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계몽전의(啓蒙傳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황(李滉)이 주희(朱熹)의 《역학계몽(易學啓蒙)》을 알기 쉽게 풀이하여 주기(註記)한 책. 이 외에 명(明) 나라 한방기(韓邦奇)의 《역학계몽의견(易學啓蒙意見)》 중에서 요의(要義)를 뽑아 추록하였으며, 1557년(명종 12)에 간행함.
155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계문상제례문답(溪門喪祭禮問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황(李滉)의 저서. 예(禮)에 관한 서신을 모아 엮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계민집(戒民集)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인 장영(張詠)이 지은 목민(牧民)에 관한 저서. 현전하지 않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계백(階伯)
백제 의자왕(義慈王) 때의 장군. 달솔(達率)이 되었는데 당(唐) 나라와 신라의 연합군이 백제를 침공하자 결사대 5천여 명을 거느리고 황산(黃山)에서 싸우다 전사함.
?~660 한국>백제 , 인명>관인>무신
-
계사일록(癸巳日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윤탁연(尹卓然)의 저서.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계사주(繫辭注)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한백(韓伯)이 지은, 《주역(周易)》계사(繫辭)의 주석서. 스승인 왕필(王弼)의 《주역주(周易註)》 가운데 계사 부분에 주를 달고 괘(卦)를 설명하였으나, 소략하다는 평을 받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계산유고(溪山遺稿)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오경(吳慶)의 시문집.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계산잡영(溪山雜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황(李滉)의 시집.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이 1585년(선조 18)에 간행함.
158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문헌>서명
-
계성군(桂城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첫 번째 서자. 숙의(淑儀) 하씨(河氏)의 소생으로, 총명하고 영특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78~150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계손씨(季孫氏)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공족(公族). 맹손씨(孟孫氏)ㆍ숙손씨(叔孫氏)와 함께 노 나라의 세 공족 중 하나. 환공(桓公)의 아들인 계우(季友)의 후손으로, 대대로 대부의 벼슬을 계승하고 정권을 독점하여 막대한 권세와 부를 누림.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집단>성씨
-
계손의여(季孫意如)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노(魯) 나라 대부. 삼환(三桓)의 하나인 계손씨(季孫氏)의 우두머리로 노 나라의 정권을 전횡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계손행보(季孫行父)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문공(文公)~양공(襄公) 때의 대부. 문공ㆍ선공(宣公)ㆍ성공(成公)ㆍ양공 4대를 섬기면서 깊은 신뢰를 쌓은 현인으로, 《논어(論語)》의 삼사이행(三思而行)과 관련된 인물.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계송(繼松)
고려 후기의 대선사(大禪師). 《양촌집(陽村集)》〈보각국사비명(普覺國師碑銘)〉에 혼수(混脩)가 그의 밑에서 경전을 익혀 그의 뒤를 이은 내용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계수(戒水)
조선 전기의 승려. 임운(林芸)의 《첨모당집(瞻慕堂集)》에 〈증별산승계수(贈別山僧戒水)〉라는 칠언절구(七言絶句)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계숭(契嵩)
중국 송(宋) 나라의 고승ㆍ학자. 운문종(雲門宗)을 발전시켰으며, 도교와 유교 등 다른 종파(宗派)와도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였고, 특히 선교일치적(禪敎一致的)인 경향을 지님. 〈원교편(原敎篇)〉 등을 저술함.
1007~1072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학자
-
계암집(溪巖集)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김령(金坽)의 시문집. 6권 3책. 1772년(영조 48)에 현손 김굉(金紘) 등이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편집 간행함.
177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문헌>서명
-
계양군(桂陽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두 번째 서자. 신빈김씨(愼嬪金氏)의 소생으로, 좌의정 한확(韓確)의 딸과 혼인함. 세조(世祖)의 즉위를 도와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계우(季友)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환공(桓公)의 아들. 형인 장공(莊公)이 죽자 그의 아들 반(般)을 세우려 하였으나 반이 살해되자 진(陳) 나라로 망명하였다가, 뒤에 장공의 아들인 신(申)을 희공(僖公)으로 옹립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계원필경(桂苑筆耕)
통일신라시대의 학자ㆍ문장가인 최치원(崔致遠)의 시문집(詩文集). 사륙변려체(四六騈儷體)의 명문만을 수록한 것으로, 우리나라 한문학사에 큰 영향을 끼침. 20권 4책. 활자본.
183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계유정난(癸酉靖難)
조선 단종(端宗) 1년에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세종(世宗)ㆍ문종(文宗) 때부터의 원로 신하들을 없애고 스스로 정권을 잡은 사건. 이로써 수양대군은 세조(世祖)로 즉위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게 됨.
145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사건>역모
-
계융(契融)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성석린(成石璘)ㆍ이직(李稷)과 교유하여 《독곡집(獨谷集)》ㆍ《형재시집(亨齋詩集)》에 차운(次韻)한 시들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계은(戒恩)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점필재집(佔畢齋集)》과 《독곡집(獨谷集)》에 그와 관련된 기록이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계은집(溪隱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이정립(李廷立)의 시문집. 1책. 이항복(李恒福)의 《백사집(白沙集)》에 서문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계음만필(溪陰漫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윤흔(尹昕)의 만필. 3권 3책. 필사본. 인물ㆍ역사ㆍ경전ㆍ지리ㆍ문물ㆍ제도ㆍ풍속ㆍ예절 등 광범위한 내용에 대해 보고 듣고 느낀 것을 체계 없이 기록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계자훈(薊子訓)
중국 후한(後漢) 때의 도사. 음식이 줄어들지 않는 등의 신기한 도술을 부렸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계재유고(溪齋類稿)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등린(滕璘)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계전(戒全)
조선 전기의 승려. 송인(宋寅)의 《이암유고(頤庵遺稿)》에 〈제무의자계전권(題無依子戒全卷)〉이라는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계주(薊州)
중국 하북성(河北省) 천진(天津)에 있던 고을 이름.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도읍지이자 안녹산(安祿山)이 반란을 일으킨 곳으로, 우리나라 사신이 북경(北京)으로 연행(燕行)을 갈 때 지나야 하는 지역 중 하나.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계찰(季札)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오(吳) 나라의 공자(公子). 각 제후국을 사신으로 순방하면서 예학을 논하는 등 박학하고 통명한 식견을 선보이며 현인으로 명성을 떨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계찰계검(季札繫劍)
계찰(季札)이 검을 걸어 놓다는 뜻.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계찰이 평소 자신의 검을 가지고 싶어하다 죽은 서(徐) 나라 왕의 집에 검을 풀어 놓고 온 고사에서 나온 말로, 신의를 중시함을 비유함.《사기(史記)》 〈오태백세가편(吳太伯世家篇)〉에 나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계창(鷄窓)
닭의 창. 중국 진(晉) 나라의 송처종(宋處宗)이 서재의 창가에서 기르던 장명계(長鳴鷄)가 사람의 말을 알게 되자 더불어 담론(談論)하면서 깨달은 바가 많았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서재를 뜻함. 《유명록(幽冥錄)》에 나옴.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계축화옥(癸丑禍獄)
조선 1613년(광해군 5) 광해군(光海君)을 지지하는 대북파(大北派)가 영창대군(永昌大君) 및 반대파 세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으킨 옥사(獄事). 서인(西人)ㆍ남인(南人)들은 유배되거나 관직을 삭탈당하고, 인목대비(仁穆大妃)도 폐위됨.
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사건>역모
-
계현(契玄)
고려 후기의 승려. 임춘(林椿)이 지은 《서하집(西河集)》 〈묘광사십육성중회상기(妙光寺十六聖衆繪象記)〉에 기록이 남아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고^기(皐^夔)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의 신하인 고요(皐陶)와 기(夔)를 함께 부르는 말. 어진 신하를 가리킴.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고^설(皐^卨)
중국 고대 요(堯)ㆍ순(舜) 임금의 신하인 고요(皐陶)와 설(契)을 함께 부르는 말. 충성스러운 신하를 뜻함.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고^소(高^穌)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과 소재(穌齋) 노수신(盧守愼)을 함께 부르는 말. 문장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고^익(皐^益)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의 신하인 고요(皐陶)와 백예(栢翳)을 함께 부르는 말.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고^증(皐^曾)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의 신하인 고요(皐陶)와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증삼(曾參)을 함께 부르는 말. 도(道)를 이었다는 뜻임.
중국>춘추전국시대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고^직(皐^稷)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의 신하인 고요(皐陶)와 후직(后稷)을 함께 부르는 말. 현신(賢臣)을 뜻함.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고개지(顧愷之)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화가. 중국 회화사상 인물화(人物畫)의 최고봉으로 알려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고경(高慶)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로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냈음. 간의동지(諫議同知)를 지낸 고용현(高用賢)의 아버지.
1276~134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옥구 , 인명>관인>문신
-
고경명(高敬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대사간 고맹영(高孟英)의 아들.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내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光州)에서 모집한 의병 육천여 명을 이끌고 금산(錦山) 싸움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전사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고경조(高敬祖)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해미 현감(海美縣監)ㆍ임천 군수(林川郡守) 등을 지냄.
152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고경중마방(古鏡重磨方)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황(李滉)이 옛 명(銘)ㆍ잠(箴) 중에서 수양이 될 만한 것을 뽑아 엮은 책. 1책 54장. 1744년(영조 20) 정구(鄭逑)가 간행하였으며,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의 교재로 쓰임.
174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고경허(高景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서경덕(徐敬德)에게 수학하고, 공조 좌랑(工曹佐郞)으로 《중종실록(中宗實錄)》과 《인종실록(仁宗實錄)》편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고공기해(考工記解)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도종(度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임희일(林希逸)이 지은 《고공기(考工記)》에 대한 주석서. 2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고구려(高句麗)
고대의 삼국 가운데 동명왕(東明王) 주몽(朱蒙)이 기원전 37년에 세운 국가. 기원(紀元) 전후 무렵에 졸본(卒本) 지방에서 일어나 한반도 북부와 만주(滿洲) 일대를 지배하였으며, 동명왕부터 보장왕(寶藏王)까지 28대 705년간 존속함.
B.C.37~A.D.668 한국>고구려 , 시간>국명
-
고국양왕(故國壤王)
고구려 제18대 왕. 재위 384~391. 소수림왕(小獸林王)의 동생이자 광개토왕(廣開土王)의 아버지. 요동(遼東)과 백제를 정벌하여 국토를 넓히고, 불교를 발전시켰으며 국사(國社)를 세우고 종묘(宗廟)를 수리하는 등 국가체제 확립에 기여함.
?~391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고국원왕(故國原王)
고구려 제16대 왕. 재위 331~371. 미천왕(美川王)의 아들로, 전연(前燕)과 대립하다가 국내성(國內城)을 잃고 수도를 동황성(東黃城)으로 옮김. 371년 평양성(平壤城)에서 백제 근초고왕(近肖古王)을 맞아 싸우다가 전사함.
?~371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고금기요(古今紀要)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인 황진(黃震)이 삼황(三皇)에서부터 송 나라 철종(哲宗) 때까지의 역사를 요약하여 기술한 저서. 19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고금록(古今錄)
고려 후기 허공(許珙)ㆍ한강(韓康)ㆍ원부(元傅)ㆍ이인복(李仁復) 등이 찬한 것으로 전해지는 역사책. 내용은 현재 전하지 않아 알 수 없음.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고금상정예문(古今詳定禮文)
고려 의종(毅宗) 때 평장사(平章事) 최윤의(崔允儀) 등 17명의 신하가 왕명으로 고금(古今)의 예문(禮文)을 모아 편찬한 예서(禮書). 50권. 1234년(고종 21)에 최초의 금속활자본으로 출판하였으나 현재는 전하지 않음.
1234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고금운회(古今韻會)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인 황공소(黃公紹)가 송(宋) 나라 진팽년(陳彭年) 등이 편찬한 《대송중수광운(大宋重修廣韻)》의 206운(韻)을 107운으로 줄여 만든 운서(韻書).
1202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고금운회거요(古今韻會擧要)
중국 송(宋) 나라 황공소(黃公紹)가 편집한 《고금운회(古今韻會)》를 원(元) 나라 웅충(熊忠)이 요약해 빠진 것을 보충하고 주석을 첨가하여 총 30권으로 편성한 운서(韻書). 조선 1434년(세종 16)에 4권 1책으로 간행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고득종(高得宗)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상장군 고봉지(高鳳智)의 아들. 문장과 서예에 뛰어났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사후에 정문(旌門)이 세워짐.《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몇 편의 시가 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강음ㅣ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고등(高登)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자(朱子)가 지은 사당기(祠堂記)가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고란사(皐蘭寺)
백제 때 충청남도 부여(扶餘) 부소산(扶蘇山)에 건립된 절. 마곡사(麻谷寺)의 말사. 백제의 멸망과 함께 소실된 것을 고려시대에 중창함. 절 뒤뜰 바위 틈에 희귀한 고란초(皐蘭草)가 자생함.
한국>백제 , 충청도>부여 , 유적>건물>사찰
-
고려(高麗)
왕건(王建)이 태봉(泰封)의 궁예(弓裔)를 추방하고 개성(開城)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태조(太祖)에서 공양왕(恭讓王)까지 34대 475년간 존속.
918~1392 한국>고려시대 , 시간>국명
-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고려시대에 부처님의 설법과 부처님이 정한 교단의 규칙 및 경(經)ㆍ율(律)에 대한 논(論) 등을 모아 간행한 불교 경전(經典)의 총칭.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ㆍ《교장(敎藏)》ㆍ《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 등이 판각됨.
한국>고려시대 , 문헌>서명
-
고려도경(高麗圖經)
중국 송(宋) 나라의 서긍(徐兢)이 1123년 국신사(國信使)의 일원으로 고려에 왔을 때 보고 들은 고려의 여러 가지 실정을 그림을 곁들여서 기록한 책. 전 40권.
1124?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고려사(高麗史)
조선 세종(世宗) 때 김종서(金宗瑞)ㆍ정인지(鄭麟趾) 등이 교지(敎旨)를 받들어 편찬을 시작하여 문종(文宗) 때 완성된 고려시대에 관한 역사책. 총 139권.
1451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조선 문종(文宗) 때 김종서(金宗瑞) 등이 왕명으로 찬수(纂修)한 고려에 관한 편년체(編年體) 역사서. 기전체(紀傳體)인 《고려사(高麗史)》와 함께 고려에 관한 기본사료.
14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고령(高靈)
경상북도 남서단에 있는 고을 이름. 대가야(大伽倻)의 옛 도읍지.
경상도>고령 , 지명>행정지명
-
고루암(鼓樓巖)
중국 복건성(福建省) 무이산(武夷山) 계곡에 있는 암벽 이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고맹영(高孟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아버지. 호조 참의(戶曹參議) 등을 지냈으나 이량(李樑)의 당여(黨與)로서 이량이 실각하자 함께 유배됨.
150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고모담(姑母潭)
경기도 개성(開城)에 있는 못 이름. 박연폭포(朴淵瀑布) 아래에 있으며 지름 40m 정도의 연못.
경기도>개성 , 지명>자연지명
-
고문백선(古文百選)
조선 후기의 문신인 김석주(金錫胄)가 고문(古文)의 학습을 위해 진한(秦漢)에서 남송(南宋)까지의 문장 중 정화(精華) 100편을 뽑아 편차한 책.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고문운동(古文運動)
중국 당(唐)ㆍ송(宋) 때 부화(浮華)한 사륙변려문(四六騈儷文)을 배척하고 질박(質朴)한 선진(先秦)ㆍ양한(兩漢)의 고문(古文)을 부흥시키고자 한 운동. 당(唐)의 한유(韓愈)와 송(宋)의 구양수(歐陽脩)가 대표인물임.
중국>송ㅣ중국>당 , 중국 , 사상>기법>방법
-
고문진보(古文眞寶)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황견(黃堅)이 편찬했다는 책. 주대(周代)부터 송대(宋代)에 이르는 고시(古詩)ㆍ고문(古文)의 명문만을 뽑아 엮은 시문선집(詩文選集). 전집(前集) 10권, 후집(後集) 10권으로 구성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고반유편(考槃遺編)
조선 전기의 문신인 남언기(南彦紀)의 문집. 이이명(李頤命)의 《소재집(疎齋集)》에 그 발문(跋文)이 실려 있음.
문헌>서명
-
고변(高騈)
중국 당(唐) 나라 희종(僖宗) 때의 무신. 황소(黃巢)의 난을 평정하여 천하에 위명(威名)을 떨쳤으나, 여용지(呂用之)의 말을 믿다가 황제의 신임을 잃은 뒤 신선술을 닦으며 무료하게 보내던 중 필사탁(畢師鐸)에게 죽임을 당함.
?~88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고봉(高鳳)
중국 후한(後漢)의 일민(逸民). 아내가 밭에 가면서 보리를 마당에 널어놓고 닭을 보라고 부탁하였는데, 마침 비가 와서 보리 멍석이 떠내려갔으나 그런 줄도 모르고 장대만 들고 글을 읽었다고 함. 덕행으로 천거되었으나 사양하고 나가지 않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고봉정사(孤峰精舍)
조선 후기에 구봉우(具鳳羽)가 충청도 보은(報恩)에 세운 정사(精舍). 삼파연류봉(三派連溜峯) 정상에 있던 고봉정(孤峰亭)을 옮김.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보은 , 유적>건물>누정
-
고봉집(高峯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기대승(奇大升)의 문집. 1629년(인조 7) 기대승의 손서(孫婿)인 조찬한(趙纘韓)이 선산 부사(善山府使)로 있을 때 목판 3권 3책으로 간행함.
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문헌>서명
-
고부(古阜)
전라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학농민운동(東學農民運動)의 시발지. 동쪽으로 태인(泰仁), 남쪽으로 흥덕(興德), 북쪽으로 부안(扶安)과 접해 있던 지역.
전라도>고부 , 지명>행정지명
-
고사관수도(高士觀水圖)
조선 전기의 문신인 강희안(姜希顔)이 그린 그림. 깎아지른 듯한 절벽을 배경으로 바위 위에서 양팔을 모아 턱을 괸 채 수면을 바라보는 선비의 모습을 묘사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고사렴(高士廉)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제주(濟州). 훈련 판관(訓鍊判官)ㆍ현감(縣監) 등을 지냈으며, 《사암집(思菴集)》에 만사(輓詞)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무신
-
고사신(高思信)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횡성(橫城).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조광조(趙光祖) 등을 축출한 고형산(高荊山)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횡성 , 인명>문사>유학
-
고사전(高士傳)@황보밀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학자인 황보밀(皇甫謐)이 편찬한 은사(隱士)의 전기(傳記). 3권. 요(堯)시대부터 위말(魏末)까지 고결한 은군자(隱君子)들의 언행과 일화를 수록한 책으로, 《태평어람(太平御覽)》에 전재되어 있음.
중국 , 문헌>서명
-
고사전(高士傳)@혜강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ㆍ시인인 혜강(嵇康)의 저서. 고사(高士)들에 관한 전(傳)으로, 《태평어람(太平御覽)》 등에 그 일부가 남아 있음.
중국 , 문헌>서명
-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이(李珥)가 지은 연시조. 황해도 해주(海州)의 석담(石潭)에 은거할 때 수양산(首陽山)의 풍경과 감회를 읊은 시로, 주희(朱熹)의 〈무이구곡(武夷九曲)〉를 본떠 지음.
157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문헌>작품명
-
고산서원(古山書院)
조선 정조(正祖) 때 이동표(李東標)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경상도 예천(醴泉)에 건립한 서원.
177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고산서원(孤山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기도 여주(驪州)에 건립한 서원. 이존오(李存吾)ㆍ조한영(曺漢英) 등을 배향함.
168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고산서원(高山書院)@안동
조선 정조(正祖) 때 경상북도 안동시(安東市) 남후면(南後面)에 건립한 서원. 이상정(李象靖)을 배향함.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없어진 뒤 복원됨.
178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고산서원(高山書院)@장성
전라남도 장성군(長城郡) 진원면(珍原面)에 있는 서원. 조선 고종(高宗) 때 기정진(奇正鎭)이 담대헌(澹對軒)이라는 정사(精舍)를 짓고 강론하던 곳을 후손들이 중건하여 1927년에 고산서원(高山書院)이라 편액함. 기정진(奇正鎭) 등을 배향함.
1927 한국>근대 , 전라도>장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고산유고(孤山遺稿)
조선 후기의 문신ㆍ시인이며 남인(南人)의 거두인 윤선도(尹善道)의 문집. 아들 윤직미(尹直美)와 손자 윤이후(尹爾厚)가 시문을 정리하여 1678년(숙종 4)경에 초간본을 간행했을 것으로 짐작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고산유수(高山流水)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악공 백아(伯牙)가 고산유수곡(高山流水曲)을 타자 그의 친구 종자기(鍾子期)가 진실로 그 뜻을 이해하였다는 데서 나온 고사. 음악을 감상하는 능력이 뛰어남을 비유하거나 지기(知己)를 비유할 때, 또는 미묘한 음악, 특히 거문고 소리를 비유하는 말로 쓰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고상안(高尙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개성(開城). 강제(姜霽)의 문인으로, 함양 군수(咸陽郡守) 등을 지냈으며, 이덕형(李德馨)ㆍ이순신(李舜臣) 등과의 서사 기록(書事記錄)을 남김. 저서로 《태촌집(泰村集)》 등이 있음.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용궁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고성(固城)
경상남도의 중앙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소가야(小伽倻)의 도읍지.
경상도>고성 , 지명>행정지명
-
고성(高城)
강원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해안의 요지이며 해금강(海金剛)의 명승지.
강원도>고성 , 지명>행정지명
-
고성오광대(固城五廣大)
경상남도 고성군(固城郡) 고성읍(固城邑)에 전승되고 있는 광대놀이. 모두 다섯 마당으로 되어 있으며, 문둥이ㆍ원양반 등 19명의 배역이 가면을 쓰고 노는 가면극.
경상도>고성 , 기타>가무
-
고성이씨(固城李氏)
고려 전기 거란(契丹)의 침입 때 공을 세우고 문종(文宗) 때 철령군(鐵嶺君)에 봉해진 이황(李璜)을 시조로 하는 성씨. 중국 한(漢) 나라 이반(李槃)의 후손이라 함.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집단>성씨
-
고성정씨(固城鄭氏)
고려시대 호족인 정가물(鄭可勿)을 시조로 하는 성씨. 대표적인 인물로 선조(宣祖) 때의 문신이자 학자인 정개청(鄭介淸) 등이 있음.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고성 , 인명>집단>성씨
-
고성향교(固城鄕校)
조선 태조(太祖) 때 경상남도 고성군(固城郡) 고성읍(固城邑)에 창건한 향교. 오성(五聖:공자ㆍ증자ㆍ맹자ㆍ자사ㆍ안자), 송조육현(宋朝六賢), 한국십팔현(韓國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음.
13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고소대(姑蘇臺)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오왕(吳王) 부차(夫差)가 고소산(姑蘇山) 위에 쌓은 대(臺).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유적>건물>누정
-
고소성(姑蘇城)
중국 강소성(江蘇省) 소주(蘇州)에 있는 성. 당(唐) 나라 시인 장계(張繼)의 〈풍교야박(楓橋夜泊)〉 시가 알려지면서 우리나라 문인들의 시에 많이 인용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고손지(高遜志)
중국 원(元) 말~명(明) 초의 문신ㆍ문인. 《원사(元史)》를 편수함.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고수부담(孤樹裒談)
중국 명(明) 나라의 이묵(李默)이 홍무(洪武) 연간에서 정덕(正德) 연간에 이르는 명 나라의 사적(事蹟)을 정리한 책. 일부에서는 조가여(趙可與)의 저서로 알려짐.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고순(高淳)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인. 본관은 제주(濟州). 남효온(南孝溫), 신영희(辛永禧) 등과 교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문사>문인
-
고숭걸(高崇傑)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고성(高城)으로, 정여창(鄭汝昌)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종성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