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제영(緹縈)
중국 후한(後漢) 때의 효녀. 태창공(太倉公) 순우의(淳于意)의 딸로, 아버지가 죄를 짓자 자신을 관비(官婢)로 삼고 아버지의 죄를 없애 줄 것을 상서(上書)하여 문제(文帝)가 면죄해 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제오륜(第五倫)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명신(名臣)으로 언변(言辯)이 뛰어났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제왕세기(帝王世紀)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인 황보밀(皇甫謐)의 저서. 고대부터 조위(曹魏)까지의 황제(皇帝)들의 사적(事跡)을 기록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제왕운기(帝王韻紀)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이승휴(李承休)가 쓴 역사 서사시(敍事詩). 역대사(歷代史)의 교훈을 시로 적은 것으로, 단군(檀君)을 민족의 공동 시조(始祖)로 삼았음.
1287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제우당문집(悌友堂文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의병장인 박경전(朴慶傳)의 시문집. 3권 1책. 목활자본.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의 참전 기록이 담겨 있으며, 1867년(고종 4)에 《십사의사록(十四義士錄)》의 권2로 수록됨.
186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제월당집(霽月堂集)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인 송규렴(宋奎濂)의 문집. 7권 4책. 목활자본. 현손 송기정(宋基鼎)이 산문(散文)을 수집하고, 초천(蕉泉) 김상휴(金相休)의 질정을 받아 1819년(순조 19)에 간행함.
181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제을(帝乙)
중국 은(殷) 나라의 제29대 왕. 주(紂)의 아버지이자, 태정(太丁)의 아들.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제정집(霽亭集)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달충(李達衷)의 문집. 조선 세종(世宗) 때 손자 이영상(李寧商)이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로 있으면서 간행하였으나 현재 전하지 않고, 이후 후손들에 의해 중간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춘천 , 문헌>서명
-
제주양씨(濟州梁氏)
탐라(耽羅) 개국설화에 나오는 삼신인(三神人) 중의 한 사람인 양을나(良乙那)를 시조로 하는 성씨. 후손 양탕(良宕)이 신라에 입조(入朝)하여 양성(梁姓)으로 사성됨.
고대 , 전라도>제주 , 인명>집단>성씨
-
제준(帝俊)
중국 고대의 전설상의 황제. 후직(后稷)의 아버지로, 아황(娥皇)ㆍ희화(羲和)ㆍ상희(常羲) 세 아내를 둠. 태양과 달의 아버지 신으로, 은(殷) 민족의 조상이라 전해짐.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제해기(齊諧記)
중국 한(漢) 나라의 도사인 성무정(成武丁)의 저서. 도교(道敎) 관련 서적으로, 괴담(怪談)을 기록함.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제호시화(霽湖詩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양경우(梁慶遇)의 시화집. 작자의 시론(詩論)과 우리나라 시인들의 일화나 작시(作詩)의 경향 등을 소개함. 《제호집(霽湖集)》권9에 수록되어 있으며, 《어우야담(於于野談)》등에도 일부 전재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제호집(霽湖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양경우(梁慶遇)의 문집. 저자가 생전에 정리한 자편고(自編稿)를 바탕으로 수집, 편차하여, 손자 양도(梁燾)가 부친인 양진핵(梁振翮)의 《이촌집(伊村集)》을 부집(附集)한 뒤 김상헌(金尙憲)과 김류(金瑬)의 서를 받아 간행함. 목활자본.
164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조^곽^왕(祖^郭^王)
중국 명(明) 나라의 무신인 조승훈(祖承訓)ㆍ곽몽징(郭夢徵)ㆍ왕수관(王守官)을 함께 부르는 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조선에 구원병으로 온 세 장군을 말함.
중국>명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조^사(曹^謝)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시인인 조식(曹植)과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시인인 사영운(謝靈運)을 함께 부르는 말. 시에 뛰어난 두 시인을 말함.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조^석(曺^石)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무신인 조원정(曺元正)과 석린(石隣)을 함께 부르는 말. 정중부(鄭仲夫)의 난 때 정권을 잡고 세력 확장을 꾀했던 두 사람을 말함.
한국>고려후기 , 사상>술어>관용어
-
조^손(曹^孫)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황제인 대제(大帝) 손권(孫權)과 위(魏) 나라의 황제인 무제(武帝) 조조(曹操)를 함께 부르는 말. 삼국시대에 적벽대전(赤壁大戰) 등의 치열한 전쟁을 통해 천하를 호령했던 두 영웅을 말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조가여(趙可與)
중국 명(明) 나라 무종(武宗) 때의 문신ㆍ학자. 염운사(鹽運使) 등을 지내고, 일부에서는 《고수부담(孤樹裒談)》의 저자로 알려짐.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간(趙簡)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김제(金堤). 관직은 찬성사(贊成事) 등을 역임했고 시문(詩文)이 뛰어나 《동문선(東文選)》ㆍ《풍암집화(風巖輯話)》 등에 시가 수록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김제 , 인명>관인>문신
-
조간자(趙簡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정경(正卿). 조양자(趙襄子)의 아버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조강(祖江)
한강(漢江)과 임진강(臨津江)이 합류되는 지점으로부터 경기도 통진(通津) 북부 지역을 거쳐 서해로 흘러드는 강.
경기도>파주ㅣ경기도>통진ㅣ경기도>김포 , 지명>자연지명
-
조개(趙槪)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구양수(歐陽脩)와 더불어 참정(參政) 반열에 오른 현인ㆍ군자로 일컬어짐.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조견(趙狷)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판도판서(版圖判書) 조덕유(趙德裕)의 아들.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중 한 사람.
1351~142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조경(趙絅)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익남(趙翼男)의 아들이며 윤근수(尹根壽)의 문인(門人).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척화(斥和)를 주장하고, 대제학(大提學)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86~166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거창ㅣ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조경묘(肇慶廟)
조선 영조(英祖) 때 전주이씨(全州李氏)의 시조인 이한(李翰)과 시조비(始祖妃)의 위패를 봉안하기 위해 전라도 전주에 세운 사당. 1771년(영조 47)에 경기전(慶基殿)의 북쪽에 세움.
177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유적>건물>사당
-
조경수(曺敬修)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조항(曺沆)의 아버지로, 밀직사사(密直司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조계문(曺繼門)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조위(曺偉)의 아버지이며, 김종직(金宗直)의 장인.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과 울진 현령(蔚珍縣令) 등을 역임함.
1414~14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금산 , 인명>관인>문신
-
조계산(曹溪山)
전라남도 순천(順川) 북서부에 있는 산 이름.
전라도>순천 , 지명>자연지명
-
조계상(曺繼商)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예조 참의(禮曹參議) 조광원(曺光遠)의 아버지.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냄.
1466~154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조계은(曺繼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이조 좌랑(吏曹佐郞) 조언경(曺彦卿)의 아버지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한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조고(趙高)
중국 진(秦) 나라의 환관(宦官). 진시황(秦始皇)이 죽은 뒤 조서를 꾸며 호해(胡亥)를 제2대 황제(黃帝)로 즉위시키고, 이사(李斯)를 죽인 뒤 스스로 정승(政丞)이 되어 횡포를 저지름.
?~B.C.207 중국>진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조공탁(趙公卓)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창(淳昌). 낭중(郞中)을 지냈으며, 차남인 순창부원군 백안불화(伯顔不花)가 원(元) 나라에서 영록대부(榮祿大夫)에 올라 요양현군(遼陽縣君)으로 봉해짐.
1256~131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문신
-
조괄(趙括)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의 무신. 마복군(馬服君) 조사(趙奢)의 아들로, 임기응변에 어두워 진(秦) 나라 무안군(武安君) 백기(白起)에게 참패를 당해 죽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조광(趙匡)
중국 당(唐) 나라의 학자. 담조(啖助)의 문인(門人)으로, 《춘추(春秋)》에 조예가 깊어 《춘추집전찬례(春秋集傳纂例)》를 짓고, 《오경정의(五經正義)》에 이의를 제기했으며, 학풍은 송(宋) 나라 유학(儒學)에 영향을 미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조광림(趙廣臨)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금산 군수(金山郡守)를 지낸 조훈(趙勛)의 아들. 김일손(金馹孫)과 함께 동방급제(同榜及第)하고, 봉상시 봉사(奉常寺奉事)를 지냄.
1463~149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광보(趙廣輔)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금산 군수(金山郡守)를 지낸 조훈(趙勛)의 아들. 중종 때 박원종(朴元宗) 등을 모해하였다는 죄목으로 국문을 받았으나, 당시의 폐단에 대해 거침없이 직언(直言)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조광원(曺光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우찬성(右贊成)을 지낸 조계상(曺繼商)의 아들로, 예조 참의(禮曺參議)ㆍ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지냄.
1492~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조광익(曹光益)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주자연보(朱子年譜)〉에 보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조광조(趙光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으로, 도학정치(道學政治)를 주창하며 급진적인 개혁정책을 시행하였으나 훈구(勳舊) 세력이 일으킨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인해 죽임을 당함.
1482~15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광좌(趙廣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금산 군수(金山郡守)를 지낸 조훈(趙勛)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붕당으로 몰려 삭직되고, 1521년(중종 16)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장살(杖殺)당함.
1483~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광필(趙廣弼)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한양(漢陽). 통정대부(通政大夫) 조징(趙澄)의 아버지로, 사과(司果)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조굴원부(弔屈原賦)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학자인 가의(賈誼)의 시. 굴원(屈原)의 초사(楚辭)를 계승하여 소체(騷體) 혹은 초사(楚辭)로 불리며, 초사(楚辭)에서 한부(漢賦)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작품으로 평가됨.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작품명
-
조균(趙鈞)@조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양주(楊州). 1522년(중종 17)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고,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과 시문(詩文)으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조균(趙鈞)@고려
고려 말의 유학. 김수(金隨)의 형인 김규(金糾)의 외손(外孫)이며 이색(李穡)이 지어 준 시(詩)가 《목은시고(牧隱詩稿)》에 전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조극공(趙克恭)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로, 계공랑(啓功郞) 조이종(趙李宗)의 아들. 조욱(趙昱)이 서울로 올라가는 조극공에게 영월(寧越)에서 시를 지어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조극치(曺克治)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수성(壽城). 조윤성(曺允誠)의 아들로, 김종직(金宗直)과 교유함. 서장관(書狀官)으로 연경(燕京)에 다녀오고, 전라도 병마절도사(全羅道兵馬節度使)ㆍ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조근(趙瑾)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영중추원사(領中樞府事)를 지낸 조말생(趙末生)의 아들로, 《문종실록(文宗實錄)》편찬에 참여하였으며, 문장이 뛰어나고 해서(楷書)에 능하여 외교문서ㆍ전적(典籍) 등의 작성에 공헌함.
1417~147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조금호(趙金虎)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으로, 생육신(生六臣) 조려(趙旅)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원종일등훈(靖國原從一等勳)을 받고, 내금위 장(內禁衛將) 등을 지냄.
1445~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ㅣ인명>기타인명>공신
-
조달생(趙達生)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조유(趙瑜)의 아들로, 정수강(丁壽崗)과 시문으로 교유하고, 영흥 판관(永興判官)ㆍ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영흥 , 인명>관인>문신
-
조대림(趙大臨)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사위.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 조준(趙浚)의 아들로, 태종의 둘째 딸 경정공주(慶貞公主)와 결혼함. 여러 차례 중국사신을 영접했으며 사은사(謝恩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1387~1430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조대춘(趙大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횡성(橫城)으로, 조목(趙穆)의 아버지.
1487~1573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횡성 , 인명>관인>문신
-
조덕유(趙德裕)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조선 개국공신인 조준(趙浚)과 조견(趙狷)의 아버지로, 판도판서(版圖判書)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조돈(趙暾)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대대로 용진(龍津)에 살다가 고려에 귀부하여 충숙왕을 섬기고, 홍건적이 침략하자 안우(安祐)의 휘하에서 공을 세워 1등공신에 녹명됨.
1308~1380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문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조동호(趙銅虎)
조선 예종(睿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생육신(生六臣) 조려(趙旅)의 아들이자 집의(執義) 조참(趙參)ㆍ상주 목사(尙州牧使) 조적(趙績)ㆍ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조순(趙舜)의 아버지로, 진산 군수(珍山郡守) 등을 지냄.
1441~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조둔(趙盾)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 영공(靈公)~성공(成公) 때의 대부. 조최(趙衰)의 아들.
B.C.654~B.C.60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조득의(趙得宜)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 무제(武帝)에게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자허부(子虛賦)〉를 보여주고 사마상여(司馬相如)를 관직에 추천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조등(曺璒)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감사(監司) 조한필(曺漢弼)의 아버지로, 삼척 부사(三陟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조래산(徂徠山)
중국 산동성(山東省) 태안현(泰安縣)에 있는 산. 이백(李白)이 공소보(孔巢父)ㆍ한준(韓準)ㆍ배정(裴政)ㆍ장숙명(張叔明)ㆍ도면(陶沔)과 더불어 술과 노래를 즐기며 세속을 초일(超逸)한 곳으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조래집(徂徠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석개(石介)의 저서. 총2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조려(趙旅)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은자. 조안(趙安)의 아들. 조선 전기 생육신(生六臣) 중의 한 사람으로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향리에 은거하면서 평생을 보냄.
1420~14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기타인명>은자
-
조련(趙璉)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조인규(趙仁規)의 아들이며, 조선의 개국공신인 조준(趙浚)의 할아버지. 충숙왕 때 찬성사(贊成事)를 지냄.
?~1322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조렴(趙廉)
고려 충숙왕(忠肅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창(淳昌). 안축(安軸)ㆍ최용갑(崔龍甲)과 함께 원(元) 나라에서 과거에 응시하여 제과(制科)에 급제하였고, 고려에서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지냄.
1290~1343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조룡대(釣龍臺)
충청도 부여(扶餘)의 백마강(白馬江) 가운데 있는 바위. 당(唐) 나라 장수 소정방(蘇定方)이 바위에 걸터앉아 백마(白馬)를 미끼로 용(龍)을 낚았다는 전설에서 붙여진 이름.
충청도>부여 , 지명>자연지명
-
조림(趙琳)@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김인후(金麟厚)의 문인인 조희문(趙希文)의 아버지로, 사성(司成)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조림(趙琳)@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총관(摠管)을 지낸 조양기(趙良琪)의 아들이며, 예의 판서(禮儀判書)를 지낸 조돈(趙暾)의 형.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덕원 , 인명>관인>문신
-
조말생(趙末生)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로, 태종(太宗)의 부마인 조선(趙璿)의 아버지. 조용(趙庸)의 문인으로, 영중추원사(領中樞院事) 등을 지냄.
1370~144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조말손(曺末孫)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사옹원 정(司饔院正)을 지낸 조치우(曺致虞)의 아버지. 1472년(성종 3)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조맹부(趙孟頫)
중국 원(元) 나라의 서화가ㆍ문인. 송(宋) 나라의 종실이면서 원 나라에서 한림학사 승지(翰林學士承旨)를 지내고, 사후 위국공(魏國公)에 추봉됨. 서화(書畵)와 시문에 뛰어나서 원 나라의 4대가 중 한 사람으로 꼽힘.
1254~1322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조명성(趙明誠)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금석학자ㆍ장서가(藏書家). 문인 이청조(李淸照)의 남편으로, 부인과 함께 구양수(歐陽脩)의 《집고록(集古錄)》을 본떠《금석록(金石錄)》을 완성함.
1081~112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조목(趙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횡성(橫城). 조대춘(趙大春)의 아들이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대과(大科)를 포기하고 경전(經傳) 연구와 수양에만 전념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24~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조문절공유고(趙文節公遺稿)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조원기(趙元紀)의 문집.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조민수(曺敏修)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무신. 본관은 창녕(昌寧). 창왕(昌王)을 추대하는 데 공을 세워 안사공신(安社功臣)이 됨. 이성계(李成桂) 일파에 대항하다가 서인(庶人)으로 강등되고, 창녕으로 유배되어 죽음.
?~139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조박(趙璞)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전의시 영(典儀寺令)을 지낸 조사겸(趙思謙)의 아들. 태종과 동서 사이로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오르지만, 생전에 불교를 믿었다는 탄핵을 받아 공신녹권(功臣錄券)이 소각당함.
1356~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조반(趙胖)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호군(護軍) 조세경(趙世卿)의 아들. 조선 태조(太祖)를 추대하여 개국공신(開國功臣)이 되고 복흥군(復興君)에 봉해졌으며,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를 지냄.
1341~140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조방(趙汸)
중국 원(元) 말~명(明) 초의 학자. 《춘추(春秋)》에 조예가 깊어 《춘추집전(春秋集傳)》을 저술하고, 역학(易學)과 천문학(天文學)에도 밝아 많은 저서를 남김.
1319~1369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조방좌(趙邦佐)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 조사수(趙士秀)의 아버지로 돈녕부 참봉(敦寧府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조번(趙蕃)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유청지(劉淸之)의 문인(門人)으로 직비각(直秘閣) 등 여러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출사(出仕)하지 않고, 고향에서 후진을 양성해 많은 사람들의 칭송을 받음.
1143~122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변(趙抃)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촉(蜀)의 수령으로 있으면서 청렴하여 모범을 보이고, 후에 태자소보(太子少保) 등을 지냈으며, 저서에 《청헌집(淸獻集)》이 있음.
1008~108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조변옹(曺變雍)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리학자 조한보(曺漢輔)의 아버지로, 사용(司勇)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무신
-
조보(趙普)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태조(太祖)의 총애를 받았고 내외의 치정(治政)에 수완을 발휘함으로써 번진(藩鎭) 해체와 금군(禁軍)의 강화 등 중앙집권화를 추진하는 등 송조(宋朝)의 지배체제를 확립함.
922~992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조보지(晁補之)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시인ㆍ학자. 문동(文同)의 친구이자 소식(蘇軾)의 제자로, 진관(秦觀)ㆍ장뢰(張耒)ㆍ황정견(黃庭堅)과 함께 소문사학사(蘇門四學士)로 일컬어짐. 저서로 《계륵집(鷄肋集)》등이 있음.
1053~111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조복명(趙復命)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제(金堤). 교동(喬桐)ㆍ부안(扶安)ㆍ사천(泗川) 등의 현감(縣監)을 지냈으며,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김제 , 인명>관인>문신
-
조부우(趙府隅)
조선 중종(中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영숭전 참봉(永崇殿參奉)을 지낸 조일건(趙一建)의 아들로 효성이 지극하고, 태천 현감(泰川縣監)으로 나가서는 많은 선정을 베풂. 교서관 별좌(校書館別坐) 등을 지냄.
1491~1553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조분(趙芬)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창(淳昌). 조공탁(趙公卓)의 아들이자 환관인 백안불화(伯顔不花)의 형.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조비연(趙飛燕)
중국 전한(前漢) 성제(成帝)의 황후(皇后). 가무(歌舞)에 뛰어난 절세의 미인으로 황후(皇后)의 지위까지 오르게 되었지만 성제(成帝)가 죽자 자살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조빈(趙鑌)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배천(白川). 조양선(趙揚善)의 아들. 통훈대부(通訓大夫)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로, 시(詩)를 잘하여 조정에서 유명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조사(照師)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이 써준 서권(書卷)이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조사(趙奢)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의 무신. 조괄(趙括)의 아버지로, 한(漢) 나라와 진(秦) 나라가 알여(閼與)에서 싸울 때 진군(秦軍)을 대파하여 한 나라를 구원한 공으로 마복군(馬服君)에 봉해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조사겸(趙思謙)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정사공신(定社功臣) 조박(趙璞)의 아버지로, 전의시 영(典儀寺令)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조사공(趙師䢼)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가흥 통판(嘉興通判)을 지냄. 절강성(浙江省) 태주(台州) 천태인(天台人).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역(易)과 시(詩)를 배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사수(趙士秀)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조방좌(趙邦佐)의 아들로, 육조(六曹)의 판서(判書)를 거쳐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을 지냄.
1502~155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진보조씨(眞寶趙氏)
고려 후기 사예(司藝) 등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 예조 판서(禮曹判書)ㆍ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지낸 조용(趙庸)을 시조로 하는 성씨. 배천(白川)에서 분관하여 진보를 본관으로 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집단>성씨
-
진복(陳宓)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승상(丞相) 진준경(陳俊卿)의 아들로, 어려서는 주희(朱熹)에게 배웠고, 커서는 황간(黃幹)에게 배움. 직비각(直秘閣)의 벼슬을 지냄. 저술에 《논어주의(論語註義)》가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복창(陳復昌)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이자 간신. 본관은 여양(驪陽).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윤원형(尹元衡)의 심복으로서 사람들을 죽여 사관(史官)으로부터 독사(毒蛇)라는 별명을 얻었고, 1550년(명종 5)에는 스승인 구수담(具壽聃)까지 역적으로 죽게 하여 극적(極賊)이라는 혹평을 얻음.
?~156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진부량(陳傅良)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백웅(鄭伯熊)의 문인으로, 중서사인(中書舍人) 등을 지냄. 설계선(薛季宣)ㆍ섭적(葉適) 등과 함께 영가학파(永嘉學派)의 대표적 인물로 실용과 경제를 주장함.
1137~120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진사교(陳四敎)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부여(扶餘). 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 진식(陳植)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 , 인명>문사>유학
-
진사도(陳師道)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 시로 인해서 증공(曾鞏)과 소식(蘇軾)을 알게 되었으며, 소식의 문인 가운데에서 황정견(黃庭堅)과 함께 황진(黃陳)이라 병칭됨.
1053~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진사문(陳斯文)
고려 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정당문학(政堂文學)ㆍ도첨의참리(都僉議參理)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진산(珍山)
충청남도 금산(錦山)의 옛 고을 이름. 전라도 완주(完州)와 경계에 있는 이현(梨峴)은 임진왜란 때 권율(權慄) 장군이 일본군 2만 명을 대파한 곳으로 유명함.
전라도>진산 , 지명>행정지명
-
진삼국사기표(進三國史記表)
고려 인종(仁宗) 23년에 김부식(金富軾)이 《삼국사기(三國史記)》를 진헌하면서 올린 표(表). 《삼국사기》의 편찬 동기와 경위 등이 밝혀져 있으며, 《동문선(東文選)》 권44 표전(表箋)에 수록되어 있음.
1145 한국>고려전기 , 문헌>기타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