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춘추(春秋)
중국 춘추전국시대 때 공자(孔子)가 쓴 최초의 편년체(編年體) 역사서. 오경(五經)의 하나로, B.C.722년부터 B.C.479년까지 노(魯) 나라의 주요 사건들을 기록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곡량적(穀梁赤)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춘추(春秋)》의 주석서(註釋書). 법가적(法家的) 색채를 띠고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
공자(孔子)의 《춘추(春秋)》를 해석한 주석서(註釋書)의 하나.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공양고(公羊高) 이래 공양가(公羊家)에서 가학으로 전승하여 완성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춘추번로(春秋繁露)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학자인 동중서(董仲舒)가 편찬했다고 전하는 책. 총 17권 82편. 공양학(公羊學)에 기초를 두고 음양오행설을 도입하여 천인감응설(天人感應說)을 주장함.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춘추삼전(春秋三傳)
공자(孔子)의 《춘추(春秋)》를 해석한 대표적인 세 가지 주석서(註釋書).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ㆍ《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ㆍ《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을 이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춘추오패(春秋五覇)
중국 춘추시대에 강력한 세력을 지녔던 5인의 패자(覇者). 《순자(荀子)》에서는 제(齊) 나라 환공(桓公), 진(晉) 나라 문공(文公), 초(楚) 나라 장왕(莊王), 오왕(吳王) 합려(闔閭), 월왕(越王) 구천(勾踐)을 꼽았으나, 서책에 따라 차이가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핵심어
-
춘추요의(春秋要義)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호원(胡瑗)의 저서. 3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춘추절전(春秋節傳)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인 요로(饒魯)의 저서. 《춘추(春秋)》에 관한 해설서로 추정되나, 일실(佚失)되어 현존하지 않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좌구명(左丘明)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춘추(春秋)》의 주석서(註釋書). 《국어(國語)》와 표리를 이룸.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춘추집전(春秋集傳)
중국 원(元) 말~명(明) 초의 학자인 조방(趙汸)이 지은 《춘추(春秋)》해설서. 15권. 제자인 예상의(倪尚誼)가 조방의 뒤를 이어 완성하였으며, 원대(元代)의 《춘추》연구서 가운데 가장 완성도가 높다는 평을 받음.
1368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춘추집전찬례(春秋集傳纂例)
중국 당(唐) 나라의 육질(陸質)이 춘추삼전(春秋三傳)의 내용을 배격하고 담조(啖助)와 조광(趙匡)의 학설을 보정(補訂)하여 엮은 책. 10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춘추호씨전(春秋胡氏傳)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호안국(胡安國)이 지은, 《춘추(春秋)》의 주석서.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ㆍ《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ㆍ《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과 함께 ‘춘추사전(春秋四傳)’으로 불리기도 함.
1134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춘추회요(春秋會要)
중국 남송(南宋)의 문신ㆍ학자인 요덕명(廖德明)의 저서. 《춘추(春秋)》에 관한 해설서로 추정되나, 일실(佚失)되어 현존하지 않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춘추후전(春秋後傳)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육전(陸佃)의 저서. 20권. 《춘추(春秋)》에 관한 해설서로 추정되나, 일실(佚失)되어 현존하지 않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춘효(春曉)
중국 당(唐) 나라의 산수파(山水派) 시인인 맹호연(孟浩然)의 대표적인 시. 오언절구(五言絶句)의 시로, 봄날 새벽의 정취를 표현함.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출공(出公)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제후. 위 나라 영공(靈公)의 태자인 괴외(蒯聵)의 아들로, 괴외가 죄를 얻어 진(晉) 나라로 망명했을 때 왕으로 즉위하고서 괴외의 귀국을 막았으나, 결국 괴외가 돌아와 장공(莊公)으로 즉위하자 노(魯) 나라로 망명함.
?~B.C.46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충곡서원(忠谷書院)@연산
조선 숙종(肅宗) 때 충청도 연산(連山)에 건립된 서원. 1692년(숙종 18)에 창건되었으며, 백제의 계백(階伯)과 조선의 사육신(死六臣) 등 모두 18인을 배향함. 지금의 충청남도 논산시(論山市)에 속함.
169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연산 , 유적>건물>서원,향교
-
충곡서원(忠谷書院)@온성
조선 선조(宣祖) 때 함경도 온성(穩城)에 건립된 서원. 1606년(선조 39)에 창건되고, 기준(奇遵)ㆍ김덕함(金德諴)ㆍ유계(兪棨) 등을 배향함.
1606 한국>조선후기 , 함경도>온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충렬사(忠烈祠)@장흥
조선 숙종(肅宗) 때 전라도 장흥(張興)에 건립된 사당. 1683년(숙종 9)에 창건되고 1720년(숙종 46)에 사액되었으며, 정분(鄭苯)ㆍ정광로(鄭光露)ㆍ한온(韓蘊)ㆍ정명세(鄭名世) 등을 배향함.
168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유적>건물>사당
-
충렬사(忠烈祠)@의성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의성(義城)에 건립된 사당. 1697년(숙종 23)에 창건되었으며, 사육신(死六臣) 및 오두인(吳斗寅)ㆍ이세화(李世華)ㆍ박태보(朴泰輔) 등을 배향함.
16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유적>건물>사당
-
충렬사(忠烈祠)@남원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전라도 남원(南原)에 건립된 사당. 1612년(광해군 4)에 창건되고 1653년(효종 4)에 사액되었으며, 정기원(鄭期遠)ㆍ이복남(李福男)ㆍ신호(申浩) 등 50여 인을 배향함.
161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유적>건물>사당
-
충렬사(忠烈祠)@원주
조선 현종(顯宗) 때 강원도 원주(原州)에 건립된 사당. 1668년(현종 9)에 창건되고 1670년(현종 11)에 사액되었으며, 원충갑(元冲甲)ㆍ김제갑(金悌甲)ㆍ원호(元豪) 등을 배향함.
1668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유적>건물>사당
-
충렬서원(忠烈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기도 용인(龍仁)에 건립된 사당. 1576년(선조 9)에 창건되고 1609년(광해군 1)에 사액되었으며, 정몽주(鄭夢周)ㆍ정보(鄭保)를 배향함.
157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유적>건물>서원,향교
-
충렬왕(忠烈王)
고려 제25대 왕. 재위 1274~1308. 원종(元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순경태후(順敬太后). 원종이 원(元) 나라에 있을 때 태손(太孫)으로서 국사를 담당했으며, 즉위 후 고려 왕권의 위상 확립 및 대몽항쟁(對蒙抗爭) 중 원 나라에 편입된 영토의 수복에 힘씀.
1236~130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충목왕(忠穆王)
고려 제29대 왕. 재위 1344~1348. 충혜왕(忠惠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덕녕공주(德寧公主). 정방(政房)을 혁파하고 녹과전(祿科田)을 복구하였으며, 정치도감(整治都監)ㆍ진제도감(賑濟都監)을 설치하여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백성들을 구휼하는 데 힘씀.
1337~134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충민사(忠愍祠)
조선 숙종(肅宗) 때 평안도 안주(安州)에 건립된 사당. 1681년(숙종 7)에 창건되고 이듬해 사액되었으며, 남이흥(南以興)ㆍ김준(金浚)ㆍ이상안(李尙安) 등 16명을 배향함.
1681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안주 , 유적>건물>사당
-
충방(种放)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 때의 문신ㆍ은사. 종남산(終南山)에서 은거하다가 공부 시랑(工部侍郞) 등을 지냄. 진단(陳摶)에게 선천역학(先天易學)의 사상과 하도낙서(河圖洛書)의 비결을 전수받아 목수(穆修)ㆍ이개(李溉)ㆍ허견(許堅) 등에게 전했다 함.
955~1015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충방집(种放集)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 때의 문신ㆍ은사인 충방(种放)의 문집. 1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충선왕(忠宣王)
고려 제26대 왕. 재위 1298, 1308~1313. 충렬왕(忠烈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토지와 관제개혁 등 일련의 혁신정치를 시도하고, 원(元) 나라 연경(燕京)에 만권당(萬卷堂)을 세워 서적수집과 학자들의 문화교류에 큰 영향을 줌.
1275~132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충숙왕(忠肅王)
고려 제27대 왕. 재위 1313~1330, 1332~1339. 충선왕(忠宣王)의 둘째 아들. 원(元) 나라의 세공(歲貢)을 삭감하고 공녀(貢女)ㆍ환자(宦者)의 선발을 중지시키는 등의 업적을 이루었으나, 뒤에 사냥과 연회 등에 빠져 정사를 제대로 돌보지 않음.
1294~133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충숙집(忠肅集)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문신인 유지(劉摯)의 시문집. 1122년경에 저자의 아들인 유기(劉跂)가 유안세(劉安世)의 서문을 받아 편찬함. 원래 판본은 40권이었으나 일실되고, 청(淸) 나라 때 20권 6책으로 간행함.
1122?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충신단(忠臣壇)
조선 정조(正祖) 때 강원도 영월(寧越)의 장릉(莊陵) 충신각(忠臣閣)에 설치한 제단(祭壇). 1781년(정조 15)에 어명으로 충신들의 위패를 봉안한 제단을 설치하였는데, 충신위(忠臣位)ㆍ조사위(朝士位)ㆍ환관위(宦官位)ㆍ여인위(女人位) 등 4단으로 구성됨.
1781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영월 , 유적>건물>사당
-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
임금을 그리워하는 신하의 정을 애절하게 읊은 내용의 시가(詩歌). 정서(鄭敍)의 〈정과정곡(鄭瓜亭曲)〉과 정철(鄭澈)의 〈사미인곡(思美人曲)〉ㆍ〈속미인곡(續美人曲)〉 등이 대표적임.
사상>술어>핵심어
-
충암집(冲庵集)
조선 전기의 문신인 김정(金淨)의 시문집(詩文集). 초간본은 명종(明宗) 때 공주 목사(公州牧使) 허백기(許伯琦)가 공주(公州)에서 간행함.
155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문헌>서명
-
충음시고(蟲吟詩稿)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홍경손(洪敬孫)의 시집. 산실(散失)되어 현존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충의왕(忠懿王)
중국 오대십국 오월(吳越)의 마지막 왕. 재위 947~978. 송(宋) 태종(太宗)에게 13주(州)를 바치고 등왕(鄧王)에 봉해짐.
852~932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충장사(忠壯祠)
조선 인조(仁祖) 때 충청도 당진(唐津)에 건립된 사당. 1636년(인조 14)년에 창건되고, 남이흥(南以興)을 배향함.
163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당진 , 유적>건물>사당
-
충재집(冲齋集)
조선 전기의 문신인 권벌(權橃)의 시문집(詩文集). 초간본은 현종(顯宗) 때 후손 권목(權霂) 등이 봉화(奉化)의 삼계서원(三溪書院)에서 간행함.
167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봉화 , 문헌>서명
-
충재집(盅齋集)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최숙생(崔淑生)의 시문집(詩文集).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충정왕(忠定王)
고려 제30대 왕. 재위 1349~1351년. 충혜왕(忠惠王)의 서자(庶子)로, 어머니는 희비윤씨(禧妃尹氏). 12세의 나이로 즉위하였으나 어려서 국정을 감당할 수 없다는 이유로 숙부인 왕기(王祺)가 왕위에 오른 후 강화(江華)로 추방당하여 독살됨.
1337~135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충제(冲帝)
중국 후한(後漢)의 제8대 황제. 재위 144~145년. 순제(順帝)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우귀인(虞貴人). 두 살 때 즉위하여 순제의 황후인 양씨(梁氏)가 섭정하고, 조준(趙峻)과 이고(李固) 등이 정사를 보좌했지만 양씨 외척들이 득세하여 정권을 전횡함.
143~14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충주(忠州)
충청북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충청도의 중심 고을로, 조선시대에 남한강(南漢江)의 수운(水運)을 이용한 상업 중심지이며, 영남대로(嶺南大路)가 통과하던 지역으로서 도로교통이 발달함.
충청도>충주 , 지명>행정지명
-
충주박씨(忠州朴氏)
박혁거세(朴赫居世)를 시조왕(始祖王)으로 삼고, 신라 경명왕(景明王)의 후손으로 고려 때 부정(副正)을 지낸 박영(朴英)을 중시조(中始祖)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충청도>충주 , 인명>집단>성씨
-
충지(冲止)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승려. 수선사(修禪社)의 제6세 사주(社主). 위호소(魏號紹)의 아들로, 원오국사(圓悟國師) 문하에서 선교일치(禪敎一致)의 종풍(宗風)을 계승하였으며, 유선일치(儒禪一致)의 사상조류를 수용함.
1226~129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흥 , 인명>종교인>승려
-
충청도(忠淸道)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충청도 , 지명>행정지명
-
충현사(忠賢祠)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무장(茂長)에 건립된 사당. 1608년(선조 41)에 창건되고 1609년(광해군 1)에 사액되었으며, 이존오(李存吾)ㆍ유희춘(柳希春)을 배향함.
160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무장 , 유적>건물>사당
-
충현서원(忠賢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충청도 공주(公州)에 건립한 서원(書院). 주자(朱子)ㆍ이존오(李存吾)ㆍ성제원(成悌元)ㆍ이목(李穆) 등을 배향함.
158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충혜왕(忠惠王)
고려 제28대 왕. 재위 1330~1332, 1339~1344. 충숙왕(忠肅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명덕태후(明德太后). 재리(財利)에 밝아 여러 가지 경제정책을 시행하였으나, 탐음부도(貪淫不道)하여 대신들의 탄핵을 받아 원(元) 나라로 귀양가다가 중도에 죽음
1315~134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취승정(聚勝亭)
조선 성종(成宗) 때 평안도 의주(義州)의 객관(客館) 동쪽에 건립된 누정. 1494년(성종 25)에 의주 목사(義州牧使) 구겸(具謙)이 세우고, 홍귀달(洪貴達)이 기문(記文)을 씀.
1494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의주 , 유적>건물>누정
-
취우정실기(聚友亭實紀)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안관(安灌)의 문집. 2권 1책.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취한대(翠寒臺)
조선 명종(明宗) 때 이황(李滉)이 경상도 순흥(順興)의 소수서원(紹修書院) 정문 밖에 세운 정자. 원생(院生)들이 시를 짓고 학문을 토론하던 곳으로, 죽계(竹溪) 건너편 경자암(敬字巖) 위에 있음.
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유적>건물>누정
-
취향기(醉鄉記)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왕적(王績)이 지은 주보(酒譜). 취중(醉中)의 별천지(別天地)에 대해 서술한 내용으로, 유령(劉伶)의 〈주덕송(酒德頌)〉에 비견됨.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측천무후(則天武后)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의 황후ㆍ황제. 재위 684~705. 병약한 고종의 황후가 되어 실질적으로 나라를 통치하고, 고종 사후에 국호를 ‘주(周)’로 변경한 뒤 황제가 되어 각종 사회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나, 지나친 탄압과 추문으로 비난받기도 함.
625~70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비ㅣ인명>왕실>국왕
-
치감(郗鑒)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무신ㆍ문신. 치음(郗愔)의 아버지이자, 왕희지(王羲之)의 장인. 서진(西晉)이 멸망하자 대장군(大將軍)으로서 재상인 왕도(王導)와 원제(元帝)를 도와 정사를 이끌었으며, 성제(成帝) 때까지 재상을 지냄.
269~33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치범(治範)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유이(劉彛)의 치적을 기록한 책. 유이가 구산 영(朐山令)이 되었을 때 선정(善政)을 베풀어 큰 혜택을 베풀자, 그 고을 사람들이 그의 치적을 기록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치암집(恥菴集)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지렴(李之濂)의 시문집. 8권 4책. 필사본. 1844년(헌종 10)에 후손인 이응서(李應緖)가 간행함.
184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치우(蚩尤)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제왕. 염제(炎帝)의 후예로, 구려족(九黎族)의 수령. 외모가 기이하고 성격이 사나웠으며, 신출귀몰한 재주와 무기로 황제(黃帝)와의 전쟁에서 연전연승했지만, 최후에 탁록(涿鹿)의 전투에서 패하여 죽었다 함. 전쟁의 신으로 받들어짐.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치음(郗愔)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무신. 치초(郗超)의 아버지로, 한때 자부(姊夫)인 왕희지(王羲之)와 함께 황로(黃老)의 학술을 익히기도 함. 회계내사(會稽內史)ㆍ도독 절강 동오군 군사(都督浙江東五郡軍事) 등을 지냄.
313~38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치재유고(耻齋遺稿)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홍인우(洪仁祐)의 시문집. 3권 2책. 목판본. 저자의 아들인 홍진(洪進)이 유고(遺稿)를 수집, 편차하여 1607년(선조 40)경에 초간(初刊)함.
160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치천유고(稚川遺稿)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치천(稚川) 윤방(尹昉)의 시문집. 목판본. 1737년(영조 13) 간행됨.
173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치초(郗超)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치음(郗愔)의 아들로, 모반(謀反)을 꾀하던 환온(桓溫)의 막하(幕下)가 되어 여러 가지 일을 획책함. 성품이 은일(隱逸)을 좋아하여 대규(戴逵)를 위해 섬계(剡溪)에다 집을 지어주었다 하며, 승려인 지둔(支遁)과 친교함.
336~37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치평요람(治平要覽)
조선 세종(世宗) 때 우리나라와 중국의 역대 사적 중에서 귀감이 될 만한 사실만을 뽑아 엮은 책. 150권 150책. 활자본. 세종의 명으로 정인지(鄭麟趾) 등 집현전 학사들이 편찬하고, 1516년(중종 11) 간행됨.
151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칠공자전(七公子傳)
조선 영조(英祖) 때의 은일(隱逸)인 이광정(李光庭)이 지은 전기(傳記). 갑자사화에 연좌되어 억울하게 죽은 우산군(牛山君) 이종(李踵)과 그의 아들 6명에 관련된 사적을 모아 기록한 것으로, 《눌은집(訥隱集)》권20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작품명
-
칠략(七略)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학자인 유흠(劉歆)이 편찬한 중국 최초의 도서분류목록(圖書分類目錄). 집략(輯略)ㆍ육예략(六藝略)ㆍ제자략(諸子略)ㆍ시부략(詩賦略)ㆍ병서략(兵書略)ㆍ술수략(術數略)ㆍ방기략(方技略)으로 구성됨.
B.C.6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칠발(七發)
중국 전한(前漢) 경제(景帝) 때의 문인인 매승(枚乘)이 지은 부(賦) 형식의 산문(散文). 병이 난 초 태자(楚太子)와 문병 온 오객(吳客)의 문답을 가설하여 지은 글로, 오왕(吳王) 유비(劉濞)에게 모반하지 말도록 풍간(諷諫)한 내용임.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작품명
-
칠백의총(七百義塚)
조선의 임진왜란 때 전라도 금산(錦山) 전투에서 왜군과 싸우다 순절한 칠백 의사의 무덤. 1592년(선조 25) 조헌(趙憲)의 문인인 박정량(朴廷亮) 등이 의병과 승병의 시신을 수습하여 조성하였으며, 현재 충청남도 금산군(錦山郡)에 있음.
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금산 , 유적>시설>능묘
-
칠봉서원(七峯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강원도 원주(原州)에 건립한 서원(書院). 원천석(元天錫)ㆍ원호(元昊)ㆍ정종영(鄭宗榮)ㆍ한백겸(韓百謙)을 배향함.
1624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칠불사(七佛寺)
금관가야(金官伽倻) 수로왕(首露王)의 일곱 왕자가 경상남도 하동(河東) 방면 지리산(智異山) 토끼봉에 세웠다고 전해지는 사찰. 쌍계사(雙磎寺)의 말사(末寺).
한국>가야 , 경상도>하동 , 유적>건물>사찰
-
칠산서원(七山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충청도 임천(林川)에 건립한 서원. 1687년(숙종 13)에 창건되고 1697년(숙종 23)에 사액되었으며, 유계(兪棨)를 배향함. 지금의 충청남도 부여군(扶餘郡)에 속함.
168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임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칠석(七夕)
음력 칠월 초이렛날의 밤. 이때에 은하(銀河)의 서쪽에 있는 직녀(織女)와 동쪽에 있는 견우(牽牛)가 오작교(烏鵲橋)에서 일 년에 한 번 만난다는 전설이 있으며, 이를 기념하여 마을 축제 등을 벌임.
사건>풍속
-
칠원(漆原)
경상남도 함안(咸安)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칠원 , 지명>행정지명
-
칠재자(七才子)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목종(穆宗) 때에 걸쳐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주창한 전ㆍ후 일곱 명의 문인. 홍치(弘治)ㆍ정덕(正德) 연간에 걸쳐 활약한 전칠자(前七子)와 가정(嘉靖)ㆍ융경(隆慶) 연간에 걸쳐 활약한 후칠자(後七子)로 구분됨.
중국>명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
조선 세종(世宗) 때 왕명으로 편찬한 역서(曆書). 3권 3책. 목활자본. 중국 원(元) 나라의 수시력(授時曆)을 한양(漢陽)의 실정에 맞게 수정 개편한 것으로, 이순지(李純之)ㆍ김담(金淡) 등이 1442년(세종 24)에 완성하여 1444년(세종 26)에 간행함.
14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칠정산외편(七政算外篇)
조선 세종(世宗) 때 왕명으로 편찬한 역서(曆書). 3권 5책. 목활자본.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의 속편으로, 서역(西城)의 회회력법(回回曆法)을 우리의 실정에 맞게 수정 개편한 것이며, 이순지(李純之)ㆍ김담(金淡) 등이 1444년(세종 26)에 편찬 간행함.
14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칠현금(七絃琴)
중국 현악기(絃樂器)의 하나. 우리나라 거문고의 원조(元祖).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의하면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에서 고구려에 칠현금을 보내왔으며, 왕산악(王山岳)이 이를 개량하여 연주하였다 함.
중국>주 , 중국 , 물품>기타용품>악기
-
쾌빈루(快賓樓)
경상도 예천(醴泉)에 건립한 누정.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 예천 군수 윤수천(尹壽泉)에 의해 중수됨.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예천읍지(醴泉邑誌)〉에 기록이 남아 있으며, 이의무(李宜茂)가 쓴 〈예천쾌빈루기(醴泉快賓樓記)〉가 《연헌잡고(蓮軒雜稿)》에 실려 있음.
경상도>예천 , 유적>건물>누정
-
타면자건(唾面自乾)
남이 내 얼굴에 침을 뱉으면 그것이 저절로 마를 때까지 기다린다는 뜻으로, 처세에는 인내가 필요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중국 당(唐) 나라 측천무후(則天武后) 때 재상을 지낸 누사덕(婁師德)이 동생 누후덕(婁厚德)에게 훈계한 말로, 《십팔사략(十八史略)》에 실려 있음.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타촌문집(沱村文集)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사포선(史褒善)의 문집.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탁거관(卓居寬)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유호(卓有怙)의 아들로,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宣祖)를 호종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거중(卓居重)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유항(卓有恒)의 아들로,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경지(卓敬志)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지(卓智)의 둘째 아들로, 양덕 현감(陽德縣監)ㆍ삼가 현령(三嘉縣令) 등을 지내고, 이극균(李克均)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경호(卓慶鎬)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정화(卓挺華)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계정(卓季禎)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직장(直長)을 지낸 탁지(卓智)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계현(卓繼賢)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빈(卓斌)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광무(卓光茂)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지낸 탁문위(卓文位)의 맏아들로, 충혜왕 때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였으며, 예의 판서(禮儀判書) 등을 지냄.
1330~141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광손(卓光孫)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지낸 탁문위(卓文位)의 둘째 아들로, 선부서(選部書)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광수(卓光守)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검상(檢詳)을 지낸 탁진옥(卓振玉)의 맏아들로, 역학(易學)에 뛰어났으며, 예빈시 정(禮賓寺正) 등을 역임함.
1463~149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근지(卓謹志)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직장(直長) 탁지(卓智)의 셋째 아들이고, 탁신지(卓愼志)ㆍ탁경지(卓敬志)의 동생이며, 탁계정(卓季禎)의 형.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기(卓耆)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지현사(知縣事) 탁사준(卓思俊)의 둘째 아들이고, 탁지(卓智)의 동생이며, 탁성손(卓成孫)ㆍ탁성윤(卓成胤)의 아버지. 종숙(從叔) 탁함(卓諴)에게 출계(出系)하였으며, 도사(都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탁낙정(卓犖正)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국학(國學)의 구인재생(求仁齋生)이었던 탁원진(卓元眞)의 아들로, 성균 이택재생(成均麗澤齋生)이었음.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난(卓蘭)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국학 진사(國學進士) 탁윤성(卓允成)의 아들로, 시랑(侍郞)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념(卓恬)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예의 판서(禮儀判書)를 지낸 탁광무(卓光茂)의 아들로, 전의감 정(典醫監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도민(卓道敏)
고려 선종(宣宗) 때의 문신. 광산탁씨(光山卓氏)의 시조인 탁지엽(卓之葉)의 맏아들로, 선종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도집(卓道集)
고려 전기의 문신. 광산탁씨(光山卓氏)의 시조인 탁지엽(卓之葉)의 둘째 아들로,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부 상서(吏部尙書)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련(卓璉)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중(卓中)의 둘째 아들로, 숙부인 탁평(卓平)의 양자로 들어갔으며, 정주(定州)로 유배되었다가 서용되어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정주 , 인명>관인>문신
-
탁문군(卓文君)
중국 전한(前漢) 임공(臨邛)의 부호인 탁왕손(卓王孫)의 딸이며,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처. 사마상여가 타는 거문고 소리에 반하여 밤중에 집을 빠져 나와 그의 아내가 되었으며, 후에 사마상여가 무릉(茂陵)의 여자를 첩으로 삼으려 하자 〈백두음(白頭吟)〉이라는 가사(歌詞)를 지어 결별의 뜻을 밝힘.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탁문상(卓文尙)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낸 탁광수(卓光守)의 맏아들로, 성균 진사(成均進士)였음.
1479~152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문위(卓文位)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탁영(卓英)의 맏아들로, 충렬왕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발소(拓跋紹)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초대 황제인 도무제(道武帝)의 둘째 아들. 아버지를 살해하였으며, 그도 형인 탁발사(拓跋嗣)에게 살해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탁복해(卓福海)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낸 탁정위(卓廷位)의 둘째 아들로, 도호부사(都護府使)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