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최담(崔霮)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을 지낸 최덕지(崔德之)의 아버지로, 참의(參議)를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최담령(崔聃齡)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김덕령(金德齡)과 함께 의병을 일으키고 그의 별장(別將)이 되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최당(崔讜)
고려 명종(明宗)~희종(熙宗) 때의 문신. 최선(崔詵)ㆍ장자목(張自牧) 등과 함께 기로회(耆老會)를 조직하여 시주(詩酒)로써 소일하므로 당시에 지상선(地上仙)으로 불림.
1135~1211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최덕부(崔德符)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 시인 진여의(陳與義)의 스승으로 〈잠심재시(潛心齋詩)〉ㆍ〈지거헌시(止遽軒詩)〉 등의 작품이 있음.
1058~112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최덕산(崔德山)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단계(丹溪).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최준(崔濬)의 아버지로, 용양위 부호군(龍驤衛副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관인>무신
-
최덕수(崔德秀)
조선 전기의 문신. 이해(李瀣)의 사위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별좌(別座)ㆍ현감(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최덕지(崔德之)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시인ㆍ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참의(參議) 최담(崔霮)의 아들.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을 지내고 치사(致仕)하여 영암(靈岩)에 머물렀으며, 시를 잘 지음.
1384~145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최두(崔㞳)
조선 전기의 유학.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최득평(崔得枰)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전리 판서(典理判書)를 지낸 최재(崔宰)의 아버지로, 선부 전서(選部典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최득하(崔得河)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낸 최호(崔灝)의 아버지로, 사과(司果)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무신
-
최력(崔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평소에 《근사록(近思錄)》ㆍ《성리대전(性理大全)》을 읽고, 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서 수학함.
1522~155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최린(崔璘)
고려 강종(康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금의(琴儀)의 문인. 평장사(平章事) 최당(崔讜)의 손자로, 대간(臺諫)ㆍ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지냄.
?~125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최립(崔岦)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ㆍ문신. 진사(進士) 최자양(崔自陽)의 아들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문장에도 뛰어나 한호(韓濩)의 글씨, 차천로(車天輅)의 시와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로 불림.
1539~161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통천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최맹연(崔孟淵)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최징(崔澄)의 아버지로, 서부 주부(西部主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최명길(崔鳴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가담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고, 병자호란 때 주화론(主和論)을 주장하며 전란 후 피폐한 정국 안정에 힘씀.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86~164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최명룡(崔命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학자ㆍ서화가. 본관은 전주(全州). 학자 권극중(權克中)의 스승으로 역학과 수학에 정통하며, 그림에도 뛰어나 작품 〈선인무악도(仙人舞樂圖)〉 등이 전함.
1567~162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학자
-
최명손(崔命孫)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대사헌(大司憲) 최진(崔璡)의 아버지로, 이조 정랑(吏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최명창(崔命昌)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부사과(副司果) 최철손(崔鐵孫)의 아들로, 예조 참판(禮曹參判)ㆍ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를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1466~153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최문도(崔文度)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최성지(崔誠之)의 아들. 원(元) 나라에 가서 숙위(宿衛)하였으며, 몽고의 말과 글에 능통하였고, 벼슬은 첨의평리(僉議評理)에 이르렀으며, 성리학에 밝았음.
1292~134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최문립(崔文立)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동주(東州). 중서시랑 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를 지낸 최온(崔昷)의 아들이며 밀직사사(密直司事)를 지낸 최운(崔雲)의 아버지로, 봉익대부(奉翊大夫)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문사>유학
-
최문손(崔文孫)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최한경(崔漢卿)의 아버지로, 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최문한(崔文漢)
고려 후기의 문신ㆍ외척. 충숙왕(忠肅王)의 부마(駙馬)로, 삼중대광 판군기시사(三重大匡判軍器寺事)를 지내고 고려가 망하자 강화(江華)에 둔거(遯居)하였다가 강릉(江陵)으로 이적(移籍)함.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최민(崔敏)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문하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를 지낸 최자(崔滋)의 아버지로, 우복야(右僕射)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최백(崔白)
중국 송(宋) 나라의 화가. 꽃과 새를 그리는 데 능숙하고, 불화(佛畵)나 산수ㆍ동물 그림이 정교함. 그와 제자 오원유(吳元瑜)에 이르러 북송 화조화(花鳥畵)의 격식이 바뀜.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최백륜(崔伯倫)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낸 최해(崔瀣)의 아버지로, 민부 의랑(民部議郞)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최보순(崔甫淳)
고려 희종(熙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예부 상서를 지낸 최균(崔均)의 아들. 감수국사(監修國史)가 되어 《명종실록(明宗實錄)》을 찬수하고, 수태사 판이부사(守太師判吏部事)에 오름.
1162~122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최보한(崔輔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최윤명(崔潤明)의 아들.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대윤(大尹) 무리를 제거하는 데 앞장서서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되고, 수산군(隨山君)에 봉해짐.
?~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최복남(崔福男)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성균진사(成均進士)를 지낸 최언린(崔彥潾)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1545~160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최부(崔溥)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탐진(耽津). 진사(進士) 최택(崔澤)의 아들이며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냈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죽임을 당함. 저서에 《금남표해록(錦南漂海錄)》이 있음.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최비일(崔毗一)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찬성사(贊成事)를 지낸 최성지(崔誠之)의 아버지로, 첨의 찬성사(僉議贊成事) 등을 지냄.
?~131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최사유(崔士柔)
고려 말~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최항(崔恒)의 아버지로,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 등을 지내고 치사하여 수직(壽職)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봉해짐.
1372~145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관인>문신
-
최사의(崔士儀)
조선 세종(世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를 지낸 최유경(崔有慶)의 아들로,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를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1376~145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최산두(崔山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초계최씨(草溪崔氏)의 중시조. 사간(司諫)ㆍ지평(持平) 등을 지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동복(同福)으로 유배됨. 문장에 뛰어나 유성춘(柳成春)ㆍ윤구(尹衢)와 함께 ‘호남삼걸’로 불림.
1483~153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양 , 인명>관인>문신
-
최산보(崔山甫)
고려 전기의 문신. 1145년(인종 23) 김부식(金富軾)의 주도 아래 진행된 《삼국사기(三國史記)》편찬에 참고(參考)로서 참여함.
한국>고려전기 , 인명>관인>문신
-
최상중(崔尙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최영(崔穎)의 아들이며, 유희춘(柳希春)의 문인. 임진왜란 때 도원수 권율(權慄)의 종사관(從事官)이 되어 보필하고,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 등을 지냄.
1551~160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최서(崔湑)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로, 위원 군수(渭原郡守)를 지낸 최여우(崔汝雨)의 아들. 양포(楊浦) 최전(崔澱)의 형으로, 함께 이이(李珥)의 문하에서 수학했으나 요절(夭折)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최서림(崔瑞琳)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통덕랑(通德郞) 최윤성(崔胤聖)의 아들이며 김집(金集)의 문인. 1662년(현종 3)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공릉 참봉(恭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고 후진 교육에 힘씀.
1632~169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무안 , 인명>관인>문신
-
최석(崔奭)
고려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 평장사를 지낸 최유청(崔惟淸)의 아버지.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로 병마사(兵馬使)가 되어 정주(貞州) 지방의 여진족을 정벌하였으며, 당대의 문인으로 명성을 떨침.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최석(崔碩)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승평 부사(昇平府使)가 되어 선정을 펼치고 허례(虛禮)를 금함으로써 백성들이 팔마비(八馬碑)를 세워 그의 덕을 칭송함. 현재 순천(順天)에 팔마탑(八馬塔)이 세워져 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최석정(崔錫鼎)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 최명길(崔鳴吉)의 손자로, 영의정(領議政)을 지내고 정치와 학문에 두루 능함. 저서로 《명곡집(明谷集)》이 전함.
1646~171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최선(崔詵)
고려 명종(明宗)~희종(熙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주(東州). 뛰어난 학행으로 과거를 주관하여 많은 인재를 발탁하고 《태평어람(太平御覽)》등의 간행을 주관함.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냄.
?~1209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최선문(崔善門)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창신교위(彰信校尉) 최자강(崔自江)의 아들로,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냄.
?~145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최선복(崔善復)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군사(郡事)를 지낸 최자해(崔自海)의 아들. 보덕(輔德)ㆍ부윤(府尹)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최성지(崔誠之)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제2차 입성책동(立省策動) 때 원(元) 나라의 도성(都省)에 글을 올려 논의를 중지시킴. 수시력(授時曆)을 배워 와서 고려의 학계에 공헌하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65~133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최세건(崔世楗)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강릉(江陵). 위사공신(衛社功臣) 최연(崔演)의 아버지로, 충순위(忠順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무신
-
최세도(崔世道)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강릉(江陵). 형조 참판(刑曹參判)을 지낸 최응현(崔應賢)의 다섯째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최세명(崔世明)
조선 성종(成宗) 때의 진사.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최세절(崔世節)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시인. 형조 참판(刑曹參判)을 지낸 최응현(崔應賢)의 아들로, 공조 참판(工曹參判)을 지내고, 시재(詩才)에도 뛰어남.
1479~1535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최세충(崔世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형조 참판(刑曹參判)을 지낸 최응현(崔應賢)의 맏아들로, 도총부 도사(都摠府都事)ㆍ금구 현령(金溝縣令) 등을 지냄.
1453~153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최세효(崔世孝)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강릉(江陵). 중종(中宗) 때의 화가인 최수성(崔壽峸)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최수(崔倕)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이부 낭중(吏部郞中)을 지낼 때 융갈(戎羯) 정벌을 위해 출정하는 군대를 위해 〈벌경예부(伐鯨鯢賦)〉를 지어 격려함. 유우석(劉禹錫)이 지은 비문(碑文)이 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최수도(崔守道)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충주(忠州).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을 지낸 최정호(崔挺豪)의 아버지로, 좌승지(左承旨)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유학
-
최수성(崔壽峸)
조선 중종(中宗) 때의 화가. 유학 최세효(崔世孝)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 등과 교유함. 벼슬을 단념하고 시(詩)ㆍ서(書)ㆍ화(畵)ㆍ음악으로 일생을 보냈으나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처형됨.
1487~152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예술인>서화가
-
최수진(崔秀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사섬시 첨정(司贍寺僉正)ㆍ종친부 전첨(宗親府典籤) 등을 지냄.
1478~154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관인>문신
-
최숙(崔淑)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화순(和順). 세종(世宗) 때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낸 최준(崔濬)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화순 , 인명>문사>유학
-
최숙(崔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호조 정랑(戶曹正郞)을 지낸 최창손(崔昌孫)의 아들로, 김포 현령(金浦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최숙생(崔淑生)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최철중(崔鐵重)의 아들로, 우찬성(右贊成)을 지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파직됨.
1457~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최숙정(崔淑精)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세조실록(世祖實錄)》ㆍ《예종실록(睿宗實錄)》ㆍ《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ㆍ《동문선(東文選)》 등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 등을 지냄.
1432~148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최순(崔順)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화순(和順).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최제안(崔濟安)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화순 , 인명>문사>유학
-
최순작(崔純爵)
고려 문종(文宗)~예종(睿宗) 때의 문신. 평장사(平章事)를 지내고 완산백(完山伯)에 봉해졌음.
?~1108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최승로(崔承老)
고려 태조(太祖)~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학문이 뛰어나 일찍이 문병(文柄)으로서 문장과 학문계통의 관직생활을 함. 성종 때 시무(時務) 28조를 올려 국가체재 정비에 공헌하고,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927~989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최승하(崔承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어 교유하였고, 단성 현감(丹城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최시형(崔時亨)
조선 철종(哲宗)~근대의 종교인. 본관은 경주(慶州). 동학(東學)의 제2대 교조(敎祖)로 《동경대전(東經大全)》등을 간행하여 교리를 확립하고 교단의 조직을 강화함. 교조 신원운동(敎祖伸寃運動)을 주도하고, 1894년 동학농민운동(東學農民運動)을 이끌다가 체포되어 처형당함.
1827~1898 한국>근대 , 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동학교인
-
최심(崔深)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로, 감사(監司)를 지낸 최현(崔晛)의 아버지. 송당(松堂) 박영(朴英)의 문인.
1512~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최아(崔阿)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최안도(崔安道)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검교첨의평리(檢校僉議評理) 최현(崔玄)의 아들. 충숙왕이 원(元) 나라에 들어가 5년간 억류되어 있을 때 성심으로 시종(侍從)하여, 귀국한 후 응양 상호군(鷹揚上護軍)에 오르고 일등공신이 됨.
1293~1340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용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최앵앵(崔鶯鶯)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인물. 최붕(崔鵬)의 딸로, 원진(元稹)이 지은 《앵앵전(鶯鶯傳)》의 여자 주인공.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최양(崔瀁)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문신.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를 지낸 최지(崔贄)의 아들. 외삼촌인 정몽주(鄭夢周)에게 수학하고 문하찬성사를 지냈으며, 고려가 망하자 전주(全州)에 은거함.
1351~1424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최양손(崔讓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중종(中宗) 때 시정(寺正)을 지낸 최운(崔雲)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최언린(崔彥潾)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선조(宣祖) 때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낸 최복남(崔福男)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최여우(崔汝雨)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이이(李珥)의 문인인 최준(崔濬)ㆍ최서(崔湑)ㆍ최전(崔澱)의 아버지로, 위원 군수(渭原郡守) 등을 지냄.
1535~1573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최여주(崔汝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의 문인으로,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ㆍ성주 목사(星州牧使) 등을 지내고, 문장과 글씨에 능함.
1502~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최여지(崔與之)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참지정사(參知政事)ㆍ우승상(右丞相)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였고, 관문전 태학사(關文殿太學士)로 치사(致仕)함. 저서에는 《국파집(菊坡集)》이 있음.
1158~123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최연(崔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최세건(崔世楗)의 아들.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소윤(小尹)에 가담하여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되고, 동원군(東原君)에 봉해짐. 《무정보감(武定寶鑑)》을 편찬하고, 시문(詩文)에 능함.
1503~154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최영(崔瑩)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동주(東州). 고려 말 외적의 소탕과 변방 수호에 수많은 공로를 세워 도형벽상공신(圖形壁上功臣)ㆍ좌명공신(佐命功臣) 등에 책록됨. 이성계(李成桂)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으로 세력을 잃고 참형됨.
1316~1388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최영견(崔永甄)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훈련원참봉(訓鍊院參奉)을 지낸 최곤(崔崑)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최영경(崔永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학문이 뛰어나 정구(鄭逑)ㆍ김우옹(金宇顒) 등과 교유함.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 때 유령 인물인 길삼봉(吉三峯)으로 무고되어 정철(鄭澈)의 국문을 받다가 옥사(獄死)함.
1529~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최영원(崔永源)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영암(靈巖). 영암 군수(靈巖郡守)를 지낸 최형한(崔亨漢)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 , 인명>문사>유학
-
최영호(崔永灝)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세종(世宗) 때의 학자인 최항(崔恒)의 아들이며 중종(中宗) 때 사섬시 첨정(司贍寺僉正)을 지낸 최수진(崔秀珍)의 아버지로, 사옹원 정(司饔院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관인>문신
-
최온(崔昷)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평장사(平章事) 최선(崔詵)의 손자이며 좌복야(左僕射) 최종재(崔宗梓)의 아들로, 태부 중서시랑평장사(太傅中書侍郞平章事)를 지냄.
?~1268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최온(崔溫)
고려 전기의 문신. 해주최씨(海州崔氏)의 시조. 문헌공도(文憲公徒)의 창시자인 최충(崔冲)의 아버지로, 판이부사(判吏部事)를 지냄.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최온(崔薀)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사간(司諫)을 지낸 최상중(崔尙重)의 아들로,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냄. 성품이 강직하여 언관(言官)의 직책에 적합하다는 평을 받음.
1583~165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최우(崔瑀)
고려 무신정권기의 무신. 최충헌(崔忠獻)의 아들로, 아버지의 사후 집권하여 전대(前代)의 부패를 없애기 위해 노력하고 이름난 유학자를 등용하였으며, 몽고의 침입에 대비하여 강화(江華)로 천도(遷都)함. 만년에 횡포와 사치가 심해져 백성들의 원망을 샀음.
?~124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최우달(崔佑達)
통일신라 말~고려 초의 문신. 고려 건국에 공을 세운 최응(崔凝)의 아버지. 개성최씨(開城崔氏)의 시조로, 신라의 대상(大相)을 지냄.
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최운(崔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화순(和順). 김정(金淨)과 함께 수학했으며,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횡간 현감(橫澗縣監)을 지냈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파직됨.
1500~152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최운(崔雲)@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무신. 봉익대부(奉翊大夫) 최문립(崔文立)의 아들로, 철원 부사(鐵原府使)ㆍ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를 지냄.
1275~1325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무신
-
최운(崔雲)@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1521년(중종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시정(寺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최원(崔瑗)
중국 후한(後漢)의 문인ㆍ서예가. 문사(文辭)에 능하고, 장제(章帝) 때 두도(杜度)의 글씨체를 이어 장초(章草)를 잘 씀.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최원도(崔元道)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판전의시사(判典醫寺事) 최유진(崔有珍)의 아들. 대사간(大司諫)을 지냈으나, 고려가 기울어가는 것을 보고, 고향 영천(永川)으로 돌아와 은거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최원지(崔元之)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화순(和順). 지평(持平) 등을 지낸 최자해(崔自海)의 아버지로, 공민왕(恭愍王) 때 과거에 급제하여 종부시 영(宗簿寺令)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최원호(崔元浩)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우봉(牛峰). 최씨무신정권(崔氏武臣政權)의 기반을 다진 최충헌(崔忠獻)의 아버지로, 상장군(上將軍)을 지내고 영렬우성공신 삼중대광 문하시중(英烈佑聖功臣三中大匡門下侍中)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관인>무신
-
최유(崔濡)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역신(逆臣). 두 차례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횡포로 인해 탄핵을 받자 원 나라로 도망침. 기황후(奇皇后)를 설득하여 덕흥군(德興君) 왕혜(王譓)를 왕으로 세우기로 모의하고 고려에 침입했다가 패한 후 압송되어 처형됨.
?~136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최유경(崔有慶)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우왕(禑王)에게 이성계(李成桂)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을 고변하였으나, 훗날 태조(太祖)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고위관직을 두루 지내고,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녹훈됨.
1343~141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최유공(崔愈恭)
고려 후기의 무신. 상장군(上將軍)으로서 대장군(大將軍) 이극인(李克仁) 등과 함께 최우(崔瑀)의 제거를 모의하던 중 사실이 누설되어 피살됨.
?~1224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무신
-
최유종(崔有悰)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홍문관 직제학(弘文館直提學)을 지낸 최경지(崔敬止)의 아버지로, 1414년(태종 14) 친시(親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필선(弼善)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최유지(崔攸之)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낸 최온(崔薀)의 아들로, 사간(司諫) 등을 지냄.
1603~167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관인>문신
-
최유진(崔有珍)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공민왕(恭愍王) 때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최원도(崔元道)의 아버지로, 판전의시사(判典醫寺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최유청(崔惟淸)
고려 예종(睿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주(東州)로, 최석(崔奭)의 아들. 사신으로 송(宋) 나라와 금(金) 나라에 다녀오고, 집현전 대학사(集賢殿大學士) 등을 지냄. 경사(經史)와 불경(佛經)에 밝았으며 글씨에도 뛰어남.
1095~1174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최유해(崔有海)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1624년(인조 2) 안변 부사(安邊府使) 시절 명(明) 나라의 모문룡(毛文龍)에게 군량을 공급함. 지방관으로 재직하면서 선정을 베풀어 곳곳에 송덕비(頌德碑)가 세워지고, 의약ㆍ복서ㆍ천문에 밝음.
1587~164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최윤명(崔潤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수원(水原). 수산군(隨山君) 최보한(崔輔漢)의 아버지로, 당진 현감(唐津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