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철철불화(徹徹不花)
중국 원(元) 순제(順帝) 때의 문신. 하남부 총관(河南府摠管)을 지낸 고려인 한영(韓永)의 사위로, 병부 상서(兵部尚書)를 지냄.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첨모당집(瞻慕堂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임운(林芸)의 문집. 3권 1책. 목판본. 후손 및 용문서원(龍門書院)의 원유(院儒)들이 가장(家藏) 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하여 간행했으며, 송시열(宋時烈)의 서문(序文)이 있음.
166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음 , 문헌>서명
-
첨성대(瞻星臺)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 때 건립된 것으로 전해지는, 세계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천문대(天文臺). 경상북도 경주(慶州) 인왕동(仁旺洞)에 있음.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유적>시설>기타시설
-
첩산집(疊山集)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인 사방득(謝枋得)의 저서. 16권. 산일(散逸)된 것을 명(明) 나라 때 개간(改刊)함.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청간정(淸磵亭)
조선 전기에 강원도 간성(杆城)에 건립된 정자. 창건 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1520년(중종 15)에 중수한 기록이 전함. 관동팔경(關東八景)의 하나로, 양사언(楊士彦) 등 여러 문인들이 시제(詩題)로 삼음. 1884년(고종 21) 갑신정변 때 소실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간성 , 유적>건물>누정
-
청강사자현부전(淸江使者玄夫傳)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인인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가전(假傳) 소설. 거북을 의인화하여 세상 사람들을 경계하고자 한 내용으로,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수록됨.
한국>고려후기 , 문헌>작품명
-
청강집(淸江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이제신(李濟臣)의 시문집(詩文集). 신흠(申欽) 등의 산정(刪定)을 거쳐 간행되었으며, 이항복(李恒福)의 서문(序文)이 있음.
161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덕산 , 문헌>서명
-
청계서원(淸溪書院)
조선 현종(顯宗) 때 경상도 온계(溫溪)에 건립된 서원. 이식(李埴)ㆍ이우(李堣)ㆍ이해(李瀣) 등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배향함.
166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청계집(靑溪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양대박(梁大樸)의 문집. 2권 1책. 목판본. 아들인 장성 현감(長城縣監) 양경우(梁慶遇)가 가장(家藏) 원고를 편차하여 간행함. 허균(許筠)의 서(序)와 양경우의 발(跋)이 있음.
161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성 , 문헌>서명
-
청곡사(靑谷寺)
신라 헌강왕(憲康王) 때 도선(道詵)이 경상남도 진주(晉州) 금산면(琴山面)에 창건한 사찰. 해인사(海印寺)의 말사(末寺).
879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진주 , 유적>건물>사찰
-
청공(淸珙)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 임제종(臨濟宗) 제18대 법손(法孫)으로, 고려의 승려 태고 보우(太古普愚)에게 법(法)을 전수함.
1272~1352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청구풍아(靑丘風雅)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김종직(金宗直)의 시선집(詩選集). 7권 1책. 갑진자(甲辰字) 활자본. 신라 말에서 조선 초에 이르는 시(詩)를 뽑아 수록하고, 간략한 주석(註釋)과 비평을 붙임.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청난공신(淸難功臣)
조선 선조(宣祖) 37년에,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나누어 홍가신(洪可臣) 등 5인에게 내림. 임진왜란 등 혼란한 상황 때문에 뒤늦게 책록됨.
1604 한국>조선후기 , 법제>제도
-
청담파(淸談派)
조선 전기 유학계(儒學界)의 한 파. 중국 진(晉) 나라의 죽림칠현(竹林七賢)을 모방하여 남효온(南孝溫)ㆍ홍유손(洪裕孫) 등 7명이 모여 시주(詩酒)와 가무(歌舞)로 소일함. 벼슬길에 나가지 않았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음.
148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집단>조직
-
청도(淸道)
경상북도 남쪽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청도 , 지명>행정지명
-
청련집(靑蓮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이후백(李後白)의 시문집. 3권 1책. 석인본. 1961년 후손 이호경(李浩敬)이 편집, 간행함.
1961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청륙집(靑陸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김덕겸(金德謙)의 시문집. 6권 3책. 목판본. 아들 김상(金尙)이 경주 부윤(慶州府尹)으로 있을 때 수집, 간행함. 이경석(李景奭)의 서(序)와 이식(李植)ㆍ김상의 발(跋)이 있음.
164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문헌>서명
-
청방인문표(請放仁問表)
통일신라 문무왕(文武王) 때의 학자인 강수(强首)의 글. 당(唐) 나라에 갇혀 있던 김인문(金仁問)을 석방해 줄 것을 청한 글로, 당 나라 고종(高宗)을 감동시켜 김인문이 곧 풀려남.
671 한국>통일신라 , 문헌>작품명
-
청백서원(淸白書院)@대구
조선 전기에 경상도 대구(大丘)에 건립한 서원. 세조(世祖) 때 문신인 정수충(鄭守忠)을 배향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유적>건물>서원,향교
-
청백일기(靑白日記)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신익성(申翊聖)이 서술한 책. 1617년(광해군 9)부터 1618년(광해군 10) 사이에 일어난 인목대비(仁穆大妃)의 서궁(西宮) 유폐의 시말을 기록함.
1617~161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청사(淸師)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서한천청사권(書寒泉淸師卷)〉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청산집(靑山集)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인 곽상정(郭祥正)의 문집. 3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청서(淸西)
조선 인조(仁祖) 때 서인(西人)에서 갈린 당파.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정권을 잡은 서인 중 반정에 적극적이었던 공서(功西)와 달리 소극적인 태도를 취했던 김상헌(金尙憲) 중심의 일파를 청서(淸西)라 했는데, 인조 말년에는 다시 산당(山黨)과 한당(漢黨)으로 분열됨.
한국>조선후기 , 인명>집단>조직
-
청성집(靑城集)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대중(成大中)의 시문집. 활자본 10권 5책. 저자의 아들 성해응(成海應)이 수집ㆍ편찬한 원고를 1840년(헌종 6) 손자 성헌증(成憲曾)이 간행함.
184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청송당(聽松堂)
조선 중종(中宗) 때 성수침(成守琛)이 경기도 파주(坡州)의 우계(牛溪) 연변에 지은 별장의 당호(堂號). 이곳에 은거하면서 후학들을 가르쳤음.
154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유적>건물>사제
-
청송심씨(靑松沈氏)
고려 때 문림랑(文林郞) 위위시승(衛尉寺丞)을 지낸 심홍부(沈洪孚)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청송 , 인명>집단>성씨
-
청송집(聽松集)
조선 전기의 학자인 성수침(成守琛)의 시문집(詩文集). 처음 간행된 시기는 분명하지 않으나, 선조(宣祖) 연간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청신당(淸神堂)
조선시대 충청도 청풍(淸風) 한벽루(寒碧樓) 옆에 있던 당(堂). 중종(中宗) 때 청풍 군수(淸風郡守) 신해(申瀣)가 머물던 당을 김안국(金安國)이 청신당(淸神堂)으로 이름 붙여 기문(記文)을 지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유적>건물>사제
-
청암사(靑巖寺)
통일신라 헌강왕(憲康王) 때 경상도 금산(金山) 수도산(修道山)에 도선 국사(道詵國師)가 창건한 사찰. 숙종(肅宗)의 비(妃)인 인현왕후(仁顯王后)가 서인으로 폐출되었을 때 머물렀던 곳으로 알려짐. 현재는 경상북도 김천시(金泉市)에 속함.
858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금산 , 유적>건물>사찰
-
청양집(靑陽集)
중국 원(元) 나라의 문인인 여궐(余闕)의 문집. 4권.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청옥산(靑玉山)
강원도 정선(旌善)과 평창(平昌) 사이에 위치한 산. 청옥산의 성마령(星磨嶺) 고개를 넘어 다니며 부른 평창아리랑이 정선아리랑의 원류가 된 것으로 유명함.
강원도>평창ㅣ강원도>정선 , 지명>자연지명
-
청음집(淸陰集)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인 김상헌(金尙憲)의 문집. 40권 16책. 목판본. 저자가 생전에 편찬한 원고를 아들 김광찬(金光燦)이 안동(安東)에서 간행한 것으로 추측됨.
165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문헌>서명
-
청장(淸長)
통일신라 경문왕(景文王) 때의 거문고 명인. 남원 공사(南原公事) 이찬(伊飡) 김윤흥(金允興)의 천거를 받아 안장(安長)과 함께 지리산에 은거한 귀금(貴金)에게 가서 거문고를 배움.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남원 , 인명>예술인>음악인
-
청주송씨(淸州宋氏)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서원군(西原君) 송훤(宋暄)의 아버지이자,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청주군(淸州君)에 봉해진 송유충(宋有忠)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집단>성씨
-
청주종사(靑州從事)
중국 청주(靑州)에 제군(齊郡)이 있는데, 제(齊)는 제(臍)와 통용되어, 좋은 술은 배꼽[臍] 아래에까지 이른다는 뜻.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환온(桓溫)에게 술맛을 잘 아는 주부(主簿)가 있었는데, 그가 좋은 술을 청주종사(靑州從事)라 부른 데서 유래한 말로, 좋은 술을 의미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청주한씨(淸州韓氏)
기자(箕子)의 후예인 우량(友諒)의 원손(遠孫)으로, 고려 때 개국벽상공신(開國壁上功臣)에 녹훈된 한난(韓蘭)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집단>성씨
-
청천당시집(聽天堂詩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심수경(沈守慶)의 시문집. 1권. 정사본(淨寫本). 서문(序文)과 발문(跋文)이 없어 편집 경위와 간행에 관한 사실을 알 수 없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청파집(靑坡集)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인 이륙(李陸)의 문집. 2권 1책. 활자본(活字本). 가장(家藏) 원고와 〈극담(劇談)〉 1질을 찾아내 아들인 이험(李嶮)이 1512년(중종 7) 단성재(丹城宰)로 있을 때 간행함. 강혼(姜渾)의 서문(序文)이 있음.
15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문헌>서명
-
청평산(淸平山)
경기도 가평(加平)에서 강원도 춘천(春川)에 걸쳐 있는 산. 본래 이름은 경운산(慶雲山)이나, 고려 예종(睿宗) 때의 문신 이자현(李資玄)이 벼슬을 버리고 여기서 지내면서부터 도둑이 없어지고 호랑이도 종적을 감추었다고 하여 산 이름을 고침.
경기도>가평ㅣ강원도>춘천 , 지명>자연지명
-
청풍(淸風)
충청도 제천(堤川) 지역의 옛 지명. 산천경개가 빼어나 청풍명월(淸風明月)이라 한 데서 따온 지명.
충청도>청풍 , 지명>행정지명
-
청풍사(淸風祠)
조선 영조(英祖) 때 전라도 금산(錦山)에 건립된 사당. 1757년(영조 33)에 창건되었으며, 길재(吉再)를 배향함. 지금은 충청남도 금산군(錦山郡)에 속함.
175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금산 , 유적>건물>사당
-
청풍집(淸風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인 포당(鮑當)의 시문집. 산실되어 전하지 않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청하집(靑霞集)
조선 효종(孝宗) 때의 학자인 권극중(權克中)의 시문집. 8권 2책. 목판본. 1704년(숙종 30) 민진원(閔鎭遠)이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로 있을 때 간행함. 정두경(鄭斗卿)의 서문(序文)과 민진원의 발문(跋文)이 있음.
170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청허당집(淸虛堂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승려인 휴정(休靜)의 문집. 목판본. 상좌(上佐) 종봉(鐘峰)이 수집한 것을 그의 문인(門人)들이 간행함. 허균(許筠)이 쓴 서문(序文)이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에 전함.
161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청헌유고(聽軒遺稿)
조선 순조(純祖) 때의 문신인 이경일(李敬一)의 시문집.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청헌집(淸獻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인 조변(趙抃)의 문집. 1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청호서원(靑湖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대구(大邱)에 창건한 서원. 손조서(孫肇瑞)ㆍ손처눌(孫處訥)ㆍ유시번(柳時蕃)ㆍ정호인(鄭好仁)을 배향하였음.
168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유적>건물>서원,향교
-
체소집(體素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이춘영(李春英)의 문집. 초간본은 1638년(인조 16) 외질 김육(金堉)이 간행했으나 전하지 않고, 1648년(인조 26)에 차남인 이시해(李時楷)가 김상헌(金尙憲)ㆍ정홍명(鄭弘溟)의 발문(跋文)과 신흠(申欽)의 서문을 함께 실어 3권 3책을 목판으로 간행함.
163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문헌>서명
-
초간집(草澗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권문해(權文海)의 시문집. 4권 3책. 목판본. 가장 초고(家藏 草稿)를 후손 권도상(權道相)과 외후손 황용한(黃龍漢)이 교정하여 1812년(순조 12)에 간행함. 정종로(鄭宗魯)의 서문(序文)과 황용한의 발문(跋文)이 있음.
181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초강서원(草江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충청도 영동(永同)에 세운 서원. 박연(朴堧)ㆍ박사종(朴嗣宗)ㆍ송방조(宋邦祚)ㆍ윤황(尹煌) 등을 배향함.
161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영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초계(草溪)
경상남도 합천(陜川)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초계 , 지명>행정지명
-
초계정씨(草溪鄭氏)
고려 전기에 예부 상서(禮部尙書)를 지내고 사학(私學)인 홍문공도(弘文公徒)를 이루어 유가(儒家)의 대가(大家)로 일컬어지는 정배걸(鄭倍傑)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집단>성씨
-
초계최씨(草溪崔氏)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팔계군(八溪君)에 봉해진 최용궁(崔龍宮)을 시조로 한 성씨. 그 뒤 세계(世系)가 실전되어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최산두(崔山斗)를 중시조로 하여 세계가 이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초계 , 인명>집단>성씨
-
초당사걸(初唐四傑)
중국 당(唐) 나라 초기에 시문(詩文)으로 명성을 떨친 왕발(王勃)ㆍ양형(楊炯)ㆍ노조린(盧照隣)ㆍ낙빈왕(駱賓王)을 가리킴. 모두 신분이 낮은 사족(士族) 출신으로, 젊어서 시단(詩壇)에서 이름을 떨친 공통점이 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초당집(草堂集)@강경서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강경서(姜景敍)의 시집. 한 질(帙).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초당집(草堂集)@허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허엽(許曄)의 시문집. 1책. 필사본. 서문(序文)이나 발문(跋文)이 없어 정확한 편찬 경위나 발간 연대를 알 수 없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초당집(草堂集)@임용중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임용중(林用中)의 문집.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초당집(草堂集)@위야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 때의 문인ㆍ은자인 위야(魏野)의 시집. 10권. 생전에 이미 간행되어 세상에 널리 전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초당집(草塘集)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구성(具宬)의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가장(家藏) 원고를 편집한 것으로, 제자인 이식(李植)의 서문(序文)이 전함.
164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초미집(焦尾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인 한원길(韓元吉)의 문집. 1권. 저자가 엮은 사집(詞集)으로, 산실(散失)되어 전하지 않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초사(楚辭)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인 유향(劉向)이 편찬한 시가 총집(詩歌總集), 또는 그 문체의 명칭. 굴원(屈原)ㆍ송옥(宋玉) 등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 사람들의 사부(辭賦)와 한(漢) 나라 사람들의 모방 작품을 모아 엮음.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초산집(椒山集)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양계성(楊繼盛)의 문집. 3권 1책.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초상인(超上人)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서월암초상인권(書越菴超上人卷)〉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초연수(焦延壽)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ㆍ학자. 소황령(小黃令)을 지냄. 맹희(孟喜)에게 《역(易)》을 배워 경방(京房)을 가르치고, 《역림(易林)》ㆍ《역림변점(易林變占)》을 저술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초은집(樵隱集)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인 이인복(李仁復)의 문집. 1권.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초자역전(譙子易傳)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학자인 초정(譙定)의 저술.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초정(譙定)
중국 송(宋) 나라 흠종(欽宗)~고종(高宗) 때의 학자. 정이(程頤)에게 《역(易)》을 배워 호헌(胡憲)ㆍ유면지(劉勉之) 등을 가르치고, 《초자역전(譙子易傳)》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초주(楚州)
중국 강소성(江蘇省) 회수(淮水) 유역에 있는 고을 이름. 마존(馬存)이 살던 곳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초주(譙周)
중국 삼국시대 촉(蜀)~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학자. 촉 나라에서 광록대부(光祿大夫)를 지냈으나, 위(魏) 나라의 공격을 받을 때 후주(後主)에게 항복을 권유하고, 진 나라 건국 후 벼슬하지 않음. 천문(天文)ㆍ경서(經書)에 능하고, 저서로 《오경론(五經論)》ㆍ《고사고서(古史考書)》 등이 있음.
200~270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초충도(草蟲圖)
풀과 풀벌레를 그린 그림. 조선 명종(明宗) 때의 서화가(書畵家)인 신사임당(申師任堂)의 작품이 유명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초학자회(初學字會)
조선 문종(文宗) 때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초학자용 한자 자서(字書). 우리나라의 한자음인 동음(東音)이 한글로 표기된 최초의 책으로, 세조(世祖) 때 이승소(李承召) 등이 언해(諺解)하였으며, 《훈몽자회(訓蒙字會)》에 인용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초학집(初學集)
중국 명(明) 말~청(淸) 초의 문신ㆍ문인인 전겸익(錢謙益)의 시문집. 110권. 명 나라가 망하기 전까지 지은 시문(詩文)을 모은 것임.
1643 중국>청 , 중국 , 문헌>서명
-
초혼(招魂)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시인 송옥(宋玉)이 지은 부(賦). 스승인 굴원(屈原)이 죄 없이 쫓겨나 정신이 혼미한 것을 슬퍼하여 상제(上帝)의 명과 무당의 말을 가탁(假託)하여 그 정신을 부른 것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초혼각(招魂閣)
조선 세조(世祖)가 단종(端宗) 및 그의 충신들을 제향하기 위해 건립한 제각(祭閣). 충청남도 공주(公州)의 동학사(東鶴寺) 경내에 있음.
145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유적>건물>사당
-
촉(蜀)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의 국명. 전한(前漢) 경제(景帝)의 후손인 유비(劉備)가 한(漢) 나라의 정통성 계승을 주장하며 촉(蜀) 땅의 성도(成都)에 세운 왕조. 2대 43년간 존속.
220~263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촉석루(矗石樓)
고려 고종(高宗) 때 경상남도 진주(晉州) 본성동(本城洞)에 세워진 누각. 진주의 상징이자 영남의 명승으로, 임진왜란 때 논개(論介)가 순국한 곳으로도 유명함.
124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유적>건물>누정
-
촉석루기(矗石樓記)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인 하륜(河崙)이 촉석루(矗石樓)에 대해 지은 기(記). 진주 목사(晉州牧事) 권충(權衷)과 진주 판관(晉州判官) 박시혈(朴施絜)이 촉석루를 중수(重修)할 때 지은 것으로, 《호정집(浩亭集)》에 수록됨.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촉호집(燭湖集)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인 손응시(孫應時)의 저서. 15권. 자서(自序)와 조카 손조우(孫祖祐)의 발문(跋文)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촌가구급방(村家救急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김정국(金正國)이 지은 의서(醫書). 1권 1책. 목판본. 가난한 촌민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흔한 약재(藥材)와 여러 사람들의 경험에서 나온 치료법을 수록함.
153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문헌>서명
-
촌담해이(寸談解頤)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강희맹(姜希孟)의 저서. 1책. 필사본. 음담패설과 설화를 모아 엮은 기담집(奇談集)으로, 저자가 시골에서 한가롭게 지내면서 시골 노인들과 나눈 이야기를 모아 수록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총통화전도설(銃筒火箭圖說)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변이중(邊以中)이 쓴 무기 관련 도설(圖說). 여러 종류의 총통(銃筒)ㆍ화통(火筒)ㆍ기전(機箭)ㆍ화전(火箭)과 같은 무기의 세부적 모양과 크기 등을 정리하여 싣고 도면(圖面)을 붙임. 《망암집(望菴集)》에 수록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촬요신서(撮要新書)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흥생(朴興生)의 저서. 2권 2책. 목활자본. 도덕성정(道德性情)과 예악형정(禮樂刑政)에 관해 서술함.
1894 한국>근대 , 서울 , 문헌>서명
-
최강(崔江)
고려 후기의 유학. 초명은 지(潪)이고 강(江)으로 개명함. 이곡(李穀)이 새 이름에 대한 자(字)를 심보(深父)로 지어 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최경지(崔敬止)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필선(弼善) 최유종(崔有悰)의 아들. 홍문관 직제학(弘文館直提學)으로 연산군(燕山君)의 생모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의 폐위를 반대함.
?~147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최경창(崔慶昌)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박순(朴淳)의 문인으로, 문장과 학문에 뛰어나 이이(李珥)ㆍ송익필(宋翼弼)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리고 당시(唐詩)에도 능하여 삼당시인(三唐詩人)으로도 불림. 종성 부사(鍾城府使) 등을 지냄.
1539~158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최경홍(崔景弘)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찬성(贊成) 최숙생(崔淑生)의 아들로,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를 지냄.
149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최경회(崔慶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크게 활약하다가 진주성(晉州城) 싸움에서 성이 함락되자 남강(南江)에 투신자살함. 진주 창렬사(彰烈祠) 등에 제향되고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됨.
1532~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최계동(崔繼潼)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흥해(興海)로, 나주 목사(羅州牧使)를 지낸 최환(崔渙)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흥해 , 인명>문사>유학
-
최계사(崔季思)
조선 전기의 문신. 성종(成宗) 때의 진사인 최하림(崔河臨)의 아버지로, 교하 현감(交河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최곤(崔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최영견(崔永甄)의 아버지로, 훈련원 참봉(訓鍊院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최광(崔廣)
중국 진(秦) 말~한(漢) 초 때의 은자. 진 나라 시황(始皇)의 폭정을 피하여 상산(商山)에 은거한 상산사호(商山四皓) 중의 한 사람으로, 한 나라 고조(高祖) 때 장량(張良)의 계책을 쓴 여후(呂后)의 초빙을 받아 태자빈객(太子賓客)이 됨.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최광수(崔光秀)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무신ㆍ역적. 거란군 진압을 위해 파견된 상장군 최유공(崔兪恭)의 휘하에 있다가 고구려 부흥을 표방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정의(鄭顗) 등에 의해 진압됨.
?~1217 한국>고려후기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무신
-
최광연(崔光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양천(陽川). 부제학(副提學) 최숙정(崔淑精)의 차남으로, 수의부위(修義副尉)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유학
-
최광윤(崔光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부제학(副提學) 최숙정(崔淑精)의 맏아들로, 용인 현령(龍仁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최광한(崔光瀚)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양천(陽川). 부제학(副提學) 최숙정(崔淑精)의 셋째 아들로,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이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된 후 명승지를 유람할 때, 박희량(朴希良)ㆍ공상린(孔祥麟) 등과 함께 종유(從遊)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유학
-
최군옥(崔群玉)
고려시대의 문신. 전주최씨(全州崔氏) 문충공파(文忠公派)의 시조. 삼중대광(三重大匡)으로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냄.
한국>고려시대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최균(崔均)
고려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전주최씨(全州崔氏) 일파(一派)의 시조. 내시 낭중(內侍郞中) 등을 지내고, 조위총(趙位寵)의 난을 진압하던 중 적장에게 살해됨. 아들 최보순(崔甫淳) 등의 현달로 상서 좌복야(尙書左僕射)에 추증됨.
?~1174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최기(崔沂)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해주 목사(海州牧使)를 지낼 때 박희일(朴希一) 등을 무고죄로 처형함으로써 이이첨(李爾瞻)의 미움을 받아 옥사(獄死)함. 뒤에 다시 대역죄로 부관참시(剖棺斬屍)되었다가 인조(仁祖) 때 신원됨.
1553~161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최기열(崔基烈)
고려 후기의 무신. 등주최씨(登州崔氏)의 시조. 조선 태조(太祖)의 증조부인 익조(翼祖)의 비 정숙왕후(貞淑王后)의 아버지로, 호장(戶長)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안변 , 인명>관인>무신
-
최능(崔凌)
조선 전기의 생원. 김안국(金安國)ㆍ박배원(朴培源)ㆍ강은(姜㶏) 등과 교유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