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척(鄭陟)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성근(鄭誠謹)의 아버지로, 수문전 태학사(修文殿太學士)를 지냄. 해자(楷字)와 전자(篆字)에 뛰어나 새보(璽寶)와 관인(官印)을 다수 제작하고, 전고(典故)에 조예가 깊어 많은 의제(儀制)를 찬(撰)함.
1390~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정천령(鄭千齡)
조선 전기의 유학.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모재집(慕齋集》에 권은(權殷)ㆍ박수춘(朴壽椿) 등과 함께 김안국으로부터 받은 자(字)에 대한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정천익(鄭天益)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독농가(篤農家). 사위인 문익점(文益漸)이 원(元) 나라에서 몰래 가져온 목화씨를 심어 재배에 성공하고, 씨아와 물레도 만듦.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산음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정천좌(鄭天佐)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한국공(韓國公) 정인(鄭仁)의 넷째 아들이자, 휘정공(徽政公) 정독만달(鄭禿滿達)의 아우로, 판내부시사(判內府寺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정철(鄭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연일(延日). 판관(判官)을 지낸 정유침(鄭惟沈)의 아들이며, 기대승(奇大升)의 문인(門人). 예조 판서(禮曹判書)ㆍ대사간(大司諫)을 지냈고, 가사문학의 대가로 국문학에 크게 공헌함.
153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정초(鄭招)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집의(執義) 정희(鄭熙)의 아들로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경사(經史)ㆍ역산(曆算)ㆍ복서(卜筮)에 통달하고, 《농사직설(農事直說)》등을 편찬하였으며, 혼천의(渾天儀)를 제작함.
?~14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정초(鄭樵)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추밀원 편수관(樞密院編修官) 등을 지내고, 천문ㆍ지리ㆍ방서 등에 박식하여 《통지(通志)》를 저술함.
1104~116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초(鄭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정수붕(鄭壽朋)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정랑(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정총(鄭摠)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정추(鄭樞)의 아들.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며 문장에 능하여 《고려사(高麗史)》 편찬에 참여했고, 중국으로 보내는 표전문(表箋文) 등을 많이 지음.
1358~139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정추(鄭樞)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를 지낸 정포(鄭誧)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ㆍ첨서밀직사사(簽書密直司事)를 지냈고, 만년에 나라의 일이 권신들에 의해 좌우되는 것을 한탄하다가 병사함.
1333~138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정충경(鄭忠敬)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대제학(大提學) 정역(鄭易)의 아들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ㆍ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정충기(鄭忠基)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상의원 첨정(尙衣院僉正)을 지낸 정탁(鄭鐸)의 아버지로, 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정충량(鄭忠樑)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낸 정광세(鄭光世)의 아들. 도승지(都承旨)ㆍ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탄핵을 받고 피척(被斥)됨.
1480~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충려(鄭忠礪)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능성 현령(綾城縣令)을 지낸 정광정(鄭光廷)의 아들로, 1513년(중종 8)의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금천 현감(衿川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충석(鄭忠碩)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좌찬성(左贊成) 정역(鄭易)의 아들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1406~1473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정충신(鄭忠信)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금성(錦城).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권율(權慄)을 종군(從軍)하여 무명(武名)을 떨치고, 이괄(李适)의 난(亂)을 평정하여 진무공신(振武功臣)이 됨. 이항복(李恒福)이 북청(北靑)으로 유배되었을 때의 기록인 《북천일록(北遷日錄)》을 저술함.
1575~16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정충원(鄭忠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를 지낸 정두형(鄭斗亨)의 아버지로, 순릉 참봉(純陵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정췌(正揣)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서천중정췌사권(書天中正揣師卷〉이라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정치도감(整治都監)
고려 충목왕(忠穆王) 때 설치된 폐정 개혁 기관. 당시 사회의 모순과 폐단을 야기한 정치ㆍ경제ㆍ사회면에서의 12개 조항의 당면문제를 시정하려 함.
1347~134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법제>관청
-
정치화(鄭致和)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효종(孝宗)의 부마인 정재륜(鄭載崙)의 아버지. 세자시강원보덕(世子侍講院輔德)으로 심양(瀋陽)에서 소현세자(昭顯世子)를 보필함. 좌의정(左議政)을 지내고, 서인과 남인의 대결에서 중도를 지킴.
1609~167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탁(鄭擢)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조선을 개국할 때 이성계(李成桂)의 추대를 제일 먼저 발의한 공로로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우의정(右議政)을 지냈음. 태종의 묘정(廟庭)에 배향(配享)됨.
1363~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정탁(鄭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정이충(鄭以忠)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경사(經史)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에 정통했음.
1526~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정탁(鄭鐸)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지평(持平) 정충기(鄭忠基)의 아들로, 호조 정랑(戶曹正郞)ㆍ상의원 첨정(尙衣院僉正) 등을 지냄.
1452~149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정태화(鄭太和)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효종(孝宗)의 부마인 정재륜(鄭載崙)의 생부. 뛰어난 문재(文才)와 바른 처신으로 주요 관직을 두루 거치고, 영의정(領議政) 재임시 예송(禮訟) 논쟁, 대동법(大同法) 시행 등의 국무를 처결함.
1602~16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택뢰(鄭澤雷)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ㆍ지사. 본관은 하동(河東).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모론을 반대한 이원익(李元翼)을 변호하다가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음.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복위되어 순조(純祖) 때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되고, 부여(扶餘)의 의열사(義烈祠)에 배향됨.
1585~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유학
-
정퇴서원(靜退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충청도 온양(溫陽)에 건립한 서원. 조광조(趙光祖)ㆍ이황(李滉)ㆍ맹희도(孟希道)ㆍ홍가신(洪可臣)ㆍ조상우(趙相禹)ㆍ강백년(姜栢年)ㆍ윤현(尹俔)ㆍ조이후(趙爾後) 등을 배향함.
163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온양 , 유적>건물>서원,향교
-
정포(鄭誧)
고려 후기의 문신. 정해(鄭瑎)의 손자이자 정책(鄭㥽)의 아들로,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를 지냄. 시와 문장이 간결하고 예스러우며, 《설곡집(雪谷集)》이 전해짐.
1309~1345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정필주(鄭弼周)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초계(草溪). 광주 판관(光州判官)을 지낸 정회아(鄭懷雅)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유학
-
정한룡(鄭漢龍)
조선 전기의 문신. 창원 부사(昌原府使)를 지낸 정광보(鄭光輔)의 아들이고 정사룡(鄭士龍)의 형. 수원 판관(水原判官)ㆍ강서 현령(江西縣令) 등을 역임함.
1487~154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함도(鄭咸道)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유(鄭維)ㆍ정면(鄭綿)ㆍ정주(鄭紬) 형제의 아버지로, 함종 현령(咸從縣令)을 지냄. 아들 삼형제와 함께 동시에 고을 수령이 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정항(鄭沆)
고려 숙종(肅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서(鄭敍)의 아버지로, 우정언(右正言)ㆍ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등을 지냄.
1080~113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해(定海)
고려 후기의 승려. 좌가 부승록(左街副僧錄)을 지냈으며, 계명사 주지(啓明寺住持)로 있으면서 자비령(慈悲嶺)에 있는 자비사(慈悲寺)를 중건하고 이색(李穡)에게 기문(記文)을 청함.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서흥 , 인명>종교인>승려
-
정해(鄭獬)
조선 전기의 노비. 사가재(四佳齋) 서거정(徐居正)이 자설(字說)을 지어줌.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노비
-
정해(鄭瑎)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대장군(大將軍)을 지낸 정의(鄭顗)의 손자로서 충렬왕을 시종하여 원(元) 나라에 다녀온 후, 지공거(知貢擧) 등의 벼슬을 지냈으며 외유내강의 성품으로 너그럽고 조용하나 일에는 민첩하고 용감하다는 평을 받음.
1254~1305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정해(鄭諧)
고려 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지제고(知制誥)를 지낸 정승원(鄭承源)의 아들로, 판사복시사(判司僕寺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정향(程珦)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정호(程顥)ㆍ정이(程頤)형제의 아버지로 태중대부(太中大夫)를 지냄.
1006~109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헌(鄭櫶)
고려 후기의 문신.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로 진산부원군(晉山府院君)에 봉해짐. 진주정씨(晉州鄭氏) 헌계(櫶系)의 시조.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정헌집(靜軒集)
중국 원(元) 나라 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염복(閻復)의 문집. 50권.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정헌황태후(貞獻皇太后)
중국 당(唐) 나라 제12대 목종(穆宗)의 황후. 문종(文宗)의 어머니로, 성은 숙씨(肅氏).
?~820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정현(鄭玄)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 장공조(張恭祖)ㆍ마융(馬融) 등을 사사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연구와 교육에 진력함. 경학(經學)을 집대성하고 고대의 역사문헌을 정리하는 데 크게 공헌함.
127~200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정현(鄭礥)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정백붕(鄭百朋)의 아들로, 아버지를 도와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데 참여해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됨. 말년에는 부사(府使)직을 사임하고 양주(楊州) 소요산(逍遙山)에 은거함.
152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현옹주(貞顯翁主)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첫째 서녀. 상침송씨(尙寢宋氏) 소생으로, 영천부원군(鈴川府院君) 윤사로(尹師路)에게 출가하여 2남을 둠.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정현왕후(貞顯王后)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계비(繼妃). 우의정을 지낸 윤호(尹壕)의 딸이며, 중종(中宗)의 생모. 연산군(燕山君)의 생모인 윤씨(尹氏)가 폐위되자 이듬해 왕비로 봉해짐.
1462~153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정현조(鄭顯祖)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부마. 영의정(領議政) 정인지(鄭麟趾)의 아들로, 의숙공주(懿淑公主)와 혼인함. 부마로서 처음으로 과거에 응시하여 급제하고, 《경국대전(經國大典)》찬정(撰定)에 공헌함. 성종(成宗) 즉위에 공을 세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인척
-
정협(鄭俠)
중국 송(宋) 나라 영종(英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가뭄이 들어 유민(流民)들이 도로에 가득하게 되자, 이 참상(慘狀)을 유민도(流民圖)에 그려 올림으로써 신종(神宗)으로 하여금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을 혁파하고 유민을 구제하게 함.
1041~111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혜(淨慧)
고려 후기의 승려. 송광사(松廣寺)의 제14세 조사(祖師).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종교인>승려
-
정혜사(淨惠寺)
통일신라 선덕왕(宣德王) 때 지어진 암자. 당(唐) 나라의 문신 백우경(白宇經)이 신라로 건너와 계림(鷄林) 자옥산(紫玉山) 아래에 만세암(萬歲庵)을 짓고 거처함. 선덕왕이 정혜사(淨惠寺)라고 이름을 고쳐 지어줌.
780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유적>건물>사찰
-
정혜옹주(貞惠翁主)@조선태종의딸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첫째 서녀. 의빈권씨(懿嬪權氏) 소생으로, 운성부원군(雲城府院君) 박종우(朴從愚)에게 출가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정혜옹주(貞惠翁主)@조선선조의딸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둘째 서녀. 인빈김씨(仁嬪金氏) 소생으로, 해숭위(海嵩尉) 윤신지(尹新之)에게 출가함.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정혜옹주(靜惠翁主)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열째 서녀. 귀인정씨(貴人鄭氏) 소생으로, 청평위(靑平尉) 한기(韓紀)에게 출가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정호(程顥)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태중대부(太中大夫) 정향(程珦)의 아들로, 아우 정이(程頤)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송 나라 이학(理學)의 기초를 마련함.
1032~108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호인(鄭好仁)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일(迎日)로, 용양위 부사과(龍驤衛副司果)를 지낸 정안번(鄭安藩)의 아들. 병자호란 때 향리에서 의병을 일으켜 관군을 돕고, 진주 목사(晉州牧使) 등을 지냄.
15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정혼(鄭渾)
고려 창왕(昌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으로, 어사중승(御史中丞)을 지낸 정지상(鄭之祥)의 아들. 전리좌랑(典理佐郞)으로 있을 때 어머니가 왜구에게 살해되자 소모별감(召募別監)이 되어 박위(朴葳)를 따라 대마도에 종군해 공을 세움.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정홍(鄭弘)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회계(會稽) 산음(山陰) 사람으로 회양 태수(淮陽太守)ㆍ태위(太尉) 등을 지냄.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홍(鄭洪)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일(迎日)로, 일성군(日城君) 정사도(鄭思道)의 아들. 우왕 때 제릉서 영(諸陵署令)을 지내고, 조선 건국 이후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42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정홍명(鄭弘溟)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우의정 정철(鄭澈)의 아들. 송익필(宋翼弼)과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예학에 조예가 있었으며,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소모사(召募使)로 활약함.
1592~165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 , 인명>관인>문신
-
정홍익(鄭弘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사섬시 정(司贍寺正)을 지낸 정사신(鄭思愼)의 아들.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유배되었으며,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풀려나 부제학(副提學)에 제수되었으나 취임하기 전에 죽음.
1571~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홍진(丁鴻進)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화가. 묵죽(墨竹)ㆍ초상화로 유명하며 이규보(李奎報)ㆍ최종준(崔宗峻) 등이 그에게 그림을 받고 지은 찬(贊)이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여러 편 수록되어 있음. 비서감(祕書監)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정화공주(貞和公主)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아버지인 환조(桓祖)의 딸. 의혜왕후(懿惠王后) 소생으로, 용원부원군(龍源府院君) 조인벽(趙仁璧)에게 출가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덕원 , 인명>왕실>공주
-
정환(丁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사산 감역관(四山監役官)을 지낸 정세명(丁世明)의 아들이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형조 좌랑(刑曹佐郞)ㆍ경상도 도사(慶尙道都事) 등을 지내고, 영천서원(寧川書院)에 배향됨.
1497~154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정황(丁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사산감역(四山監役) 정세명(丁世明)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이기(李芑)의 논계로 파직되고,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유배됨.
1512~15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정황(鄭璜)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하동(河東).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낸 정유일(鄭惟一)의 아버지로, 충의위 어모장군(忠義衛禦侮將軍)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무신
-
정회(鄭晦)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홍문관 제학(弘文館提學)을 지낸 정두경(鄭斗卿)의 아버지로, 평택 현감(平澤縣監) 등을 지냄.
?~162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정회문(鄭繪文)
신라 때의 향리. 동래정씨(東萊鄭氏)의 시조로, 안일 호장(安逸戶長)을 지냄.
한국>신라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아전
-
정회아(鄭懷雅)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성균생원(成均生員) 정제안(鄭齊安)의 아들이며, 부윤(府尹) 이언(李堰)의 사위. 세조 즉위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ㆍ광주 판관(光州判官) 등을 지냄.
1428~14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효손(鄭孝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연일(延日).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낸 정진(鄭鎭)의 아들이자 태종(太宗)의 사위인 정효전(鄭孝全)의 형.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문사>유학
-
정효안(鄭孝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호조 정랑(戶曹正郞) 정지산(鄭之産)의 생부로, 목사(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정효전(鄭孝全)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부마. 판서 정진(鄭鎭)의 아들로, 태종의 딸 숙정옹주(淑貞翁主)와 혼인함. 도진무(都鎭撫) 등을 지냈으나,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김종서(金宗瑞) 등 중신들이 살해되자 병을 핑계로 나가지 않다가 파직됨.
?~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정효종(鄭孝宗)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1524년(중종 19) 이해(李瀣) 등과 함께 용산(龍山)에서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정효종(鄭孝終)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를 지낸 정지년(鄭知年)의 아들로, 1458년(세조 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정효충(鄭孝忠)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이조 판서(吏曹判書) 정총(鄭摠)의 아들이자 광흥창 사(廣興倉使) 안중담(安仲聃)의 장인으로, 상호군(上護軍) 등을 지냄.
1394~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정훈(鄭薰)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자기 집에 소나무 일곱 그루를 심고서 칠송처사(七松處士)라 자호(自號)하였고, 벼슬은 태자소사(太子少師) 등을 역임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휘(鄭徽)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이송(鄭而宋)의 아들로, 1465년(세조 11)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교리(校理) 등을 지냄.
14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흠지(鄭欽之)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정부(鄭符)의 아들. 태종 때 하륜(河崙)과 박은(朴訔) 등을 탄핵하다 유배됨. 세종이 즉위하자 형조 판서(刑曹判書)가 되어 황보인(皇甫仁)과 함께 《진설(陣說)》을 찬진(撰進)함.
1378~143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흥(定興)
중국 하북성(河北省) 보정부(保定府)에 있는 고을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정흥인(鄭興仁)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종부시 영(宗簿寺令)을 지낸 정을귀(鄭乙貴)의 아들이며, 정인지(鄭麟趾)의 아버지. 정도전(鄭道傳)의 문인(門人)으로, 석성 현감(石城縣監) 등을 지내고 하성부원군(河城府院君)에 추증됨.
?~14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정희(鄭熙)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낸 정초(鄭招)의 아버지로,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ㆍ집의(執義)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정희검(鄭希儉)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로, 부사(府使) 정연경(鄭延慶)의 아들이며 정희량(鄭希良)의 아우. 연산군의 정치가 혼란해지자 과거(科擧)를 단념한 채 시와 술을 즐기며 호(號)를 계양어은(桂陽漁隱)이라 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정희등(鄭希登)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종부시 첨정(宗簿寺僉正) 정구(鄭球)의 아들이며, 승지 정원(鄭源)의 조카. 사위로 삼으려는 김안로(金安老)의 청을 거절하여 사복시 첨정(司僕寺僉正) 등의 한직(閑職)에 있었고, 을사사화(乙巳士禍)를 반대하다 유배 됨.
1506~15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희량(鄭希良)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부사(府使) 정연경(鄭延慶)의 아들이며,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 승문원(承文院) 권지부정자(權知副正字) 등을 지내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됨.
146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정희량(鄭熙良)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직제학(直提學)을 지냄. 조선 건국 후 정도전(鄭道傳)ㆍ남은(南誾) 등을 탄핵하다가 유배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정희보(鄭希輔)
조선 성종(成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양(晉陽). 사화(士禍)로 인해 나라가 어지러워지자 은거하며 평생 학문연구에 힘씀. 문하에서 강익(姜翼) 등 여러 명사들이 배출되었으며, 함양(咸陽)의 당주서원(溏洲書院)에 배향됨.
1488~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
-
정희수(鄭希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하동(河東).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정인지(鄭麟趾)의 현손이며 신성수(信城守) 이희(李曦)의 사위. 백곡(栢谷) 정곤수(鄭崐壽)의 장인으로 충의위 사과(忠義衛司果)를 지냄.
1516~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무신
-
정희왕후(貞熹王后)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비(妃). 본관은 파평(坡平).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윤번(尹璠)의 딸로, 1455년(세조 1) 왕비에 책봉됨. 1469년(성종 즉위) 손자인 성종(成宗)이 어린 나이에 즉위하자 7년 간 수렴청정(垂簾聽政)함.
1418~148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정희익(鄭希益)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군수(郡守)를 지낸 정경(鄭璟)의 아들로,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 등을 지냄.
1503~156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정희적(鄭熙績)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이식(李拭)과 함께 서인(西人)의 등용을 막으려다가 반발을 불러일으킴. 임진왜란 때 길주 부사(吉州府使)로서 왜군을 맞아 싸웠으나 안동 부사(安東府使) 재임시 왜적을 막지 않고 도망한 문제로 비변사의 탄핵을 받음.
15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정희홍(鄭希弘)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수(鄭琇)의 아들로, 1526년(중종 2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목사(牧使) 등을 지냄.
149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제갈^사마(諸葛^司馬)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장군인 사마의(司馬懿)와 촉(蜀) 나라의 문신인 제갈량(諸葛亮)을 함께 부르는 말. 통일전쟁에 공을 세운 두 공신을 일컫는 말.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제갈각(諸葛恪)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무신. 대제(大帝)의 총애를 받았고 태자 손량(孫亮)을 영립하여 보필함. 육손(陸遜)이 죽은 후에 대장군(大將軍)으로 무창(武昌)에 주둔하며 형주(荊州)를 다스리다 반대파 손준(孫峻)에 의해 살해당함.
203~253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제갈근(諸葛瑾)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무신. 제갈각(諸葛恪)의 아버지이자 제갈량(諸葛亮)의 형. 손권(孫權)에게 신임을 얻고, 촉(蜀) 나라에 사신으로도 많이 활동했으며 예주목(豫州牧) 등을 지냄.
174~241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제갈량(諸葛亮)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문신. 뛰어난 전략가(戰略家)로 유비(劉備)의 삼고초려(三顧草廬)의 예(禮)에 감격하여 그를 도와 오(吳) 나라와 연합하여 조조(曹操)의 위(魏) 나라를 대파하고 촉을 일으키는 데 큰 공을 세움.
221~26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제갈량집(諸葛亮集)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문신인 제갈량(諸葛亮)의 저서. 저자의 정치사상과 군사사상을 담고 있고, 명(明) 나라 때 왕사기(王士騏)에 의해 다시 편찬됨.
27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제갈천능(諸葛千能)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순희(淳熙) 연간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했고 관직은 가흥 주부(嘉興主簿)를 역임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제갈회(諸葛恢)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혜제(惠帝)~성제(成帝) 때의 문신. 조정에서 재상인 왕도(王導)와 이름을 나란히 하였으며 국내외에서 공을 세워 여러 번 시중(侍中)에 오름.
265~32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제곡(帝嚳)
중국 고대 전설상의 국왕. 오제(五帝) 중의 한 사람으로, 셋째 아내 경도(慶都)가 요(堯)를 낳았으며 150세까지 살았다고 전해짐.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고려 제25대 충렬왕(忠烈王)의 비. 원(元) 세조(世祖)의 딸로 충렬왕이 세자로 원(元)에 체류하였을 때 결혼하여 충선왕(忠宣王)을 낳음. 독실한 불교도로 불사(佛事)에 많은 공을 들임.
1259~1297 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제례도(祭禮圖)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양복(楊復)의 저서. 14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제번(諸樊)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오(吳) 나라의 제후. 오왕(吳王) 수몽(壽夢)이 아우 계찰(季札)이 현명하므로 임금으로 세우려 하였는데 적자(適子)가 왕위를 이어야 한다고 사양하여 즉위하였음. 합려(闔閭)의 아버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제봉집(霽峯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인 고경명(高敬命)의 시문집. 7권 6책. 목판본. 1617년(광해군 9)에 아들인 고용후(高用厚)에 의해 간행됨.
161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문헌>서명
-
제안대군(齊安大君)
조선 제8대 예종(睿宗)의 둘째 아들. 어머니는 안순왕후 한씨(安順王后韓氏). 예종이 죽자 어리고 총명하지 못하다는 이유로 즉위하지 못하고, 1470년(성종 1) 제안대군(齊安大君)에 봉해짐.
1466~152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