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태임(太任)
중국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어머니. 부덕(婦德)이 훌륭하여 태강(太姜)ㆍ태사(太姒)과 더불어 주 나라 왕실의 ‘삼모(三母)’로 일컬어짐.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태자단(太子丹)
중국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마지막 태자. 진(秦) 시황(始皇)이 육국(六國)을 병합할 야욕이 있음을 알고 자객(刺客) 형가(荊軻)를 시켜 시황(始皇)을 암살하려다 실패함.
?~B.C.22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태자소부잠(太子少傅箴)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부현(傅玄)이 쓴 잠(箴).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태자지(太子止)
중국 춘추전국시대 허(許) 나라 제후인 도공(悼公)의 맏아들. 학질에 걸린 도공에게 약을 올려 도공이 죽게 되자, 임금 자리를 아우 훼(虺)에게 넘겨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태자하(太子河)
중국 요양시(遼陽市)에 있는 요하(遼河)의 지류. 요산(遼山)에서 발원하여 서남쪽으로 흘러 요하와 만남. 원명은 연수(衍水)로,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태자 단(丹)이 형가(荊軻)를 시켜 진시황(秦始皇)을 암살하려다 발각되자 피신하여 숨었던 곳이라 하여 ‘태자하(太子河)’로 불림.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태재집(泰齋集)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학자인 유방선(柳方善)의 시문집. 5권 2책. 목판본. 아들 유윤경(柳允庚)ㆍ유윤겸(柳允謙)이 수집ㆍ편차하고, 문인 이보흠(李甫欽)의 도움으로 1450년(세종 32) 영천(永川) 북습서당(北習書堂)에서 간행함. 1815년(순조 15) 14대손 유천식(柳天植) 등이 중간함.
14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문헌>서명
-
태정제(泰定帝)
중국 원(元) 나라의 황제. 재위 1323~1328. 무종(武宗)의 종형(從兄)으로, 영종(英宗)이 시해된 후에 옹립되었으나, 재위 기간 중 불사(佛事)를 빈번하게 일으키고, 사회적 모순을 더욱 심화시킴.
1293~1328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조(太祖)@남북조(전연)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 전연(前燕)의 제1대 왕. 재위 337~348. 모용외(毛容廆)의 아들이자 모용각(慕容恪)의 아버지. 337년 연왕(燕王)이라 칭하고 조양(朝陽)에 도읍하였고, 342년 고구려를 공격하여 영토를 확장함.
297~34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조(太祖)@금
중국 금(金) 나라의 초대 황제. 재위 1115~1123. 만주 동부와 고려 장성(長城) 밖의 여진 제부(女眞諸部)를 통합하고, 요(遼) 나라 군대를 만주의 영강주(寧江州)에서 격파한 뒤 황제에 오름.
1068~1123 중국>금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조(太祖)@고려
고려 제1대 왕. 재위 918~943. 후삼국시대에 궁예(弓裔)의 휘하에서 활약하다가 홍유(洪儒)ㆍ배현경(裵玄慶) 등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어 고려 왕조를 창건하였으며, 후삼국 통일의 위업을 달성함.
877~94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태조(太祖)@송
중국 송(宋)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960~976. 중국 대륙의 대부분을 통일하였으며, 문치주의(文治主義)에 의한 중앙집권적 관료제를 확립함으로써 송(宋) 나라 발전의 기반을 다짐.
927~976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조(太祖)@조선
조선 제1대 왕. 재위 1392~1398. 고려 말에 무장(武將)으로서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크게 활약했으며, 개혁파 사류(士類)와 함께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후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짐.
1335~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태조(太祖)@남북조(북연)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의 하나인 북연(北燕)의 제1대 왕. 재위 409~430. 소성제(昭成帝)의 형으로, 후연(後燕)의 왕인 모용희(慕容熙)를 죽이고 모용운(慕容雲)을 왕위에 앉혔다가 모용운이 죽자 등극함.
?~43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조(太祖)@오대십국(후량)
중국 오대(五代) 후량(後梁)의 제1대 황제. 재위 907~912. 당(唐) 나라 말 황소(黃巢)의 부하로 있다가 관군에 항복하여 황소의 잔당과 군벌을 평정한 후 양왕(梁王)에 봉해짐. 소종(昭宗)을 죽이고 애제(哀帝)를 세웠다가 폐위하고 양(梁) 나라를 건국함.
852~912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조(太祖)@오대십국(후주)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의 하나인 후주(後周)의 제1대 황제. 재위 951~954. 그의 강대한 세력을 견제하려는 후한(後漢)의 은제(隱帝)를 축출하고 제위에 올랐으며, 후한의 폐정(弊政)과 악법(惡法)을 폐지하는 등 개혁정치를 펼침.
904~954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조(太祖)@원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 황제이며, 몽고(蒙古) 제국의 창시자. 재위 1206~1227. 몽고를 통일하고 원 나라 건설의 기초를 마련하여 칭기즈칸으로 일컬어지며, 원을 세운 손자 세조(世祖)에 의해 태조로 추존됨.
1155?~1227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조(太祖)@명
중국 명(明)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1368~1398. 원(元) 나라를 몽골로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한 후 한민족(漢民族)의 왕조를 회복시키고, 아울러 중앙집권적 독재체제의 구축을 꾀함.
1328~1398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조실록(太祖實錄)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재위 6년간의 역사를 기록한 책. 조선 최초의 실록(實錄)으로, 1409년(태종 9) 하륜(河崙)ㆍ유관(柳觀)ㆍ정이오(鄭以吾)ㆍ변계량(卞季良) 등이 편찬을 시작하여 1413년(태종 13)에 완성되었고, 이후 여러 번 개수됨.
141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태조왕(太祖王)
고구려 제6대 왕. 재위 53~146. 유리왕(瑠璃王)의 손자로, 영토확장 및 중앙집권적 형태의 체제 정비를 통해 국가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이때부터 계루부(桂婁部)의 왕위계승이 확립됨.
47~165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태종(太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2대 황제. 재위 626~649. 고조(高祖)의 아들이며, 당 나라의 실질적인 창건자로, 돌궐족(突厥族)을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하였으며, ‘정관(貞觀)의 치(治)’로 일컬어지는 성세(盛世)를 이루어 후세 제왕의 모범이 됨.
598~649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종(太宗)@원
몽고 제국의 제2대 칸이며,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 황제, 재위 1229~1241. 태조(太祖)로 추존된 칭기즈칸의 셋째 아들로, 몽고 제국의 영토를 서유럽까지 확장시켰으며 몽고 제국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계기를 마련함.
1185~1241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종(太宗)@조선
조선 제3대 왕. 재위 1400~1418. 신의왕후(神懿王后)의 소생으로, 태조의 즉위에 크게 기여함. 두 차례의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고 정종(定宗)의 양위를 받아 즉위한 후 관제개혁을 통하여 왕권의 강화를 도모함.
1367~142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태종(太宗)@송
중국 송(宋) 나라 제2대 황제. 재위 976~997. 태조(太祖)의 동생으로, 중국 전토를 통일하고 국가 지배체제의 기초를 확립하여, 문화적ㆍ경제적 번영의 기틀을 마련함.
939~997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신라 제29대 왕. 재위 654~661. 신라 최초의 진골(眞骨) 출신 왕으로, 당(唐) 나라와 연합하여 백제(百濟)를 멸망시킴으로써 삼국통일(三國統一)의 기틀을 마련함.
604~661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태천(泰川)
평안북도 남서쪽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영변(寧邊), 북쪽으로 삭주(朔州)를 접하고 있음.
평안도>태천 , 지명>행정지명
-
태천집(苔泉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민인백(閔仁伯)의 시문집. 6권 2책. 목활자본. 1874년(고종 11) 후손 민기용(閔璣容)에 의해 편집ㆍ간행되었으며, 아들 민성(閔垶)의 〈용암실기(龍巖實記)〉가 합록되어 있음.
187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태평곡(太平曲)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가사(歌辭). 5장으로 구성되었는데, 태평성세를 이룩했던 중국의 역대 성군(聖君)의 은덕을 찬양하는 내용을 담음. 《죽계지(竹溪誌)》와 《무릉잡고(武陵雜稿)》에 실려 있음.
15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문헌>작품명
-
태평공주(太平公主)
중국 당(唐) 나라 제3대 황제인 고종(高宗)과 측천무후(則天武后) 사이에서 태어난 막내딸. 위황후(韋皇后) 세력을 몰아내고 예종(睿宗)을 옹립하여 권력을 마음대로 휘둘렀는데, 현종(玄宗)의 폐립(廢立)을 모의하다가 발각되어 사사(賜死)됨.
663?~713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공주
-
태평광기(太平廣記)
중국 송(宋) 나라 때 이방(李昉) 등이 칙명(勅命)으로 편찬한 중국 역대 설화집(說話集). 500권. 한(漢) 나라에서 북송(北宋) 초기까지의 소설류를 담고 있음.
978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태평어람(太平御覽)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방(李昉) 등이 편찬한 백과전서. 천 권. 태종의 칙명으로 977년에 착수하여 983년에 완성시킨 송사대서(宋四代書) 중의 하나로, 55부문으로 나뉘어 있고, 인용한 책이 1,690종이 됨. 고려 말 오연총(吳延寵) 등이 국내에 들여옴.
983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태평통재(太平通載)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임(成任)이 편찬한 설화집. 80권. 중국 송(宋) 나라의 《태평광기(太平廣記)》를 축약한 《태평광기상절(太平廣記詳節)》에 조선 고금의 기이한 소문을 수집하여 함께 엮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태평한화골계전(太平閑話滑稽傳)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서거정(徐居正)이 지은 설화집. 4권. 1477년(성종 8)에 고려 말~조선 초에 고관ㆍ문인ㆍ승도 사이에 떠돌던 해학적 기문(奇聞)과 일화(逸話)를 수집하여 기록함.
147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태함집(太函集)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왕도곤(汪道昆)의 문집. 120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태허정집(太虛亭集)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최항(崔恒)의 시문집. 아들 최영린(崔永潾)ㆍ최영호(崔永灝) 형제가 수집하고, 처남 서거정(徐居正)이 편집하여 1486년(성종 17)에 간행함. 《용재총화(慵齋叢話)》에 목록이 실려 있음.
1486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태현경(太玄經)
중국 한(漢) 나라의 사상가 양웅(揚雄)이 《주역(周易)》을 본떠 지은 책. 10권.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태호(太湖)
중국 강소성(江蘇省)과 절강성(浙江省)에 걸쳐 있는 호수 이름. 산수(山水)가 빼어나 동천복지(洞天福地)로 일컬어짐.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태화루(太和樓)
신라시대에 경상도 울산(蔚山)에 건립한 누각. 진주 촉석루(晉州矗石樓)ㆍ밀양 영남루(密陽嶺南樓)ㆍ평양 부벽루(平壤浮碧樓)와 함께 조선 4대 명루로 불리며, 조선 성종(成宗) 때 박복경(朴復卿)에 의해 중수됨.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울산읍지(蔚山邑誌)〉에 기록이 남아 있음.
한국>신라 , 경상도>울산 , 유적>건물>누정
-
택규성감(宅揆成鑑)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설거(薛據)가 찬진(撰進)한 책. 고금을 통하여 국가의 정치ㆍ경제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수록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택당집(澤堂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식(李植)의 문집. 34권 16책. 목판본. 1674년(현종 15) 아들 이단하(李端夏)의 스승인 송시열(宋時烈)에 의해 전라도 남평(南平)에서 간행됨.
167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평 , 문헌>서명
-
토각암(兔角庵)
고려 후기의 승려인 경조(景照)가 거처하던 절 이름.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과 《동문선(東文選)》에 〈공공상인토각암기(空空上人兔角庵記)〉가 남아 있음.
한국>고려후기 , 유적>건물>사찰
-
토란(土卵)
천남성과(天南星科)의 다년초(多年草). 추석 등의 명절에 먹는 전통음식 중 하나로, 남쪽 지방에서 많이 재배됨. 전통 민화(民畵)나 문양(紋樣)에서 무병장수(無病長壽)를 상징하며, 중국의 민산(岷山) 밑에서는 토란이 많이 생산되어 이곳 사람들은 죽을 때까지 굶주리지 않는다고 함.
자연물>식물
-
토성(土星)
오성(五星) 중의 하나로, 중앙(中央)을 상징하는 별. 28년마다 하늘을 한 바퀴 도는데, 해마다 이십팔수(二十八宿) 중의 한 별자리를 채우는 데서 ‘진성(鎭星)’이라 일컬어짐.
자연물>천체
-
토오적문(討五賊文)
조선 고종(高宗) 때의 문신인 송병순(宋秉珣)이 지어 전국의 유림에 선포한 선언문.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되자 지은 글로, 을사오적(乙巳五賊)을 처단하자는 내용을 담음.
1905 한국>근대 , 문헌>작품명
-
통감기사본말(通鑑紀事本末)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원추(袁樞)가 지은 중국 최초의 기사본말체(紀事本末體) 역사서. 사마광(司馬光)이 지은 《자치통감(資治通鑑)》의 기사를 항목별로 분류해서 안배함. 42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통감속편(通鑑續編)
중국 명(明) 나라의 진경(陳桱)이 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資治通鑑)》과 주자(朱子)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체재를 본떠 편찬한 책. 24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통도사(通度寺)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 때 자장율사(慈藏律師)가 경상도 양산(梁山)의 취서산(鷲棲山)에 창건한 사찰. 해인사(海印寺)ㆍ송광사(松廣寺)와 함께 우리나라 삼보사찰(三寶寺刹)의 하나로서, 부처의 진신사리를 모신 불보사찰(佛寶寺刹)로 유명함.
646 한국>신라 , 경상도>양산 , 유적>건물>사찰
-
통서(通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주돈이(周敦頤)가 지은 책. 《태극도설(太極圖說)》과 표리(表裏)를 이루어 윤리적인 면이 강조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통신사(通信使)
고려 말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일본 막부(幕府)의 장군에게 파견한 공식적인 외교 사절.
1375?~1876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후기 , 법제>제도
-
통전(通典)
중국 당(唐) 나라의 재상(宰相) 두우(杜佑)가 편찬한 책. 200권. 중당(中唐) 이전의 역대 제도와 문물을 기록한 중국 최초의 정서(政書)임.
801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통정집(通亭集)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인 강회백(姜淮伯)의 문집. 지리산 단속사(斷俗寺)에서 글공부할 때 손수 심은 정당매(政堂梅)를 읊은 시 등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통파정(通波亭)
중국 송(宋) 나라 원풍(元豊) 연간에 강소성(江蘇省) 소주(蘇州)의 고소성(姑蘇城) 근처에 세운 누정(樓亭). 고려에서 온 사신들을 접대하던 곳.
중국>송 , 중국 , 유적>건물>누정
-
퇴^고(退^高)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퇴계(退溪) 이황(李滉)과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을 함께 부르는 말. 조선 성리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친 두 사람을 일컬음.
한국>조선전기 , 사상>술어>관용어
-
퇴^율(退^栗)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로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인 이황(李滉)과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종장인 이이(李珥)를 함께 부르는 말.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성리학자(性理學者)를 가리킴.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ㅣ경기도>파주 , 사상>술어>관용어
-
퇴계선생문집고증(退溪先生文集攷證)
조선 정조(正祖) 때의 학자인 유도원(柳道源)이 지은, 《퇴계집(退溪集)》에 대한 주석서. 1891년(고종 28)에 현손 유건호(柳建鎬)에 의해 간행됨.
1891 한국>근대 , 문헌>서명
-
퇴계언행록(退溪言行錄)
조선 숙종(肅宗) 때 권두경(權斗經)이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언행을 수록하여 편찬한 책. 6권 3책. 1707년(숙종 33)에 8권 4책의 《퇴도선생언행통록(退陶先生言行通錄)》으로 편찬되고, 1732년(영조 8)에 《퇴계언행록(退溪言行錄)》으로 재편되어 간행됨.
170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퇴계집(退溪集)
조선 전기의 대유(大儒) 이황(李滉)의 문집(文集). 문인(門人) 조목(趙穆)의 주도로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간행하고, 여러 종류의 판본이 전함.
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문헌>서명
-
퇴어당유고(退漁堂遺稿)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인 김진상(金鎭商)의 문집. 1805년(순조 5) 함양 군수(咸陽郡守)로 있던 손자 김상목(金相穆)이 7권 3책의 목판으로 간행함.
18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문헌>서명
-
퇴휴당(退休堂)
조선 전기의 문신 소세양(蘇世讓)이 은퇴 후에 노년을 보낸 집의 당호(堂號). 전라북도 익산(益山) 금마면(金馬面)에 있었으나 현존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유적>건물>사제
-
파^곡(坡^谷)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으로,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인 소식(蘇軾)과 그의 문인(門人)이자 강서시파(江西詩派)의 시조인 황정견(黃庭堅)을 함께 부르는 말. 시문(詩文)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파^교(坡^交)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파주(坡州)와 교하(交河)를 함께 부르는 말.
경기도>파주ㅣ경기도>교하 , 지명>기타지명
-
파^사(坡^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혼(成渾)과 선조~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장생(金長生)을 함께 부르는 말. 우리나라 십팔현(十八賢)에 속하는 인물들로, 뛰어난 학자를 가리킴.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파^악(巴^岳)
중국 사천성(四川省)에 있는 파주(巴州)와 호남성(湖南省) 북쪽에 있는 악양(岳陽)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파사이사금(婆娑尼師今)
신라 제5대 왕. 재위 80~112. 성은 박씨(朴氏)로, 유리이사금(儒理尼師今)의 둘째 아들. 음즙벌국(音汁伐國)ㆍ다벌국(多伐國) 등을 정벌하고, 월성(月城)을 쌓아 궁실을 옮기는 등 신라가 고대 국가로 발전하는 기초를 마련함.
?~112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파산서원(坡山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기도 파주(坡州)에 건립한 서원. 1650년(효종 1)에 사액되고, 성수침(成守琛)ㆍ성수종(成守琮)ㆍ성혼(成渾)ㆍ백인걸(白仁傑) 등을 배향함.
156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파산일고(巴山逸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유중엄(柳仲淹)의 문집. 1808년(순조 8) 후손 유태좌(柳台佐)에 의해 간행됨.
180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파주(坡州)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1398년(태조 7) 서원(瑞原)ㆍ파평(坡平)을 합하여 원평군(原平郡)이 되고, 1460년(세조 6) 파주라는 명칭으로 바뀜.
경기도>파주 , 지명>행정지명
-
파주(巴州)
중국 사천성(四川省) 안악(安岳)에 있는 고을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파천집(坡川集)
조선 중종(中宗)의 외조부인 윤호(尹壕)와 그의 아들 윤탕로(尹湯老)의 문집.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파평윤씨(坡平尹氏)
왕건(王建)을 도와 후삼국(後三國)을 통일하는 데 공을 세우고 벽상삼한익찬공신(壁上三韓翊贊功臣)에 녹훈된 윤신달(尹莘達)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집단>성씨
-
파한집(破閑集)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인로(李仁老)가 지은 시화집. 1260년(원종 1)에 아들 이세황(李世黃)이 수집하여 안렴사(按廉使) 대원왕공(大原王公)의 후원으로 간행함.
1260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팔경(八莖)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전욱(顓頊)이 지은 음악.
고대 , 중국 , 기타>가무
-
팔곡잡고(八谷雜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구사맹(具思孟)이 지은 인물전(人物傳). 1책. 목판본. 본래 명칭은 《난후조망록(亂後弔亡錄)》으로, 이해수(李海壽)의 《난후도망록(亂後悼亡錄)》을 차운하여 지은 것이며, 1686년(숙종 12) 구문수(具文洙)가 안협(安峽)에서 간행함.
1686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안협 , 문헌>서명
-
팔곡집(八谷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구사맹(具思孟)의 문집. 4권. 목판본. 아들 구성(具宬)이 정리한 《팔곡유고(八谷遺稿)》를 외손서(外孫婿)인 이식(李植)이 4권으로 편차하고, 1632년(인조 10) 차남인 구굉(具宏)이 통영(統營)에서 간행함.
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성 , 문헌>서명
-
팔공산(八公山)
경상도 대구(大丘)ㆍ영천(永川)ㆍ군위(軍威)에 걸쳐 있는 산. 고려 태조(太祖)가 이곳에서 견훤(甄萱)에게 포위되었을 때 신숭겸(申崇謙)ㆍ김낙(金樂) 등 8명의 장수가 모두 전사하여 팔공산이라 하였다 함.
경상도>영천(永川)ㅣ경상도>대구ㅣ경상도>군위 , 지명>자연지명
-
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양성지(梁誠之)가 찬진(撰進)한 지리지.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의 저본이 됨.
14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팔마비(八馬碑)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전라도 순천(順天)에 세운 비석. 승평 부사(昇平府使) 최석(崔碩)이 중앙으로 돌아갈 때 고을에서 관례상 바치던 여덟 필의 말을 거절하고 그 폐단을 없애자, 그의 청렴함을 기려 세움.
130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유적>기타유적
-
팔봉서원(八峯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충청도 충주(忠州)에 건립한 서원(書院). 이자(李耔)ㆍ이경연(李慶延)ㆍ김세필(金世弼)ㆍ노수신(盧守愼)을 배향함.
158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팔선(八仙)
중국 전설상의 불사(不死)의 경지에 이른 여덟 명의 신선. 종리권(鍾離權)ㆍ장과로(張果老)ㆍ한상자(韓湘子)ㆍ이철괴(李鐵拐)ㆍ조국구(曹國舅)ㆍ여암(呂巖) 등 6명과 남채화(藍菜和)ㆍ하선고(何仙姑) 등 두 여선(女仙)을 합친 8명을 이름.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팔송봉사(八松封事)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윤황(尹煌)의 상소문집. 1866년(고종 3) 9대 종손 윤상작(尹相爵) 등이 편집하여 2권 2책의 목판으로 간행함.
1866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팔조금법(八條禁法)
고조선 때 기자(箕子)가 설치한 8개 조항의 법금(法禁). 현재는 살인ㆍ상해ㆍ도둑질에 관한 3개 조항만 전함.
고대 , 법제>법률
-
패릉산(覇陵山)
중국 서안(西安)의 동북쪽에 있는 산. 후한(後漢) 장제(章帝) 때 양홍(梁鴻)이 아내 맹광(孟光)과 함께 이곳에 은거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팽^상(彭^殤)
중국 고대의 선인(仙人)으로 칠팔백 세를 살았다는 팽조(彭祖)와 일찍 죽은 미성년을 가리키는 상자(殤子)를 함께 부르는 말. 《장자(莊子)》의 〈제물론(齊物論)〉에 나오는 말로, 장수(長壽)와 단명(短命)을 극단적으로 비유함.
중국>은ㅣ중국>하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팽귀년(彭龜年)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 때의 문신. 주희(朱熹)와 장식(張栻)에게 수학하였으며, 보모각 대제(寶謨閣待制) 등을 역임함.
1142~120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팽월(彭越)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때의 무신. 본래 항우(項羽)의 무관으로 유방(劉邦)의 휘하에 들어가 항우를 물리치고 천하를 통일하는 데 공을 세웠으나, 후에 모반(謀反)을 의심받아 폐서인(廢庶人)되어 유배되었다가 일족이 죽임을 당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팽정견(彭庭堅)
중국 원(元) 나라 순제(順帝) 때의 문신. 지방관이 되어 선정을 베풀고 여러 차례 도적을 격퇴하여 공을 세웠으나, 포악한 진무만호(鎭撫萬戶) 악환(岳煥)을 처벌하려다 역공(逆攻)에 밀려 피살됨.
1312~1354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팽조(彭祖)
중국 고대의 선인(仙人). 《장자(莊子)》에 등장하는 인물로, 칠팔백 세를 살았다고 함.
중국>은ㅣ중국>하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편^타(扁^佗)
중국 주(周) 나라의 명의(名醫)인 편작(扁鵲)과 후한(後漢) 말기의 명의인 화타(華佗)를 함께 부르는 말. 의술이 뛰어난 명의를 가리킴.
중국>후한ㅣ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편작(扁鵲)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명의(名醫). 장상군(長桑君)에게 의학을 배워 금방(禁方)의 구전과 의서를 받아 명의가 됨. 흔히 인도의 기파(者婆)와 함께 명의의 대명사가 되고 있으며, 진(秦)나라의 태의령(太醫令)인 이혜(李醯)에게 죽음을 당했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편학류찬(篇學類纂)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렴(宋濂)의 저서.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평^발(平^勃)
중국 전한(前漢)의 개국공신(開國功臣)인 진평(陳平)과 주발(周勃)을 함께 부르는 말. 고조(高祖)가 죽은 후 득세한 여씨(呂氏) 일당을 몰아내고 문제(文帝)를 옹립하였으므로, 흔히 충신(忠臣)을 가리킴.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평난공신(平難功臣)
조선 선조(宣祖) 23년에 정여립(鄭汝立)의 난(亂)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신하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나누어 박충간(朴忠侃)ㆍ이축(李軸)ㆍ한응인(韓應寅) 등 총 22인에게 책록함.
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법제>제도
-
평당(平當)
중국 전한(前漢) 애제(哀帝) 때의 승상(丞相). 경학(經學)에 밝아 박사(博士)가 되었으며, 애제 때 공신에 책록되고 승상에 오름. 아들 평안(平晏)도 대사도(大司徒)에 올라 부자(父子)가 모두 재상을 지낸 영예를 누림.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평산신씨(平山申氏)
고려의 개국공신(開國功臣)으로 태사(太師)에 추증되고 태조(太祖)의 묘정(廟庭)에 배향된 신숭겸(申崇謙)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황해도>평산 , 인명>집단>성씨
-
평심당(平心堂)
고려 후기의 승려인 삼여(三與)가 건립한 건물의 당호(堂號). 삼여의 부탁으로 이색(李穡)이 지은 〈평심당기(平心堂記)〉가 《목은고(牧隱稿)》와 《동문선(東文選)》에 전함.
한국>고려후기 , 유적>건물>사제
-
평안(平晏)
중국 전한(前漢) 애제(哀帝) 때의 문신. 평당(平當)의 아들로, 대사도(大司徒) 등을 지냈으며, 부자(父子)가 모두 재상을 지낸 것으로 유명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평양조씨(平壤趙氏)
고려시대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로 남송(南宋)에 들어가 공을 세우고 상장군(上將軍)이 된 조춘(趙椿)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평안도>평양 , 인명>집단>성씨
-
평왕(平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13대 왕. 재위 B.C.770~B.C.720. 유왕(幽王)의 아들로, 외조부인 신후(申侯)에 의해 왕으로 옹립되었으나, 유왕의 제거를 도왔던 서방 이민족 세력이 커지자 낙읍(洛邑)으로 천도함. 이때부터 주 왕실이 약화되어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로 접어듦.
?~B.C.720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평왕(平王)@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재위 B.C.528~B.C.516. 형인 영왕(靈王)을 죽이고 왕위에 오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평원군(平原君)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조(趙) 나라의 공자(公子). 혜문왕(惠文王)의 동생으로 혜문왕(惠文王)ㆍ효성왕(孝成王) 때 재상이 되었으며, 전국 사군자(戰國四君子)의 한 사람으로 유명함.
?~B.C.25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ㅣ인명>왕실>왕자
-
평원대군(平原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일곱째 아들.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沈氏)의 소생으로, 부사(府使) 홍이용(洪利用)의 딸과 혼인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죽음.
1427~14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