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최윤성(崔胤聖)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최서림(崔瑞琳)의 아버지로, 통덕랑(通德郞)에 오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최윤의(崔允儀)
고려 인종(仁宗)~의종(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해주(海州). 평장사(平章事) 등을 지냈으며,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본 《상정고금예문(詳定古今禮文)》을 편찬함.
1102~1162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최융(崔融)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중종(中宗)이 태자로 있을 때 시독(侍讀)을 담당하고, 국자사업(國子司業) 등을 지냄. 두심언(杜審言)ㆍ이교(李嶠)ㆍ소미도(蘇味道) 등과 함께 ‘초당(初唐)의 문장사우(文章四友)’로 일컬어짐.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최응(崔凝)
고려 전기의 문신. 개성최씨(開城崔氏)의 시조인 최우달(崔佑達)의 아들로, 고려 건국에 공을 세워 내봉경(內奉卿)에 오르고, 태자태부(太子太傅)로 추증됨.
898~93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최응룡(崔應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최이한(崔以漢)의 아들로, 박영(朴英)ㆍ이황(李滉)에게 수학하고,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ㆍ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1514~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최응현(崔應賢)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중종(中宗) 때의 인물인 최세도(崔世道)ㆍ최세절(崔世節)ㆍ최세충(崔世忠) 형제의 아버지로, 여러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양친(養親) 등을 이유로 대부분 사임함.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1428~1507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최의(崔竩)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우봉(牛峯). 최씨무인정권 집권자인 최항(崔沆)의 아들로, 집권시 인심을 잃고 인재 확보에 힘쓰지 않아 대사성(大司成) 유경(柳璥) 등에 의해 살해되어 60년 간의 최씨무인정권시대를 마감함.
?~1258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관인>무신
-
최이한(崔以漢)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형조 참판(刑曹參判)을 지낸 최응룡(崔應龍)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최익현(崔益鉉)
조선 철종(哲宗)~근대의 문신ㆍ학자. 이항로(李恒老)의 문인으로,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실정을 비판하여 실각시켰으며,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항일투쟁(抗日鬪爭)을 펼치며 의병을 일으켰다가 체포되어 대마도(對馬島)에서 순절함.
1833~1906 한국>근대ㅣ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최인기(崔仁起)
조선 전기의 유학. 1577년(선조 10) 정유성(鄭惟誠)ㆍ김안경(金安慶)ㆍ김안복(金安福)ㆍ김효원(金孝元) 등과 함께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최자(崔滋)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우복야(右僕射)를 지낸 최민(崔敏)의 아들. 문장이 뛰어나 이규보(李奎報)의 후계자로 추천되고, 수태사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守太師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를 지냄.
1188~1260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최자강(崔自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화순(和順).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낸 최선문(崔善門)의 아버지로, 중부 영(中部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최자양(崔自陽)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통천(通川). 선조(宣祖) 때의 문인ㆍ문신으로 송도삼절(松都三絶)의 한 사람인 최립(崔岦)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통천 , 인명>문사>유학
-
최자해(崔自海)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종부시 영(宗簿寺令)을 지낸 최원지(崔元之)의 아들. 문음(門蔭)으로 벼슬에 나와 지평(持平) 등을 거쳐 원평(原平)ㆍ밀양(密陽)의 도호부사(都護府使)를 지냄.
1363~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최재(崔宰)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선부 전서(選部典書)를 지낸 최득평(崔得枰)의 아들로 성품이 강직함. 전리 판서(典理判書)ㆍ개성 윤(開城尹)을 지낸 뒤, 벼슬을 사퇴하고 낙향함.
1303~137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최저(崔杼)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대부(大夫). 영공(靈公) 때 정(鄭)ㆍ진(秦) 나라 등의 정벌에 공을 세움. 자신의 처와 사통한 장공(莊公)을 시해하고 경공(景公)을 세워 전권을 휘둘렀으나 집안의 불화를 틈탄 경봉(慶封)에 의해 멸문을 당함.
?~B.C.54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최전(崔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해주(海州). 최여우(崔汝雨)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 신동(神童)으로 불리며 시문(詩文)ㆍ그림ㆍ글씨에 뛰어나고 음악에도 천부적 재질을 발휘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568~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
-
최정건(崔廷健)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1602년(조선 선조 35) 행인사 행인(行人司行人)으로서 황태자 책립의 조서를 반포하기 위해 한림원 시강(翰林院侍講) 고천준(顧天埈)과 함께 조선에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최정빈(崔正彬)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경상도 상주(尙州)에 있는 공검지(恭儉池)의 수축(修築)을 관장하고, 첨서추밀원사(簽書樞密院使)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최정호(崔挺豪)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최수도(崔守道)의 아들로,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ㆍ구례 현감(求禮縣監) 등을 지냄.
1573~162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최제안(崔濟安)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화순(和順). 최순(崔順)의 아들로, 1513년(중종 8)의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최제우(崔濟愚)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종교인. 본관은 경주(慶州). 동학(東學)의 창시자로, 풍수사상과 유(儒)ㆍ불(佛)ㆍ선(仙)의 교리를 토대로 하여 인내천(人乃天)을 주장함.
1824~186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ㅣ경상도>양산ㅣ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동학교인
-
최종재(崔宗梓)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주(東州). 평장사(平章事) 최선(崔詵)의 아들이자 최온(崔昷)의 아버지로, 상서 좌복야(尙書左僕射)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최종준(崔宗峻)
고려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의학자(醫學者). 본관은 동주(東州).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내고, 《신집어의촬요방(新集御醫撮要方)》을 지었는데 그 내용의 일부가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에 전함.
?~1246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최준(崔濬)@고려후기
고려 후기의 문신. 원(元) 나라에서 요양행성 참지정사(遼陽行省參知政事) 등을 역임했고, 어사(御史)로서 고려에 사는 부모를 근성(覲省)하러 온 내용의 시가 정포(鄭誧)의 《설곡집(雪谷集)》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최준(崔濬)@최한중의아들
조선 영조(英祖) 때의 역관. 본관은 경주(慶州). 만호(萬戶) 최한중(崔漢重)의 아들로, 1741(영조 17) 식년시(式年試) 역과(譯科)에 급제하여 상통사(上通事)를 지냄
17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역관
-
최준(崔濬)@최덕산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단계(丹溪). 용양위 부호군(龍驤衛副護軍)을 지낸 최덕산(崔德山)의 아들로 1513년(중종 8)의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임천 , 인명>문사>유학
-
최준(崔濬)@최여우의아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최전(崔澱)의 아우이며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찰방(察訪)을 지내고, 《창해우언(滄海寓言)》을 저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최준(崔濬)@최숙의아들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최숙(崔淑)의 아들로, 1444년(세종 2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최지(崔贄)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최돈(崔頓)의 아들이며, 최양(崔瀁)의 아버지이고, 일성부원군(日城府院君) 정운관(鄭云瓘)의 사위로,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최지몽(崔知夢)
고려 태조(太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전라도 영암(靈巖) 출신. 복서(卜筮)에 정통하여 태조에게 삼한(三韓)을 통일할 것이라는 해몽을 해주어 지몽(知夢)이라는 이름을 하사 받고, 태사(太師)를 지냄.
907~987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영암 , 인명>관인>문신
-
최진(崔璡)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최명손(崔命孫)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최징(崔澄)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서부 주부(西部主簿) 최맹연(崔孟淵)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강화 , 인명>문사>유학
-
최창손(崔昌孫)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최숙(崔璹)의 아버지로, 호조 정랑(戶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최창원(崔昌元)
통일신라 말기의 인물. 전주(全州) 출신으로, 승려 혜소(慧昭)의 아버지.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최천건(崔天健)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조 판서 등을 지냄. 유영경(柳永慶)과 결탁한 일로 정인홍(鄭仁弘) 등의 모함을 받아 삭직되었다가 복관되었으나, 후에 김제남(金悌男)의 일파로 몰려 온양에 안치되었다가 죽음.
1568~161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최철손(崔鐵孫)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개성(開城).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최명창(崔命昌)의 아버지로, 충좌위 부사과(忠佐衛副司果)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무신
-
최철중(崔鐵重)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로, 우찬성(右贊成)을 지낸 최숙생(崔淑生)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최충(崔冲)
고려 목종(穆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해주(海州). 문헌공도(文憲公徒)의 창시자로, 구재학당(九齋學堂)을 세워 유학을 보급하고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문교(文敎) 진흥과 사학(私學) 발전에 크게 공헌함.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984~1068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최충성(崔忠成)
조선 성종(成宗) 때의 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학행이 뛰어났으며, 스승의 사상을 이어받아 《소학(小學)》 교육을 중시하고 이단(異端) 배척을 강조함.
1458~149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
-
최충수(崔忠粹)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우봉(牛峰)으로, 최충헌(崔忠獻)의 동생. 1196년(신종 즉위년)에 이의민(李義旼)을 죽이고 최충헌과 함께 권력을 장악했으나, 태자비(太子妃)로 자기 딸을 들이려다 최충헌에게 죽임을 당함.
?~1197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최충헌(崔忠獻)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무신. 본관은 우봉(牛峰)으로, 상장군(上將軍)을 지낸 최원호(崔元浩)의 아들. 이의민(李義旼)을 제거하고 집권한 후 강력한 독점 권력을 행사했으며, 4대 60여 년에 걸친 최씨무신정권(崔氏武臣政權)의 기반을 마련함.
1149~121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최치운(崔致雲)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나, 술을 지나치게 좋아하여 왕이 친서(親書)로 절제하게 하자, 그 글을 벽에 걸어 놓고 출입할 때마다 바라보았다고 함.
1390~1440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최치원(崔致遠)
통일신라 경문왕(景文王)~효공왕(孝恭王) 때의 문신ㆍ학자. 경주최씨(慶州崔氏)의 시조. 12세에 입당(入唐)하여 빈공과(賓貢科)에 장원급제하고, 고변(高騈)의 종사관 등을 지내면서 문명(文名)을 떨침. 귀국하여 아찬(阿飡)) 등을 지내다가 은거함.
85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최탁(崔倬)
조선 전기의 문신. 성격이 강직하고, 생원(生員)을 거쳐 밀양 부사(密陽府使) 등을 지낸 것으로 전해짐.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최택(崔澤)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탐진(耽津)으로,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최부(崔溥)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문사>유학
-
최표(崔彪)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탐진(耽津). 원(元) 나라 제과(制科)에 급제하였으며,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역임함. 이색(李穡)의 《목은고(牧隱藁)》에 그의 당호(堂號)에 대한 기문(記文)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최필달(崔必達)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문신. 강릉최씨(江陵崔氏) 경주계(慶州系)의 시조.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삼한벽상개국찬화공신(三韓壁上開國贊化功臣)에 책록되고 삼중대광(三重大匡) 영첨의좌정승(領僉議左政丞)에 오름.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최하림(崔河臨)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최계사(崔季思)의 아들로, 1480년(성종 1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태학생으로 있을 때 승려인 학조(學祖)의 무리가 불상(佛像)을 이용하여 혹세무민(惑世誣民)하자, 그들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문을 올림.
1454~14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최한경(崔漢卿)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최문손(崔文孫)의 아들로, 1444년(세종 2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최한공(崔漢公)
조선 세조(世祖)~예종(睿宗) 때의 문신. 본관은 화순(和順).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역임하였고, 세조가 구언(求言)할 때 올린 상소의 내용이 문제가 되어 투옥되었다가 풀려난 후 낙향하여 시주(詩酒)로 소일하면서 후진(後進) 계도에 힘씀.
1423~149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최한기(崔閑奇)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영흥(永興). 조선 태조(太祖)의 외조부로, 태조 즉위 후 보조협찬좌리공신(補祚協贊佐理功臣)과 영흥부원군(永興府院君)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최한영(崔漢榮)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초계(草溪). 신재(新齋) 최산두(崔山斗)의 아버지로, 한성판윤(漢城判尹)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양 , 인명>문사>유학
-
최한정(崔漢禎)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화순(和順). 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역임하였으며, 성종의 신임이 각별하여, 이를 시기한 임사홍(任士洪)이 임용을 반대하자 도리어 그를 대사간(大司諫)으로 발탁하였다는 일화로 유명함.
1427~148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최한홍(崔漢洪)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장흥 부사(長興府使) 최형손(崔亨孫)의 아들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69~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최한후(崔漢侯)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화순(和順). 최선문(崔善門)의 아들로, 이지번(李之蕃) 등과 교유하였으며, 용담 현령(龍潭縣令)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최함(崔咸)
고려 후기의 유학. 정총(鄭摠)의 《복재집(復齋集)》에 그를 방문하여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최항(崔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삭녕(朔寧). 훈구파(勳舊派)의 대학자로서 문물제도 정비에 크게 기여하고, 역사ㆍ언어ㆍ문장에 정통하여 대중국 외교문서 작성을 전담함.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및 실록(實錄) 편찬 등에 참여함.
1409~147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최항(崔沆)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무신. 본관은 우봉(牛峯). 최우(崔瑀)의 서자로, 집권 초기에는 과중한 세금을 경감하고 탐관오리를 소환하는 등의 정책을 펼쳐서 인망을 얻었으나, 점차 호사와 향락을 일삼고 몽고(蒙古)의 침입을 효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함.
?~1257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최해(崔海)
조선 명종(明宗) 때의 진사(進士). 본관은 전주(全州). 아우 최심(崔深)과 함께 박영(朴英)의 문인이며, 1546년(명종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최해(崔瀣)@조선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수찬(修撰) 최희맹(崔希孟)의 아버지로, 공조 정랑(工曹正郞)ㆍ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최해(崔瀣)@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최백윤(崔伯倫)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말년에는 농사를 지으며 저술에 힘쓰고, 오랜 친구인 이제현(李齊賢)으로부터 문학이 탁월함을 인정받음.
1287~134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최현(崔晛)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전주(全州).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움. 《선조실록(宣祖實錄》편찬에 참여하고,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냄.
1563~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최현(崔玄)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충숙왕(忠肅王) 때의 폐신(嬖臣)인 최안도(崔安道)의 아버지로, 광정대부 검교 첨의평리(匡靖大夫檢校僉議評理)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용천 , 인명>관인>문신
-
최형손(崔亨孫)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최유공(崔有恭)의 아들이며 계림군(鷄林君) 최한홍(崔漢洪)의 아버지로, 장흥 부사(長興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최형한(崔亨漢)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영암(靈巖). 김일손(金馹孫)ㆍ성현(成俔) 등과 교유하고, 영암 군수(靈巖郡守) 등을 지냄.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궁궐 앞에서 대죄(待罪)하다가 아사(餓死)함.
?~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최호(崔灝)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최득하(崔得河)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최호(崔顥)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이백(李白)이 무창(武昌)의 황학루(黃鶴樓)에 왔다가 최호의 시를 보고는 시를 짓지 못하고, 금릉(金陵)의 봉황대(鳳凰臺)에 가서 시를 지어 대적하였다는 일화가 전해짐.
704~75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최환(崔渙)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흥해(興海). 고성 현령(固城縣令)으로 있을 때 선정을 베풀어 표창을 받았으나, 나주 목사(羅州牧使) 시절 전라도 방어사로 부임하는 남치근(南致勤)을 병으로 맞이하지 못하였다가 이로 인해 장살(杖殺)당함.
?~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흥해 , 인명>관인>문신
-
최황(崔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삼절당(三節堂) 최여주(崔汝舟)의 아들. 평난공신(平難功臣)ㆍ광국공신(光國功臣)에 녹훈되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호종하고,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1529~160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최휘지(崔徽之)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최연(崔珚)의 아들로, 문과(文科)에 급제하고도 출사(出仕)하지 않다가, 후에 집의(執義)ㆍ군수(郡守)등을 지냈으며, 글씨에 뛰어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관인>문신
-
최흔봉(崔欣奉)
고려 태조(太祖)의 부마(駙馬). 분파(分派)하여 강릉최씨(江陵崔氏) 일파의 시조(始祖)가 됨.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왕실>종친
-
최흥림(崔興霖)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화순(和順). 성운(成運)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성제원(成悌元)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였으며, 조카인 최영경(崔永慶)과 더불어 학문을 닦다가 을사사화(乙已士禍) 때 보은(報恩)의 금적산(金積山)에 은거함.
1506~158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최흥원(崔興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으로, 최수진(崔秀珍)의 아들. 임진왜란 때 도순찰사(都巡察使)로 군정 책임을 맡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사후에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29~160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최희(崔禧)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조 판서(吏曹判書) 최천건(崔天健)의 아버지로, 형조 참의(刑曹參議)를 지냄.
153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최희맹(崔希孟)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조 참의(吏曹參議) 최해(崔瀣)의 아들로, 1536년(중종 3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수찬(修撰)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최희증(崔希曾)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로, 이조 참의(吏曹參議) 최해(崔瀣)의 아들이며 최력(崔櫟)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추강냉화(秋江冷話)
조선 성종(成宗) 때의 학자인 남효온(南孝溫)이 엮은 수필집. 1책. 필사본. 일사(逸事)와 시화(詩話) 등을 모은 책으로, 〈사우명행록(師友名行錄)〉이 부록(附錄)됨. 《추강집(秋江集)》과 《대동야승(大東野乘)》에도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추강집(秋江集)
조선 성종(成宗) 때의 학자인 남효온(南孝溫)의 문집. 5권 4책. 목판본. 1577년(선조 10) 저자의 외증손 유홍(兪泓)이 경상 감영(慶尙監營)에서 간행함.
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문헌>서명
-
추교음마도권(秋郊飮馬圖卷)
중국 원(元) 나라의 문인이자 서화가인 조맹부(趙孟頫)의 말 그림이 그려진 두루마리 작품. 가을 들판에 한 관원이 말에게 물을 먹이는 모습을 그린 그림으로, 열 필(匹)의 말이 생동감 있게 표현됨.
1312 중국>원 , 중국 , 문헌>작품명
-
추기(鄒忌)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재상. 위왕(威王)을 보좌하여 법률을 수정하고, 인재를 선발하는 혁신 정치를 실시하였으며, 국방을 견고히 하여 제 나라를 강국으로 만듦.
B.C.385~B.C.31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추석(鄒奭)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음양가(陰陽家). 추연(鄒衍)의 학술을 배웠는데, 추연의 글을 수식한 것이 용의 문채를 아로새긴 것 같다고 하여 ‘조룡석(雕龍奭)’이라 일컬어짐.
B.C.305?~B.C.24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추애집(秋崖集)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방악(方岳)의 시문집. 40권. 송대(宋代)에 간행된 《추애신고(秋崖新稿)》와 명대(明代)에 간행된 《추애소고(秋崖小稿)》 가운데 중복된 것을 산삭(刪削)한 후 하나로 묶음.
중국>청 , 중국 , 문헌>서명
-
추양(鄒陽)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경제(景帝) 때의 문인. 애초에 섬기던 오왕(吳王) 유비(劉濞)의 반란 계획을 알고 간(諫)하였으나 실패하자 양왕(梁王) 유무(劉武)에게로 귀순하였으며, 한때 무고를 받아 처형될 뻔하였으나 글을 올려 양왕을 감복시킴.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추연(鄒衍)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음양가(陰陽家). 토(土)ㆍ목(木)ㆍ금(金)ㆍ화(火)ㆍ수(水)의 오행상승(五行相勝) 작용에 의하여 세상의 모든 사상(事象)이 생성된다는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을 제창하였으며, 그의 학설은 한대(漢代) 참위학(纖緯學)의 기초가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추천(鞦韆)
그네. 민속놀이 기구의 하나로, 한식(寒食)이나 단오(端午) 때 여자들이 즐기는 대표적인 놀이 기구. 또는 그 놀이인 그네뛰기를 지칭하기도 함.
물품>기타물품
-
추천집(鄒川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손영제(孫英濟)의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1873년(고종 10)에 간행됨.
187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추탄집(楸灘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오윤겸(吳允謙)의 시문집. 3권 2책. 목판본. 저자의 손자인 오도일(吳道一)이 초고(草稿)를 편집하고 연보(年譜)와 부록(附錄)을 추가하여 1692년(숙종 18) 성주(星州)에서 간행함.
16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문헌>서명
-
추파집(秋坡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송기수(宋麒壽)의 문집. 5권 2책. 목활자본. 저자의 8대손인 송필현(宋賢弼)이 유고(遺稿)를 수습하여 1753년(영조 29)경에 초간(初刊)함.
175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추포집(秋浦集)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황신(黃愼)의 시문집. 2권 2책. 목판본. 저자의 손자인 황윤(黃玧) 등이 유고(遺稿)를 수집하여 편찬하고, 외증손인 이사명(李師命)이 1684년(숙종 10)에 초간(初刊)함.
168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추호(鄒浩)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영창부 교수(穎昌府敎授) 등을 역임하였으며, 우정언(右正言)으로 있을 때 장돈(章惇)의 불충을 폭로하고 유후(劉后)를 세울 것을 간하였다가 지방관으로 좌천됨.
1060~111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추호시(秋胡詩)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안연지(顔延之)가 지은 시. 90구(句) 450자(字)로 이루어진 오언시(五言詩)로, 노(魯) 나라 사람 추호(秋胡)의 고사를 통하여 정숙한 부인을 찬미하는 내용을 담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추흥부(秋興賦)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반악(潘岳)이 지은 부(賦). 작자가 서른두 살 되던 해 가을에 귀밑머리가 희끗희끗해진 것을 보고서 가을날의 감회에 덧붙여 슬픈 심정을 표현함.
27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축도잠(竺道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승려. 대장군 왕돈(王敦)의 아우로, 출가하여 유원정(劉元貞)을 스승으로 섬겼으며, 원제(元帝)와 명제(明帝) 등에게 중망을 받았고, 묘산(峁山)에서 입적함.
286~37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축맹헌(祝孟獻)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조선 태종(太宗) 때 태복시 소경(太僕寺少卿)으로서 예부 주사(禮部主事) 육옹(陸顒)과 함께 조선에 사신으로 나옴.
1344~1412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축목(祝穆)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사문유취(事文類聚)》ㆍ《방여승람(方輿勝覽)》등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축확(祝確)
중국 송(宋) 나라의 상인. 주희(朱熹)의 외조부로, 휘주성(徽州城) 상점의 반을 점거할 정도로 크게 사업을 하여 ‘축반성(祝半城)’이라 일컬어짐.
중국>송 , 중국 , 인명>기술인>상인
-
춘당집(春塘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ㆍ학자인 오수영(吳守盈)의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838년(헌종 4)에 후손이 간행함.
183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춘신군(春申君)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의 재상. 춘추전국시대 사군(四君)으로 불렸고 태자 완(完)과 함께 진(秦) 나라에 인질로 붙잡혔다가 탈출하였으며, 효열왕(孝列王)이 즉위하자 재상에 임명되어 20년간 정치를 보좌함.
?~B.C.23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춘정집(春亭集)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변계량(卞季良)의 시문집. 12권 5책. 목판본. 문인 정척(鄭陟)이 찬집한 것을 유의손(柳義孫)ㆍ김서진(金瑞陳)이 교정하고, 경상도 감사(慶尙道監司) 권맹손(權孟孫)이 밀양(密陽)에서 간행함. 권제(權踶)의 서문과 안지(安止)의 발문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