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진상인(珍上人)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승려. 오품(五品) 벼슬을 지냈으나 공민왕의 승하 후, 부도(浮圖)의 법에 입문하여 승려가 되었고, 권근(權近)이 〈보암기(寶巖記)〉를 지어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관인>문신
-
진서(陳書)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의 명으로 요간(姚簡)이 편찬한 남북조시대 진(陳) 나라의 사서(史書). 이십사사(二十四史)의 하나로, 본기(本紀) 6권, 열전(列傳) 30권으로 이루어짐.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진성여왕(眞聖女王)
신라의 제51대 왕. 재위 887~897. 경문왕(景文王)의 딸이자 헌강왕(憲康王)ㆍ정강왕(定康王)의 누이동생. 재위기간 동안 나라가 혼란에 빠지고 후삼국으로 다시 나뉨. 각간(角干) 위홍(魏弘) 등에게 향가집 《삼대목(三代目)》을 편찬하게 함.
?~89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진세량(陳世良)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진수(溱水)
중국 하남성(河南省)에 있는 강 이름.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에 있던 강으로, 영양(榮陽) 성수욕(聖水峪)에서 발원하여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름. 유수(洧水)와 함께 ‘진유(溱洧)’라는 이름으로 《시경(詩經)》 정풍(鄭風)의 편명으로 쓰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진순(陳淳)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부(主簿)를 지냄. 주희(朱熹)의 제자로, 주로 철학 이론 면에서 스승의 학설을 계승하고 선양하려 힘씀.
1159~122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진승중(陳承重)
조선 전기의 아전. 본관은 흥덕(興德). 진유(陳留)의 아버지로, 녹사(錄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흥덕 , 인명>관인>아전
-
진식(陳埴)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질문(質問)의 장점과 효과에 대해 크게 장려함. 제자들의 질문에 답한 것을 모아 펴낸 《목종집(木鍾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식(陳寔)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 태구 현령(太丘縣令)을 지냄. 아들 진기(陳紀)ㆍ진심(陳諶)과 함께 세 군자란 명성이 있으며, 양상군자(梁上君子)란 고사로도 유명함.
104~18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식(陳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여(扶餘). 1506년(연산군 12)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서산 군수(瑞山郡守)ㆍ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 , 인명>관인>문신
-
진심(陳諶)
중국 후한(後漢) 말의 학자. 형인 진기(陳紀)와 더불어 덕망이 높아 아버지 진식(陳寔)으로부터 난형난제(難兄難弟)라 일컬어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안대군(鎭安大君)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첫째 아들. 신의왕후(神懿王后) 한씨(韓氏)의 소생으로, 고려 창왕(昌王) 때 밀직부사(密直副使)로서 강회백(姜淮伯)과 함께 명 나라에 파견되어 창왕의 친조(親朝)를 청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진안군(鎭安君)에 봉해짐.
1354~139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왕자
-
진암수(陳巖壽)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삼척(三陟). 어려서부터 무예에 능하여 일찍이 무과에 급제한 후 성종의 총애를 받아 선전관(宣傳官)을 지내고, 내자 판관(內資判官)ㆍ임천 군수(林川郡守) 등을 지냄.
1457~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무신
-
진양(陳襄)
중국 송(宋)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당시 개혁정치를 펼쳤던 왕안석(王安石)을 귀양 보내고자 하였으나 도리어 폄직됨. 고인들의 언행을 본받고, 가는 곳마다 학교를 세워 민간의 이익을 강구함.
1017~108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진양향현록(晉陽鄕賢錄)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인 박태무(朴泰茂)가 지은 글. 진주(晉州)에 대각사(大覺祠)를 세워 하항(河沆)을 향사한 전말을 적은 것으로, 하항의 문집인 《각재집(覺齋集)》의 부록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문헌>작품명
-
진언(陳言)
중국 명(明) 나라의 역승(驛丞). 조선 성종(成宗) 때 천추절 진하사(千秋節進賀使)로 명 나라에 갔던 홍귀달(洪貴達)을 후대(厚待)한 일이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여의(陳與義)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내고, 시에 뛰어나 도연명(陶淵明)ㆍ유종원(柳宗元) 등과 비견됨.
1090~113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진역(陳櫟)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송(宋) 나라가 멸망한 뒤 은거하면서 주희(朱熹)를 종주(宗主)로 삼고 저술에 전념함.
1252~1334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연(陳淵)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진관(陳瓘)의 질손(姪孫)이며 양시(楊時)의 문인.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염(秦冉)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중국 문묘(文廟)에 배향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왕(秦王)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의 하나인 전조(前趙)의 제5대 황제. 재위 318~328. 고조(高祖)인 유연(劉淵)의 조카로, 즉위 후 국호를 ‘조(趙)’로 고치고 장안(長安)에 도읍하였으나, 후조(後趙)의 석륵(石勒)에게 피살됨.
?~32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진요자(陳堯咨)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지개봉부(知開封府)ㆍ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지냈으며, 예서(隸書)에 능하고 활쏘기를 잘했다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요좌(陳堯佐)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 때의 문신. 진요자(陳堯咨)의 형으로 성품이 강직했으며, 평장사(平章事)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운홍(陳雲鴻)
중국 명(明) 나라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조선의 원군으로서 참전하고, 일본의 장수 소서행장(小西行長)과 직접 만나 회담을 가짐.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진유(陳留)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흥덕(興德). 선무랑 녹사(宣務郞錄事)를 지낸 진승중(陳承重)의 아들로, 훈도(訓導)를 지내고 1513년(중종 8)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곤양 , 인명>문사>유학
-
진유경(秦有經)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기(豊基). 진호(秦浩)의 아들로,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진율령(晉律令)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가충(賈充)과 두예(杜預) 등이 함께 편찬한 진 나라의 율령서(律令書).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진의귀(陳義貴)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문인. 집현전 제학(集賢殿提學)ㆍ형조 전서(刑曹典書)를 지냄. 퇴촌(退村) 김열(金閱)의 장인. 김열의 증손 김은경(金殷卿)이 진의귀와 김열의 시를 함께 엮어 《빙옥난고(氷玉亂稿)》를 편찬함.
?~1424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진일유고(眞逸遺藁)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진일재(眞逸齋) 성간(成侃)의 시문집. 4권 1책. 목판본. 형인 성임(成任)이 수집하고 동생인 성현(成俔)이 편집하여 1467년(세조 13) 간행함. 서거정(徐居正)ㆍ성현의 서문과 이윤보(李胤保)의 발문이 실려 있음.
146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진재역설(進齋易說)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진재(進齋) 서기(徐幾)가 《주역(周易)》에 대하여 풀이한 책.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진적(診籍)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 때의 명의(名醫)인 순우의(淳于意)가 쓴 의안(醫案). 환자의 이름ㆍ주소ㆍ직업ㆍ병상ㆍ맥상ㆍ병명ㆍ진단ㆍ치료 방식ㆍ효과 등을 자세하게 기재해 놓은 병사(病史) 기록으로, 모두 25가지의 예가 실려 있음.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진정표(陳情表)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인 이밀(李密)이 황제에게 올린 표문. 무제(武帝) 때 세자 사마(世子洗馬)로 임명되자 사양의 뜻으로 올린 글.
26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진조전(陳祖田)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의 문신. 관직으로 원외랑(員外郞)을 지냄. 서거정(徐居正)이 준 시가 《사가집(四佳集)》에 전함.
일본>실정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진종(眞宗)
중국 송(宋) 나라의 제3대 황제. 재위 997~1022. 당말(唐末)과 오대(五代)의 혼란을 수습하고 중앙집권체제를 확립하여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나, 동북 요(遼) 나라의 침입을 받음.
968~1022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진주(晉州)
경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명승지로 촉석루(矗石樓)ㆍ서장대(西將臺) 등이 있음.
경상도>진주 , 지명>행정지명
-
진주강씨(晉州姜氏)
고구려 영양왕(嬰陽王) 때 병마도원수(兵馬都元帥)를 지낸 강이식(姜以式)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구려 , 경상도>진주 , 인명>집단>성씨
-
진주소씨(晉州蘇氏)
중국에서 이주하여 진한(辰韓)을 세웠다는 소백손(蘇伯孫)을 시조로 삼고, 신라 때 각간(角干)을 지낸 소경(蘇慶)을 중시조로 하는 성씨.
고대 , 경상도>진주 , 인명>집단>성씨
-
진주유씨(晉州柳氏)
고려시대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로서 진강부원군(晉康府院君)에 봉해진 유정(柳挺)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진주 , 인명>집단>성씨
-
진주정씨(晉州鄭氏)
고려 때의 인물인 정예(鄭藝)ㆍ정장(鄭莊)ㆍ정자우(鄭子友)ㆍ정헌(鄭櫶) 등을 각 시조로 삼아, 동성동본이면서 세계(世系)를 달리하는 각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진주 , 인명>집단>성씨
-
진주하씨(晉州河氏)
고려 때 좌사낭중(左司郞中)을 지낸 하공진(河拱辰), 사직(司直)을 지낸 하진(河珍), 주부(主簿)를 지낸 하성(河成)을 각 시조로 하는 세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진주 , 인명>집단>성씨
-
진준(陳俊)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양(驪陽)으로, 진총후(陳寵厚)의 아들.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냈고, 무신정변(武臣政變)이 일어났을 때 많은 문신(文臣)들을 보호함.
?~1179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진준(陳遵)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 가위후(嘉威侯)에 오름. 술을 좋아한 것으로 유명한데, 손님이 찾아오면 대문의 열쇠를 잠그고 손님 수레의 비녀장을 샘에 던져 넣어 아무리 급한 사정이 있어도 손님이 돌아가지 못하게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준경(陳俊卿)
중국 송(宋) 고종(高宗)~효종(孝宗) 때의 재상. 진복(陳宓)의 아버지. 상서 우복야(尙書右僕射) 등을 거쳐 소사(少師)ㆍ위국공(魏國公)으로 치사함. 치란(治亂)과 안위(安危)에 관해 직언을 잘함.
1113~118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중(陳重)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 친구인 뇌의(雷義)와의 우정으로 유명함. 일찍이 효렴(孝廉)으로 천거되었을 때 이를 뇌의에게 양보하였고, 그후 뇌의도 무재(茂才)로 천거되어 이를 진중에게 양보했으나 관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자 거짓으로 미친 체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중자(陳仲子)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제(齊) 나라의 은자. 맹자(孟子)는 그를 나라의 제일 큰 선비로 인정하면서도 사람의 윤리를 저버리고 소소한 청렴에 급급했다 하여 비난한 바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진지(陳址)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승상(丞相) 진준경(陳俊卿)의 손자이며 진식(陳寔)의 아들로, 주희(朱熹)의 문인. 승사랑(承事郞)에 올랐으나 28세에 죽었으며 주희가 광명(壙銘)을 지어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지왕(眞智王)
신라 제25대 왕. 재위 576~579. 진흥왕(眞興王)의 둘째 아들로, 왕위에 올라 무열왕계(武烈王系)의 시조가 됨. 내리서성(內利西城)을 쌓아 백제의 잦은 침공을 방비했으며, 중국 남조(南朝)의 진(陳) 나라와 수교하여 화친을 도모하였으나, 4년 만에 화백회의에 의해 폐위됨.
?~579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진총후(陳寵厚)
고려 인종(仁宗) 때의 무신. 여양진씨(驪陽陳氏)의 시조로, 매호(梅湖) 진화(陳澕)의 증조부. 대장군(大將軍)으로서 이자겸(李資謙)의 난을 토평하는 데 공을 세움.
한국>고려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무신
-
진충(陳忠)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 상서(尙書)를 역임함. 진기(陳紀)와 함께 덕망이 높았던 진심(陳諶)의 아들.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탕(陳湯)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성제(成帝) 때의 문신. 당대의 권세가로 진함(陳咸)의 뇌물을 받고 내직(內職)으로 임명해 주었다는 고사가 있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평(陳平)
중국 전한(前漢)의 무신. 처음에는 항우(項羽)를 따랐으나 후에 유방(劉邦)을 섬겨 한(漢) 나라 통일에 공을 세우고, 고향의 호유후(戶牖侯)에 임명됨. 그 후 주발(周勃)과 함께 여씨(呂氏)의 난을 평정한 후 문제(文帝)를 옹립함.
?~B.C.17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진평왕(眞平王)
신라 제26대 왕. 재위 579~632. 진흥왕(眞興王)의 손자. 위화부(位和府)ㆍ예부(禮部) 등의 관청을 신설하여 내정의 충실을 도모하고 원광(圓光)ㆍ담육(曇育) 등 명승을 중국에 보내어 수도하게 하는 등 불교를 진흥시켰으며, 왕실 강화에 힘씀.
?~632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진포(鎭浦)
전라도 임피(臨陂)와 옥구(沃溝)의 금강(錦江) 하구에 위치한 포구의 이름. 고려 말 최무선(崔茂宣)이 처음 화포(火砲)와 화통(火筒)을 사용하여 왜구를 물리친 곳임.
전라도>임피ㅣ전라도>옥구 , 지명>행정지명
-
진한(辰韓)
고대 한반도 중부 이남 지역에 분포한 삼한(三韓) 중의 하나. 기원 전후부터 4세기경에 지금의 경상도 대구ㆍ경주 지역에 분포한 12개의 소국. 4세기경에 신라의 기본세력으로 편제되었으며, 일부는 가야(伽倻)의 소국으로 발전함.
시간>국명
-
진함(陳咸)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성제(成帝) 때의 문신. 석현(石顯)을 탄핵하다 하옥되고, 진탕(陳湯)에게 뇌물을 주어 소부(少府)가 되고 급사중(給事中) 등을 지냄.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헌(陳軒)
중국 송(宋)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관직으로 병부 시랑(兵部侍郞)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헌장(陳獻章)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오여필(吳與弼)에게 사사하고, 송대(宋代) 육상산(陸象山)의 학풍을 계승함. 유교경전의 자질구레한 해석에 몰두하는 명대(明代)의 주자학에 반발하고 실천성을 강조함.
1428~150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혜제백관명(晉惠帝百官名)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인 육기(陸機)의 저서. 총3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진호(秦浩)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풍기(豊基). 예조 참의(禮曹參議) 진유경(秦有經)의 아버지이며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선공감 정(繕工監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진호(陳澔)
중국 원(元) 나라 때의 학자. 남강군(南康郡) 도창(都昌) 사람으로, 진대유(陳大猷)의 아들. 송(宋) 나라가 망한 뒤 은거하여 벼슬을 하지 않고 고향에서 유생을 가르침.
1261~1341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화(陳澕)
고려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여양(驪陽). 추밀부사(樞密副使)를 지낸 진광현(陳光賢)의 아들로, 지공주사(知公州事)를 지냄. 시에 뛰어나 이규보(李奎報)와 함께 이름을 떨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진회(秦檜)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남침을 거듭하는 금(金)에 대처하여 금과 남송이 중국을 남북으로 나누어 영유하기로 합의함. 정권유지를 위해 반대파를 억압하여 간신으로 낙인찍힘.
1090~115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휘(陳暉)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임천 군수(林川郡守) 진암수(陳巖壽)의 아버지로, 승의교위(承義校尉)에 오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진흥군일기(晋興君日記)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강신(姜紳)의 일기. 1596년(선조 29)부터 1609년(광해군 1)까지의 일기로, 정치ㆍ사회적 사건 및 자기 주변에서 일어난 일들을 서술함. 임진왜란(壬辰倭亂) 전후 사회사 연구의 자료가 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진흥왕(眞興王)
신라 제24대 왕. 재위 540~576. 법흥왕(法興王)의 동생인 입종갈문왕(立宗葛文王)의 아들. 한반도의 중심인 한강(漢江) 유역을 차지하고, 신라 최대의 영토를 확장하여 4개의 순수비(巡狩碑)를 세웠으며, 《국사(國史)》를 편찬하고, 화랑도(花郞徒)를 만드는 등 삼국 통일의 기반을 형성함.
534~576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질운(郅惲)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문신. 광무제가 황후를 폐출하고자 하여 의견을 물었을 때 제대로 직간하지 않았다 하여 주자(朱子)로부터 비난을 받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질제(質帝)
중국 후한(後漢)의 제9대 황제. 재위 145~146. 장제(章帝)의 현손이고 발해왕(渤海王) 유홍(劉鴻)의 아들. 충제(冲帝) 때 즉위하여 1년 만에 독살당함.
138~146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집현전(集賢殿)
고려와 조선 초기의 학문 연구기관. 고려 인종(仁宗) 때 당(唐) 나라의 제도를 받아들여 설치하고, 조선시대에 들어와 1399년(정종 1)에 고려 때의 것을 본떠 설치하여 교리(校理)ㆍ설서(說書)ㆍ정자(正字)를 두고 경서를 강론함. 특히 세종(世宗) 때 융성하여 유교주의국가 정립의 토대를 제공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청
-
징공(澄公)
고려 후기의 승려. 백암사(白巖寺) 쌍계루(雙溪樓)를 중수(重修)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성 , 인명>종교인>승려
-
징비록(懲毖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성룡(柳成龍)의 저서. 임진왜란(壬辰倭亂)을 겪은 후 전쟁의 원인과 상황을 약술한 것으로, 《난중일기(亂中日記)》와 함께 전쟁 전후의 상황을 연구하는 데 중요 자료로 평가됨.
164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문헌>서명
-
징심루(澄心樓)
조선 전기에 경상도 합천(陜川)에 건립된 누정. 좌명공신(佐命功臣) 윤목(尹穆)이 건립하였으며, 안노생(安魯生)의 기문에 누정의 유래가 기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유적>건물>누정
-
징천(澄泉)
고려 후기의 승려. 나옹 혜근(懶翁惠勤)의 제자로, 스승에게서 ‘징천(澄泉)’이란 호를 받음. 관악산(冠嶽山)의 선각암(禪覺菴)에 거처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과천 , 인명>종교인>승려
-
차광운(車廣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평해 군수(平海郡守)를 지낸 차식(車軾)의 아버지. 교관(敎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차식(車軾)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차광운(車廣運)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여러 청환직(淸宦職)을 거쳐 선조 때 평해 군수(平海郡守)를 지냄.
1517~157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차운로(車雲輅)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차식(車軾)의 아들. 1583년(선조 16)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전의 현감(全義縣監)ㆍ봉상시 판관(奉常寺判官) 등을 지냄. 시(詩)에 능하여 아버지 차식과 형 차천로(차天輅)와 함께 삼소(三蘇)에 비견됨.
1559~?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차원부(車原頫)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연안(延安). 두문동(杜門洞) 72현 중 한 사람. 간의대부(諫議大夫)를 지내고, 정몽주(鄭夢周)ㆍ이색(李穡) 등과 성리학으로 명성을 떨쳤으며, 매화 그림을 특히 잘 그림.
132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차윤(車胤)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효무제(孝武帝) 때의 문신.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냄. 반딧불을 잡아 사낭(紗囊)에 담고 그 빛으로 독서했다는 '낭형(囊螢)'의 고사(故事)가 전해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차종로(車宗老)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여말 선초의 학자이자 화가인 차원부(車原頫)의 아버지로, 지방어사(知防禦使)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차중문(車仲文)
고려 후기의 유학. 《목은시고(牧隱詩稿)》에 실린 〈신미(新米)〉라는 시(詩)에 이색(李穡)에게 햅쌀을 보냈다는 기록이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차천로(車天輅)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연안(延安). 평해 군수(平海郡守)를 지낸 차식(車軾)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한시(漢詩)에 뛰어나 한호(韓濩)의 글씨, 최립(崔岦)의 문장과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이라 불림.
1556~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차희윤(車熙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형조 정랑(刑曹正郞)ㆍ평안 도사(平安都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찬^가(粲^可)
중국 남북조시대 서위(西魏)~수(隋) 나라 때의 승려이자 선종(禪宗)의 제3조(第三祖)인 승찬(僧璨)과, 그의 스승인 제2조(第二祖) 혜가(慧可)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수ㅣ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찬언(纂言)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인 오징(吳澄)의 저서. 천문학(天文學) 관련서로 조선시대에 혼천의(渾天儀)를 만드는 데 기본틀이 된 서적.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찬영(粲英)
고려 충정왕(忠定王)~공양왕(恭讓王) 때의 승려. 사복시 직장(司僕寺直長) 한적(韓績)의 아들이고, 보우(普愚)의 제자. 공민왕(恭愍王) 때 양가도승록(兩街都僧錄)이 되고, 우왕(禑王) 때 왕사(王師)가 되었으며, 사후에 국사(國師)의 시호를 받음.
1328~139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종교인>승려
-
찬정소학언해(纂定小學諺解)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시열(宋時烈)의 저서.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찰랄(札剌)
중국 원(元)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무신. 합진(哈眞)과 함께 고려의 강동성(江東城)을 점거한 거란(契丹)의 육가(六哥)를 평정함.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참동계주해(參同契註解)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학자인 권극중(權克中)의 저서. 도교 사상서로, 위백양(魏伯陽)이 지은《참동계(參同契)》의 주해서(註解書).
163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창강서원(滄江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충청도 공주(公州)에 건립된 서원. 1682년(숙종 8)에 사액되고, 황신(黃愼)을 배향함.
162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창강일기(滄江日記)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서화가인 조속(趙涑)의 저서.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창계서원(滄溪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전라도 장수(長水)에 건립된 서원. 황희(黃喜)ㆍ황수신(黃守身)ㆍ유호인(兪好仁)ㆍ장응두(張應斗) 등을 배향함.
169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수 , 유적>건물>서원,향교
-
창계집(滄溪集)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문경동(文敬仝)의 문집. 외손 장세상(張世相)이 유고를 편집하여 보관하다가, 1788년(정조 22)에 김약연(金若鍊)과 장태희(張泰熙)가 다시 4편으로 엮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창균선생유고(蒼筠先生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기보(金箕報)의 문집. 1850년(철종 1)경 이태순(李泰淳) 등이 편집, 간행함. 〈퇴계선생서(退溪先生書)〉는 당시 안동(安東)을 중심으로 한 학풍을 엿볼 수 있는 자료가 됨.
185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창녕성씨(昌寧成氏)
고려 때 중윤(中尹) 호장(戶長)을 지낸 성인보(成仁輔)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집단>성씨
-
창녕조씨(昌寧曺氏)
신라 진평왕(眞平王)의 사위로 전해지는 조계룡(曺繼龍)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신라 , 경상도>창녕 , 인명>집단>성씨
-
창랑집(滄浪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문준(成文濬)의 문집. 아들 성직(成㮨)이 간행 준비한 자료를 표질(表姪) 윤선거(尹宣擧)가 교정(校正)하고, 증손 성지선(成至善)이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신익상(申翼相)의 도움을 받아 간행함.
168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창려선생집(昌黎先生集)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한유(韓愈)의 문집. 총40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창렬사(彰烈祠)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진주(晉州)에 건립된 서원. 1607년(선조 40)에 사액되고, 김천일(金千鎰)ㆍ양산숙(梁山璹)ㆍ최경회(崔慶會) 등을 배향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창석집(蒼石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준(李埈)의 문집. 형 이전(李㙉)이 가장(家藏) 초고(草稿)를 바탕으로 편차(編次)ㆍ선사(繕寫)하여 정고본(定稿本)을 만들고, 이후 목판본으로 간행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문헌>서명
-
창설재집(蒼雪齋集)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권두경(權斗經)의 시문집. 18권 9책. 목판본. 저자 사후에 아들 권모(權謩)와 벗 이재(李栽) 등을 중심으로 유문(遺文)이 정리되고, 1832년에서 1860년 사이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창왕(昌王)
고려 제33대 왕. 재위 1388~1389. 우왕(禑王)의 아들. 이색(李穡)ㆍ조민수(曺敏修) 등의 추대로 즉위하였으나 곧 이성계(李成桂)에 의해 폐위됨.
1380~138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