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임수정(林秀亭)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임적(林頔)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임수창(林壽昌)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성종 때 밀양 부사(密陽府使)로 선정을 베풀고, 공조 참의(工曹參議)ㆍ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등을 지냄.
1426~150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문신
-
임숙영(任叔英)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병을 핑계로 참여하지 않았다가 파직됨. 고문(古)에 힘썼으며, 중국 육조(六朝)의 사륙문(四六文)에 뛰어났음.
1576~162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임숭두(林崇杜)
조선 전기의 문신. 노우명(盧友明)의 사위로, 찰방(察訪)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임숭재(任崇載)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성종(成宗) 딸인 휘숙옹주(徽淑翁主)의 남편으로, 1504년(연산군 10) 장악원 제조(掌樂院提調)에 임명됨. 충신을 비방하고 음란한 행위를 하는 등 비행을 일삼음.
?~150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임식(林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홍문관 교리(弘文館敎理) 등을 지냈으나 모함을 받아 파직된 뒤에는 고향인 충청도 결성(結城)으로 낙향하여 부해정(浮海亭)이라는 정자에 은거하며 지냄.
1539~158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결성 , 인명>관인>문신
-
임실(任實)
전라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남원(南原), 서쪽으로 순창(淳昌)과 접해 있음.
전라도>임실 , 지명>행정지명
-
임악(林鶚)
중국 명(明) 나라 경제(景帝)~헌종(憲宗) 때의 문신. 형부 시랑(刑部侍郞)을 지냄.
1423~1476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임양저(林良貯)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손주 사위이자 중랑장(中郞將). 경순왕이 고려로 귀부하려하자 그 부당함을 고하다가 노여움을 사서 선산(善山)으로 유배되고, 그곳에 뿌리를 내리게 되어 선산임씨(善山林氏)의 시조가 됨.
한국>신라 , 경상도>선산 , 인명>왕실>인척
-
임억령(林億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박상(朴祥)의 문인.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동생 임백령(任百齡)이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일에 가담하자 해남(海南)으로 내려가 은거함.
1496~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임언군(林堰君)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여덟 번째 서자. 숙의윤씨(淑儀尹氏)의 소생.
?~14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임언수(林彦脩)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삼사우사(三司右使) 임성미(林成味)와 문하시중(門下侍中) 임견미(林堅味)의 아버지로, 문하시랑 동평장사(門下侍郞同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문신
-
임연(任淵)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석가로 유명한데, 시(詩)의 대가(大家)들도 이해하기 힘들다는 진사도(陳師道)의 시에 주를 달아 《후산시주(後山詩註)》를 펴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임연(林衍)
고려의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무신. 본관은 진주(鎭州). 권신 최의(崔竩)를 죽여 그 공으로 위사공신(衛社功臣)이 되었음. 원종을 폐하고 안경공(安慶公) 창(淐)을 옹립하여 권력을 장악했으나 몽골의 위협에 다시 원종을 복위시킴.
?~1270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무신
-
임연재선생문집(臨淵齋先生文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배삼익(裵三益)의 시문집. 6권 3책. 목판본. 유치명(柳致明)이 서문(序文)을 쓰고, 9대손 배한주(裵翰周)가 간행함.
1855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임열(任說)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참봉 임명필(任明弼)의 아들. 세 번 과거에 급제하여 문명을 떨치고, 대사헌ㆍ공조 판서ㆍ한성부 판윤 등을 거쳐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냄.
1510~159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임영대군(臨瀛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 무예와 의론(議論)에 뛰어나 세종 때 총통(銃筒) 제작을 감독하고, 문종(文宗) 때 화차(火車)를 제작하였으며, 세조(世祖)를 잘 보좌하여 신임을 받음.
1418~14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임온(任溫)
고려 전기의 유학. 중국 소흥부(紹興府) 자계현(慈溪縣)에서 고려로 건너와 풍천(豐川)에 정착한 뒤 풍천임씨(豐川任氏)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문사>유학
-
임용중(林用中)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주희ㆍ장식(張栻)과 함께 형산(衡山)에서 노닐며 시를 지어 《남악창수집(南嶽倡酬集)》을 엮음. 저서로 《초당집(草堂集)》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임우형(林遇亨)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선산(善山). 박상(朴祥)의 문인인 임억령(林億齡)ㆍ정난위사공신(定難衛社功臣) 임백령(林百齡) 형제의 아버지로, 충순위(忠順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무신
-
임운(林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이황(李滉)의 문인. 경사(經史)를 비롯한 여러 학문에 뛰어나고, 형 임훈(林薰)과 함께 효행으로 고향에 정문(旌門)이 세워짐.
1517~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임원준(任元濬)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문장이 뛰어났고 경사(經史)와 의학(醫學)에도 정통했음. 성종(成宗) 즉위 후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서하군(西河君)에 봉해졌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아들 임사홍(任士洪)의 죄로 관직이 삭탈된 후 추살됨.
1423~150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임유(任瀏)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한성 판관(漢城判官)을 지낸 임팽손(任彭孫)의 아들로, 1501년(연산군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훈련원 부정(訓練院副正) 등을 지냄.
1453~152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임유겸(任由謙)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사은부사(謝恩副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조선 표류민을 데려오는 교섭을 담당함. 《성종실록(成宗實錄)》과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편찬에 참여함.
1456~152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임유무(林惟茂)
고려 원종(元宗) 때의 무신. 본관은 진주(鎭州). 권신 임연(林衍)의 아들. 원종(元宗)을 폐하고 안경공 창(安慶公淐)을 즉위시켰는데, 몽고의 압력에 따라 원종은 복위되고 자형인 대장군 최종소(崔宗紹)와 함께 저자에서 살해됨.
?~1270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무신
-
임자(任孜)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소식(蘇軾)의 문인으로 관직은 광록시 승(光祿寺承)에 이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임자송(任子松)
고려 충숙왕(忠肅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어사(御史) 임주(任澍)의 아들로, 1342년(충혜왕 복위 3) 조적(曺頔)의 난 때 왕을 호종(扈從)한 공으로 1등공신의 호를 받음.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임적(林頔)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유학 임수정(林秀亭)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유학
-
임적(林積)
조선 전기의 유학. 그의 아버지의 요청으로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이 이름과 자(字)를 지어준 내용이 《점필재집(佔畢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임정신(任鼎臣)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몰락한 신진사류(新進士類)로서 김안국(金安國)ㆍ엄용순(嚴用順) 등과 더불어 낙향하여 경기도 이천(利川)에 있는 육괴정(六槐亭)에서 시회(詩會)와 학문을 강론(講論)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유학
-
임제(林悌)
조선 선조(宣祖) 때의 시인ㆍ문신. 성운(成運)의 문인으로, 예조 정랑(禮曹正郞)ㆍ지제교(知製敎)를 지냄. 동서(東西)의 당파싸움을 개탄(慨歎)하여 벼슬을 버리고 명산을 유람하며 문장가로 명성을 떨침.
1549~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임제정종기(臨濟正宗記)
중국 송(宋) 나라의 승려인 종고(宗杲)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임제종(臨濟宗)
중국 불교 선종(禪宗)의 한 종파. 혜능(慧能)으로부터 희운(希運) 등을 거쳐 의현(義玄)에 이르러 일가를 이룸.
854 중국>당 , 중국 , 사상>이론>교리
-
임주(任柱)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승정원 좌승지(承政院左承旨) 임내신(任鼐臣)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문사>유학
-
임주(任澍)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무신. 본관은 풍천(豊川). 임자송(任子松)의 아버지로, 감문위대장군(監門衛大將軍)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무신
-
임중신(任重臣)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임권(任權)의 아들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임진강(臨津江)
강원도 법동(法洞) 두류산에서 발원, 남류(南流)하여 한강(漢江)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경기도>연천 , 지명>자연지명
-
임진왜란(壬辰倭亂)
조선 선조(宣祖)때 우리 나라를 침입한 일본과의 전란. 1592년(선조 25)부터 시작되었으며, 해상에서 이순신(李舜臣)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육상에서 이일(李鎰)ㆍ신립(申砬) 등이 패하여 선조가 의주로 파천함. 명(明) 나라의 원병과 권율(權慄)의 활약으로 화의했으나, 일본은 1597년(선조 30)에 재침략하여 다음해에 물러감.
1592 한국>조선후기 , 사건>전쟁
-
임천(林川)
충청남도 부여(扶餘) 일대에 속하는 옛 고을 이름.
충청도>부여 , 지명>자연지명
-
임천령(林千齡)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충순위(忠順衛) 임우형(林遇亨)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유학
-
임천서원(臨川書院)@안동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된 서원. 1618년(광해군 10)에 사액서원이 되고,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없어졌다가 1908년에 복원됨. 김성일(金誠一)이 배향됨.
16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임천서원(臨川書院)@진주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진주(晉州)에 건립된 서원. 강응태(姜應台)ㆍ이준민(李俊民)ㆍ성여신(成汝信)을 배향함.
17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임추(任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공조 판서(工曹判書) 임유겸(任由謙)의 아들.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지내고, 동지사(冬至使)로 명(明) 나라에 파견되었다가 순직함.
1482~153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임춘(林椿)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인. 예천임씨(醴泉林氏)의 시조. 무신정변(武臣政變) 때 온 집안이 화를 당해 시와 술로 세월을 보냄. 강좌칠현(江左七賢)의 한 사람으로 시문에 뛰어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문인
-
임팔급(林八及)
중국 당(唐) 나라 문종(文宗) 때의 문신. 한림 학사(翰林學士)를 지내다가 간신들의 참소가 있자 8학사 중 한 사람으로 우리 나라에 들어와 평택(平澤)에 정착하여, 평택임씨(平澤林氏)의 도시조(都始祖)가 됨.
중국>당 , 중국ㅣ충청도>평택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임팽손(任彭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훈련원 부정(訓練院副正)을 지낸 임류(任瀏)의 아버지로, 한성 판관(漢城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임포(林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隱者). 항주(抗州)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초막을 짓고 20년 동안 출입하지 않은 채 매화를 가꾸고 학을 기르면서 독신으로 살았음.
967~1028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임필형(任弼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훈련원 부정(訓練院副正)을 지낸 임류(任瀏)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감사(監司)를 지냄.
149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임항(任恒)
조선 전기의 유학. 간우(侃于) 임박(任博)과 함께 무릉도인(武陵道人) 주세붕(周世鵬)과 시를 수창하며 교유한 내용이 《무릉잡고(武陵雜稿)》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임해(林畡)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으로, 부제학을 지낸 임형수(林亨秀)의 백부. 1504년(연산군 10)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정(副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임해군(臨海君)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첫째 서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의 포로가 되었다가 석방됨. 동생 광해군(光海君)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유배되었다가 죽음.
1574~160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임현(任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의 문인.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남원 부사(南原府使)가 되어 명(明) 나라 장수 양원(楊元)과 함께 성을 수비하였는데 양원은 도중에 도망하고 홀로 분전하다가 전사함.
1549~159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임형수(林亨秀)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호당(湖堂)에 있을 때 이황(李滉)ㆍ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함.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이 일어나자 대윤(大尹) 일파로 몰려 사사(賜死)됨.
1504~154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임호서원(臨湖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함창(咸昌)에 건립한 서원. 표연말(表沿沫)ㆍ채수(蔡壽)ㆍ홍귀달(洪貴達)ㆍ권달수(權達手)ㆍ채무일(蔡無逸)을 배향함.
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유적>건물>서원,향교
-
임호신(任虎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대사간(大司諫) 임추(任樞)의 아들. 형조 판서(刑曹判書)ㆍ호조 판서(戶曹判書)ㆍ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내고, 정미약조(丁未約條)의 체결을 반대함.
1506~155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임회(林檜)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정철(鄭澈)의 문인이자 사위이며 임길수(林吉秀)의 아들. 광주 목사(廣州牧使) 등을 지냈으나 이괄(李适)의 난 때 경안역(慶安驛) 전투에서 전사함.
1562~162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문신
-
임회(林誨)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광주 목사(光州牧使)를 역임하였고, 임억령(林億齡)ㆍ백광훈(白光勳)ㆍ유희춘(柳希春)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임훈(林薰)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효행(孝行)으로 천거되어 장악원 정(掌樂院正) 등을 지내고, 1582년(선조 15)에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낙향함.
1500~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임흥(任興)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장악원(掌樂院)의 직장(直長)과 주부(主簿)를 역임함. 어려서부터 음악을 배워서 관현(管絃)에 조예가 깊었고, 특히 거문고에 능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관인>문신
-
임희무(林希茂)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회진(會津).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좌승지ㆍ밀양 군수 등을 지냄. 1552년(명종 7) 강익(姜翼)ㆍ정복현(鄭復顯) 등과 함께 함양(咸陽)에 정여창(鄭汝昌)을 배향한 남계서원(灆溪書院)을 세움.
1527~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임희일(林希逸)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도종(度宗) 때의 문신ㆍ학자. 한림학사(翰林學士)ㆍ요주 태수(饒州太守)ㆍ중서사인(中書舍人) 등을 지냈으며, 《장자(莊子)》에 대한 주석서인 《구의(口義)》를 저술함.
1193~127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임희재(任熙載)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ㆍ갑자사화(甲子士禍)를 일으킨 임사홍(任士洪)의 아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갑자사화 때 죽음을 당함. 서예에 능했고 특히 송설체(松雪體)를 잘 썼음.
1472~150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입암집(立巖集)@민제인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민제인(閔齊仁)의 문집. 아들 민사안(閔思安)이 안정 현령(安定縣令)으로 있을 때 손자인 민여경(閔汝慶)이 편차하여 간행하고, 이후 몇 차례 개간(改刊)됨. 목판본. 총 6권 4책.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문헌>서명
-
입암집(立巖集)@유중영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유중영(柳仲郢)의 문집.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입재고(立齋稿)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노흠(盧欽)의 문집. 외손(外孫) 임곡림(林谷林)이 수집하여 류심춘(柳尋春)이 교정하고, 현재는 《광주노씨세고(光州盧氏世稿)》에 수록되어 전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입택총서(笠澤叢書)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학자인 육귀몽(陸龜蒙)의 저서. 총4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입학도설(入學圖說)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권근(權近)의 저서. 성리학(性理學)의 기본원리를 그림을 붙여 설명한 책으로, 김이음(金爾音)에 의해서 진양(晋陽)에서 처음 간행됨.
139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문헌>서명
-
자각(慈覺)
고려 후기의 승려. 순비허씨(順妃許氏)가 충선왕(忠宣王)에게 재가하기 전 낳은 아들 중 둘째. 속세를 벗어나 연하(煙霞)에 뜻을 두었고, 덕망이 높은 스님들의 존숭을 받아 선사(禪師)로 불리면서 이름을 크게 떨침.
한국>조선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ㅣ문헌>서명
-
자계문고(滋溪文稿)
중국 원(元) 나라 인종(仁宗)~순제(順帝) 때의 문신ㆍ문인인 소천작(蘇天爵)의 저서. 저자가 강절행성참지정사(江浙行省參知政事)로 있을 때 지은 것을, 갈원철(葛元哲)이 편집함. 총30권.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자계서원(紫溪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청도(淸道)에 건립된 서원. 1661년(현종 2)에 사액되고, 김극일(金克一)ㆍ김일손(金馹孫) 등을 배향함.
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유적>건물>서원,향교
-
자덕대부(資德大夫)
고려시대 문관의 종2품 품계(品階). 1362년(공민왕 11) 문반(文班)의 관계를 개정할 때 종2품을 봉익대부(奉翊大夫)라 하던 것을, 1369년(공민왕 18) 상하(上下)로 나누어 상을 영록대부(榮祿大夫), 하를 자덕대부라 함.
1369 한국>고려후기 , 법제>관직
-
자비마립간(慈悲麻立干)
신라 제20대 왕. 재위 458~479. 눌지마립간(訥祗麻立干)의 맏아들. 459년 왜병이 공격해 와 월성(月城)을 에워싸자 군사를 정비하여 이를 격퇴함.
?~479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자서(子西)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 소왕(昭王) 때의 재상. 영윤(令尹)을 지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자성광헌조황후(慈聖光獻曹皇后)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의 비(妃). 곽후(郭后)가 폐비되면서 황후(皇后)로 책봉되고, 영종(英宗) 즉위 후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자암집(紫巖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이민환(李民寏)의 문집. 7권 2책. 목판본. 증손(曾孫)인 이수태(李秀泰)가 수집ㆍ정리하고, 이광정(李光庭)이 교정하여 간행함.
17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문헌>서명
-
자암집(自菴集)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서예가인 김구(金絿)의 시문집(詩文集). 2권 1책. 목판본.
165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문헌>서명
-
자운서원(紫雲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경기도 파주(坡州)에 세운 서원. 1650년(효종 1)에 사액되었으며 이이(李珥)ㆍ김장생(金長生)ㆍ박세채(朴世采) 등을 배향함.
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자의상강(字義詳講)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진순(陳淳)의 저서. 성리학의 개념과 범주를 해설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자장(慈藏)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때의 고승. 636년(선덕여왕 5)에 당(唐) 나라에서 귀국하여, 분황사(芬皇寺) 대국통(大國統)을 지내며 불교 교단의 기강 확립에 주력함. 통도사(通度寺)의 금강계단(金剛戒壇)을 쌓고, 월정사(月精寺)ㆍ백담사(百潭寺) 등 1백여 개의 사찰을 창건한 것으로 전함. 저서에 《아미타경소(阿彌陀經疏)》ㆍ《관행법(觀行法)》등이 있음.
590~658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승려
-
자지록(資知錄)
조선 영조(英祖) 때의 학자인 황윤석(黃胤錫)의 저서. 천문(天文)에 대한 이해를 서술함. 1942년에 후손 황서구(黃瑞九)가 《양금신보(梁琴新譜)》와 함께 수필본(手筆本)을 합본하여 석인본(石印本)으로 간행함.
1942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자초(自超)
고려 충혜왕(忠惠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고승. 소지선사(小止禪師)의 제자로 구족계를 받고, 혜명국사(慧明國師)에게서 불법을 배움. 나옹(懶翁) 혜근(惠勤)의 수제자로 조선 개국 후 왕사(王師)가 됨.
1327~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종교인>승려
-
자치통감(資治通鑑)
중국 북송(北宋)의 사마광(司馬光)이 편찬한 편년체(編年體) 역사서. 294권. 주(周) 나라 위열왕(威烈王) 때부터 오대(五代) 후주(後周)의 세종(世宗) 때까지 1362년간의 역사를 기록함.
1086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중국 남송(南宋)의 주희(朱熹)가 쓴 역사서. 59권. 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資治通鑑)》을 토대로 정통(正統)ㆍ비정통을 분별하고 대요(大要)와 세목(細目)으로 나누어 기술하였음. 주희는 대요만을 썼고, 제자 조사연(趙師淵)이 세목을 완성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자치통감거요보유(資治通鑑擧要補遺)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호안국(胡安國)의 저서. 100권. 사마광(司馬光)이 《자치통감(資治通鑑)》과 《자치통감목록(資治通鑑目錄)》을 절충하여 《거요록(擧要錄)》을 편찬하려 했으나 완성하지 못하고 사망하자, 호안국이 뒤를 이어 완성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자치통감외기(資治通鑑外紀)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유서(劉恕)가 지은 책. 10권. 《자치통감(資治通鑑)》이전 시대의 역사를 서술함. B.C.841년 주(周) 공화(共和) 1년부터 B.C.404년 주 위열왕(威烈王) 22년까지의 전설과 사실 등을 집록(集錄)함.
1078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자치통감절요(資治通鑑節要)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강지(江摯)가 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資治通鑑)》을 간략하게 간추려 편집한 사서(史書). 50권. 조선 초기부터 《통감(通鑑)》이라는 이름으로 글방의 초학(初學) 교재로 통용됨.
1237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자허부(子虛賦)
중국 전한(前漢)의 문인인 사마상여(司馬相如)가 지은 부(賦). 초(楚) 나라 왕이 운몽(雲夢)에서 사냥하는 광경을 서술하여 풍간(諷諫)의 뜻을 담음.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작품명
-
자호유서(慈湖遺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양간(楊簡)의 문집. 18권. 현존하지 않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자휴(自休)
고려 후기의 승려. 정추(鄭樞)의 《원재고(圓齋槀)》에 송시(送詩)가 실려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작고론(酌古論)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 때의 학자인 진량(陳亮)의 저술. 옛 사람이 무력을 사용한 것과 승리하고 패배한 것에 대한 사적을 상고하여 지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작산(鵲山)
경상북도 안동(安東)의 북쪽에 있는 산 이름.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작산사(鵲山祠)
조선 명종(明宗) 때 경상도 안동(安東)의 작산(鵲山)에 세운 사당. 진성이씨(眞城李氏)의 선조를 모신 곳으로, 이자수(李子脩)ㆍ이운후(李云候)ㆍ이정(李禎)ㆍ이계양(李繼陽) 등을 배향함.
15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사당
-
작서지변(灼鼠之變)
조선 중종(中宗) 때 세자(世子, 후의 인종)의 생일에 쥐를 잡아 저주한 사건. 김안로(金安老)의 사주를 받은 연성위(延城尉) 김희(金禧)가 일으킨 변으로, 중종의 후궁인 경빈박씨(敬嬪朴氏)와 그 아들 복성군(福城君)이 의심을 받고 폐서인(廢庶人)이 되어 귀양갔다가 1533년(중종 26)에 사사(賜死)됨.
152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사건>기타사건
-
작암(鵲庵)
조선 성종(成宗) 때 경상도 안동(安東)의 작산(鵲山)에 세운 재암(齋庵). 병조 참의(兵曹參議)를 추증받은 이정(李禎)의 묘제(墓祭)를 위하여 마련함.
14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사당
-
작약(芍藥)
작약과(芍藥科)의 다년생초(多年生草). 흔히 남녀 간의 애모(愛慕)하는 마음이나 이별(離別)의 상징물로 쓰여, 작약을 소재로 한 시들이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文集)》ㆍ《동문선(東文選)》 등에 실려 있음.
자연물>식물
-
잠계유고(潛溪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이전인(李全仁)의 문집. 1책. 목판본. 헌종(憲宗) 때 후손 이기(李耆)와 강태중(姜泰中) 등이 간행함.
184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잠곡서원(潛谷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기도 가평(加平)에 세운 서원. 1707년(숙종 33)에 사액되었으며, 김육(金堉)을 배향함.
170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가평 , 유적>건물>서원,향교
-
잠곡유고(潛谷遺稿)
조선 효종(孝宗) 때의 문신인 김육(金堉)의 문집. 14권 10책. 활자본. 김육의 아들인 김좌명(金佐明)이 초고를 편차하여 간행함.
167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잠두봉(蠶頭峯)
서울 마포 일대의 한강변에 위치한 산 이름.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에 의해 천주교 박해가 시작되면서 이 곳에서 많은 신자들이 참수당함.
서울 , 지명>자연지명
-
잠삼(岑參)
중국 당(唐) 나라 때의 문신ㆍ문인. 고적(高適)과 함께 시로 유명하여 흔히 고잠(高岑)이라 병칭함. 그의 시는 사의(辭意)가 청절(淸切)하고 문채와 풍치가 뛰어남.
715~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