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유명(鄭惟明)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초계(草溪)로, 정온(鄭蘊)의 아버지. 갈천(葛川) 임훈(林薰)의 문인으로 1573년(선조 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임진왜란 때 의병장 김면(金沔)을 도와 공을 세움.
1539~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음 , 인명>문사>유학
-
정유삼흉(丁酉三凶)
조선 중종(中宗) 32년 정유년(1537)에 사사(賜死)된 김안로(金安老)ㆍ허항(許沆)ㆍ채무택(蔡無擇) 세 사람을 가리키는 말. 이들은 권력을 전횡하여 여러 번 옥사를 일으켰으며, 문정왕후(文定王后)의 폐위를 꾀하다가 사사됨.
1537 한국>조선전기 , 사상>술어>관용어
-
정유선(鄭惟善)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도정(都正)을 지낸 정세현(鄭世賢)의 아들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ㆍ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유성(鄭惟誠)@1539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초계(草溪). 우참찬(右參贊) 정엽(鄭曄)의 아버지로, 1573년(선조 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의정부 영의정(議政府領議政)에 추증됨.
1539~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정유성(鄭惟誠)@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1577년(선조 10) 최인기(崔仁起)ㆍ김안경(金安慶)ㆍ김안복(金安福)ㆍ김효원(金孝元) 등과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정유의(鄭有義)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청주 목사(淸州牧使) 정결(鄭潔)의 아들이며 종부시 첨정(宗簿寺僉正) 정구(鄭球)의 아버지로, 무안 현감(務安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유인(鄭惟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남부 주부(南部主簿)를 지낸 정노겸(鄭勞謙)의 아들이자 우의정(右議政)을 지낸 정지연(鄭芝衍)의 아버지로, 봉상시 정(奉常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유일(鄭惟一)@1525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충의위 어모장군(忠義衛禦侮將軍) 정황(鄭璜)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1525~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정유일(鄭惟一)@1533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한 뒤 대사간(大事諫)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시부(詩賦)에 뛰어났으며, 성리학에 있어서는 퇴계설(退溪說)을 발전시킴.
1533~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정유재란(丁酉再亂)
조선 선조(宣祖) 30년에 왜군이 임진왜란에 이어 우리나라를 재침략하여 일어난 전란. 1598년(선조 31) 이순신(李舜臣)이 노량해전(露梁海戰)에서 왜군을 격파시킴으로써 7년간 지속된 왜란이 종식됨.
1597 한국>조선후기 , 사건>전쟁
-
정유침(鄭惟沈)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문신인 정자(鄭滋)ㆍ정철(鄭澈)과 인종(仁宗)의 후궁인 귀인정씨(貴人鄭氏)의 아버지로, 돈녕부 판관(敦寧府判官)을 지냄.
1493~15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육을(鄭六乙)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정여창(鄭汝昌)의 아버지로, 의주 통판(義州通判)ㆍ함길도 병마우후(咸吉道兵馬虞侯)를 지냈고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피살당함.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에 추증되었음.
?~14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무신
-
정윤겸(鄭允謙)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군기시 첨정(軍器寺僉正)에 발탁됨. 전라도 수군절도사(全羅道水軍節度使)로 명(明) 나라를 약탈하고 돌아가는 왜구를 격멸함.
1463~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정윤규(鄭允珪)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사복시 좌윤(司僕寺左尹) 정언(鄭琂)의 아들이며 좌찬성(左贊成) 정역(鄭易)의 아버지로, 판예의사사(判禮儀司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정윤기(鄭允琦)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하동(河東)으로, 한국공(韓國公) 정인(鄭仁)의 둘째 아들. 정윤화(鄭允和)의 동생이며 정독만달(鄭禿滿達)ㆍ정천좌(鄭天佐)의 형으로, 호군(護軍)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무신
-
정윤량(鄭允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연일(延日)로, 이황(李滉)의 문인. 노수(盧遂)ㆍ김응생(金應生) 등과 더불어 부래산(浮來山)에 정몽주(鄭夢周)를 향사(享祀)한 서원(書院)을 창건(創建)하였는데, 임고서원(臨皐書院)이라는 사액(賜額)을 받았음.
1515~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
-
정윤복(丁胤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낸 정응두(丁應斗)의 아들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44~159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정윤석(鄭崙石)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수운판관(水運判官) 정억(鄭億)의 아버지로, 찰방(察訪)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정윤운(鄭允耘)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동래(東萊). 정비(鄭秠)의 아들이며,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 정전(鄭荃)의 생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유학
-
정윤의(鄭允宜)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로, 예문관 대제학을 지낸 이조년(李兆年)의 장인.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과거를 관장하였으며, 관직은 감찰대부(監察大夫)에 이르렀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정윤진(鄭允禛)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동래(東萊). 종사랑(從仕郞) 정계준(鄭繼俊)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유학
-
정윤호(丁潤瑚)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무안(務安). 유학 정몽열(丁夢說)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안 , 인명>문사>유학
-
정윤화(鄭允和)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한국공(韓國公) 정인(鄭仁)의 맏아들로, 정윤(正尹)에 이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정윤희(丁胤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좌찬성을 지낸 정응두(丁應斗)의 아들로, 이황(李滉)의 문인. 문장이 뛰어났고, 특히 사륙문(四六文)에 능하여 홍문관(弘文館)과 예문관(藝文館)의 서책을 많이 찬술하였음.
1531~15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정은(鄭垠)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사포서 별제(司圃署別提)를 지낸 정인학(鄭仁學)의 아버지. 해인사에서 불경을 인행(印行)할 때 경차관(敬差官)으로 파견되고,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ㆍ형조 참의(刑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정은(鄭隱)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도사. 갈홍(葛洪)의 스승. 원래 유학(儒學)을 공부하였으나 나이 들어 갈현(葛玄)을 스승으로 모시고 《구정단경(九鼎丹經)》ㆍ《금액단경(金液丹經)》ㆍ《태청단경(太淸丹經)》등을 전수받음.
?~30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정을귀(鄭乙貴)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하성부원군(河城府院君) 정흥인(鄭興仁)의 아버지로, 종부시 영(宗簿寺令)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정응두(丁應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낸 정옥형(丁玉亨)의 아들로, 좌찬성(左贊成)ㆍ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냄.
1508~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의(鄭義)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판현사(判縣事)를 지낸 정안도(鄭安道)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정의(鄭顗)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서경인(西京人) 최광수(崔光秀) 등이 난을 일으키자, 분대녹사(分臺錄事)로 이들을 격살하고 성을 회복하여 섭중랑장(攝中郞將)이 되었으며 대장군까지 오름.
?~1233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정의공주(貞懿公主)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둘째 딸. 소헌왕후(昭憲王后) 소생으로, 양효공(良孝公) 안맹담(安孟耼)에게 출가하여 4남 2녀를 둠.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정의손(鄭義孫)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정이(程頤)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향(程珦)의 아들로, 형 정호(程顥)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이기(理氣)의 철학을 제창하여 유교 도덕에 철학적 기초를 부여함.
1033~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이교(鄭以僑)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정종소(鄭從韶)의 아들로, 1470년(성종 1)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청도 군수(淸道郡守)ㆍ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정이송(鄭而宋)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동래(東萊). 헌납(獻納)을 지낸 정주(鄭賙)의 아들이며, 교리(校理)를 지낸 정휘(鄭徽)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유학
-
정이오(鄭以吾)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신중(鄭臣重)의 아들로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 등과 교유하고,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지냈으며, 《태조실록(太祖實錄)》편찬에 참여함.
1347~14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정이우(鄭而虞)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헌납(獻納)을 지낸 정주(鄭賙)의 아들. 판관(判官)ㆍ집의(執義) 등을 지내고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녹훈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이청(鄭以淸)
조선 전기의 문신. 성균생원(成均生員) 정교(鄭僑)의 아들로 강계 교수(江界敎授)를 지냄.
1498~157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정이충(鄭以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청주(淸州). 호종공신(扈從功臣) 정탁(鄭琢)의 아버지로, 아들의 현달로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되고 청성부원군(淸城府院君)으로 봉해짐.
?~154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문사>유학
-
정인(鄭仁)
고려 후기의 유학. 정성량(鄭性良)의 아들. 원(元) 나라에서 휘정사(徽政使)에 오른 아들 정독만달(鄭禿滿達)로 인해 사후 한국공(韓國公)에 추봉됨.
1255~133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유학
-
정인경(鄭仁卿)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주(瑞州). 몽고어 통역관 출신으로 원(元) 나라에서 충렬왕을 시종하고, 요동(遼東) 일대의 고려 유민을 찾아내어 귀국시킴. 동녕부(東寧府)를 고려에 귀속시킬 때 공을 세우고, 중찬(中贊)을 지냄.
1237~1305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정인지(鄭麟趾)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권우(權遇)의 문인.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내면서 문한(文翰)을 관장하고, 천문ㆍ역법ㆍ아악을 정리하는 등 문풍 육성과 제도 정비에 기여함.
1396~14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인필(鄭寅弼)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정지운(鄭之雲)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유학
-
정인학(鄭仁學)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를 지낸 정은(鄭垠)의 아들로 사포서 별제(司圃署別提) 등을 지냄.
1344~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정인홍(鄭仁弘)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서산(瑞山). 조식(曺植)의 수제자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움. 광해군 때 영의정으로서 대북(大北)을 영도하여 계축옥사(癸丑獄事)를 야기시켰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참형됨.
1536~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자(鄭滋)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판관(判官) 정유침(鄭惟沈)의 아들이자 우의정 정철(鄭澈)의 형으로, 정언(正言)ㆍ이조 정랑(吏曹正郞) 등을 지냄.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되고, 정미사화(丁未士禍) 때 이배(移配)되던 도중 사망함.
1515~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정자각(丁字閣)
제전(祭殿)ㆍ왕릉(王陵)ㆍ원(園) 등의 바로 앞에 짓는 ‘정(丁)’ 자 형태의 침전(寢殿).
유적>건물>기타건물
-
정자견(丁自堅)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첨지사(僉知事)를 지냈으며, 80세 이후 노직(老職)으로 당상(堂上)에 오름. 《모재집(慕齋集)》에 김안국(金安國)이 차운(次韻)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정자급(丁子伋)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를 지낸 정수곤(丁壽崑)의 아버지로, 승문원 부교리(承文院副校理)ㆍ소격서 영(昭格署令) 등을 지냄.
1423~14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정자숙(鄭自淑)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을 지낸 정연(鄭淵)의 아들로, 김제 군수(金堤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정자신(鄭自新)
고려 말~조선 초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인 정식(鄭軾)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정자우(鄭子友)
고려 전기의 향리. 진주정씨(晉州鄭氏) 자우계(子友系)와 은열공파(殷烈公派)의 시조로, 호장(戶長)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아전
-
정자지(鄭子芝)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벼슬은 밀양 부사(密陽府使)를 지냄. 이정은(李貞恩)ㆍ이총(李摠)과 함께 아악(雅樂)에 조예가 깊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정장(鄭樟)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아들로, 중부(仲父)인 정곤수(鄭崑壽)의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출사(出仕)한 이후 과거에 급제하여 충청도 도사(忠淸道都事) 등을 지냄.
1569~161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정장(鄭莊)@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진주정씨(晉州鄭氏) 장계(莊系)와 공대공파(恭戴公派)의 시조로,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정장(鄭莊)@조선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초계(草溪). 진사(進士) 정희수(鄭熙叟)의 아들로 통덕랑(通德郞) 정희조(鄭熙朝)에게 출계함. 1754년(영조 30)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운곡행록(耘谷行錄)》의 서(序)를 지음.
1714~?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유학
-
정재륜(鄭載崙)
조선 제17대 효종(孝宗)의 부마. 본관은 동래(東萊). 영의정 정태화(鄭太和)의 아들로 좌의정 정치화(鄭致和)에게 출계하여 효종의 다섯째 딸인 숙정공주(淑靜公主)와 혼인함.
1648~17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인척ㅣ인명>문사>문인
-
정재일고(貞齋逸稿)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의중(朴宜中)의 문집. 1924년 후손들이 유고를 집일(輯佚)하여 김제(金堤)의 삼송재(三松齋)에서 3권 1책의 목활자로 간행함.
1924 한국>근대 , 전라도>김제 , 문헌>서명
-
정재집(定齋集)@유치명
조선 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치명(柳致明)의 문집. 문인 이돈우(李敦禹) 등이 원고를 정리하고 편집하여, 원집은 1883년(고종 20), 속집과 부록은 1901년에 간행함. 53권 27책.
1883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정재집(定齋集)@박태보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인 박태보(朴泰輔)의 문집. 14권 7책. 목판본. 생부(生父) 박세당(朴世堂)이 정리하여 간행하고, 1892년(고종 29)에 성주 목사(星州牧使) 박제억(朴齊億)이 《정재후집(定齋後集)》 6권을 추가 간행함.
170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문헌>서명
-
정재집(靜齋集)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담년(成聃年)의 문집.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정전(鄭荃)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윤운(鄭允耘)의 아들로, 정형운(鄭亨耘)에게 출계함. 1509년(중종 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 등을 지냄.
1475~151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제(鄭提)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하원군(河原君) 정수충(鄭守忠)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정제안(鄭齊安)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초계(草溪)로, 판관(判官)을 지낸 정회아(鄭懷雅)의 아버지. 1405년(태종 5)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성균생원(成均生員)이 되고, 재화(才華)가 있었다고 함.
1390~14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문사>유학
-
정조(正祖)
조선 제22대 왕. 재위 1776~1800. 숙종(肅宗)ㆍ영조(英祖)의 탕평론을 이어받아 재위 초부터 민산(民産)ㆍ인재(人才)ㆍ융정(戎政)ㆍ재용(財用) 등의 부문별로 왕정체제를 강화하여 위민정치를 실현하고자 매진함.
1751~18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정조(鄭造)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광해군 때 윤인(尹訒)과 함께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서궁(西宮)에 유폐시키는 데 적극 가담하고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냈으나, 인조반정 때 사형당함.
1559~162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정조실록(正祖實錄)
조선 제22대 정조(正祖)의 재위 24년간(1776~1800)의 실록. 이병모(李秉模)ㆍ이시수(李時秀)ㆍ이만수(李晩秀)ㆍ김재찬(金載瓚) 등이 1800년(순조 즉위년)에 시작하여 1805년(순조 5)에 완성함.
180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정존재집(靜存齋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담(李湛)의 문집.
한국>조선시대 , 문헌>서명
-
정종(定宗)@고려
고려의 제3대 왕. 재위 946~949. 태조(太祖)의 둘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신명순성왕태후(神明順成王太后). 호족들을 견제하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서경천도(西京遷都)를 시도했으나 개경(開京)의 호족과 백성들의 불만을 고조시키는 결과만을 초래함.
923~94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정종(定宗)@조선
조선 제2대 왕. 재위 1398~1400. 태조(太祖)와 정안왕후(定安王后)의 소생. 고려 후기에 아버지를 따라 왜구를 토벌하는 데 많은 전공을 세우고 왕자의 난을 계기로 왕위에 올랐지만, 골육상쟁의 재현을 우려하여 정안군(靖安君)을 세자로 삼고 양위함.
1357~14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정종(定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 황제이며, 몽고 제국의 제2대 칸. 재위 1246~1248. 태종(太宗)의 장자로 어머니는 탈열가나가돈(脫列哥那可敦).
?~1248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정종(鄭悰)
조선 제5대 문종(文宗)의 부마. 본관은 해주(海州). 참판 정충경(鄭忠敬)의 아들로 경혜공주(敬惠公主)와 혼인함. 단종(端宗) 초기에 형조 판서(刑曹判書)가 되지만, 세조(世曹)가 즉위하자 영월에 유배된 뒤 반역죄로 죽음.
?~146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왕실>인척
-
정종(靖宗)
고려 제10대 왕. 재위 1035~1046. 현종(顯宗)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원성왕후 김씨(元成王后金氏). 형인 덕종(德宗)의 유업을 이어받아 천리장성을 완성하는 등 변방의 수비를 강화하고 거란과 화친하여 나라를 태평하게 함.
1018~1046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정종명(鄭宗溟)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문인ㆍ문신인 정철(鄭澈)의 아들로, 선조 재위 시 아버지의 죄를 추론받아 삭출되었다가 인조 즉위 후 관직이 복구되어 강릉 부사(江陵府使)를 지냄.
1565~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정종성(鄭宗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일(迎日).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의 아들로,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정종소(鄭從韶)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정이교(鄭以僑)의 아버지로, 성균 사성(成均司成) 등을 지내고, 문장(文章)과 기절(氣節)이 빼어나 김종직(金宗直)의 존중을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정종아(鄭從雅)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초계(草溪)로, 성균생원(成均生員) 정제안(鄭齊安)의 아들. 1453년(단종 1)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충주 목사(忠州牧使) 등을 지내고, 만년에는 낙향하여 독서로 여생을 보냄.
1425~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관인>무신
-
정종영(鄭宗榮)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현감(縣監)을 지낸 정숙(鄭淑)의 아들로, 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 시절 평양에 서원과 서적포를 설립하여 학문을 진흥시키는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청백리에 녹선됨.
1513~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정종주(鄭宗周)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옹(鄭雍)의 아들로, 1450년(문종 1)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지평(持平)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주(鄭注)
중국 당(唐) 나라 문종(文宗) 때의 문신. 환관 왕수징(王守澄)의 추천으로 관로에 나서고, 태화(太和) 연간에는 재상에 올랐으나 천성이 교활함. 문종이 왕수징을 제거하는 것을 돕고, 환관 세력을 일소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여 죽임을 당함.
?~83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주(鄭紬)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함종 현령(咸從縣令) 정함도(鄭咸道)의 셋째 아들로, 무안 현감(務安縣監)을 지냄. 아버지와 삼형제가 동시에 고을 수령이 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정주(鄭賙)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집의(執義)를 지낸 정이우(鄭而虞)의 아버지로, 헌납(獻納)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중건(鄭仲虔)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일손(金馹孫)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정중부(鄭仲夫)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 1170년(의종 24)에 의종이 무신을 학대하는 데에 불만을 품고 정변을 일으켜 임금을 폐하고 정권을 잡은 후 무단 정치를 행하다가 경대승(慶大升)에게 피살됨.
1106~117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무신
-
정지년(鄭知年)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정효종(鄭孝終)의 아버지.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를 지낼 때 단종(端宗)이 손위(遜位)하자 전리(田里)로 퇴거하여 경서(經書) 연구에 전념함.
1395~14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정지산(鄭之産)
조선 세종(世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은자. 본관은 진주(晉州). 목사(牧使)를 지낸 정효안(鄭孝安)의 아들로, 호조 정랑(戶曹正郞)을 지냄.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낙향하여 공주(公州)의 동혈(銅岤)에 은거하면서 충과 효를 몸소 실천함.
1423~146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지상(鄭之祥)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전리 좌랑(典理佐郞)을 지낸 정혼(鄭渾)의 아버지. 원(元) 나라에서 뒷날 공민왕이 되는 강릉대군(江陵大君)을 만나 시종하고, 감찰지평(監察持平)ㆍ어사중승(御史中丞)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정지연(鄭芝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봉상시 정(奉常寺正)을 지낸 정유인(鄭惟仁)의 아들이며, 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 이황(李滉)의 추천으로 왕자사부(王子師傅)가 되고 직제학(直提學)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525~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지운(鄭之雲)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로, 정인필(鄭寅弼)의 아들. 김정국(金正國)ㆍ김안국(金安國)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기지학(修己之學)을 실천하며 《천명도설(天命圖說)》 등을 저술함.
1509~156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정지의(鄭之義)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전농시 판사(典農寺判事)를 지낸 정복주(鄭復周)의 아버지로, 종부시 정(宗簿寺正)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ㅣ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정진(丁晉)
고려 후기의 유학(幼學). 영성군(靈城君) 정찬(丁贊)의 조부. 영성정씨(靈城丁氏)의 중시조.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유학
-
정진(鄭津)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정도전(鄭道傳)의 아들로, 조선의 개국과 왕자의 난을 전후로 정도전과 더불어 영욕을 함께함. 개성유후사 유후(開城留後司留後)ㆍ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1361~142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정진(鄭鎭)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일성군(日城君) 정효전(鄭孝全)의 아버지로,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정찬(丁贊)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원(元) 나라에서 공민왕을 폐위시키고 덕흥군(德興君)을 고려왕으로 세우기 위해 최유(崔濡)를 앞세워 침입할 때 공을 세웠지만 덕흥군과 밀통한다는 무고를 받고 투옥되어 울화병으로 죽음.
?~1364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무신
-
정창(鄭敞)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幼學). 본관은 진주(晉州). 충좌위 부사맹(忠佐衛副司猛)을 지낸 정복린(鄭福麟)의 아들로 1513년(중종 8)의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정창손(鄭昌孫)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중추원사(中樞院使)를 지낸 정흠지(鄭欽之)의 아들로, 《고려사(高麗史)》ㆍ《세종실록(世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고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402~14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창순(鄭昌順)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정광은(鄭光殷)의 아들로, 예조 판서(禮曹判書)ㆍ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냄. 《송도지(松都誌)》ㆍ《동문휘고(同文彙考)》등을 편찬하고, 《대전통편(大典通編)》찬집에 참여함.
172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정창연(鄭昌衍)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유길(鄭惟吉)의 아들로, 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냄. 1614년(광해군 6)에 영창대군(永昌大君)에 대한 상소로 위험에 처한 정온(鄭蘊)을 변호하고, 폐모(廢母) 논의가 일자 두문불출하다가 인조반정 이후 복직함.
1552~163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책(鄭㥽)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문신. 찬성사를 지낸 정해(鄭瑎)의 아들이며, 첨의평리(僉議評理)를 지낸 정오(鄭䫨)의 아버지. 충주 목사(忠州牧使)ㆍ판도 판서(版圖判書) 등을 지내고 청하군(淸河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정척(鄭惕)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호조 참판 정언각(鄭彦慤)의 아들. 1549년(명종 4)의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지(承旨)ㆍ상주 목사(尙州牧使)를 지냄.
1517~159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