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탁본(卓本)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내시윤(內侍尹)을 지낸 탁산립(卓山立)의 아들로, 직장(直長)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빈(卓斌)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성주(卓成宙)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사립(卓斯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전의감 정(典醫監正)을 지낸 탁념(卓恬)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영암 군수(靈巖郡守)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사정(卓思正)
고려 의종(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낸 탁원광(卓元光)의 아들로, 판도 판서(版圖判書)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사준(卓思俊)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도호부사(都護府使)를 지낸 탁복해(卓福海)의 아들로, 지현사(知縣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탁산립(卓山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사헌 규정(司憲糾正)을 지낸 탁열(卓悅)의 아들로, 내시윤(內侍尹)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성손(卓成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도사(都事)를 지낸 탁기(卓耆)의 맏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성윤(卓成胤)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도사(都事)를 지낸 탁기(卓耆)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성주(卓成宙)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두첨(卓斗瞻)의 맏아들이고, 탁창주(卓昌宙)ㆍ탁경주(卓景宙)의 형이며, 탁윤(卓胤)ㆍ탁빈(卓斌)ㆍ탁건(卓健)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세영(卓世瑛)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삼가 현령(三嘉縣令) 탁경지(卓敬志)의 아들로, 탁신지(卓愼志)에게 출계함. 탁지수(卓持守)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세영(卓世英)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훈련대장(訓鍊大將) 탁순창(卓順昌)의 맏아들이고, 탁세형(卓世亨)의 형이며, 탁홍례(卓弘禮)ㆍ탁홍지(卓弘智)ㆍ탁홍인(卓弘仁)ㆍ탁홍주(卓弘柱)의 아버지. 통덕랑(通德郞)에 오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세형(卓世亨)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훈련대장(訓鍊大將) 탁순창(卓順昌)의 둘째 아들이며, 탁세영(卓世英)의 동생.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수(涿水)
중국 하북성(河北省) 탁주시(涿州市)의 서북쪽에 위치하는 강 이름. 탁록산(涿鹿山)에서 발원하여 동북쪽으로 흐르며, 주(周) 나라의 도사 금고(琴高)가 이곳에서 잉어를 타고 나왔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탁순계(卓順季)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성균관 진사(成均館進士) 탁문상(卓文尙)의 넷째 아들이며, 탁순창(卓順昌)ㆍ탁순달(卓順達)ㆍ탁순맹(卓順孟)의 동생.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순달(卓順達)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성균관 진사(成均館進士) 탁문상(卓文尙)의 둘째 아들이고, 탁순창(卓順昌)의 동생이며, 탁순맹(卓順孟)ㆍ탁순계(卓順季)의 형.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순맹(卓順孟)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성균관 진사(成均館進士) 탁문상(卓文尙)의 셋째 아들이고, 탁순창(卓順昌)ㆍ탁순달(卓順達)의 동생이며, 탁순계(卓順季)의 형.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순인(卓純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훈도(訓導)를 지낸 탁연(卓淵)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순창(卓順昌)
조선 선조(宣祖)~숙종(肅宗) 때의 무신. 성균관 진사(成均館進士) 탁문상(卓文尙)의 맏아들.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고, 수직(壽職)으로 훈련대장(訓鍊大將)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탁신(卓愼)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예의 판서(禮儀判書) 탁광무(卓光茂)의 아들. 경학(經學)에 밝고 무예(武藝)ㆍ음률(音律)에도 능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 등을 지냄.
1367~142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신지(卓愼志)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직장(直長)을 지낸 탁지(卓智)의 맏아들로, 현감(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연(卓淵)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지낸 탁룡(卓龍)의 아들로, 음직(蔭職)으로 훈도(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연(卓然)
고려 고종(高宗) 때의 승려. 순천(順天)의 조계산(曹溪山) 수선사(修禪寺)에 들어가 승려가 되었으며, 이제현(李齊賢) 등과 교유함. 필법(筆法)이 뛰어나 명성을 날렸으며, 최자(崔滋)가 중창한 백련사(白蓮社)의 현판(懸板)을 씀.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종교인>승려
-
탁열(卓悅)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선부서(選部書)를 지낸 탁광손(卓光孫)의 아들로, 사헌 규정(司憲糾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염정(卓念正)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중랑장(中郞將)을 지낸 탁원익(卓元翼)의 아들로, 동정직(同正職)의 영(令)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탁영(卓英)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낸 탁종성(卓宗成)의 아들로, 고종 때 사마시(司馬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평장사(平章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영연보(濯纓年譜)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ㆍ문신인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에 대한 연보. 2권 1책. 목판본. 1548년(명종 3) 조카 김대유(金大有)가 편집하였으나 간행하지 못하고, 1874년(고종 11) 홍순목(洪淳穆)의 서(序)를 받아 서울에서 간행함.
187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탁영집(濯纓集)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ㆍ문신인 김일손(金馹孫)의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조카 김대유(金大有)가 수집ㆍ편찬하고, 1519년(중종 14)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김안국(金安國)이 자계사(紫溪祠)에서 간행함.
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문헌>서명
-
탁욱(卓頊)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직장(直長)을 지낸 탁본(卓本)의 아들로, 부정(副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운간(卓雲幹)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계현(卓繼賢)의 둘째 아들로, 후사(後嗣)가 없어 형 탁운한(卓雲翰)의 넷째 아들인 탁정오(卓挺五)를 입양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운한(卓雲翰)
조선 순조(純祖)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계현(卓繼賢)의 맏아들로, 1827년(순조 27)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함.
1790~?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곽산 , 인명>문사>유학
-
탁원광(卓元光)
고려 선종(宣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부마.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 탁도민(卓道敏)의 맏아들로,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선종(宣宗)의 딸과 혼인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탁원익(卓元翼)
고려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낸 탁도민(卓道敏)의 셋째 아들로, 중랑장(中郞將)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탁원직(卓元直)
고려 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낸 탁도민(卓道敏)의 둘째 아들로, 밀직제학(密直提學)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원진(卓元眞)
고려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낸 탁도집(卓道集)의 아들로, 국학(國學)의 구인재생(求仁齋生)이었음.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유항(卓有恒)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련(卓璉)의 맏아들로,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정주 , 인명>관인>문신
-
탁유호(卓有怙)
조선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지낸 탁련(卓璉)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정주 , 인명>문사>유학
-
탁윤성(卓允成)
고려 후기의 진사. 본관은 광산(光山). 성균 이택재생(成均麗澤齋生)이었던 탁낙정(卓犖正)의 아들로, 국학(國學)의 진사(進士)였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윤순(卓允順)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낸 탁정위(卓廷位)의 맏아들로, 봉선고 판관(奉先庫判官)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은수(卓殷秀)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홍례(卓弘禮)의 맏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은필(卓殷弼)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홍례(卓弘禮)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의상(卓義尙)
조선 전기의 문신.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낸 탁광수(卓光守)의 둘째 아들로, 숙부인 탁철수(卓哲守)의 양자로 들어갔으며, 음보(蔭補)로 현감(縣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이위(卓理位)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시랑(侍郞)을 지낸 탁난(卓蘭)의 맏아들로, 지해양현사(知海陽縣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정삼(卓挺三)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운한(卓雲翰)의 셋째 아들이고, 탁정화(卓挺華)ㆍ탁정항(卓挺恒)의 동생이며,탁정오(卓挺五)의 형.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정오(卓挺五)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운한(卓雲翰)의 넷째 아들이며, 탁정화(卓挺華)ㆍ탁정항(卓挺恒)ㆍ탁정삼(卓挺三)의 동생. 탁운간(卓雲幹)에게 출계(出系)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정위(卓廷位)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탁영(卓英)의 둘째 아들로, 이부 상서(吏部尙書)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정항(卓挺恒)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운한(卓雲翰)의 둘째 아들이고, 탁정화(卓挺華)의 동생이며, 탁정삼(卓挺三)ㆍ탁정오(卓挺五)의 형.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정화(卓挺華)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운한(卓雲翰)의 장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종성(卓宗成)
고려 신종(神宗) 때의 문신. 판도 판서(版圖判書)를 지낸 탁사정(卓思正)의 맏아들로,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주동(卓奏東)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은수(卓殷秀)의 아들이며, 탁일언(卓一言)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준립(卓俊立)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훈도(訓導) 탁연(卓淵)의 맏아들이며, 탁준정(卓俊挺)ㆍ탁순인(卓純仁)의 형.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준정(卓俊挺)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훈도(訓導) 탁연(卓淵)의 둘째 아들이고, 탁준립(卓俊立)의 동생이며, 탁순인(卓純仁)의 형.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중(卓中)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희립(卓希立)의 아들로, 김숙자(金叔滋)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김종직(金宗直)과 교유하였으며, 전적(典籍) 등을 역임함.
1404~14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지(卓智)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지현사(知縣事)를 지낸 탁사준(卓思俊)의 맏아들로, 직장(直長)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탁지상(卓志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낸 탁광수(卓光守)의 셋째 아들로, 숙부인 탁지수(卓持守)의 양자로 들어갔으며, 첨지(僉知)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지수(卓持守)
조선 전기의 문신. 사인(舍人)을 지낸 탁진옥(卓振玉)의 셋째 아들로, 탁세영(卓世瑛)에게 출계하였으며, 직장(直長)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지엽(卓之葉)
고려 선종(宣宗) 때의 문신. 광산탁씨(光山卓氏)의 시조로, 선종 때 학업(學業)과 경술(經術)로 천거되어 태사(太師) 등을 지내고, 광산군(光山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진옥(卓振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중(卓中)의 맏아들로, 1468년(세조 14) 사마시(司馬試)에 급제하였으며, 사인(舍人)ㆍ검상(檢詳)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진위(卓進位)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시랑(侍郞) 탁난(卓蘭)의 둘째 아들이며, 탁이위(卓理位)의 동생.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천성(卓天成)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판도 판서(版圖判書)를 지낸 탁사정(卓思正)의 둘째 아들로, 한성 윤(漢城尹)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철수(卓哲守)
조선 전기의 문신. 탁진옥(卓振玉)의 둘째 아들로, 첨지(僉知) 등을 역임하였으며, 후사가 없어 형 탁광수(卓光守)의 둘째 아들인 탁의상(卓義尙)을 입양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태동(卓泰東)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은필(卓殷弼)의 아들이며, 탁이길(卓履吉)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평(卓平)
조선 전기의 진사. 남평 현감(南平縣監)을 지낸 탁희립(卓希立)의 둘째 아들로, 성균 진사(成均進士)를 지냈으며, 후사가 없어 형 탁중(卓中)의 둘째 아들인 탁련(卓璉)을 입양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함(卓諴)
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봉선고 판관(奉先庫判官)을 지낸 탁윤순(卓允順)의 아들로, 1393년(태조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성 윤(漢城尹) 등을 지냄. 탁사준(卓思俊)의 둘째 아들인 탁기(卓耆)를 입양함.
134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홍례(卓弘禮)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세영(世英)의 맏아들이고, 탁홍지(卓弘智)ㆍ탁홍인(卓弘仁)ㆍ탁홍주(卓弘柱)의 형이며, 탁은수(卓殷秀)ㆍ탁은언(卓殷彥)ㆍ탁은보(卓殷輔)ㆍ탁은필(卓殷弼)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홍민(卓弘敏)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순인(卓純仁)의 아들이며, 탁유진(卓惟進)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희립(卓希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을 지낸 탁신(卓愼)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남평 현감(南平縣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탄금대(彈琴臺)
충청도 충주(忠州)의 견문산(犬門山)에 있는 절벽 바위. 신라 진흥왕(眞興王) 때 우륵(于勒)이 가야금을 탄주하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하며, 임진왜란 때 신립(申砬)이 소서행장(小西行長)과 맞서 싸우다 전사한 곳이기도 함.
충청도>충주 , 유적>기타유적ㅣ지명>자연지명
-
탄사(彈事)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인 범순인(范純仁)의 저서. 5권. 현전하지 않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탄여(坦如)
고려 후기의 승려. 진공(軫公)의 제자로, 화엄업(華嚴業)의 승통(僧統)을 지냄.
?~1299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탄옹집(炭翁集)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권시(權諰)의 시문집. 13권 7책. 목판본. 1738년(영조 14) 권시의 증손 권정징(權瀞徵)이 공주(公州)의 도산서원(道山書院)에서 간행함.
173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문헌>서명
-
탈해이사금(脫解尼師今)
신라 제4대 왕. 재위 57~80. 즉위 후 백제를 자주 공격하고 일본과 화친을 맺었으며, 가야와 싸워 승리함. 용성국(龍城國)의 왕과 적녀국(積女國)의 왕녀 사이에서 알로 태어나 궤짝에 담겨 바다에 버려졌다가 한 노파에게 길러졌다는 설화가 전해짐.
?~80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탐진세고(耽津世稿)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인 안극가(安克家)의 시집과 그의 증조 안우(安遇)의 시 2수, 전기자료를 합집한 책. 4권 2책. 목판본. 후손 안석기(安碩璣)ㆍ안사옹(安思翁) 등에 의해 자료가 정리되어 간행이 추진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탕(湯)
중국 은(殷) 나라 제1대 왕. 하(夏) 나라의 걸(桀)이 학정을 하자 이윤(伊尹) 등의 도움을 받아 걸을 격파하고 은 나라를 세웠는데, 유교에서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 주(紂)를 토벌한 일과 함께 정당한 혁명의 전형(典型)으로 평가됨.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탕^무(湯^武)
중국 은(殷) 나라를 세운 탕(湯)과 주(周) 나라를 세운 무왕(武王)을 함께 부르는 말. 각각 하(夏) 나라의 걸(桀)과 은(殷) 나라의 주(紂)를 정벌하고 새로 건국한 고사에서, 무도한 왕을 정벌하고 정당한 혁명을 일으킨 성군(聖君)을 가리킴.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탕^문(湯^文)
중국 은(殷) 나라를 세운 탕(湯)과 주(周) 나라의 기틀을 마련한 문왕(文王)을 함께 부르는 말. 유교에서 성군(聖君)을 가리킴.
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태갑(太甲)
중국 은(殷) 나라의 제왕. 탕(湯)의 손자이며, 태정(太丁)의 아들로, 중임(中壬)을 이어 즉위하여 3년 동안 포학하고 방탕하였으므로 이윤(伊尹)에게 추방되었다가, 3년 뒤 개과천선하고 다시 복귀하여 선정을 베풀었다고 함.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강(太姜)
중국 주(周) 나라 태왕(太王)의 비(妃). 왕계(王季)의 어머니. 부덕(婦德)이 훌륭하여 태임(太任)ㆍ태사(太姒)와 더불어 주 나라 왕실의 ‘삼모(三母)’로 일컬어짐.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태강(太康)
중국 하(夏) 나라 제3대 왕. 우(禹)의 손자이며, 계(啓)의 아들로, 사냥을 좋아하고 황음무도(荒淫無道)하여 국사를 돌보지 않다가 후예(后羿)에게 쫓겨났다고 함.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계집(台溪集)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인 하진(河溍)의 시문집. 2권 2책. 목판본. 1683년(숙종 9) 아들 하해우(河海宇)가 수집ㆍ정리하여 진주(晉州) 응석사(凝石寺)에서 간행함.
168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문헌>서명
-
태고정(太古亭)
조선 성종(成宗) 때 경상도 대구(大丘)에 건립한 정자. 1479년(성종 10) 박팽년(朴彭年)의 손자인 박일산(朴壹珊)에 의해 창건되고,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14년(광해군 6) 후손에 의해 중건됨.
147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유적>건물>누정
-
태극도(太極圖)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송(宋) 나라 때의 도사인 진단(陳摶)이 처음 만들었다는 태극(太極)의 도식(圖式). 충방(种放)ㆍ목수(穆修) 등에게 차례로 전승되어 주돈이(周敦頤)의 《태극도설(太極圖說)》로 이어졌다 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태극도설(太極圖說)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주돈이(周敦頤)의 저서. 1권. 태극(太極)으로 우주의 생성과 인륜의 근원을 논하였으며, 주자학(朱子學)의 성전(聖典)으로 여겨짐.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태극도해(太極圖解)
조선 순조(純祖)~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치명(柳致明)의 저서. 태극도(太極圖)에 대한 해설서로 추정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태극변(太極辨)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문준(成文濬)의 저서.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태극삼도(太極三圖)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인 요로(饒魯)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태극홍범도설(太極洪範圖說)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정약용(程若庸)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태두남(太斗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순(永順). 담론(談論)을 잘하고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종부시 정(宗簿寺正) 등을 지냈으나, 김안로(金安老)의 미움을 사 성주 목사(星州牧使)로 좌천됨.
1486~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태령(太寧)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 제2대 명제(明帝) 때의 연호. 기간 323~326.
323~32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연호
-
태무제(太武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3대 황제. 명원제(明元帝)의 맏아들로, 화북(華北)을 통일하고, 송(宋) 나라를 공격하여 큰 타격을 입혔으며, 도교(道敎)를 숭상하고 불교(佛敎)를 억압함. 말년에 환관 종애(宗愛)에게 피살됨.
408~45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백(太伯)
중국 주(周) 나라 태왕(太王)의 맏아들. 태왕이 셋째 아들인 왕계(王季)에게 전위(傳位)하려 하자, 동생 중옹(仲雍)과 함께 형만(荊蠻)으로 들어가 그들의 습속을 따라 몸에 문신을 하고 머리를 짧게 깎아 왕계에게 후계자의 자리를 양보함. 무왕(武王)이 천하를 통일한 다음 그의 자손을 오(吳) 나라에 봉해 줌.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태백산맥(太白山脈)
함경남도 안변(安邊)의 황룡산(黃龍山) 부근에서부터 부산(釜山)의 다대포(多大浦)에 이르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남북주향의 산맥. 낭림산맥(狼林山脈)과 함께 우리나라의 중추를 이루는 척량산맥(脊梁山脈)으로, 대관령(大關嶺)ㆍ한계령(寒溪嶺)ㆍ미시령(彌矢嶺)ㆍ진부령(陳富嶺) 등의 고개가 동ㆍ서 지역간 교통로로 이용됨.
지명>자연지명
-
태사(太姒)
중국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비(妃). 무왕(武王)의 어머니. 부덕(婦德)이 훌륭하여 태임(太任)ㆍ태강(太姜)과 더불어 주 나라 왕실의 ‘삼모(三母)’로 일컬어짐.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태산(泰山)
중국 산동성(山東省) 태안(泰安) 북쪽에 있는 산 이름. 오악(五岳)의 하나로서 위치상 동악(東岳)에 해당하며, 중국 역대 왕조의 국가적 행사인 봉선(封禪)이 열리던 곳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태상(泰常)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 제2대 명원제(明元帝) 때의 연호. 기간 416~423.
416~42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연호
-
태상인혁례(太常因革禮)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ㆍ학자인 소순(蘇洵)이 요벽(姚闢) 등과 함께 편찬한, 북송(北宋) 이래의 예(禮)에 관한 글을 모은 책. 100권. 1065년 완성됨.
106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태아검(太阿劍)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명검(名劍). 구야자(歐冶子)와 간장(干將)이 함께 만든 세 자루 가운데 하나로,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뇌환(雷煥)이 예장(豫章)의 풍성(豊城)에서 얻었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태안(泰安)
충청남도 태안반도(泰安半島)의 중간에 위치한 고을 이름.
충청도>태안 , 지명>행정지명
-
태왕(太王)
중국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조부. 적인(狄人)들의 침략을 피해 빈(邠) 땅에서 기산(岐山)으로 이주한 후 국호를 ‘주(周)’라 정하고 주 나라의 기틀을 마련함. 무왕(武王)에 의해 태왕으로 추존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인(泰仁)
전라북도 정읍(井邑)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전라도>태인 , 지명>행정지명
-
태인향교(泰仁鄕校)
조선 세종(世宗) 때 전라도 태인(泰仁)에 건립한 향교. 1421년(세종 3)에 창건되고, 5성(五聖)ㆍ송조4현(宋朝四賢)ㆍ우리나라 18현(十八賢) 등을 배향함.
142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유적>건물>서원,향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