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창원군(昌原君)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두 번째 서자. 근빈(謹嬪) 박씨(朴氏)의 소생으로, 성격이 방탕(放蕩)하고 난폭하여 여러 차례 국문(鞫問)을 당함.
1457~14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창원황씨(昌原黃氏)
고려 때 문하평장사(門下平章事)를 지낸 황석기(黃石奇), 시중(侍中)을 지낸 황충준(黃忠俊), 호장(戶長)을 지낸 황양충(黃亮沖)을 각 시조로 하는 세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집단>성씨
-
창의(昌意)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후(諸侯). 황제(黃帝)의 아들로 촉산씨(蜀山氏)의 딸 창복(昌僕)을 아내로 맞아 전욱(顓頊)을 낳고, 약수(若水)의 제후(諸侯)가 되었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창의문(彰義門)
조선 태조(太祖) 때 건립한 사소문(四小門)의 하나. 돈의문(敦義門)과 숙정문(肅靖門) 사이에 있던 서북간문(西北間門). 북한(北漢)ㆍ양주(楊州) 방면으로 통하는 교통로였으며,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능양군(陵陽君)을 비롯한 의군(義軍)들이 이 문을 부수고 궁 안에 들어가 반정에 성공함.
13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성,진,책
-
창의사(彰義祠)
조선 현종(顯宗) 때 함경도 함흥(咸興)에 건립된 서원. 윤탁연(尹卓然)ㆍ유응수(柳應秀) 등을 배향하고, 1795년(정조 19)에 사액됨.
1666 한국>조선후기 , 함경도>함흥 , 유적>건물>서원,향교
-
창절서원(彰節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강원도 영월(寧越)에 건립된 서원. 1699년(숙종 25)에 사액되고, 박팽년(朴彭年)ㆍ성삼문(成三問)ㆍ이개(李塏)ㆍ유성원(柳誠源)ㆍ하위지(河緯地)ㆍ유응부(兪應孚) 등 사육신(死六臣)을 배향함.
1685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영월 , 유적>건물>서원,향교
-
창주유고(滄洲遺稿)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인 김익희(金益熙)의 문집. 1708년(숙종 34) 손자인 김진옥(金鎭玉)이 간행함. 목판본. 18권 7책.
170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용담 , 문헌>서명
-
창진집(瘡疹集)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인 임원준(任元濬)의 저서. 창진(瘡疹)에 관한 의료서.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창해유주(滄海遺珠)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예종(睿宗) 때의 문신인 적인걸(狄人傑)이 변주 참군(汴州參軍)이 되자 염입본(閻立本)이 그에게 바다에 숨은 구슬이라고 한 데서 온 고사로,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보배나 덕과 지혜가 높은 어진 사람을 이르는 말로 쓰임.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창힐(蒼頡)
중국 고대(古代)에 전설적인 제왕인 황제(黃帝)의 사관(史官). 최초로 한자(漢字)를 만든 사람으로 전해짐.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채거후(蔡居厚)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어사(御史) 채연희(蔡延禧)의 아들로, 우정언(右正言)ㆍ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채경(蔡京)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흠종(欽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글씨에 뛰어났으며 태사(太師) 등을 지냄. 채양(蔡襄)ㆍ서호(徐浩)ㆍ심전사(沈傳師) 등을 스승으로 삼았으나, 자주 스승을 배신하고 교체한 탓에 간사하다는 평을 받음.
1047~1126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채관부시화(蔡寬夫詩話)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인 채거후(蔡居厚)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채귀하(蔡貴河)
고려 후기의 문신. 상서(尙書) 채원길(蔡元吉)의 아들로, 인천채씨(仁川蔡氏)의 중시조. 호조 전서(戶曹典書)를 지내다가 조선이 건국되자 충절을 지키며 두문동(杜門洞) 72현 중 한 사람이 됨. 정몽주(鄭夢周)와 친교(親交)함.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평산ㅣ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채난두(蔡亂頭)
중국 원(元) 나라 명종(明宗) 때의 도적. 태주(台州) 지역의 해상에서 노략질하였으며, 소금 행상이던 방국진(方國珍)을 핍박해 반란을 일으키게 함.
중국>원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적
-
채년(蔡年)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남양 부사(南陽府使) 채신보(蔡申保)의 아들이고 인천군(仁川君) 채수(蔡壽)의 동생. 송화 현감(松禾縣監)을 지냄.
1454~151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채다록(採茶錄)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온정균(溫庭筠)의 저서.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채륜(蔡倫)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평해 현감(平海縣監) 채신보(蔡申保)의 아버지로, 필선(弼善)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채모(蔡模)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채침(蔡沈)의 맏아들로, 건녕부학 교수(建寧府學教授)를 지내고, 《논맹집소(論孟集疏)》ㆍ《속근사록(續近思錄)》 등을 저술함.
1188~124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채무일(蔡無逸)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인천(仁川). 전생서 참봉(典牲署參奉) 채윤권(蔡胤權)의 아들. 한성부 서윤(漢城府庶尹)을 지내고, 그림뿐만 아니라 경사(經史)ㆍ주역(周易)ㆍ음률(音律)ㆍ의학(醫學)ㆍ복서(卜筮)에도 정통함.
1496~15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채무적(蔡無敵)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전생서 참봉(典牲署參奉) 채윤권(蔡胤權)의 아들로, 무주 현감(茂朱縣監)을 지냄.
1500~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채무택(蔡無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김안로(金安老)에게 빌붙어 많은 사람을 무고하고 신하들을 이간시켜 김안로ㆍ허항(許沆)과 함께 ‘정유삼흉(丁酉三兇)’으로 불렸으며, 문정왕후(文定王后)의 폐위를 모의하다가 유배되어 사사됨.
?~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채미가(採薇歌)
중국 주(周) 나라 초기에 백이(伯夷)와 숙제(叔齊)가 은(殷) 나라를 정벌한 무왕(武王)을 피해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서 고사리를 캐 먹으며 지었다는 노래.
중국>주 , 중국 , 문헌>작품명
-
채미정(採薇亭)
조선 영조(英祖) 때 고려 말의 충신ㆍ학자인 길재(吉再)의 충절과 학덕을 기리기 위하여 경상도 선산(善山) 남통동(南通洞)에 세운 정자.
17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유적>건물>누정
-
채발(蔡發)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채원정(蔡元定)의 아버지로, 역상(易象)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에 해박하였으며, 중년에 무이산(武夷山)에 목당(牧堂)을 짓고 은거하면서 성리학을 연구하고 후학을 양성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채변(蔡卞)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채경(蔡京)의 아우이며 왕안석(王安石)의 사위. 철종(哲宗) 때 원우당인(元祐黨人)을 청산하는 데 참여하였으며, 글씨에 뛰어나 명성을 떨침.
1048~1117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채빈(蔡斌)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자목 대사(孶牧大使)를 지내고, 1374년(고려 공민왕 23)에 임밀(林密)과 함께 고려에 사신으로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채석경(蔡碩卿)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강(平康). 대사헌(大司憲) 채침(蔡忱)의 아버지로, 정평 도호부사(定平都護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강 , 인명>관인>문신
-
채세걸(蔡世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강(平康). 돈녕부 첨정(敦寧府僉正)을 지낸 채자연(蔡子涓)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강원 감사(江原監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채세영(蔡世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강(平康). 첨정(僉正) 채자연(蔡子涓)의 아들로,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고 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냈으며, 천문(天文)ㆍ의약(醫藥)ㆍ중국어(中國語)에 정통함.
1490~15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채소권(蔡紹權)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인천군(仁川君) 채수(蔡壽)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ㆍ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채수(蔡壽)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어 인천군(仁川君)에 봉해지고, 패관소설인 《설공찬전(薛公贊傳)》을 지음.
1449~15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채숙(蔡叔)
중국 주(周) 나라의 제후. 문왕(文王)의 다섯째 아들로, 무왕(武王) 때 채(蔡) 땅에 봉해짐. 성왕(成王) 즉위 후 주공(周公)에 대하여 불만을 품고 관숙(管叔)ㆍ무경(武庚) 등과 함께 난을 일으켰다가 실패한 후 유배지에서 죽음.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채순(蔡恂)
조선 전기의 유학. 아산 현감(牙山縣監)을 지낸 채정서(蔡呈瑞)의 아들로, 1480년(성종 11)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부평 , 인명>문사>유학
-
채승선(蔡承先)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평강(平康). 대사헌(大司憲) 채침(蔡忱)의 아들. 이른 나이에 시험에서 여러 번 수석을 했지만 과거를 포기하고 시주(詩酒)로 여생을 즐김.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채신보(蔡申保)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필선(弼善)을 지낸 채륜(蔡倫)의 아들로, 평해 현감(平海縣監)ㆍ남양 부사(南陽府使)를 지냄.
1419~148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음성 , 인명>관인>문신
-
채신잡록(採薪雜錄)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수광(李睟光)의 저서.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채양(蔡襄)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시문(詩文)에 뛰어나고 역사에 밝으며 명필(名筆)로 이름남. 지간원(知諫院)ㆍ단명전 학사(端明殿學士)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채연(蔡淵)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학자. 채원정(蔡元定)의 아들이며 채침(蔡沈)의 형으로, 《역상의언(易象意言)》ㆍ《주역경전훈해(周易經傳訓解)》를 저술함.
1156~123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채연희(蔡延禧)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 채거후(蔡居厚)의 아버지. 어사(御史)를 지냈으며, 일찍이 여혜경(呂惠卿) 형제를 탄핵하여 강직하다는 명성을 얻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채염(蔡琰)
중국 후한(後漢)의 문인ㆍ열녀. 채옹(蔡邕)의 딸. 흉노(匈奴)에게 납치되어 12년 동안 살다가 돌아온 뒤 그곳에서 낳은 두 아들과의 이별을 읊은 〈비분시(悲憤詩)〉와 〈호가십팔박(胡笳十八拍)〉을 지음.
17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열녀ㅣ인명>문사>문인
-
채염성(蔡念成)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에게 배우고 주희가 죽자 황간(黃幹)에게 배움. 연평서원(延平書院)에서 강학(講學)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채영(蔡泳)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두문동(杜門洞) 72현 중 한 사람인 채귀하(蔡貴河)의 아들이자 필선(弼善)을 지낸 채륜(蔡倫)의 아버지로, 군자소감(軍資少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채옹(蔡邕)
중국 후한(後漢) 영제(靈帝)~헌제(獻帝) 때의 문신ㆍ서예가ㆍ학자. 여류 문인 채염(蔡琰)의 아버지이자 완우(阮瑀)의 스승으로, 좌중랑장(左中郞將) 등을 지냄. 비자체(飛自體)를 창시하고 문장에 뛰어났으며, 저서로 《채중랑집(蔡中郞集)》 등이 있음.
132~19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채원길(蔡元吉)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두문동(杜門洞) 72현 중 한 사람인 채귀하(蔡貴河)의 아버지로, 형부 상서(刑部尙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채원정(蔡元定)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어려서 아버지 채발(蔡發)에게 배우고, 후에 주희(朱熹)에게 배움. 의리(義理)ㆍ상수(象數)를 겸하고, 천문(天文)ㆍ지리(地理)ㆍ악률(樂律)ㆍ역수(曆數) 등에도 폭넓은 학식을 지님.
1135~119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채원정(蔡元鼎)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송(宋) 나라의 학자. 대모산(大帽山)에 은거하여 육경(六經) 등을 연구하고 후진(後進)을 양성함. 주희(朱熹)가 그를 봉안한 사당의 편액(偏額)을 지음.
중국>송ㅣ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채윤권(蔡胤權)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인천군(仁川君) 채수(蔡壽)의 아들이며 한성부 서윤(漢城府庶尹) 채무일(蔡無逸)ㆍ무주 현감(茂朱縣監) 채무적(蔡無敵) 형제의 아버지로, 전생서 참봉(典牲署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채응상(蔡應祥)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인천(仁川). 채인손(蔡仁孫)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김준(金濬)ㆍ박승임(朴承任)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채자연(蔡子涓)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평강(平康). 대사헌(大司憲) 채세걸(蔡世傑)의 아버지로, 돈녕부 첨정(敦寧府僉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강 , 인명>관인>무신
-
채정교(采亭橋)
중국 금(金) 나라 때 하북성(河北省) 옥전현(玉田縣)에 건립된 교각. 학사(學士)인 양회(楊繪)가 자신의 호를 따서 건립함.
중국>금 , 중국 , 유적>시설>기타시설
-
채정서(蔡呈瑞)
조선 전기의 문신. 유학 채순(蔡恂)의 아버지로, 아산 현감(牙山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아산 , 인명>관인>문신
-
채제공(蔡濟恭)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오광운(吳光運)ㆍ강박(姜樸)의 문인. 남인(南人) 중 청남(淸南) 계열의 지도자로서 사도세자(思悼世子)를 옹호하고 탕평책(蕩平策)을 추진하는 등 영조와 정조에게 깊은 신임을 받았으며, 영의정 등을 지냄.
1720~179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채준(蔡撙)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양(梁) 나라의 문신ㆍ장군.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를 지낸 채흥종(蔡興宗)의 아들. 오승백(吳承伯)의 난을 평정하여 신무장군(信武將軍)에 봉해지고, 시중(侍中)을 지냄.
467~52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채준(蔡浚)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송화 현감(松禾縣監)을 지낸 채년(蔡年)의 아들로, 양성 현감(陽城縣監)을 지냄.
1476~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채청(蔡淸)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남경국자감 좨주(南京國子監祭酒)를 지내고, 《역경(易經)》 연구로 명성이 높음.
1453~1508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채충혜집(蔡忠惠集)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인 채양(蔡襄)의 문집. 총346권.
1168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채침(蔡忱)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강(平康). 정평 도호부사(定平都護府使)를 지낸 채석경(蔡碩卿)의 아들로, 곤양 군수(昆陽郡守)ㆍ대사헌(大司憲)을 지냄. 중종의 원비(元妃)인 단경왕후(端敬王后)의 복위를 반대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채침(蔡沈)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학자. 채원정(蔡元定)의 아들이며 주희(朱熹)의 제자로, 구봉(九峯)에 은거하여 학문을 연마하였으며, 아버지와 스승의 뜻을 받들어 《서경집전(書經集傳)》을 완성함.
1167~123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채하로(蔡河老)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강(平康). 찬성사(贊成事) 채홍철(蔡洪哲)의 아들로, 판종부사사(判宗簿司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강 , 인명>관인>문신
-
채하중(蔡河中)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찬성사(贊成事)를 지낸 채홍철(蔡洪哲)의 아들. 조적(曺頔)의 난 때 충혜왕(忠惠王)을 호종(扈從)하여 일등공신에 책봉되었으나, 공민왕 때 달선(達禪)의 반역 사건에 연루되어 효수(梟首)됨.
?~1357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채홍철(蔡洪哲)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권한공(權漢功)과 함께 원(元) 나라에 청원서를 올려 심왕(瀋王) 고(暠)를 왕으로 추대하려 함. 불교ㆍ의약ㆍ음악 등에 조예가 깊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62~1340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채흥종(蔡興宗)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문제(文帝)~명제(明帝) 때의 문신. 시중(侍中) 채준(蔡撙)의 아버지로, 회계 태수(會稽太守) 등을 지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책부원귀(冊符元龜)
중국 송(宋) 나라 때 편찬된 유서(類書). 왕흠약(王欽若)과 양억(楊億) 등이 진종(眞宗)의 칙령을 받아, 고대부터 오대(五代)까지의 정치에 관한 사적을 채집하여 정치의 요령(要領)을 뽑아 편집함. 《문원영화(文苑英華)》ㆍ《태평어람(太平御覽)》 등과 더불어 대표적인 유서로, 당(唐)ㆍ오대(五代) 부분은 사료적 가치가 큼.
1013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처림(處林)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 임제종(臨濟宗)의 제18대 조사(祖師)로, 나옹 혜근(懶翁慧勤)의 스승임.
1279~1361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처용(處容)
신라 헌강왕(憲康王) 때의 기인(奇人). 879년(헌강왕 2) 왕의 순행 중에 기이한 모습을 하고 가무를 하며 궁궐까지 따라와 급간(級干)의 벼슬을 받고, 아내가 역신(疫神)과 동침하는 것을 보고 처용가(處容歌)를 지었다는 기록이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전함.
한국>신라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척^교(跖^蹻)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도둑인 도척(盜跖)과 초(楚) 나라의 도적인 장교(莊蹻)를 함께 부르는 말. 악인(惡人)의 대표적인 인물들로, 흉악한 사람을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척계광(戚繼光)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무신. 연해 지방에 왜구(倭寇)가 기승을 부리자 병사를 모집하고 새로운 진법(陣法)을 마련하여 왜구 격퇴에 많은 공을 세웠으며, 《기효신서(紀效新書)》 등을 저술함.
1528~158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척부인(戚夫人)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의 총비(寵妃). 고조(高祖)가 죽은 뒤 여후(呂后)에 의해 팔다리가 잘리고 눈이 뽑히며 벙어리ㆍ귀머거리가 된 채 측간에 갇혀 ‘사람돼지(人彘)’라고 불림.
?~B.C.19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척약재학음집(惕若齋學吟集)
고려 후기의 문신ㆍ학자인 김구용(金九容)의 시문집(詩文集). 저자의 유고(遺稿)를 모은 본집(本集)과, 교유한 제인(諸人)들의 시문을 모은 외집(外集)으로 구성됨.
140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문헌>서명
-
척준경(拓俊京)
고려 숙종(肅宗)~인종(仁宗) 때의 무신. 곡산척씨(谷山拓氏)의 시조. 이자겸(李資謙)의 난에 가담하였다가 왕의 권유로 뜻을 바꾸어 이자겸을 귀양 보내는 데 공을 세우고, 이후 권세를 휘두르다가 유배된 뒤 다시 복권됨.
?~1144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곡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천^아(泉^阿)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명검(名劍)으로, 구야자(歐冶子)와 간장(干將)이 만든 용천검(龍泉劍)과 태아검(太阿劍)을 함께 부르는 말. 보검(寶劍)을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물품
-
천계(天啓)
중국 명(明) 나라 희종(熹宗) 때의 연호(年號). 해당 연한 1621~1627.
1621~1627 중국>명 , 중국 , 시간>연호
-
천곡서원(川谷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경상도 성주(星州)에 건립된 서원. 1558년(명종 13) 창건되고, 1573년(선조 6)에 사액되었으며, 숙정자(叔程子)ㆍ주자(朱子)ㆍ김굉필(金宏弼)ㆍ이언적(李彦迪)ㆍ정구(鄭逑)ㆍ장현광(張顯光) 등을 배향함.
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천광운영대(天光雲影臺)
경상북도 안동(安東) 도산서원(陶山書院) 근처를 지나는 낙동강(洛東江)의 서쪽 암벽 이름. 이황(李滉)이 주자(朱子)의 〈독서유감(讀書有感)〉 시를 인용하여 명명함.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천긍(天亘)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각운(覺雲)의 제자로, 스승에게서 '고암(古巖)'이란 호를 받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천려책(千慮策)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인 양만리(楊萬里)의 저서. 총2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천리장성(千里長城)
고구려 말기와 고려 덕종(德宗) 때 서북 국경에 건립된 장성. 고구려 말에 당(唐) 나라의 침입을 막기 위해 요동(遼東) 지방에 쌓은 토축성이 있고, 고려 덕종 때 북방 유목민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압록강(鴨綠江) 어귀로부터 함경도 동해안에 이르는 1000여 리에 쌓은 석축성이 있음.
한국>고려시대ㅣ한국>고구려 ,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천명도설(天命圖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정지운(鄭之雲)의 저서. 주자(朱子)의 설과 성리학적인 여러 도설(圖說)을 참조하여 간행함. 이황(李滉)에게 퇴고를 부탁하여 이후 기대승(奇大升)과의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이 시작됨.
164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천사집(川沙集)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종덕(金宗德)의 저서.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천석(天錫)
고려 후기의 승려. 이승휴(李承休)의 《동안거사집(動安居士集)》에 그와 관련된 내용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천안(天安)
충청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 삼남대로(三南大路)의 분기점.
충청도>천안 , 지명>행정지명
-
천연대(天淵臺)
경상북도 안동(安東) 도산서원(陶山書院) 근처를 지나는 낙동강(洛東江)의 동쪽 암벽 이름. 이황(李滉)이 《시경(詩經)》의 시를 인용하여 명명함.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천영(天英)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승려. 수선사(修禪社)의 제5세 국사(國師)로, 1236년(고종 23) 승과(僧科)에 급제함. 수선사 제3세인 청진국사(淸眞國師)의 교화를 받고 제4세인 진명국사(眞明國師)를 스승으로 삼았으며 복구(復邱)를 출가시킴.
1215~1286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천자문(千字文)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주흥사(周興嗣)가 글을 짓고 동진(東晉) 왕희지(王羲之)의 필적 중에서 해당 글자를 모아 만들었다는, 천(千) 자로 이루어진 사언고시(四言古詩).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천지(天池)
함경도와 중국 길림성(吉林省)에 걸쳐 있는 백두산(白頭山) 정상의 화구호(火口湖).
함경도>갑산 , 지명>자연지명
-
천추금감록(千秋金鑑錄)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재상ㆍ문인인 장구령(張九齡)의 저서. 5권. 현종의 생일인 천추절(千秋節)에 지어 바친 것으로, 역대 정치의 성패(成敗) 원인을 서술하여 후대의 거울로 삼게 한 내용임.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천축(天竺)
고대 중국에서 인도(印度) 또는 인도 방면에 대해 부르던 호칭. 《후한서(後漢書)》 〈서역전(西域傳)〉에 처음으로 명칭이 보이며, 남북조시대에 널리 불림.
고대 , 기타지역 , 시간>국명
-
천축사(天竺寺)
통일신라 문무왕(文武王) 때 양주(楊州)의 도봉산(道峰山)에 건립한 사찰. 의상(義湘)이 창건하여 1398년(태조 7)에 사액(寺額)되고, 혜능(慧能)이 이곳에서 입적함.
673 한국>통일신라 , 경기도>양주 , 유적>건물>사찰
-
천측(天則)
조선 전기의 승려. 교종판사(敎宗判事)를 지내고, 승안(勝安)이 상좌(上座)가 됨.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천태산부(天台山賦)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인인 손작(孫綽)이 지은 작품. 천태산의 멋진 경치를 섬세한 필치로 묘사하고, 친구인 범계(范啓)에게 문장을 자랑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천해록(川海錄)
조선 선조(宣祖) 때 문신인 유희춘(柳希春)의 저서. 80권이 넘었으나 미처 탈고하지 못했으며, 전쟁 중 소실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천황봉(天皇峰)
충청도 공주(公州)ㆍ논산(論山)ㆍ대전(大田)에 걸쳐 있는 계룡산(鷄龍山)의 최고봉. 높이 845m.
충청도>진잠ㅣ충청도>연산ㅣ충청도>공주 , 지명>자연지명
-
철사(哲師)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서지암철사권(書智巖哲師卷)〉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철산(鐵山)
평안북도 서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993년 서희(徐熙)의 활약으로 고려에 편입된 강동육주(江東六州)의 하나.
평안도>철산 , 지명>행정지명
-
철성연방집(鐵城聯芳集)
고려 후기의 문신인 이암(李嵓)ㆍ이강(李岡)ㆍ이원(李原)의 문집. 1책. 철성이씨(鐵城李氏)의 세고(世稿)를 엮은 것으로, 이암의 손자 이륙(李陸)이 편찬한 것을 경상 감사(慶尙監司) 윤호(尹壕)의 도움을 받아 간행함.
14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문헌>서명
-
철원(鐵原)
강원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궁예(弓裔)가 세운 태봉국(泰封國)의 수도로 후삼국시대 중심지의 하나이며, 우리나라 중앙에 위치한 교통의 요지.
강원도>철원 , 지명>행정지명
-
철종(哲宗)@송
중국 송(宋) 나라 제7대 황제. 재위 1085~1100. 신종(神宗)의 여섯 번째 아들. 사마광(司馬光) 등 구당(舊黨)을 축출하고 장돈(章惇) 등을 중용하여 왕안석(王安石)의 변법(變法)을 다시 시행함.
1076~1100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철종(哲宗)@조선
조선 제25대 국왕. 재위 1849~1863. 정조(正祖)의 동생 은언군(恩彦君)의 손자이고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이광(李㼅)의 셋째 아들. 헌종(憲宗)의 뒤를 이어 즉위함.
1831~186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철종실록(哲宗實錄)
조선 제25대 철종(哲宗)의 재위 15년간(1849~1863)의 실록. 16권 9책. 정원용(鄭元容)ㆍ김흥근(金興根)ㆍ조두순(趙斗淳)ㆍ김병학(金炳學)ㆍ이돈우(李敦宇) 등이 주관하여, 1864년(고종 1)에 편찬을 시작하여 1865년(고종 2)에 완성함.
186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