慶)에서 4권 2책의 목판으로 간행함.
1929 한국>근대 , 경상도>문경 , 문헌>서명
-
인재집(忍齋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홍섬(洪暹)의 문집. 1693년(숙종 19) 외속(外屬)인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박경후(朴慶後)가 전주(全州)에서 목판으로 간행함.
16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인재집(訒齋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최현(崔晛)의 문집. 1778년(정조 2) 6대손 최광벽(崔光璧)이 원집(原集) 13권, 별집(別集) 2권, 습유(拾遺) 1권, 연보(年譜) 1권, 부록(附錄) 1권, 총 18권 9책의 목판으로 간행함.
177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인정(印正)
조선 전기의 승려. 지리산에 주석하며 소세양(蘇世讓)과 교유하였으며, 《양곡집(陽谷集)》에 증시(贈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ㅣ전라도>구례 , 인명>종교인>승려
-
인제(麟蹄)
강원도 중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양양(襄陽), 서쪽으로 양구(楊口)와 접해 있음.
강원도>인제 , 지명>행정지명
-
인조(仁祖)
조선 제16대 왕. 재위 1623~1649.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왕위에 올라 친명배금정책(親明排金政策)을 실시하고, 정묘호란(丁卯胡亂)ㆍ병자호란(丙子胡亂)을 겪음.
1595~164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인조반정(仁祖反正)
조선 광해군(光海君) 15년에 이귀(李貴) 등 서인(西人) 일파가 광해군 및 대북파(大北派)를 몰아내고 능양군(綾陽君)을 왕으로 옹립한 사건.
1623 한국>조선후기 , 사건>기타사건
-
인조실록(仁祖實錄)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재위 27년간의 실록. 이경여(李敬與)ㆍ김육(金堉) 등이 찬수하고 춘추관(春秋館)에서 편집함. 50권 50책.
165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인종(仁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1525년. 성조(成祖) 영락제(永樂帝)의 장자(長子)로, 영락제의 대외적극책(對外積極策)에서 비롯된 흩어진 내치를 회복하였음.
1378~1425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인종(仁宗)@고려
고려 제17대 왕. 재위 1123~1146. 이자겸(李資謙)의 난과 묘청(妙淸)의 난을 겪었고, 김부식(金富軾) 등에게 《삼국사기(三國史記)》를 편찬하게 함.
1109~1146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인종(仁宗)@조선
조선 제12대 왕. 재위 1544~1545.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희생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ㆍ기준(奇遵) 등을 신원(伸寃)하고 현량과(賢良科)를 부활시킴.
151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인종(仁宗)@송
중국 북송(北宋)의 제4대 황제. 재위 1022~1063. '경력(慶曆)의 치(治)'라는 북송의 최전성기를 누렸지만 말년에는 재정 곤란에 빠짐.
1010~1063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인종(仁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8대 황제. 재위 1311~1320. 문예정책에 힘을 기울이고, 중국인과 몽골인 간의 관직을 평등하게 분배함.
1286~1320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인종실록(仁宗實錄)
조선 제12대 인종(仁宗)의 재위 8개월간의 실록. 1546년(명종 1) 《중종실록(中宗實錄)》과 함께 편찬이 계획되어 감춘추관사(監春秋館事) 심연원(沈連源) 등에 의해 1550년(명종 5)에 완성됨. 2권 2책.
15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인천(仁川)
경기도 중서부 서해에 접해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는 안산(安山)ㆍ금천(衿川)을, 북쪽으로는 부평(富平)을 경계로 하고 있음.
경기도>인천 , 지명>행정지명
-
인천이씨(仁川李氏)
고려 현종(顯宗) 때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를 지내고 소성백(邵城伯)에 봉해진 이허겸(李許謙)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집단>성씨
-
인헌왕후(仁獻王后)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어머니이자 추존왕 원종(元宗)의 비. 본관은 능성(綾城). 능안부원군(綾安府院君) 구사맹(具思孟)의 딸로, 1632년(인조 10) 정원군(定遠君)이 원종으로 추존됨에 따라 인헌왕후로 추존됨.
1578~162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인현왕후(仁顯王后)
조선 제19대 숙종(肅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여흥(驪興).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의 딸로, 희빈장씨(禧嬪張氏)의 무고로 6년간 폐서인이 되었다가 갑술환국(甲戌換局)을 거쳐 복위됨. 그 후 7년이 지나 병고에 시달린 끝에 35세로 죽음.
1667~17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인흥사(仁興寺)
경상도 성주(星州) 비슬산(琵瑟山) 북쪽에 있었던 사찰. 창건연대 및 창건자는 미상. 1264년(원종 5) 일연(一然)이 주지로 있었으며, 충렬왕(忠烈王)ㆍ공민왕(恭愍王)이 친필의 액(額)을 내림. 현재의 대구광역시에 속함.
경상도>성주 , 유적>건물>사찰
-
일강십목소(一綱十目疏)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언적(李彦迪)이 1539년(중종 34)에 지은 소(疏). 치중화(致中和)의 1강(綱)과 궁금불가불엄(宮禁不可不嚴) 등의 9목(目)으로 구성되었으며, 《회재집(晦齋集)》에 실려 있음.
1539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일경록(日警錄)
조선 정조(正祖) 때의 학자인 유도원(柳道源)이 지은 책.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일공(一公)
고려 중기의 승려. 무인정권기(武人政權期)의 대표적 결사(結社)인 화엄종의 반룡사(盤龍社)를 개설했으며, 이인로(李仁老)와 교유하며 많은 시를 주고받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종교인>승려
-
일두집(一蠹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정여창(鄭汝昌)의 시문집(詩文集). 정구(鄭逑) 등이 편집한 《문헌공실기(文獻公實記)》를 유집(遺集)으로 하고, 속집(續集)을 덧붙여 간행함.
1920 한국>근대 , 경상도>함양 , 문헌>서명
-
일모도원(日暮途遠)
날은 저물었는데 갈 길은 멀다는 뜻으로, 이미 늙어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의미. 초(楚) 나라 평왕(平王)에게 원한을 갚으려 했던 오자서(伍子胥)가 평왕이 이미 죽자 시신에 300번의 채찍질을 했는데, 이 행동을 신포서(申包胥)가 나무라자 오자서(伍子胥)가 대꾸하며 한 말에서 유래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일본(日本)
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며, 열도(列島)로 이루어진 섬나라.
일본 , 시간>국명
-
일본행록(日本行錄)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송희경(宋希璟)이 일본(日本)에 회례사(回禮使)로 갔을 때 기록한 사행일기(使行日記). 목활자본.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유출되었다가 우여곡절 끝에 1800년(정조 24) 후손들이 간행함.
180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일봉집(一峯集)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나륜(羅倫)의 문집. 10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일사전(逸士傳)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인 황보밀(皇甫謐)이 지은 일사(逸士)에 대한 전기. 1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일선지(一善誌)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창석(蒼石) 이준(李埈)과 인재(訒齋) 최현(崔睍)이 편찬한 경상도 선산(善山)의 읍지.
161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문헌>서명
-
일성이사금(逸聖尼師今)
신라 제7대 왕. 재위 134~154. 말갈(靺鞨)의 침입을 자주 받았으나, 농본주의 정책을 펼쳐 제방을 고쳐 쌓고 농지를 개간하는 한편 백성들의 사치를 금하고 검소한 생활을 장려함.
?~154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일연(一然)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승려. 고종 때 설악산 진전사(陳田寺)로 출가하여 구산문 사선(九山門四選)의 으뜸되어 지눌(知訥)의 법을 계승하고, 충렬왕 때 국존(國尊)으로 책봉됨. 제자로 혼구(混丘)ㆍ죽허(竹虛)가 있고, 대표적 저서로 《삼국유사(三國遺事)》가 유명함.
1206~128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승려
-
일일재선생문집(一一齋先生文集)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학자인 김시찬(金是瓚)의 시문집. 1972년 7세손 김영탁(金永倬) 등이 편집ㆍ간행함. 영사시(詠史詩)와 우리나라의 역사적 소재를 읊은 시 등이 뛰어남.
1972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일장월장경변(日藏月藏經變)
중국 당(唐) 나라의 화가 오도현(吳道玄)이 그린 불화(佛畵). 722년(당 현종 10)에 낙양(洛陽)과 장안(長安)의 여러 사찰을 돌면서 《금교도(金橋圖)》와 함께 그림.
722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일재집(一齋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항(李恒)의 문집. 5세손 이성익(李星益)이 수습(收拾)한 유고(遺稿)를 종인(宗人) 이준구(李俊耈)가 박세채(朴世采)의 교정과 서문(序文)을 받아 간행함.
167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일초(日抄)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인 황진(黃震)의 저서. 도교(道敎)와 불교(佛敎)를 배척하고, 주자학(朱子學)의 내용을 담고 있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일출봉(日出峯)
강원도 금강산(金剛山) 월출봉(月出峯)의 남쪽에 위치한 산봉우리. 높이 높이 1,552m.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일휴집(日休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금응협(琴應夾)의 저서.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임^류(任^瑠)
조선 인종(仁宗)의 외척인 대윤(大尹) 윤임(尹任)과, 월산대군(月山大君) 이정(李婷)의 손자로 성종(成宗)의 첫 번째 서자인 계성군(桂城君) 이순(李恂)에게 출계한 이류(李瑠)을 함께 부르는 말. 명종(明宗) 때 소윤(小尹) 일파에 의해 죽임을 당한 인물들을 가리킴.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임각(林恪)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고제자(高弟子)로, 절강성(浙江省) 태주(台州) 천태현(天台縣) 사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임각(林珏)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회진(會津). 임희무(林希茂)의 아버지로,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지냄.
1490~15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임간(任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낸 임유겸(任由謙)의 아들로, 종묘서 영(宗廟署令)을 지냄.
1496~154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임간록(林間錄)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흠종(欽宗) 때의 시승(詩僧) 혜홍(惠洪)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임강사(臨江寺)
경상도 안동(安東)의 도산(陶山) 하류 쪽에 있던 사찰. 조선 중기의 문신(文臣) 이현보(李賢輔)가 우거(寓居)하면서 이황(李滉) 등과 교류하던 곳.
경상도>예안 , 유적>건물>사찰
-
임강서원(臨江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경기도(京畿道) 장단(長湍)에 건립된 서원. 1694년(숙종 22)에 사액되고, 안향(安珦)ㆍ이색(李穡)ㆍ김안국(金安國)ㆍ김정국(金正國) 등을 배향함.
164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장단 , 유적>건물>서원,향교
-
임건(任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豐川). 임유겸(任由謙)의 아들이며 송당(松堂) 박영(朴英)의 문인으로,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임견미(林堅味)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왕을 호종(扈從)하여 1등 공신이 되고, 경복흥(慶復興) 일당을 숙청함.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내면서 이인임(李仁任)과 함께 전횡을 일삼다가 최영(崔塋)ㆍ이성계(李成桂)에게 살해됨.
?~1388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무신
-
임경업(林慶業)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택(平澤). 친명배청파(親明排淸派)로서 명군(明軍) 총병(總兵)으로 청(淸) 나라를 공격하다가 포로가 되었으며, 송환된 뒤 친국(親鞫)을 받던 중 김자점(金自點)에 의해 장살(杖殺)됨.
1594~1646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무신
-
임계영(任啓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흥(長興). 임진왜란 때 박광전(朴光前)ㆍ최경회(崔慶會) 등과 의병활동을 펼쳐 크게 활약함. 진보 현감(眞寶縣監) 등을 지냄.
1528~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임계유고(林溪遺藁)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유호인(兪好仁)의 문집.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임계중(任繼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곡성(谷城). 김안국(金安國)ㆍ김정국(金正國) 등과 교유하고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 등을 역임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연천(漣川)으로 낙향하여 학문 연구에 전념함.
1481~15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연천 , 인명>관인>문신
-
임고서원(臨皐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경상도 영천(永川)에 건립된 서원. 정몽주(鄭夢周)ㆍ장현광(張顯光)ㆍ황보인(皇甫仁) 등을 배향함.
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유적>건물>서원,향교
-
임공준(林公俊)
조선 전기의 아전.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가 그를 위해 지은 만시(挽詩)가 《하서전집(河西全集)》에 보임. 좌수(座首)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아전
-
임광재(任光載)
조선 예종(睿宗)의 부마. 예종의 장녀 현숙공주(顯肅公主)의 남편으로, 성종(成宗)이 총애하여 상사(賞賜)와 어찰(御札)을 하루도 빠짐없이 내렸으나, 뒤에 기생 관계의 일로 귀양보내짐.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왕실>인척
-
임구(任球)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풍산군(豊山君) 임덕유(任德裕)의 아들로, 첨지문하부사(僉知門下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임국로(任國老)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임명필(任明弼)의 손자이며 임몽정(任蒙正)의 아버지. 이조 참판(吏曹參判) 재임시 기축옥사(己丑獄死)에 연루되어 파직되었으나 재기용되어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537~160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임권(任權)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공조 판서 임유겸(任由謙)의 아들. 김안로(金安老)의 폐정(弊政)을 논박하다가 파직되고, 김안로가 실각한 후 등용되어 좌참찬(左參贊)을 지냄.
1486~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임길수(林吉秀)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임형수(林亨秀)의 동생으로 송강(松江) 정철(鄭澈)과 교유했으며, 고흥 현감(高興縣監)을 지냄.
152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임내신(任鼐臣)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중종실록(中宗實錄)》편찬에 참여함. 예조 참의(禮曹參議)ㆍ승정원 좌승지(承政院左承旨)를 지냄.
1512~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임담(林墰)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남한산성에 들어가 총융청 종사관(摠戎廳從事官)이 되어 남격대(南格臺)를 수비함. 유탁(柳濯)의 난을 평정하여 토지를 하사받았으나 사양함.
1596~165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임당유고(林塘遺稿)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정유길(鄭惟吉)의 문집. 2권 2책. 목판본. 아들 정창연(鄭昌衍)이 수집한 유고를 증손(曾孫) 정태화(鄭太和)가 간행함.
163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임대동(林大仝)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이 함양 군수(咸陽郡守)로 있을 때 나아가 배움. 1474년(성종 5) 생원이 되고,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임대유(任大有)
조선 후기의 유학.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에 대해 평가한 내용이 《죽천집(竹川集)》에 보임.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임대충(任大冲)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정략장군(定略將軍) 임맹달(任孟達)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유학
-
임덕유(任德裕)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서하부원군(西河府院君) 임자송(任子松)의 아들.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내고 풍산군(豊山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연천 , 인명>관인>문신
-
임득번(林得蕃)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학식이 높은 선비로 이름이 높았고, 역천사(嶧川祠)에 향사(享祀)됨.
?~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문사>학자
-
임련(林堜)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회진(會津).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임서(林㥠)의 아들이자, 임담(林墰)의 형으로, 승정원 우승지(承政院右承旨)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임만근(林萬根)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부정(副正) 임해(林畡)의 아버지로, 금산 군수(錦山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문신
-
임맹달(任孟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임대충(任大冲)의 아버지로, 정략장군(定略將軍)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문사>유학
-
임명산(林命山)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병조 참판(兵曹參判) 임수창(林壽昌)의 아버지로,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문신
-
임명필(任明弼)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임열(任說)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임목(林穆)
조선 전기의 유학. 그의 아버지의 요청으로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이 이름과 자(字)를 지어준 내용이 《점필재집(佔畢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임몽정(任蒙正)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대사성(大司成) 등을 지냈으며, 어려서부터 시를 잘 써서 명성을 떨침.
1559~160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임밀(林密)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예부 주사(禮部主事)를 지내고, 1374년(고려 공민왕 23)에 채빈(蔡斌)과 함께 고려에 사신으로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임박(任博)
조선 전기의 유학. 윤덕(潤德) 임항(任恒)과 함께 무릉도인(武陵道人) 주세붕(周世鵬)과 시를 수창하며 교유한 내용이 《무릉잡고(武陵雜稿)》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임방(任昉)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양(梁) 나라의 문신ㆍ문인. 무제(武帝) 때에 황문 시랑(黃門侍郞)과 신안 태수(新安 太守) 등을 지냈으며, 문장가로서 이름이 높았음.
460~50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임백령(林百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박상(朴祥)의 문인이며, 임억령(林億齡)의 동생.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주도한 공으로 정난위사공신(定難衛社功臣)에 책록되고 숭선군(崇善君)에 봉해짐.
?~15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임백영(任百英)
조선 전기의 유학.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이 그를 위해 쓴 만시(挽詩)가 《죽천집(竹川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임백호집(林白湖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시인ㆍ문신인 임제(林悌)의 문집. 4권 2책. 목판본. 동생 임권(林懽)이 수집한 유고를 종제(從弟) 임서(林㥠)가 간행함. 권1~3에는 시(詩), 권4에는 문(文)이 수록되어 있으며, 〈수성지(愁城志)〉는 저자의 대표작임.
161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문헌>서명
-
임벽당(林碧堂)
조선 중중(中宗) 때 충청도 비인(庇仁)에 건립된 당우(堂宇). 유학 유여주(兪汝舟)가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부인 김씨(金氏)와 함께 당우을 짓고, 이곳에서 독서와 서예로 일생을 보냄.
151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비인 , 유적>건물>사제
-
임병(任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1524년(중종 1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박사(弘文館博士)ㆍ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내고, 글씨에도 뛰어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임보신(任輔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호조 참판(戶曹參判) 임추(任樞)의 아들. 형조 참의(刑曹參議) 등을 지내고, 저서로 《병진정사록(丙辰丁巳錄)》이 있음.
?~155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임복(林復)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1546년(명종 1) 증광 문과에 급제한 후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에 등용되었으나,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으로 삭주(朔州)에 유배되었다가 고향에 은거함.
1521~157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임붕(林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를 구원하는 상소를 올렸으며, 좌승지ㆍ경주 부윤ㆍ광주 목사 등을 지냈음.
1486~155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임사영(林士英)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행인사 행인(行人司行人) 등을 지내고, 1401년(조선 태종 1) 육옹(陸顒)과 함께 혜제(惠帝)의 대통력(大統曆)과 칙서(勅書)를 가지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임사홍(任士洪)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아들 보성군(寶城君)의 사위로, 두 아들이 각각 예종(睿宗)과 성종(成宗)의 부마가 되면서 권세를 누림. 무오사화(戊午士禍)와 갑자사화(甲子士禍)를 주도하여 많은 중신(重臣)과 선비를 죽임.
?~150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임상덕(林象德)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나주(羅州).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강목체(綱目體)의 역사서인 《동사회강(東史會綱)》 등이 있음.
1683~171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임서(林㥠)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회진(會津)으로, 임복(林復)의 아들. 이괄(李适)의 난 때 공을 세워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오르고,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지냄.
1570~162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임선미(林先味)
고려 말~조선 초의 충신. 본관은 예천(醴泉). 고려가 망한 뒤 조선 태조(太祖)가 과거를 실시하였으나 이에 응하지 않고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충의를 지킨 태학생(太學生) 중 한 사람으로, 조의생(曺義生) 등과 함께 표절사(表節祠)에 제향됨.
133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
-
임성계(林成季)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흥국군 판관(興國軍判官)을 지냈고, 주희(朱熹)와 교유하였으며 저서로 《애헌가전(艾軒家傳)》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임성근(林成槿)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은진임씨(恩津林氏)의 시조. 봉선대부(奉善大夫) 임정(林挺)의 아버지로, 고려 때 태상박사(太常博士)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임성미(林成味)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밀직부사(密直副使)ㆍ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등을 지내고, 왜구(倭寇)를 무찌른 공으로 삼사우사(三司右使)에 제수됨.
?~1383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문신
-
임성주(任聖周)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풍천(豊川). 영조 때 시직(侍直) 등을 지내다 사직하고, 공주(公州) 녹문(鹿門)에 은거함. 주희(朱熹)의 이기론(理氣論)을 비판하고, 기일분수설(氣一分殊說)을 주장함.
1711~178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
-
임세번(林世蕃)
조선 전기의 유학. 대관재(大觀齋) 심의(沈義)와 함께 만월대(滿月臺)에 올라 시를 읊은 내용이 《대관재난고(大觀齋亂稿)》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임세춘(林世春)
고려 말기의 문신. 평택임씨(平澤林氏)의 중시조. 세자전객령(世子典客令) 겸 연희궁부사(延禧宮副使)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문신
-
임수(林洙)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순창(淳昌). 문장에 뛰어나 오상(吳祥)ㆍ김주(金澍) 등과 함께 당대 팔문장(八文章) 중의 한 사람으로 꼽히며, 황해도 도사(黃海道都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임수겸(林守謙)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음(安陰)으로, 부제학(副提學)ㆍ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ㆍ대사성(大司成)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관인>문신
-
임수성(任守成)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풍천(豐川). 사명당(四溟堂) 유정(惟政)의 아버지.
?~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