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교(鄭僑)@송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사학가(史學家) 정초(鄭樵)의 족질(族侄)로, 참지정사(參知政事)ㆍ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등을 지냄.
1132~120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구(鄭球)@정유의의아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무안 현감(務安縣監) 정유의(鄭有義)의 아들로,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ㆍ사간(司諫)을 지냄.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칭병(稱病)하고 두문불출함.
14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구(鄭球)@정계증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의학 교수(醫學敎授) 정계증(鄭繼曾)의 아들로, 1513년(중종 8)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정구(鄭矩)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감찰대부(監察大夫) 정양생(鄭良生)의 아들로, 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ㆍ의정부 찬성(議政府贊成)을 지냄.
1350~141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구(鄭逑)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임해군 옥사(臨海君獄事) 때 관련 인물의 석방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린 뒤 고향으로 돌아감. 경서(經書)ㆍ의학ㆍ천문ㆍ지리 등에 통달하고 특히 예학(禮學)에 뛰어남.
1543~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국공신(靖國功臣)
조선 중종(中宗) 1년에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중종반정 후 박원종(朴元宗)ㆍ성희안(成希顔)ㆍ유순정(柳順汀) 등이 공을 논하고 여러 번의 수정을 거쳐 총 117명을 책록함.
1506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정규양(鄭葵陽)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오천(烏川). 이현일(李玄逸)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경사(經史)와 정치 등에 두루 통달함. 학행으로 천거되어 현릉 참봉(顯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사퇴하고 후진 양성에 힘씀.
1667~17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
-
정균(鄭均)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봉화(奉化).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인 정운경(鄭云敬)의 아버지로,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무신
-
정극경(丁克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영광(靈光)으로, 불우헌(不憂軒) 정극인(丁克仁)의 동생.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정극인(丁克仁)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광(靈光). 최초의 가사(歌辭) 작품인 〈상춘곡(賞春曲)〉을 지음. 단종(端宗)이 왕위를 빼앗기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후진을 가르침.
1401~148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기가(正氣歌)
중국 남송(南宋) 때의 문신ㆍ시인인 문천상(文天祥)이 지은 시. 시인이 원군(元軍)의 포로가 되어 옥중에 있을 때 지은 것으로, 역대 충열지사(忠烈之士)의 사적을 읊고, 천지간에 충만한 정대(正大)의 기(氣)는 만고불변함을 노래함.
1281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정기손(鄭祺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김안국(金安國)ㆍ서자적(徐自適)ㆍ홍인필(洪仁弼)ㆍ박원량(朴元良)ㆍ강은(姜㶏)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정난공신(定難功臣)
조선 중종(中宗) 2년에 이과(李顆)의 옥사(獄事)를 처리하는 데 공이 있는 사람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이과를 고변한 노영손(盧永孫) 등 21명을 책정하였으나 대간(臺諫)의 계속되는 상계(上啓)로 대부분 삭훈됨.
1507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정난공신(靖難功臣)
조선 단종(端宗) 1년에 세조(世祖)가 단종의 보좌세력을 제거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정인지(鄭麟趾)ㆍ한확(韓確) 등 모두 43명을 녹훈함.
1453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정난무(鄭蘭茂)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음보(蔭補)로 관계(官界)에 진출하여 밀양 부사(密陽府使)를 지냄. 수헌(睡軒) 권오복(權五福)의 고모부.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정난손(鄭蘭孫)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사(鄭賜)의 맏아들이자, 정난종(鄭蘭宗)의 형이며, 정광세(鄭光世)의 아버지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난종(鄭蘭宗)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훈구 세력의 중진으로,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초서(草書)와 예서(隸書)를 잘 쓰고, 특히 조맹부체(趙孟頫體)에 뛰어났음.
1433~14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정내(鄭鼐)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선략장군(宣略將軍) 정갑선(鄭甲先)의 아들이며, 함흥 판관(咸興判官) 정승복(鄭承復)의 아버지. 음보(蔭補)로 군직(軍職)을 제수 받음.
1491~154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무신
-
정노겸(鄭勞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문익공(文翼公) 정광필(鄭光弼)의 아들로, 남부 주부(南部主簿)를 지냄.
1484~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단(井丹)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학자. 환제(桓帝) 때의 주거(周擧)와 함께 오경(五經)에 능통하고 담론(談論)에도 뛰어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정단몽(程端蒙)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청소년을 위한 성리학(性理學)의 기초 학습 교재인 《성리자훈(性理字訓)》을 저술함.
1143~119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정당(鄭澢)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조식(曺植)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정대년(鄭大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 정전(鄭荃)의 아들. 1532년(중종 2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ㆍ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지냄.
1503~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대민(鄭大民)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하동(河東). 정언남(鄭彦男)의 아들이자, 정홍서(鄭弘緖)의 아버지로, 장수 현감(長水縣監) 등을 지냄. 정유재란 때 부모가 모두 살해되자 시묘(侍墓)하다가 왜적에게 죽음.
1551~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대인(鄭大人)
중국 명(明) 효종(孝宗) 때의 문신. 안찰제조 학교부사(按察提調學校副使)를 지냄. 《표해록(漂海錄)》의 저자 최보(崔溥)가 항주(杭州)에서 만난 인물.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덕기(鄭德起)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유학. 참지정사(參知政事) 정성지(鄭性之)의 아들로, 1223년(영종 1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정덕성(丁德盛)
중국 당(唐) 나라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 군국사(軍國事)로 직간(直諫)을 하다가 압해도(押海島)에 유배(流配)되어 우리나라 정씨(丁氏)의 시조가 됨.
중국>당 , 중국ㅣ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정덕옹(鄭德顒)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박여량(朴汝樑)ㆍ박경실(朴景實) 등과 절친하게 지냈으며, 그 내용이 정인홍(鄭仁弘)의 《내암집(來庵集)》〈제박지평여량문(祭朴持平汝樑文)〉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정도전(鄭道傳)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의 문인. 조선 왕조의 개국을 주도하고 사상ㆍ제도 면에서 기틀을 마련하였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에 의해 희생됨.
1342~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독만달(鄭禿滿達)
중국 원(元) 나라 성종(成宗)~문종(文宗) 때의 환관. 고려 후기의 유학인 정인(鄭仁)의 아들로, 충렬왕(忠烈王) 때 원 나라로 가서 휘정사(徽政使)ㆍ연경사(延慶使)를 거쳐 제조장알사사(提調掌謁司事)에 오름.
1290~? 중국>원 , 중국ㅣ경상도>하동 , 인명>관인>환관
-
정동(鄭同)
중국 명(明) 나라의 환관. 원래 황해도 신천(信川)에서 태어났지만 세종(世宗)이 그를 중국에 공입(貢入)하여 명 나라 선종(宣宗)을 모시게 함. 서산(西山)에 있는 홍광사(洪光寺)를 창건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정동이선생학칙(程董二先生學則)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정단몽(程端蒙)과 동수(董銖)가 만든 학칙(學則). 10세 이상의 아동들이 외부의 스승에게 나아가 배울 때 준수해야 할 규범을 담고 있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정두(鄭枓)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진사 정언보(鄭彦輔)의 아들이며, 지헌(芝軒) 정사성(鄭士誠)의 아버지로, 사섬시 첨정(司贍寺僉正) 등을 지냄.
1508~157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정두경(鄭斗卿)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온양(溫陽). 이항복(李恒福)의 문인으로, 홍문관 제학(弘文館提學)을 지내고 대제학(大提學)에 추증됨.
1597~167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정두형(鄭斗亨)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참봉(參奉) 정충원(鄭忠元)의 아들로,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를 지내고, 죽은 뒤 효행으로 정려(旌閭)가 하사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정등만(丁等滿)
고려 후기~조선 전기의 유학. 《쌍매당협장집(雙梅堂篋藏集)》에 〈송백당정공등만여경(送柏堂丁公等滿如京)〉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정렬사(旌烈祠)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나주(羅州)에 세운 사당. 1606년(선조 39) 창건되고 이듬해 사액(賜額)되었으며, 김천일(金千鎰)ㆍ김상건(金象乾)ㆍ양산숙(梁山璹)ㆍ임회(林檜)ㆍ이용제(李容濟) 등을 배향함.
160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유적>건물>사당
-
정렴(鄭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유의(儒醫). 천문ㆍ지리ㆍ의서ㆍ복서(卜筮) 등에 두루 능통했고, 특히 약의 이치와 음률에 밝았음. 포천 현감(抱川縣監)을 지냄.
1505~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뢰(鄭賴)
고려 후기의 문신. 《목은시고(牧隱詩稿)》에 그에 관한 만사(挽詞)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정륜(鄭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영의정(領議政) 정인홍(鄭仁弘)의 아버지로, 영의정(領議政)에 추봉됨.
151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정만석(鄭晩錫)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홍경래(洪景來)의 난 때 관서위무사(關西慰撫使)로 파견되고, 평안 감사(平安監司)가 되어 홍경래 관련 죄인들의 문초를 담당함. 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758~18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만종(鄭萬鍾)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언관(言官)을 지낼 때 행신(幸臣) 김안로(金安老)의 비행을 탄핵함.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지내고, 송순(宋純)ㆍ윤순(尹洵)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정면(鄭綿)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함종 현령(咸從縣令) 정함도(鄭咸道)의 둘째 아들로, 횡성 현감(橫城縣監)을 지냄. 아버지와 삼형제가 동시에 고을 수령이 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문신
-
정목번(鄭穆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정유일(鄭惟一)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몽(正蒙)
중국 북송(北宋)의 문신ㆍ학자인 장재(張載)의 철학서. 유가(儒家)의 학설을 이용하여 불교(佛敎)와 도교(道敎)의 사상을 비판하기 위해 지은 것으로, 그가 정립한 기일원론(氣一元論)의 철학 체계를 담고 있음.
1076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정몽열(丁夢說)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무안(務安). 유학 정윤호(丁潤瑚)의 아들로, 1513년(중종 8)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정몽주(鄭夢周)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일(迎日). 오부학당(五部學堂)ㆍ향교를 세워 교육 진흥을 꾀하고 유학을 진흥하여 성리학의 기초를 닦음. 친원(親元) 정책에 반대하고 끝까지 고려를 지키고자 함.
1337~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묘집(丁卯集)
중국 당(唐) 나라의 문인ㆍ문신인 허혼(許渾)의 시집. 2권. 책명은 허혼이 윤주(潤州)의 정묘교(丁卯橋) 촌사에서 시작(詩作)을 한 데서 붙여진 명칭이며, 총 500편의 시가 실려 있는데, 대부분 만당(晩唐)의 시국을 우려하는 내용임.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정묘호란(丁卯胡亂)
조선 인조(仁祖) 5년에 후금(後金)의 침입으로 일어난 조선과 후금 사이의 전쟁. 인조의 친명배금(親明排金) 정책과 후금으로 달아난 이괄(李适) 잔당들의 부추김으로 인해 발발하여, 두 달여 간의 싸움 끝에 화의(和議)를 맺고 끝남.
1627 한국>조선후기 , 사건>전쟁
-
정문(鄭文)
고려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초계정씨(草溪鄭氏)의 시조인 정배걸(鄭倍傑)의 아들로, 10여 년 동안 형조(刑曹)를 맡아 일을 잘 처리함. 송(宋)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냄.
?~110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문연(鄭文淵)
고려 후기의 문신.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으로, 좌랑(佐郞)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정문익공유고(鄭文翼公遺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정광필(鄭光弼)의 문집. 1책. 목판본. 저자의 후손인 정재륜(鄭載崙)이 유문(遺文)을 모으고 부록(附錄)을 덧붙여 편집한 후 정복선(鄭復先)이 1702년(숙종 28) 합천(陜川)에서 초간함.
17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문헌>서명
-
정문형(鄭文炯)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로, 개국공신 정진(鄭津)의 손자이며 정숙지(鄭叔墀)의 아버지. 1447년(세종 2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오도 관찰사(五道觀察使)ㆍ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등을 지냈으며, 1455년(세조 1)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녹훈됨.
1427~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문휼(鄭文遹)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주희가 그에게 상례(喪禮)를 편찬하게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정미사화(丁未士禍)
조선 명종(明宗) 2년에 을사사화(乙巳士禍)의 여파로 일어난 사화. 문정왕후(文定王后)와 이기(李芑) 등을 비난하는 전라도 양재역(良才驛)의 벽서(壁書)가 발단이 됨.
1547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정미수(鄭眉壽)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문종(文宗)의 외손자로,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 3등으로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에 봉해졌음.
1456~151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미약조(丁未約條)
조선 명종(明宗) 2년에 조선과 일본 사이에 국교를 다시 맺기로 합의한 조약. 세견선(歲遣船)의 척수(隻數) 제한 등 6개 항목에 합의하고, 1544년(중종 39) 사량진왜변(蛇梁鎭倭變) 이후 단절되었던 일본의 내왕 무역을 다시 허용함.
1547 한국>조선전기 , 법제>법률
-
정민시(鄭民始)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왕세손 시절의 정조를 보도(輔導)하여 정조 즉위 후 총애를 받았으나, 순조(純祖) 때 정순왕후(貞純王后)에 의해 삭탈관직되었다가 후에 복관됨.
1745~18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민정(程敏政)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효종 때 예부 우시랑(禮部右侍郞)을 지냄. 육구연(陸九淵)의 학파로, 진덕수(眞德秀)의 《심경(心經)》에 부주(附註)를 냄.
1445~1499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박(鄭樸)
중국 전한(前漢) 성제(成帝) 때의 도사. 대장군(大將軍) 왕봉(王鳳)의 초빙에도 응하지 않은 채 곡구(谷口)에 은거하여 수도(修道)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정배걸(鄭倍傑)
고려 현종(顯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학자. 초계정씨(草溪鄭氏)의 시조. 곽원(郭元)의 문인으로,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내고, 사학십이도(私學十二徒) 중 하나인 홍문공도(弘文公徒)를 이끌며 후학 양성에 힘씀.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백붕(鄭百朋)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상의원 첨정(尙衣院僉正) 정탁(鄭鐸)의 아들이며, 우의정 정순붕(鄭順朋)의 형으로, 형조 판서(刑曹判書)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백영(鄭伯英)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광종(光宗) 때의 문신ㆍ학자. 형인 정백웅(鄭伯熊)과 이름을 나란히 하였으며, 수주 판관(秀州判官)을 지냈으나 그만두고 종신토록 벼슬하지 않음. 저서에 《귀우옹집(歸愚翁集)》이 있음.
1130~119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백웅(鄭伯熊)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의 사상을 계승한 영가학파(永嘉學派)를 부흥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저서에 《몽재필담(蒙齋筆談)》ㆍ《부문서설(敷文書說)》이 있음.
1127~118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번(鄭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23(중종 18) 별과(別科)에 합격하였으나 가문이 한미하다 하여 제명됨. 이문학관(吏文學官)에 보직(補職)하면서 이어(吏語)와 중국 관제(官制)에 대한 주석서 《이문제서집람(吏文諸書輯覽)》의 편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정범조(丁範祖)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나주(羅州)로, 대사헌ㆍ형조 판서 등을 지냄. 시율과 문장에 뛰어나 사림의 모범으로 명성을 얻고, 문체반정(文體反正)에 주력하던 정조(正祖)에 의해 당대 문학의 1인자로 평가되어 오랫동안 문사의 임무를 맡음.
1723~1801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정법안장(正法眼藏)
중국 송(宋) 나라의 선승(禪僧)인 종고(宗杲)의 법어집(法語集). 3권. 정법안장은 진리를 볼 수 있는 지혜의 눈으로 깨달은 비밀의 법이라는 뜻으로, 이심전심으로 전해지는 석가모니의 깨달음을 이름.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정보(程保)
조선 성종(成宗) 때 광주목(光州牧)에 소속된 아전. 제주(濟州)에서 뭍으로 돌아오는 추쇄경차관(推刷敬差官) 최부(崔溥)를 수행하던 중 함께 중국에 표류되었다가 돌아옴.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아전
-
정보(鄭保)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정몽주(鄭夢周)의 손자로, 사육신(死六臣)의 무죄를 주장하다가 연일(延日)로 유배된 뒤 단성(丹城)으로 이배(移配)되어 죽임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정보천(鄭普天)
고려시대의 문신. 온양정씨(溫陽鄭氏)의 시조(始祖).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에 오르고, 호부 상서(戶部尙書)를 지냄.
한국>고려시대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정복겸(鄭福謙)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영의정(領議政) 정광필(鄭光弼)의 아들로, 강화 부사(江華府使)를 지냄.
1501~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복린(鄭福麟)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 유학 정창(鄭敞)의 아버지로, 충좌위 부사맹(忠佐衛副司猛)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
-
정복심(程復心)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사서집주(四書集註)》에 황씨(黃氏)ㆍ보씨(輔氏)의 설(說)을 절충(折衷)하고 장(章)을 나누어 도해(圖解)한 《사서장도(四書章圖)》을 저술함.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정복주(鄭復周)
고려 말~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의 조부. 연안 도호부사(廷安都護府使)ㆍ전농시 판사(典農寺判事)를 지내고, 효행으로 정려(旌閭)를 하사받음.
136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정복현(鄭復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우후(虞侯) 정신(鄭愼)의 아들. 정희보(鄭希輔)ㆍ조식(曺植)의 문인으로 노진(盧禛)ㆍ양희(梁喜) 등과 교유함.
1521~159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정봉시(鄭鳳時)
조선 고종(高宗)~근대(近代)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경학원 대제학(經學院大提學) 등을 지냈고, 문장을 잘 하여 《간재집(艮齋集)》ㆍ《동원집(東園集)》 등의 서문을 지음.
1855~? 한국>근대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부(鄭符)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고려 말에 교주도 안렴사(交州道按廉使)를 지내고, 1408년(태종 8) 고부청시사(告訃請諡使)의 부사(副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한성부 윤(漢城府尹) 등을 지냄.
?~141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북창방(鄭北窓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의원인 정렴(鄭𥖝)이 지은 의서(醫書). 저자가 평상시 경험한 처방을 모아 편찬하였다고 하며, 양예수(楊禮壽)의 《의림촬요(醫林撮要)》에도 인용되어 있으나, 유실되어 현존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정분(鄭苯)
조선 태종(太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토목에 조예가 깊어 궁궐 조성과 축성, 현릉(顯陵) 조성 등을 감독함. 우의정에 재직 중 계유정난(癸酉靖難)이 일어나 낙안(樂安)에 안치되어 관노(官奴)가 되었다가 사사(賜死)됨.
?~14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정붕(鄭鵬)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정철견(鄭鐵堅)의 아들이며, 박영(朴英)의 스승. 김굉필(金宏弼)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고, 성희안(成希顔)과 친교를 맺음. 청송 부사(靑松府使) 등을 지냄.
1467~15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정비안씨(定妃安氏)
고려 제31대 공민왕(恭愍王)의 비(妃). 본관은 죽산(竹山). 안극인(安克仁)의 딸로, 1366년(공민왕 15) 왕비로 책봉되고, 1390년(공양왕 2)에 왕대비(王大妃)로 봉해짐. 조선 태조(太祖)의 즉위 때 대비 자격으로 옥새를 넘겨줌.
?~142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정사(淨師)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원천석(元天錫)이 써준 〈서원신권(書元信卷)〉이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정사공신(定社功臣)
조선 태조(太祖) 7년에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이방석(李芳碩)과 정도전(鄭道傳) 등을 제거하는 데 앞장선 이방원(李芳遠) 등 29명에게 내렸으며, 제2차 왕자의 난 이후 18명으로 축소됨.
1398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정사공신(靖社功臣)
조선 인조(仁祖) 1년에 광해군(光海君)을 폐출하고 인조를 옹립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김류(金瑬)ㆍ이귀(李貴) 등 총 53명에게 내렸으나, 논공행상(論功行賞)이 불공평하여 이괄(李适)의 난(亂)을 초래함.
1623 한국>조선후기 , 법제>제도
-
정사도(鄭思道)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공민왕(恭愍王) 때 모친상에 3년간 시묘(侍墓)한 효성으로 일성군(日城君)에 봉해짐. 최영(崔瑩)을 제거하려는 신돈(辛旽)을 반대하여 파직되었다가 복직된 뒤 오천군(烏川君)에 개봉(改封)됨.
1318~137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사룡(鄭士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명종 때 이량(李樑)의 일당으로 지목되어 삭직(削職)당함. 시문(詩文)ㆍ음률(音律)에 뛰어나고, 당시 문단에서 신광한(申光漢)과 쌍벽을 이룸.
149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정사성(鄭士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집경전 참봉(集慶殿參奉)ㆍ내자시 주부(內資寺主簿)ㆍ양구 현감(楊口縣監) 등을 지낸 뒤 낙향하여 학문 연구에 힘씀.
1545~16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사신(鄭士愼)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 정희익(鄭希益)의 아들이며, 찰방(察訪) 김득령(金得齡)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정사신(鄭思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인수(鄭麟壽)의 아들이며, 정홍익(鄭弘翼)의 아버지로, 사섬시 정(司贍寺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사중(鄭思中)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아버지이자, 백곡(栢谷) 정곤수(鄭崐壽)의 생부(生父). 충좌위 부사맹(忠佐衛副司猛)을 지내고, 이조 판서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정사현(鄭師賢)
조선 중종(中宗) 때의 은사(隱士). 본관은 진주(晉州)로, 조식(曺植)의 자형(姊兄). 효행이 뛰어나 나라에서 관직을 주었으나 사양하고 학문에 정진하여 고령 5현(高靈五賢)의 한 사람으로 불림.
1508~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은자
-
정산서원(鼎山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경상도 예천(醴泉)에 건립된 서원. 1612년(광해군 4)에 창건되고 1697년(숙종 23)에 사액되었으며, 이황(李滉)ㆍ조목(趙穆)을 배향함.
161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정상조(鄭尙祖)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하동(河東). 하동부원군(河東府院君) 정인지(鄭麟趾)의 다섯째 아들이며,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정세호(鄭世虎)의 아버지로, 부호군(副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무신
-
정서(鄭敍)
고려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정항(鄭沆)의 아들이며, 인종의 비(妃)인 공예태후(恭睿太后)의 동생의 남편. 의종(毅宗) 때 참소를 받아 동래(東萊)ㆍ거제(巨濟)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정서분류(程書分類)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시열(宋時烈)의 저서. 어지러이 뒤섞여 있는 《이정전서(二程全書)》의 편차(編次)를 각각 유형별로 구분하여 정리한 책으로, 1678년(숙종 4) 유배지인 장기(長鬐)에서 저술함.
167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장기 , 문헌>서명
-
정석견(鄭錫堅)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올랐으나 김종직(金宗直)의 문집을 간행한 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파직됨. 성종 때 천거된 유도인(有道人) 13인 중의 한 사람.
?~150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개령 , 인명>관인>문신
-
정석형(丁碩亨)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성균관(成均館) 유생으로 강응정(姜應貞)ㆍ김용석(金用石)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정선(丁璿)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광(靈光). 정세명(丁世明)의 아들로 교감(校勘)을 지냄.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되고, 이후 향리로 퇴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정선(鄭歚)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광산(光山). 그림에 뛰어나 현실감 넘치는 독창적인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를 완성하고, 금강전도(金剛全圖)ㆍ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 등 많은 명작을 남김.
1676~17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정성근(鄭誠謹)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참수(斬首) 당함. 중종(中宗) 때 이조 참판(吏曹參判)으로 추증됨.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