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전녹생(田祿生)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 벼슬이 문하평리(門下評理)에 이르렀으며, 동지공거(同知貢擧)로서 지공거(知貢擧) 이색(李穡)과 함께 진사를 선발하기도 함.
1318~137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전단(田單)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장수. 거(莒)와 즉묵(卽墨) 두 성을 근거로 연(燕) 나라의 악의(樂毅)에게 빼앗긴 제 나라의 70여 성을 지략과 용맹으로 모두 탈환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전등록(傳燈錄)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양억(楊億)이 교정, 간행한 불서(佛書). 30권. 본래 도원선사(道原禪師)가 찬술한 것을 양억이 개정하여 간행한 것으로, 중국 선종(禪宗)의 법계를 밝혀 1701인의 계보를 서술함.
1004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전등신화(剪燈新話)
중국 명(明) 나라의 문인인 구우(瞿佑)가 지은 전기소설집(傳奇小說集). 당(唐) 나라 때의 소설을 본떠 고금의 괴담기문(怪談奇聞)을 엮은 것으로, 김시습(金時習)의 《금오신화(金鰲新話)》의 모체가 됨.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전라도(全羅道)
전라북도와 전라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전주(全州)와 나주(羅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으로, 고려 현종(顯宗) 때의 전라주도(全羅州道)에서 비롯됨. 본래 마한(馬韓)의 땅으로 백제의 영역이었으나, 백제 멸망 후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전라도 , 지명>행정지명
-
전례문답(典禮問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ㆍ문신인 김장생(金長生)이 지은 예(禮)에 관한 저술. 2권 15편으로 구성되었으며, 저자의 유고집인 《사계유고(沙溪遺稿)》권 21ㆍ22에 수록됨.
162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전론(典論)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초대 황제인 문제(文帝)가 지은 문학 평론서. 원래 5권이었으나 현재 〈논문(論文)〉 1편만이 전하며 현전(現傳)하는 가장 오래된 문학(文學) 평론(評論)으로 알려짐.
중국>삼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전방집(傳芳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전유연(錢惟演)의 찬서. 시(詩)와 사(詞)에 능했던 저자가 선별한 문학작품들이 수록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전분(田蚡)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외척. 효경제(孝景帝)의 황후(皇后) 전씨(田氏)의 동생으로 무제 때 승상(丞相)에까지 올랐는데, 자신이 황제의 외숙임을 믿고 권력을 남용하여 온갖 불의를 자행함.
?~B.C.13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전상인(田上人)
조선 전기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雲谷行錄)》에 〈서야옹전상인권(書野翁田上人卷)〉이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전석(田錫)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진종(眞宗) 때의 문신. 권신(權臣)과 귀총(貴寵)을 막론하고 누구든 잘못이 있으면 직언(直言)하여 평생 간쟁(諫諍)을 자신의 임무(任務)로 삼음.
940~100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전성군(全城君)
조선 제11대 성종(成宗)의 열한 번째 서자. 귀인권씨(貴人權氏)의 소생으로, 어려서 죽어 소생이 없으므로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아들인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麒)가 후사를 이음.
1490~150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전손사(顓孫師)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송(宋) 나라 이후 공문십철(孔門十哲)로 성묘(聖廟)에 종향(從享)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전순(田珣)
고려 후기의 유학. 시에 뛰어나 이규보(李奎報)와 함께 시를 수창(酬唱)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전순의(全循義)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의관(醫官). 1445년(세종 27) 세종의 명에 따라 《의방유취(醫方類聚)》의 편찬에 참여했으며, 1460년(세조 6년) 세조의 명으로 《식료찬요(食療撰要)》를 편찬함. 전의감 정(典醫監正)ㆍ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안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관인>문신
-
전습록(傳習錄)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서애(徐愛)가 스승인 왕수인(王守仁)의 서한 어록을 수집ㆍ기록한 책. 양명학(陽明學)의 개조(開祖)인 왕수인과 문인(門人)들 사이의 서한을 수록하여 양명사상의 핵심이 잘 드러남. 왕수인의 《왕문성공전서(王文成公全書)》에 수록되어 전함.
1518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전승(全昇)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천안(天安). 충렬왕~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인 전신(全信)의 아버지로, 병조 상서(兵曹尙書) 등을 지냄.
?~130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천안 , 인명>관인>문신
-
전승개(田承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산(禮山)으로, 고령 현감(高靈縣監)을 지낸 전실(田實)의 아들. 1517년(중종 1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전시과(田柴科)
고려시대의 토지 제도. 976년(경종 원년)에 맨 처음 시행되었으며, 문무백관(文武百官)에서 한인(閑人)에 이르기까지 국가 관직에 복무하거나 직역(職役)을 부담하는 자들에 대하여 그 지위에 따라 합당한 전토(田土)와 시지(柴地)를 지급함.
976 한국>고려전기 , 법제>제도
-
전신(全信)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김제안(金齊顔)ㆍ이제현(李齊賢) 등과 교유함. 음서(蔭敍)로 관직에 진출하여 동지밀직사사 상의회의도감사(同知密直司事商議會議都監事)를 지냄.
1276~1339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천안 , 인명>관인>문신
-
전실(田實)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예산(禮山).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전승개(田承漑)의 아버지로, 고령 현감(高靈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예산 , 인명>관인>문신
-
전약수(錢若水)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 공부 시랑(工部侍郞)을 지냈으나 벼슬에 연연하지 않고 은퇴하여 명철보신(明哲保身)함.
960~100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전여(展輿)
중국 춘추전국시대 거(莒) 나라의 공자(公子). 재위 B.C.542~B.C.541. 제(齊) 나라의 도움을 얻은 거거질(莒去疾)에게 토벌되어 오(吳) 나라로 도망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전영(田嬰)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장군. 위왕(威王)의 아들이자 맹상군(孟嘗君)의 아버지로, 위(魏) 나라의 군사를 대패시키는 등 제 나라를 강성하게 하는 데 공헌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전영발(田穎發)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인 전유추(田有秋)의 아버지로, 임진왜란 때 창의사(倡義使)로서 활동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전영자(田令孜)
중국 당(唐) 희종(僖宗)~소종(昭宗) 때의 환관. 황소(黃巢)의 난을 피해 희종을 따라 촉(蜀)으로 갔다가 환도(還都)한 뒤 공을 인정받아 권세를 떨쳤으나, 소종(昭宗)이 즉위한 뒤에 아들로 삼았던 왕건(王建)에게 피살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전오륜(全五倫)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초의 문신ㆍ은자. 본관은 정선(旌善). 관직에 나아가 우상시(右常侍)ㆍ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했으나,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갔다가 후에 서운산(瑞雲山)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ㅣ강원도>정선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전완(田完)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환공(桓公) 때의 경대부. 진(陳)의 공자(公子)로서 제 나라에 망명하여 환공을 섬겨 경(卿)이 되고, 뒤에 전(田)으로 성을 바꿈.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전욱(顓頊)
중국 고대 전설에 나오는 삼황오제(三皇五帝) 중의 한 사람. 황제(黃帝)의 손자이며 창의(昌意)의 아들로, 천하를 잘 다스려 명군(明君)으로 이름이 높았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전유연(錢惟演)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문인. 오월(吳越) 충의왕(忠懿王) 전숙(錢俶)의 둘째 아들로, 한림학사(翰林學士)ㆍ공부 시랑(工部侍郞) 등을 지내고, 시(詩)와 사(詞)에 능했음.
962~103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전유추(田有秋)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학자. 본관은 담양(潭陽)으로, 전영발(田穎發)의 아들. 장흥(長興)의 감호(甘湖)에 은거하여 평생 후학 교육에 힘썼으며, 감호사(鑑湖祠)에 배향됨.
1594~167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학자
-
전은로(全銀輅)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산(慶山).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전한(全翰)의 조부로, 군자감 직장(軍資監直長)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산 , 인명>관인>문신
-
전의(全義)
충청남도 연기(燕岐) 일대에 속하는 고을 이름.
충청도>전의 , 지명>행정지명
-
전의(田毅)
고려 후기의 문신. 의종(毅宗)~고종(高宗) 때의 승려 지겸(志謙)의 아버지로, 검교태자첨사(檢校太子詹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전조생(田祖生)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으로, 전희경(田希慶)의 셋째 아들. 1336년(충숙왕 복위5) 과거에 급제하고 찬성첨의부사(贊成僉議府事) 등을 지냈으나, 충정왕(忠定王)이 선위한 후 그를 호종하여 이후에는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1318~139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전좌명(田佐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 좌랑(佐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정려(旌閭)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전주유씨(全州柳氏)
문화유씨(文化柳氏)에서 분적(分籍)된 계통으로, 유차달(柳車達)을 시조로 삼고 고려 말에 완산백(完山伯)에 추봉된 유습(柳濕)을 일세조(一世祖)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집단>성씨
-
전주이씨(全州李氏)
신라 때 사공(司空)을 지낸 이한(李翰)을 시조로 하는 성씨. 조선시대의 국성(國姓).
한국>신라 , 전라도>전주 , 인명>집단>성씨
-
전주최씨(全州崔氏)
고려시대의 인물인 최순작(崔純爵)ㆍ최군옥(崔群玉)ㆍ최균(崔均)ㆍ최아(崔阿)를 각각의 시조로 삼아, 동본이면서도 계보를 달리하는 네 계통을 아울러 일컫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집단>성씨
-
전찬(全纘)
조선 전기의 유학.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시에 뛰어났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문사>유학
-
전충효(全忠孝)
조선 후기의 서화가.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서화가인 조속(趙涑)의 제자로, 스승의 사의적(寫意的)인 수묵화조화풍(水墨花鳥畵風)을 따른〈수작도(水鵲圖)〉등이 전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예술인>서화가
-
전치원(全致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의병장. 본관은 완산(完山). 황강(黃江) 이희안(李希顔)과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 이희안을 위하여 청계서원(淸溪書院)을 창건했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초계(草溪)에서 의병으로 활동함.
1527~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
-
전칠자(前七子)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인 홍치(弘治)ㆍ정덕(正德) 연간에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주창한 7명의 문인. 이몽양(李夢陽)ㆍ하경명(何景明)ㆍ서정경(徐禎卿)ㆍ변공(邊貢)ㆍ강해(康海)ㆍ왕구사(王九思)ㆍ왕정상(王廷相) 등을 가리킴.
중국>명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전탄부(全坦夫)
고려 후기의 문신. 벼슬이 중군 녹사(中軍錄事)에 이름. 원수(元帥) 막부(幕府)의 보좌관이 되어 국경을 침범한 거란족을 토벌하던 중 전사함. 사(詞)에 뛰어났으며 이규보(李奎報)가 애사(哀詞)를 지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전하(田何)
중국 전한(前漢)의 역학자. 동무(東武)의 손우(孫虞)에게 주역을 배워 동무의 왕동(王同), 낙양(雒陽)의 주왕손(周王孫)ㆍ정관(丁寬), 제(齊)의 복생(服生) 등에게 전수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전한(全翰)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산(慶山)으로, 군자감 직장(軍資監直長)을 지낸 전은로(全銀輅)의 손자. 사섬시 첨정(司贍寺僉正)ㆍ사옹원 정(司饔院正)ㆍ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 등을 지냄.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산 , 인명>관인>문신
-
전해고문진보지(箋解古文眞寶誌)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인 강회중(姜淮仲)의 저서. 우리나라에서 《고문진보(古文眞寶)》에 대해 이루어진 연구 업적 중 초기적인 것으로 알려짐.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전화(田和)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386~B.C.384. B.C.391년에 강공(康公)을 몰아내고 스스로 군위(君位)에 올라 B.C.386년에 주(周) 천자로부터 제후로 인정받음. 이 일로 제 나라 제후의 성이 바뀌었다 하여 일명 '전씨대제(田氏代齊)'로 불림.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전황(田況)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지성도부(知成都府)를 지낼 때 촉(蜀)에서 일어난 이순(李順)ㆍ왕균(王均)의 난(亂)을 잘 다스려 백성들이 널리 칭송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전희경(田希慶)
고려 충숙왕(忠肅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 고려 말의 문인 전귀생(田貴生)과 문신 전녹생(田祿生)의 아버지로, 첨의 사인(僉議舍人) 등을 지냄.
1299~135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절^광(浙^廣)
중국 남동부의 해안에 있는 절강성(浙江省)과 남부의 해안에 있는 광동성(廣東省)을 함께 부르는 말. 해안에 연해 있는 지역을 가리킴.
중국 , 지명>기타지명
-
절강성(浙江省)
중국 남동부의 동중국해 연안에 있는 고을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절양류곡(折楊柳曲)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때 정남장군(征南將軍) 환이(桓伊)가 지은 악부(樂府). 버들가지를 꺾으면서 이별하는 아쉬운 정을 노래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절전(絶傳)
고려 후기의 승려. 이색(李穡)의 《목은고(牧隱藁)》에 송서(送序)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절효집(節孝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서적(徐積)의 저서. 효행(孝行)으로 세상에 널리 알려졌던 저자의 사상과 학문이 반영된 저서로 총 30권으로 구성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점필재집(佔畢齋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김종직(金宗直)의 시문집(詩文集).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인하여 대부분의 저서가 불타버린 까닭에 〈조의제문(弔義帝文)〉은 수록되어 있지 않음.
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문헌>서명
-
정^두(井^斗)
이십팔수(二十八宿) 가운데 정성(井星)과 두성(斗星)을 함께 부르는 말. 두성은 북두칠성(北斗七星)이며, 정성은 이십팔수의 스물두 번째 별자리로 주성(主星)은 쌍둥이자리에 있는 별.
자연물>기타자연물
-
정^여(鼎^呂)
중국 하(夏) 나라의 제왕인 우(禹)가 만든 구정(九鼎)과 주(周) 나라 종묘에 있던 큰 종인 대려(大呂)를 함께 부르는 말. 귀중한 보물(寶物)로, 높은 지위(地位)나 명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주ㅣ중국>하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정^요(定^遼)
중국 요녕성(遼寧省) 남동부(南東部) 일대에 걸친 요동(遼東)과, 하북성(河北省) 보정부(保定府)의 정흥(定興)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정^장(程^張)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정호(程顥) 또는 정이(程頤)와 장재(張載)를 함께 부르는 말. 장재는 정호ㆍ정이의 제자로 유학(儒學)의 기초를 세움.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정^주(程^周)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정호(程顥)와 주돈이(周敦頤)를 함께 부르는 말. 또는 정이(程頤)와 주돈이를 함께 부르는 말로도 쓰임. 성리학(性理學)을 발달시킨 대표적인 학자나 성리학 그 자체를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정^주(程^朱)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정호(程顥)와 주희(朱熹)를 함께 부르는 말. 또는 정이(程頤)와 주희를 함께 부르는 말로도 쓰임. 성리학(性理學)을 발달시킨 대표적인 학자나 성리학 그 자체를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정^퇴(靜^退)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인 정암(靜菴) 조광조(趙光祖)와 퇴계(退溪) 이황(李滉)을 함께 부르는 말.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ㅣ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정^효(靖^孝)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능호(陵號)인 정릉(靖陵)과, 제12대 인종(仁宗)의 능호인 효릉(孝陵)을 함께 부르는 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정가종(鄭可宗)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대사헌 정수홍(鄭守弘)의 아버지로, 목은(牧隱) 이색(李穡)에게 수학하였으며, 예조 판서를 지냄. 《목은고(牧隱藁)》에 그에 대한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각사(鼎角寺)
경상도 영천(永川) 모자산(母子山)에 있는 사찰.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혜암(慧庵)이 머물렀던 것으로 전함.
경상도>영천(永川) , 유적>건물>사찰
-
정갑선(鄭甲先)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무신 정내(鄭鼐)의 아버지로, 선략장군(宣略將軍)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무신
-
정갑손(鄭甲孫)
조선 태종(太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중추원사(中樞院使)를 지낸 정흠지(鄭欽之)의 아들. 1417년(태종 1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지형조사(知刑曹事)ㆍ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냄.
?~14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강서원(鼎崗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진주(晉州)에 창건한 서원. 1694년(숙종 2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창건하여 정온(鄭溫)ㆍ강숙경(姜叔卿) 등을 배향함.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됨.
16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정강왕(定康王)
신라 제50대 왕. 재위 886~887. 경문왕(景文王)의 아들로, 형인 헌강왕(憲康王)의 뒤를 이어 즉위함. 재위기간이 짧아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88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정강지변(靖康之變)
중국 송(宋) 나라의 정강(靖康) 연간에 금(金) 나라 군대의 공격을 받아 수도인 개봉(開封)이 함락되어 임안(臨安)으로 도읍을 옮기게 된 사건. 휘종(徽宗)과 흠종(欽宗) 및 수많은 왕족(王族)들이 포로로 끌려감.
1126 중국>송 , 중국 , 사건>전쟁
-
정개청(鄭介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성(固城)으로,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전생서 주부(典牲署主簿)ㆍ곡성 현감(谷城縣監) 등을 지냈으며 예학(禮學)에 뛰어나 많은 제자들을 길러냈으나, 기축옥사(己丑獄事)에 연루되어 귀양가다 죽음. 저서로 《우득록(愚得錄)》이 있음.
1529~15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안ㅣ전라도>나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건(鄭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정인홍(鄭仁弘)의 작은 아버지로, 좌승지(左承旨)에 추봉됨.
1520~156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정건(鄭虔)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문신ㆍ문인. 두보(杜甫)의 벗으로 시(詩)ㆍ서(書)ㆍ화(畫)의 삼예(三藝)에 능하여 정건삼절(鄭虔三絶)로 일컬어짐. 현종이 그를 위해 광문관(廣文館)을 설치하고 박사(博士)로 임명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정건(鄭謇)
조선 전기의 유학. 일찍이 주세붕(周世鵬)과 함께 서산(西山) 진덕수(眞德秀)의 《심경(心經)》을 공부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정경(程瓊)
중국 삼국시대 촉(蜀)~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건위군(犍爲郡) 출신으로 촉한(蜀漢)에서 상서(尙書)를 지내고, 진 나라의 문신인 문립(文立)과 지기(知己)의 교유를 나눔.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경(鄭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정희익(鄭希益)의 아버지로, 숙천 부사(肅川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정경(鄭褧)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아산 현감(牙山縣監)을 지낸 정순인(鄭純仁)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정경세(鄭經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대제학(大提學)을 지냄. 주자학에 본원을 두고 이황(李滉)의 학통을 계승하였으며, 특히 예학에 조예가 깊었음.
1563~16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경조(鄭敬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하동부원군(河東府院君) 정인지(鄭麟趾)의 아들로, 예조 참판(禮曹參判)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55~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정계(鄭綮)
중국 당(唐) 나라 소종(昭宗) 때의 문신ㆍ문인. 헐후체(歇後體)의 해학적인 시로써 조정의 실정(失政)을 풍자하는 데 능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정계서원(程溪書院)
조선 현종(顯宗) 때 황해도 문화(文化)에 창건한 서원. 1670년(현종 11)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유관(柳寬)의 학문과 그의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였으며,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71년(고종 8)에 훼철됨.
1670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유적>건물>서원,향교
-
정계준(鄭繼俊)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동래(東萊).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정윤진(鄭允禛)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유학
-
정계증(鄭繼曾)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정구(鄭球)의 아버지로, 의학 교수(醫學敎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정곡(鄭谷)
고려 말 조선 초의 유학. 박흥생(朴興生)의 《국당유고(菊堂遺稿》에 주리(朱李)와 향내(香奈)를 보내준 것에 사례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정곤(丁坤)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영광(靈光).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극인(丁克仁)과 유학 정극경(丁克敬)의 아버지로, 충무시위사중령부사직(忠武侍衛司中領副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무신
-
정곤수(鄭崐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령을 지내면서 학문 진흥과 사풍(士風) 진작에 힘씀.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에서 큰 역할을 함.
1538~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정공(定公)@춘추전국(등)
중국 춘추전국시대 등(滕) 나라의 제후. 문공(文公)의 아버지. 문공이 아버지 사후에 맹자에게 상장례(喪葬禮)를 자문한 일로 유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정공(定公)@춘추전국(노)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25대 제후. 재위 B.C.510~B.C.495. 애공(哀公)의 아버지. 공자(孔子)를 중용하여 제(齊) 나라 경공(景公)으로부터 빼앗겼던 땅을 반환받음.
?~B.C.49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정공소(程孔紹)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하남(河南).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ㆍ학자인 정광(程廣)의 아버지. 중국 사람 정이(程頤)의 후손으로 고려에 귀화하여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정공윤(鄭公允)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하동(河東). 증손자인 정독만달(鄭禿滿達)이 원(元) 나라 인종(仁宗) 때 환관으로 공을 세워 영양군공(榮陽郡公)에 봉작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유학
-
정과정곡(鄭瓜亭曲)
고려 의종(毅宗) 때의 문인(文人)인 정서(鄭敍)가 동래(東萊)로 귀양 가 있을 때 임금을 생각하며 지은 십구체(十句體) 향가(鄕歌) 형식의 고려가요(高麗歌謠).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동래 , 문헌>작품명
-
정관정요(貞觀政要)
중국 당(唐) 태종(太宗)이 신하들과 정사를 논하면서 주고받은 중요한 문답을 오긍(吳兢)이 정리하여 엮은 책. 10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정광(程廣)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ㆍ학자. 본래 중국 사람으로, 정이(程頤)의 후손. 공민왕(恭愍王) 때 전중판시사(殿中判寺事)를 지냈고, 정몽주(鄭夢周)ㆍ길재(吉再) 등과 교유하며 도학을 연구함. 고려가 망할 것을 예견하고 경기도 광주(廣州)에 낙향하여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ㅣ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광보(鄭光輔)
조선 전기의 유학. 김효원(金孝元)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그와 관련된 내용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정광세(鄭光世)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을 지낸 정난손(鄭蘭孫)의 아들로, 형조 판서(刑曹判書)ㆍ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 등을 지냄.
?~15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광익(鄭光翼)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흥덕 현감(興德縣監)을 지냄. 주세붕(周世鵬)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광정(鄭光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정충려(鄭忠礪)의 아버지로, 능성 현령(綾城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광필(鄭光弼)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이조 판서(吏曹判書) 정난종(鄭蘭宗)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영의정(領議政)으로 조광조(趙光祖) 등을 구하려다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로 좌천되었으며, 후에 다시 영의정에 오름.
1462~153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정교(鄭僑)@조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청주(淸州). 강계 교수(江界敎授)를 지낸 정이청(鄭以淸)의 아버지로, 1496년(연산군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했으나 연산군의 혼정(昏政)으로 낙향하여 은거함.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됨.
1470~153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