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성량(鄭性良)
고려 후기의 유학. 원(元) 나라 조정(朝廷)에서 제조장알사사(提調掌謁司事)를 지낸 손자 정독만달(鄭禿滿達)의 공(功)으로 자선대부 중서성좌승 상호군(資善大夫中書省左丞上護軍)에 추증되고 영양군공(榮陽郡公)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유학
-
정성지(鄭性之)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문신.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냄.
1172~125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세린(鄭世麟)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영남(嶺南)에서 거주했고, 시문에 뛰어남.
?~1486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정세명(丁世明)@정선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영광(靈光). 정석필(丁碩弼)의 아들이며, 정선(丁璿)의 아버지로, 충순위(忠順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무신
-
정세명(丁世明)@정환의아버지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딸이 연산군의 세자빈(世子嬪)에 간택되고, 사산감역관(四山監役官)ㆍ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 등을 지냄.
1468~152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정세운(鄭世雲)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광주(光州). 공민왕을 숙위하고 기철(奇轍)을 처단하는 데 앞장서며 홍건적(紅巾賊)을 물리치는 등 큰 공을 세워 수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나, 김용(金鏞)의 음모로 인해 안우(安祐) 등에게 살해됨.
?~136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정세웅(鄭世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13(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지냄. 이천(利川)과 여주(驪州)에 수령(守令)로 있을 때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한 시들이 《모재집(慕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세유(鄭世猷)
고려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으로, 평장사(平章事) 정숙첨(鄭叔瞻)의 아버지. 1177년(명종 7) 망이(亡伊)ㆍ망소이(亡所伊)의 난을 평정하고, 서북면 병마사(西北面兵馬使)ㆍ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지냄. 1194년(명종 24)에 반란을 계획하다 발각되어 귀양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정세창(鄭世昌)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진양(晉陽). 1501년(연산군 7) 식년시(式年試)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장연 현감(長淵縣監)ㆍ광흥창 수(廣興倉守) 등을 지냄.
1474~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정세현(鄭世賢)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석성 현감(石城縣監)을 지낸 정수덕(鄭守德)의 아들.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세호(鄭世虎)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정상조(鄭尙祖)의 아들이며, 선조(宣祖)의 외할아버지. 국고물(國庫物)의 도절범으로부터 뇌물을 받고 죄과를 눈감아주는 등 비루한 행동이 많아 양사로부터 탄핵을 받았으나,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오름.
1486~15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수(鄭琇)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동래(東萊). 정유인(鄭有仁)의 아들이며, 목사(牧使) 정희홍(鄭希弘)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유학
-
정수강(丁壽崗)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가 중종반정 때 다시 등용되어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에 책록됨. 동지중추부사 등을 지내고, 저서로 《월헌집(月軒集)》이 있음.
1454~152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수강(鄭守綱)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연풍 현감(延豐縣監) 정이손(鄭二孫)의 아들이며, 온계군(溫溪君) 정유(鄭裕)의 아버지로, 통진 현감(通津縣監)을 지내고,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정수곤(丁壽崑)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소격서 영(昭格署令)을 지낸 정자급(丁子伋)의 아들로, 월헌(月軒) 정수강(丁壽崗)의 형. 1472년(성종 3)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공조 좌랑(工曹佐郞)ㆍ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 등을 지냄.
1452~148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정수덕(鄭守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한성 판윤(漢城判尹) 정지례(鄭之禮)의 아들이며,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 정세현(鄭世賢)의 아버지로, 석성 현감(石城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정수민(鄭秀民)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학자. 본관은 하동(河東). 정여창(鄭汝昌)의 증손이며,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일실된 정여창의 유고를 모아 《문헌공실기(文獻公實記)》를 간행하고, 저서에 《춘수당집(春睡堂集》등이 있음.
1577~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학자
-
정수붕(鄭壽朋)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정탁(鄭鐸)의 아들이며, 정초(鄭礎)의 아버지로, 1495년(연산군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공릉 참봉(恭陵參奉)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정수집(静修集)
중국 원(元) 나라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인(劉因)의 시문집. 저자가 직접 교정(校訂)한 시집과 죽은 후 문인과 친구들이 수집한 유문(遺文)을 모아 편찬하고, 순제(順帝) 때 관청에서 간행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정수충(鄭守忠)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경사(經史)에 박통하여 환관(宦官)들을 교육하기 위해 선발됨. 세조의 등극을 도와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고, 제학(提學)으로서 하원군(河原君)에 봉해진 뒤 좌찬성(左贊成)에 이름.
1401~146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수홍(鄭守弘)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가종(鄭可宗)의 아들로, 문장과 덕행이 뛰어나 권근(權近)ㆍ하륜(河崙)ㆍ성석린(成石璘) 등과 교유하였으며,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숙(鄭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청계군(淸溪君) 정윤겸(鄭允謙)의 아들이며, 팔계군(八溪君) 정종영(鄭宗榮)의 아버지. 당진 현감(唐津縣監)을 지내고,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정숙(鄭肅)
고려 후기의 문신. 해주정씨(海州鄭氏)의 시조로, 신종(神宗)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문하시중 겸 평장사(門下侍中兼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정숙옹주(貞淑翁主)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셋째 서녀. 인빈김씨(仁嬪金氏) 소생으로, 동양위(東陽尉) 신익성(申翊聖)에게 출가함.
1587~162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정숙옹주(靜淑翁主)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열한 번째 서녀. 숙의홍씨(淑儀洪氏) 소생으로, 영평위(鈴平尉) 윤섭(尹爕)과 혼인함.
14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정숙왕후(貞淑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증조부인 익조(翼祖)의 비(妃). 본관은 등주(登州). 고려 때 호장(戶長)을 지낸 최기열(崔基烈)의 딸로, 태조가 정비(貞妃)로 추존하고 태종(太宗)이 정숙(貞淑)의 시호를 더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안변 , 인명>왕실>왕비
-
정숙지(鄭叔墀)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를 지낸 정문형(鄭文炯)의 아들로, 전라 감사(全羅監司)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정숙첨(鄭叔瞻)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형부 상서를 지낸 정세유(鄭世猷)의 아들이며, 최우(崔瑀)의 장인. 아버지의 반역 모의에 연좌되어 유배되었다가 풀려남. 거란(契丹)의 침입 때 중군원수(中軍元帥)가 되었으며, 평장사(平章事)에 오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정순(程洵)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저서에는 《존덕성재집(尊德性齋集)》이 있음. 주희(朱熹)의 진외가(眞外家) 육촌동생.
1135~119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정순(鄭洵)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로, 김제 군수(金堤郡守)를 지낸 정자숙(鄭自淑)의 아들. 광주 목사(光州牧使)ㆍ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를 지냄.
1456~152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정순공주(貞順公主)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맏딸. 원경왕후(元敬王后)의 소생으로, 청평부원군(淸平府院君) 이백강(李伯剛)에게 출가하였으며, 이후 세조(世祖) 때까지 두터운 은총을 받음.
1385~146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정순붕(鄭順朋)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을사사화 때 소윤(小尹)으로서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데 적극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고 우의정까지 올랐으나, 선조(宣祖) 때 관작이 모두 추탈(追奪)됨.
1484~154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순옹주(靜順翁主)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여섯째 서녀(庶女). 숙의홍씨(淑儀洪氏)의 소생으로, 봉성위(奉城尉) 정원준(鄭元俊)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정순왕후(定順王后)
조선 제6대 단종(端宗)의 비(妃). 본관은 여산(礪山).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 송현수(宋玹壽)의 딸. 세조(世祖)의 찬역(簒逆)으로 인해 부인(夫人)으로 강봉(降封)되었다가 숙종(肅宗) 때 다시 왕후로 추복(追復)됨.
1440~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정순우(鄭純祐)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강서 현령(江西縣令)을 지낸 정한룡(鄭漢龍)의 아들. 1546년(명종 1)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천안 군수(天安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순인(鄭純仁)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청도 군수(淸道郡守) 정찬우(鄭纘禹)의 아들이며, 진사(進士) 정경(鄭褧)의 아버지로, 아산 현감(牙山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정순황후(貞順皇后)
중국 당(唐) 현종(玄宗)의 왕비. 현종(玄宗)의 제18왕자 수왕(壽王) 이모(李瑁)의 어머니.
?~73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정숭(鄭崇)
중국 전한(前漢) 애제(哀帝) 때의 문신. 상서 복야(尙書僕射)로 발탁된 뒤 가죽신발을 신고 소리를 내면서 왕 앞에 나와 직간(直諫)을 자주 하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숭조(鄭崇祖)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음보(蔭補)로 벼슬에 올라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하남군(河南君)에 봉해졌으며,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를 거쳐 하남부원군(河南府院君)에 진봉(進封)됨. 경사(經史)에 밝았음.
1442~150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승복(鄭承復)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정내(鄭鼐)의 아들로, 중종 때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宣傳官)에 뽑혔으며, 을묘왜변(乙卯倭變) 때 전공(戰功)을 세워 함흥 판관(咸興判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
-
정승원(鄭承源)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판사복시사(判司僕寺事)를 지낸 정해(鄭諧)의 아버지로, 예문관 응교(藝文館應敎)ㆍ지제고(知制誥)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정승조(鄭承祖)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1494년(성종 25)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감찰(監察)을 지냈으며,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장류(杖流)되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정시자전(丁侍者傳)
고려 후기의 승려 식영(息影)이 지은 대화체로 된 가전체 소설(假傳體小說). 지팡이를 의인화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을 깨닫고 도를 지킬 것을 경계한 작품으로, 고려 말 불교의 전횡과 그 사회적 혼란을 그려냄.
한국>고려후기 , 문헌>작품명
-
정식(鄭軾)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정자신(鄭自新)의 아들이며, 이극근(李克勤)의 문인. 세조 초에 좌익 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조선 초기의 군사제도와 군적정리에 공을 세움.
1407~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정신(程信)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정민정(程敏政)의 아버지로, 몽고족 와랄부(瓦剌部)의 침입을 막아내고 남만(南蠻)을 정벌하는 데 공을 세움. 남경 병부상서(南京兵部尙書) 등을 지냄.
1417~147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신궁주(貞信宮主)
고려 제34대 공양왕(恭讓王)의 둘째 딸. 순비노씨(順妃盧氏)의 소생으로, 단양군(丹陽君) 우성범(禹成範)과 혼인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공주
-
정신보(鄭臣保)
고려 후기의 유학. 본래 중국 절강(浙江) 사람으로, 송(宋) 나라 때 상서형부 원외랑(尙書刑部員外郞)에 올랐다가 나라가 망하자 고려로 건너와 충청도 서산(瑞山)에 정착하여 서산정씨(瑞山鄭氏)의 시조가 됨. 송곡서원(松谷書院)에 배향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문사>유학
-
정신옹주(貞信翁主)
조선 태종(太宗)의 두 번째 서녀(庶女). 신빈신씨(信嬪辛氏) 소생으로, 윤향(尹向)의 아들 윤계동(尹季童)과 혼인함.
?~150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정신옹주(貞愼翁主)
조선 선조(宣祖)의 첫 번째 서녀(庶女). 인빈김씨(仁嬪金氏) 소생으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서성(徐渻)의 아들 서경주(徐景霌)와 혼인함.
157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정신옹주(靜愼翁主)
조선 중종(中宗)의 여섯 번째 서녀(庶女). 창빈안씨(昌嬪安氏) 소생으로, 한자(韓慈)의 아들 한경우(韓景祐)와 혼인함.
152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정신중(鄭臣重)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정이오(鄭以吾)의 아버지로, 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정안(鄭晏)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최우(崔瑀)와 처남ㆍ매부 사이. 최항(崔沆)을 비난한 일로 백령도(白翎島)에 귀양 갔다가 살해됨. 진각국사(眞覺國師) 혜심(惠諶)의 행록(行錄)을 지음.
?~125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정안도(鄭安道)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유학 정의(鄭義)의 아들로, 판현사(判縣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정안왕후(定安王后)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비. 판예빈시사(判禮賓寺事) 김천서(金天瑞)의 딸로 정종이 즉위하면서 덕비(德妃)에 진봉(進封)되었고, 정종(定宗)이 태종(太宗)에게 전위하고 상왕(上王)이 되자 순덕왕대비(順德王大妃)의 존호를 가상(加上)받았음.
1355~141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정안지(鄭安止)
조선 정종(定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정의(鄭義)의 아들이며, 판현사(判縣事) 정안도(鄭安道)의 동생. 한성 소윤(漢城少尹) 등을 지냈으나, 1421년(세종 3) 임군례(任君禮)의 대역사건에 연루되어 참형당함.
?~142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정암수(丁巖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최산두(崔山斗)의 문인으로, 정철(鄭澈)과도 교분을 쌓음. 1589년(선조 22)에 이산해(李山海)와 유성룡(柳成龍) 등이 정여립(鄭汝立)에 동조하였다고 고발하였으나, 무고(無告)로 몰려 추국(推鞫)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동복 , 인명>문사>유학
-
정암존고(整菴存稿)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정암(整菴) 나흠순(羅欽順)의 문집. 20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정암집(貞菴集)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민우수(閔遇洙)의 시문집. 16권 8책. 활자본. 손자 민이현(閔彝顯)ㆍ민종현(閔鍾顯)에 의해 수집되었으며, 민치복(閔致福)ㆍ오희상(吳熙常)의 교정과 편집으로 1799년(정조 23)경 간행된 것으로 추정됨.
179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정암집(靜庵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조광조(趙光祖)의 시문집. 5책. 목판본. 1681년(숙종 7) 유문사적(遺文事蹟)을 토대로 서문숙(徐文淑)ㆍ박세채(朴世采) 등이 남원(南原)에서 간행함. 호본(湖本)과 영본(嶺本)이 전해지다가 양본 합본으로 중간됨.
168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문헌>서명
-
정약용(丁若鏞)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형원(柳馨遠)ㆍ이익(李瀷)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여 조선 후기 실학(實學)을 집대성함. 주자(朱子) 성리학(性理學)의 공리공담을 배격하고 봉건제도의 폐해를 개혁하려는 진보적인 사회개혁안을 제시함.
1762~18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약용(程若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저서로 《성리자훈강의(性理字訓講義)》ㆍ《태극홍범도설(太極洪範圖說)》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정약전(丁若銓)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나주(羅州). 진주 목사(晉州牧使) 정재원(丁載遠)의 아들이며 정약용(丁若鏞)의 형으로, 신유사옥(辛酉邪獄) 때 흑산도(黑山島)로 유배되어 《자산어보(玆山魚譜)》를 지음.
1758~181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양(鄭瀁)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연일(延日)로, 정종명(鄭宗溟)의 아들. 간성 군수(杆城郡守) 등을 지내고, 홍석(洪錫) 등과 교유하며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불림. 저서로 《어록해(語錄解)》ㆍ《포옹집(抱翁集)》 등이 있음.
1600~16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정양생(鄭良生)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안축(安軸)의 사위로, 청주(淸州)에서 《관동와주(關東瓦注)》을 간행함. 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39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억(鄭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찰방(察訪)을 지낸 정윤석(鄭崙石)의 아들로, 수운판관(水運判官) 등을 지냄.
1487~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언각(鄭彦慤)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정희검(鄭希儉)의 아들이며 정척(鄭惕)의 아버지. 정미사화(丁未士禍)의 발단이 된 전라도 양재역(良才驛) 벽서(壁書) 사건의 고변자로서 후에 윤원형(尹元衡)의 정권 장악에 기여함.
1498~155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정엄(鄭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정만종(鄭萬鍾)의 아들. 1558년(명종 1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여산 군수(礪山郡守)ㆍ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지냈으며, 《명종실록(明宗實錄)》편찬에 참여함.
1530~158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정여관(鄭汝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대제학(大提學) 정경세(鄭經世)의 아버지로, 의정부좌찬성 겸 판의금부사(議政府左贊成兼判義禁府事)에 추증됨.
1531~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정여립(鄭汝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동래(東萊). 1570년(선조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지냄. 1589년(선조 22)에 재령 군수(載寧郡守) 박충간(朴忠侃)의 밀고로 난을 일으킬 계획이 발각되자 자결함.
1546~15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정여창(鄭汝昌)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종성(鍾城)으로 유배가서 죽음. 성리학의 대가로 경사(經史)에 통달함.
1450~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여해(鄭汝諧)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효렴(孝廉)으로 천거되어 삭주 교수(朔州敎授)ㆍ지평(持平)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정역(鄭易)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장인. 이방원(李芳遠)과 함께 문과에 급제하여 친밀하고, 호조 판서(戶曹判書)ㆍ대제학(大提學)ㆍ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142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정역동(丁易東)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문신ㆍ학자. 송 나라 때 한림원 편수(翰林院編修)를 지냈으나 원 나라 때는 벼슬을 하지 않고 물러나 생도(生徒)들을 가르침. 저서에 《역상의(易象義)》등이 있음.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연(鄭淵)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정홍(鄭洪)의 아들이며,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장인으로, 음보(蔭補)로 벼슬에 오름. 장령(掌令)이 되었을 때 태종이 철원에 가려는 것을 간하다가 진산(珍山)에 유배됨.
1389~14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정연경(鄭延慶)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정희량(鄭希良)의 아버지. 전라도 도사(全羅道都事)ㆍ철원 부사(鐵原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정염(丁焰)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으로, 정황(丁熿)의 문인. 1560년(명종 15)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광주 목사(光州牧使) 등을 지내고, 정여립(鄭汝立)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현계서원(玄谿書院)에 배향됨.
1524~160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엽(鄭曄)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성혼(成渾)ㆍ이이(李珥)의 문인. 황주 판관(黃州判官)으로서 왜군을 격퇴한 공으로 중화 부사(中和府使)가 됨. 대사성(大司成)으로서 타직(他職)을 겸하는 예가 정엽으로부터 비롯됨.
1563~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정영(程嬰)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의인(義人). 조삭(趙朔)의 친구로, 진 나라 대부(大夫) 도안가(屠岸賈)가 조삭의 일족(一族)을 살해하자 공손저구(公孫杵臼)와 함께 조삭의 고아(孤兒)를 조씨의 후계자로 세울 일을 도모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정영위(丁令威)
중국 한(漢) 나라 때의 도사(道士). 요동(遼東) 사람으로 영허산(靈虛山)에서 도(道)를 닦아 신선(神仙)이 되고 천년 뒤 학(鶴)이 되어 돌아와 화표주(華表柱)에 앉았다고 함.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정예(鄭藝)
고려 전기의 문신. 벽상삼한공신 광록대부 문하시중평장사(壁上三韓功臣光祿大夫門下侍中平章事)에 봉해진 고려의 개국공신으로, 진주정씨(晉州鄭氏) 충장공파(忠莊公派)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오(鄭䫨)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원(元) 나라에서 왕을 수종한 공으로 1등 공신이 되었으며, 첨의평리(僉議評理)에 올라 서원군(西原君)에 봉해졌으며,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록됨.
?~1359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오헐후체(鄭五歇後體)
중국 당(唐) 나라 소종(昭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정계(鄭綮)가 쓴 시체(詩體). 헐후(歇後)는 뒤에서 하고자 하는 말을 앞의 은유어로 대신하고 말하지 않는 문체로, 정계가 시에 능하여 헐후체를 사용하여 시사를 풍자한 데서 비롯됨.
중국>당 , 중국 , 사상>기법>방법
-
정옥형(丁玉亨)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병조 판서 등을 지내고, 전장(典章)에 밝아 《대전후속록(大典後續錄)》편찬에 참여함.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참여하여 금천군(錦川君)에 봉해짐.
1486~154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정온(鄭溫)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초계(草溪)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1434~150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무신
-
정온(鄭蘊)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이 부당하다고 주장하다가 유배됨. 병자호란 때 김상헌(金尙憲)과 함께 척화(斥和)를 주장하다가 사직한 후 덕유산(德裕山)에 들어가 은거함.
1569~16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거창ㅣ경상도>안음 , 인명>관인>문신
-
정옹(鄭雍)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지평(持平) 정종주(鄭宗周)의 아버지. 1417년(태종 1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집현전 응교(集賢殿應敎)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완(鄭浣)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여 예조(禮曹)ㆍ이조(吏曹)의 정랑(正郞)을 지내다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현풍(玄風)에 부처됨.
1473~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정우(鄭㝢)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관직은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이르렀으며, 정몽주(鄭夢周)와 교유하였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정우주(鄭佑周)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초계(草溪). 광주 판관(光州判官) 정회아(鄭懷雅)의 둘째 아들이며, 정필주(鄭弼周)의 동생.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유학
-
정우집(定宇集)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인 진력(陳櫟)의 시문집. 문집 15권, 시집 1권, 별집 1권으로 구성되었으며, 후손 손가기(孫嘉基)에 의해 간행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정운경(鄭云敬)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로, 정도전(鄭道傳)의 아버지. 복주목(福州牧)의 판관(判官)일 때 송사(訟事)를 잘 처리함. 검교밀직제학(檢校密直提學)에 제수되었으나 병으로 사퇴하고 영주(榮州)에 돌아와 죽음.
1305~136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정운관(鄭云瓘)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영일(迎日). 정몽주(鄭夢周)의 아버지.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 일성부원군(日城府院君)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유학
-
정원(鄭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김안로(金安老)의 배척을 받아 외직으로 전전하다가 형조 정랑(刑曹正郞)ㆍ사간(司諫)을 역임하였고, 명종 옹립의 공으로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사사(賜死)됨.
1495~154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원석(鄭元碩)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로, 삼군도진무사(三軍都鎭撫使) 정효전(鄭孝全)의 아들. 감찰(監察) 등을 지냈으나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연루되어 죽음.
?~14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정원준(鄭元俊)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부마. 본관은 봉화(奉化). 성종의 여섯 번째 딸인 정순옹주(靜順翁主)와 혼인함.
?~150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왕실>인척
-
정위(丁謂)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진종 때 총애를 받아 승상(丞相) 구준(寇準)을 배척하였으나, 인종 때 애주(崖州)로 쫓겨나 죽음. 노다손(盧多遜)과 함께 송 나라의 간신(奸臣)으로 꼽힘.
966~103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유(鄭侑)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오천군(烏川君) 정사도(鄭思道)의 아버지로, 종부령(宗府令)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정유(鄭維)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함종 현령(咸從縣令) 정함도(鄭咸道)의 맏아들. 고산 현감(高山縣監) 등을 지내고, 아버지와 삼형제가 모두 동시에 고을 수령이 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정유(鄭裕)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춘추관 기사관(春秋館記事官)으로서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삼사(三司)를 두루 거쳐 오랫동안 경연(經筵)에서 강론함.
1503~156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정유길(鄭惟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영의정(領議政) 정광필(鄭光弼)의 손자. 우의정(右議政)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내고, 시문(詩文)과 서예 등에 뛰어나 임당체(林塘體)라는 평을 받음.
1515~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