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평원독우(平原督郵)
중국 평원(平原)에 격현(鬲縣)이 있는데, 격(鬲)은 격(膈)과 통용되어, 나쁜 술은 가슴[膈] 위까지만 머무른다는 뜻.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환온(桓溫)에게 술맛을 잘 아는 주부(主簿)가 있었는데, 그가 나쁜 술을 평원독우(平原督郵)라 부른 것에서 유래한 말로, 나쁜 술을 의미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평제(平帝)
중국 전한(前漢)의 마지막 황제. 재위 B.C.1~A.D.5. 애제(哀帝)의 조카로, 애제가 죽은 후 대사마(大司馬) 왕망(王莽)의 추대를 받아 제위에 오르고 그의 딸과 혼인하였으나, 후에 왕망에게 독살됨.
B.C.9~A.D.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평택임씨(平澤林氏)
중국 당(唐) 나라 때 동래(東來)한 임팔급(林八及)을 도시조(都始祖)로 삼고, 고려 말의 인물인 임세춘(林世春)과 임언수(林彦脩)를 각 일세조(一世祖)로 하는 두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평택 , 인명>집단>성씨
-
평회서비(平淮西碑)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 한유(韓愈)가 지은 비문. 배도(裵度)가 채주(蔡州) 지방의 오원제(吳元濟)가 일으킨 반란을 평정하자, 이를 기념하여 지음.
중국>당 , 중국 , 유적>기타유적
-
평후(平侯)
중국 춘추전국시대 채(蔡) 나라의 왕. 채 나라를 점령한 초(楚) 나라 영왕(靈王)에 의해 옹립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폐비윤씨(廢妃尹氏)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함안(咸安). 연산군(燕山君)의 생모(生母)로, 투기(妬忌)가 심하여 1479년(성종 8) 폐서인(廢庶人) 되고, 1482년(성종 11)에 사사(賜死)되었는데, 이 일이 후에 갑자사화(甲子士禍)의 원인이 됨.
?~148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폐제(廢帝)@삼국(오)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제2대 황제. 재위 252~258. 대제(大帝: 손권(孫權))의 막내아들. 맏형 손등(孫登)이 죽은 후 태자가 되어 제갈각(諸葛恪) 등의 옹립으로 즉위하였으나, 손준(孫峻) 등에게 실권을 빼앗겨 결국 폐위되었으며, 후에 자살함.
243~26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폐제(廢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황제. 무제(武帝)의 손자로, 소제(昭帝)의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으나 음란하고 무절제한 생활로 인해 27일만에 곽광(霍光) 등 대신들에 의하여 폐위됨.
?~B.C.5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포^달(褒^妲)
중국 주(周) 나라 유왕(幽王)의 총희(寵姬) 포사(褒姒)와 은(殷) 나라 주왕(紂王)의 비(妃) 달기(妲己)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의 음란하고 잔인한 대표적인 독부(毒婦)들로, 나라를 망친 총희를 가리킴.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포^목(圃^牧)
고려 후기의 문신ㆍ학자인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와 목은(牧隱) 이색(李穡)을 함께 부르는 말. 고려 말에 성리학의 기초를 세우고, 조선의 개국에 참여하지 않고 절의를 지킨 학자를 가리킴.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ㅣ경상도>영천(永川) , 사상>술어>관용어
-
포^사(鮑^謝)
중국 남북조시대 남송(南宋)의 시인인 포조(鮑照)와 사영운(謝靈運)을 함께 부르는 말. 시(詩)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포^소(暴^蘇)
중국 주(周) 나라의 제후인 포공(暴公)과 소공(蘇公)을 함께 부르는 말. 포공이 경사(卿士)로 있을 때 친구인 소공을 천자에게 참소하자, 소공이 〈하인사(何人斯)〉라는 시를 지어 포공과 단절함.
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포^악(褒^卾)
중국 당(唐) 나라의 무신인 포국공(褒國公) 단지현(段志玄)과 악국공(鄂國公) 울지공(尉遲恭)을 함께 부르는 말. 당 나라 건국에 공을 세운 명장(名將)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포곡(布穀)
뻐꾸기 혹은 뻐꾸기의 울음소리. 뻐꾸기가 ‘포곡포곡’하며 울고, ‘포곡(布穀)’이 ‘씨를 뿌려라’라는 의미이므로, 농사를 재촉하는 뜻으로 쓰임.
사상>술어>관용어ㅣ자연물>동물
-
포공(暴公)
중국 주(周) 나라의 제후. 경사(卿士)로 있을 때 친구인 소공(蘇公)을 천자에게 참소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포당(鮑當)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 호주지사(湖州知事) 등을 지내고 시(詩)에 뛰어났으며, 저서로 《청풍집(淸風集)》을 남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포박자(抱朴子)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ㆍ도사인 갈홍(葛洪)의 저서. 도가의 신선술에 관한 내용을 실었는데, 내편(內篇) 20편, 외편(外篇) 50편으로 구성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포사(褒姒)
중국 주(周) 나라의 마지막 왕인 유왕(幽王)의 비(妃). 유왕이 총애하여 신후(申后)를 폐하고 왕비로 삼았으며, 이로 인해 견융(犬戎)의 침공을 야기하여 주 나라가 멸망하게 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포석정(鮑石亭)
통일신라 때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구(石溝). 경상북도 경주(慶州) 금오산(金鰲山)의 서쪽에 있으며, 유상곡수(流觴曲水)라는 시회(詩會)를 벌이는 장소로 이용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유적>시설>기타시설
-
포선(鮑宣)
중국 전한(前漢) 애제(哀帝) 때의 문신. 애제의 총애와 신임을 받으며 간대부(諫大夫)를 역임하였으나, 평제(平帝) 때 왕망(王莽)이 정권을 잡은 후 무함을 당하자 자살함.
?~3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포숙아(鮑叔牙)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대부. 관중(管仲)의 절친한 친구로, 제 나라 환공(桓公)에게 관중을 천거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포암집(圃巖集)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인 윤봉조(尹鳳朝)의 시문집. 22권 11책. 목판본. 아들 윤심재(尹心宰)가 편차한 뒤 예천 군수(醴泉郡守)로 부임하였을 때 간행한 것으로 추정됨. 주로 노론의 입장을 대변하는 소(疏)와 계(啓) 등이 실려 있음.
1767~176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문헌>서명
-
포옹집(抱翁集)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인 정양(鄭瀁)의 시문집. 8권 2책. 목활자본. 정양의 10대손인 정운호(鄭雲灝)가 편차하여 간행함.
1914 한국>근대 , 충청도>제천 , 문헌>서명
-
포은집(圃隱集)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몽주(鄭夢周)의 문집. 1439년(세종 21)에 아들 정종성(鄭宗誠)이 수집ㆍ편차하여 목판으로 간행함.
1439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포장자(鮑莊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대부(大夫). 경극(慶克)이 성맹자(聲孟子)와 간통한 사실을 포장자가 알고서 국좌(國佐)에게 말하였는데, 성맹자가 노기를 발해 참소하여 월형(刖刑)을 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포정(鮑靚)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도사. 남해 태수(南海太守)로 있으면서 낮에는 정사를 돌보고, 저녁이면 신발을 제비가 되게 하여 나부산(羅浮山)의 갈홍(葛洪)에게 날아가 신선술을 함께 연구하였다고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ㅣ인명>관인>문신
-
포조(鮑照)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시인. 악부(樂府)에 뛰어났으며, 칠언시(七言詩)의 기초를 닦아 당(唐) 나라 시인에게 큰 영향을 끼침. 시문에서 흔히 사영운(謝靈運)ㆍ안연지(顔延之)와 함께 병칭되며, 〈의행로난(擬行路難)〉 등 명작을 남김.
414?~46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포증(包拯)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개봉부 지사(開封府知事)ㆍ추밀부사(樞密副使)를 지내고, 공평무사(公平無私)한 정치를 펼쳐 ‘포청천(包靑天)’으로 널리 알려짐.
999~1062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포증집(包拯集)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인 포증(包拯)의 문집. 송 나라 사람 장전(張田)이 편집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포천(抱川)
경기도 북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북쪽으로 강원도 철원(鐵原)을 접하고 있음.
경기도>포천 , 지명>행정지명
-
포충사(褒忠祠)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광산(光山)에 건립한 사우(祠宇). 1603년(선조 36) 사액되었으며, 임진왜란 때 순국한 고경명(高敬命)ㆍ고종후(高從厚)ㆍ고인후(高因厚)ㆍ안영(安瑛)ㆍ유팽로(柳彭老) 등을 배향함.
160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유적>건물>사당
-
표계(表繼)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 남계(藍溪) 표연말(表沿沫)의 아버지로, 1429년(세종 1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양덕 현감(陽德縣監)ㆍ상주 유학교수(尙州儒學敎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관인>문신
-
표고(蔈古)
느타리버섯과의 버섯으로, 봄ㆍ여름ㆍ가을에 걸쳐 활엽수에 기생함. 독열(毒熱)을 제거하고 체내(體內)의 열을 식히는 작용을 함.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의 〈도문대작(屠門大嚼)〉에는 제주에서 나는 것이 좋다고 했음.
자연물>식물
-
표광원(表光遠)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 신창표씨(新昌表氏)의 중시조인 표인려(表仁呂)의 아들이며 군기시 소윤(軍器寺少尹) 표을충(表乙忠)의 아버지로, 종부령(宗簿令)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관인>문신
-
표빈(表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 표정명(表貞命)의 아들로, 1520년(중종 15)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김해 부사(金海府使) 등을 지냄.
148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관인>문신
-
표빙(表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으로, 직제학(直提學) 표연말(表沿沫)의 아들. 김안로(金安老)ㆍ김안국(金安國)과 함께 사유(師儒)에 선발되었으며,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ㆍ홍문관 직제학(弘文館直提學) 등을 역임함.
?~152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관인>문신
-
표연말(表沿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 때 김종직의 행장(行狀)을 미화하였다는 등의 죄명으로 경원(慶源)으로 유배가던 도중 죽었으며,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剖棺斬屍)당했다가 뒤에 신원됨.
1449~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표을충(表乙忠)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 표광원(表光遠)의 아들로, 군기시 소윤(軍器寺少尹) 등을 지냄. 조선 개국 후 세 차례 부름을 받았으나 나아가지 않고 상주(尙州)의 백화산(白華山)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표인려(表仁呂)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신창표씨(新昌表氏)의 중시조. 합문지후(閤門祗候)ㆍ평장사(平章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충숙왕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온산백(溫山伯)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표절사(表節祠)
조선 정조(正祖) 때 개성의 성균관 서쪽에 건립한 사당. 조선 건국 후 벼슬을 버리고 두문동(杜門洞)으로 들어가 절의를 지킨 임선미(林先味)ㆍ조의생(曺義生)ㆍ맹호성(孟好性)을 배향하기 위해 1783년(정조 7)에 세우고 그해에 사액함.
178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유적>건물>사당
-
표정명(表貞命)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신창(新昌). 김해 부사(金海府使)를 지낸 표빈(表贇)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신창 , 인명>문사>유학
-
표충사(表忠寺)
신라 때 원효(元曉)가 경상도 밀양(密陽)에 건립한 사찰. 흥덕왕(興德王) 때 황면(黃面)이 재건하여 영정사(靈井寺)라 개칭하고, 조선 정조(正祖) 때 표충사(表忠祠)를 돌본 이후 표충사(表忠寺)라 불림.
한국>신라 , 경상도>밀양 , 유적>건물>사찰
-
표충사(表忠祠)@밀양
조선 영조(英祖) 때 경상도 밀양(密陽)에 건립한 사우(祠宇). 건립한 해인 1743년(영조 19)에 사액되고, 휴정(休靜)ㆍ유정(惟政)ㆍ영규(靈圭) 등을 배향함.
174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유적>건물>사당
-
표충사(表忠祠)@해남
조선 정조(正祖) 때 전라도 해남(海南)에 건립한 사우(祠宇). 휴정(休靜)ㆍ유정(惟政) 등을 배향함.
178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해남 , 유적>건물>사당
-
표하(表河)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 표을충(表乙忠)의 아들로, 온수 감무(溫水監務)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관인>문신
-
표훈사(表訓寺)
신라 진평왕(眞平王) 때 관륵(觀勒)과 융운(隆雲)이 강원도 회양(淮陽)의 금강산 만폭동(萬瀑洞)에 창건한 사찰. 675년(문무왕 15) 표훈(表訓)ㆍ능인(能仁)ㆍ신림(神琳) 등이 중창하고, 조선 명종(明宗) 때의 승려인 상주(尙珠)가 주지로 머무름.
675 한국>신라 , 강원도>회양 , 유적>건물>사찰
-
풍^소(風^騷)
《시경(詩經)》의 〈국풍(國風)〉과 《초사(楚辭)》의 〈이소(離騷)〉를 함께 부르는 말. 대표적인 시부(詩賦)를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풍^우(豊^祐)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연호인 원풍(元豊)과 철종(哲宗) 때의 연호인 원우(元祐)를 함께 부르는 말. 이때 왕안석(王安石)의 신법당(新法黨)과 사마광(司馬光)의 구법당(舊法黨)이 양쪽으로 나뉘어 대립이 극심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ㅣ시간>기타시간
-
풍계서원(楓溪書院)
조선 정조(正祖) 때 전라도 남원(南原)에 건립한 서원. 황희(黃喜)ㆍ오상덕(吳祥德)ㆍ황위(黃暐) 등을 배향함.
178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유적>건물>서원,향교
-
풍기(豊基)
경상도 북단에 위치한 고을 이름. 1451년(문종 1) 기천(基川)과 은풍(殷豊)을 합하여 신설함.
경상도>풍기 , 지명>행정지명
-
풍기(馮琦)
중국 명(明) 나라 신종(明神宗) 때의 문신. 정사에 임하여 부지런하고 엄숙하였으며, 학문에 조예가 깊음.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내고, 저서로 《북해집(北海集)》ㆍ《경제유편(經濟類編)》 등이 있음.
1558~160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풍당(馮唐)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 때의 문신. 중랑서장(中郞署長)으로 평생 미관말직에 있었으며, 문제가 흉노(匈奴)의 방비책을 묻자 직간(直諫)하여 칭찬을 받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풍도(馮道)
중국 당(唐)~오대십국(五代十國) 때의 문신ㆍ학자. 유교경전(儒敎經典)을 최초로 조판ㆍ인쇄하는 등 대학자로 존경받았으나, 다섯 왕조에서 열한 명의 황제를 모셨다 하여 충절을 의심받기도 함.
882~954 중국>오대십국ㅣ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풍산어록(楓山語錄)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장무(章懋)의 저서. 학술(學術)ㆍ정치(政治)ㆍ예문(藝文)ㆍ인물(人物)ㆍ습유(拾遺) 등 다섯 가지 주제를 다룸. 1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풍산집(楓山集)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장무(章懋)의 문집. 원집 4권, 부록 1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풍선(馮善)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가례집설(家禮集說)》 등을 편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풍성검(豊城劍)
용천검(龍泉劍)과 태아검(太阿劍) 두 보검(寶劍)을 이르는 말.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뇌환(雷煥)이 예장(豫章)의 풍성(豊城) 땅속에서 얻었다는 칼로, 걸출한 인재(人才)를 비유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풍소궤범(風騷軌範)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현(成俔)이 엮은 고시집(古詩集). 한(漢)ㆍ위(魏)로부터 원말(元末)까지의 고시를 수록함. 전집 16권은 시체(詩體)로 편하고, 후집 29권은 내용 유형에 따라 분류함. 45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풍수지탄(風樹之嘆)
어버이가 세상을 떠나 모시지 못함을 탄식하는 말. 주(周) 나라 때의 고어(皐魚)가 어머니의 죽음에 탄식하며 “나무는 고요히 있으려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고, 아들은 어버이를 봉양하려 하나 어버이가 기다려 주지 않는다(樹欲靜而風不止子欲養而親不待).”라고 한 말에서 유래함.
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풍신수길(豊臣秀吉)
일본 전국시대(戰國時代)~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장(武將). 16세기에 직전신장(織田信長)의 뒤를 이어 일본의 전국 통일을 이룩하고, 조선을 침략해 임진왜란을 일으킴.
1536~1598 일본>도산시대ㅣ일본>전국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풍아록(風雅錄)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현(成俔)이 지은 고시집(古詩集). 성현의 문집인 《허백당집(虛白堂集)》에 실림. 2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풍애집(楓崖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인 안민학(安敏學)의 문집. 1802년(순조 2) 6세손 안태원(安泰源) 등에 의해 면천(沔川)의 숭학사(崇學寺)에서 2권 1책의 활자로 인행됨.
180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면천 , 문헌>서명
-
풍연(馮衍)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무신. 신(新) 나라 왕망(王莽) 때 산동(山東) 정벌에 나선 염단(廉丹)에게 왕망을 버리고 한(漢)을 부흥시킬 것을 제의하였으나 실패함. 망명하여 광무제(光武帝)에게 귀의하였으며, 사례종사(司隸從事) 등을 역임함.
중국>후한ㅣ중국>신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풍영루(風咏樓)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상주 목사(尙州牧使) 김남득(金南得)이 상주에 지은 정자. 상주의 관아 동북쪽에 위치하였으며, 이색(李穡) 등이 기(記)를 짓고 이숭인(李崇仁) 등이 시를 남겨 명승지가 됨.
137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유적>건물>누정
-
풍월정집(風月亭集)
조선 성종(成宗)의 형인 월산대군(月山大君) 이정(李婷)의 시문집. 2권 2책. 성종 때 간행되었으나 임진왜란(壬辰倭亂)에 소실되어 7대손 이경보(李絅甫)가 다시 시문을 수집하고, 후에 후손 이하상(李夏相)이 순천군(順川郡)에서 중간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풍이(馮異)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무신. 즉위하기 전의 광무제를 도와 왕랑(王郞)을 격파하고 하북(河北)을 평정하였으며, 성품이 겸손하여 여러 장수들이 서로 공을 논할 때면 늘 나무 밑으로 피해 있었으므로 ‘대수장군(大樹將軍)’이라고 일컬어짐.
?~3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풍천노씨(豊川盧氏)
중국 당(唐) 나라 때의 한림학사(翰林學士) 노수(盧穗)를 도시조(都始祖)로 삼고, 고려 초에 풍천백(豐川伯)에 봉해진 그의 셋째 아들 노지(盧址)를 득관조(得貫祖)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집단>성씨
-
풍천임씨(豐川任氏)
중국 소흥부(紹興府) 자계현(慈溪縣) 사람으로,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은자광록대부(銀紫光祿大夫)에 추증된 임온(任溫)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황해도>풍천 , 인명>집단>성씨
-
풍환(馮驩)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인물. 재상인 맹상군(孟嘗君)의 식객(食客)으로 있으면서 맹상군의 안위를 위한 충언(忠言)을 아끼지 않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피일휴(皮一休)
중국 당(唐) 나라 의종(懿宗) 때의 문신ㆍ문인. 녹문산(鹿門山)에 은거하다가 벼슬하여 태상박사(太常博士) 등을 지내고, 황소(黃巢)의 난에 참가하여 난리 속에서 죽음. 육귀몽(陸龜蒙)과 시를 창화(唱和)함.
834?~88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피자문수(皮子文藪)
중국 당(唐) 나라 의종(懿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피일휴(皮一休)의 저서. 정치의 결함을 구체적 사물에 빗대어 묘사한 시가 많이 수록됨. 10권 200편.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피향정(披香亭)
통일신라 헌안왕(憲安王) 때 태인(泰仁)에 건립된 누정. 최치원(崔致遠)이 태인 현감(泰仁縣監)으로 있으면서 건립함.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태인 , 유적>건물>누정
-
필암서원(筆巖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장성(長城)에 건립한 서원. 1662년(현종 3)에 사액되었으며, 김인후(金麟厚)ㆍ변성온(卞成溫)ㆍ양자징(梁子澂) 등을 배향함.
15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필원잡기(筆苑雜記)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서거정(徐居正)의 저서. 성종 때 저자가 후세에 전할 만한 일사한화(逸事閑話)를 모아 엮음.
148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하^기(夏^綺)
중국 진(秦) 말~한(漢) 초의 은자인 하황공(夏黃公) 최광(崔廣)과 기리계(綺里季) 오실(吳實)을 함께 부르는 말. 진 나라 시황(始皇)의 분서갱유(焚書坑儒)를 피하여 상산(商山)에 은거한 상산사호(商山四皓)에 속하는 인물들로, 흔히 명리를 떠나 은거하는 사람을 가리킴.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하^유(何^劉)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시인인 하손(何遜)과 유효작(劉孝綽)을 함께 부르는 말. 시(詩)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하^음(何^陰)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시인인 하손(何遜)과 음갱(陰鏗)을 함께 부르는 말. 시(詩)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하경명(何景明)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중서사인(中書舍人) 등을 지냈으며, 고문사(古文辭)라고 하는 문학운동을 제창함. 전칠자(前七子) 중 한 사람.
1483~1521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하계문집(霞溪文集)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가순(李家淳)의 저서.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하곡수어(荷谷粹語)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인 허봉(許篈)의 저서.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하곡집(荷谷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인 허봉(許篈)의 문집. 목판본. 동생 허균(許筠)이 유고를 수집하여, 황해도(黃海道) 수안 군수(遂安郡守)로 있으면서 간행함.
1605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수안 , 문헌>서명
-
하공진(河拱辰)
고려 성종(成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거란군이 침입하자 거란의 성종(聖宗)을 만나 군대를 철수시키는 데 공을 세웠으나, 고영기(高英起)와 함께 거란의 볼모로 잡혀가 거란의 신하가 될 것을 강요받다가 거절하여 살해됨.
?~1011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하광국(河光國)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학자인 하홍도(河弘度)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하구수(河求水)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예조 정랑(禮曹正郞) 하응림(河應臨)의 생부이며 목사(牧使) 하억수(河億水)의 종제(從弟)로, 북부 참봉(北部參奉)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하기(何基)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황간(黃榦)의 문인(門人)으로, 주희(朱熹)의 학문을 전수받았으며, 왕백(王柏)ㆍ김이상(金履祥)ㆍ허겸(許謙) 등과 함께 ‘금화사선생(金華四先生)’으로 일컬어짐.
1188~126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하남사설(河南師說)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인 한원길(韓元吉)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하남집(河南集)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소백온(邵伯溫)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하담(河澹)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하강지(河綱地)ㆍ하위지(河緯地)ㆍ하기지(河紀地)ㆍ하소지(河紹地)의 아버지로, 1402년(태종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청송 군사(靑松郡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하당집(荷塘集)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권두인(權斗寅)의 시문집. 1810년(순조 10) 저자의 5대손인 권재덕(權載德)이 주관하여 원집 8권과 속집 2권을 목판으로 간행함.
181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하륜(河崙)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동국사략(東國史略)》과 《태조실록(太祖實錄)》 등을 편찬함. 외교정책에 능하여 명(明) 나라와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등 조선왕조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크게 기여함.
1347~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하매(何邁)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효무제(孝武帝) 때의 무신. 영삭장군(寧朔將軍) 등을 지냈으나, 진안왕(晉安王) 유자훈(劉子勛)을 옹립하려다 실패하여 전폐제(前廢帝)에게 주륙(誅戮) 당함.
?~46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하맹보(河孟寶)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노진(盧禛)의 문인(門人)으로, 노진을 애도하며 지은 제문(祭文)이 《옥계집(玉溪集)》에 실려 있으며, 함양(咸陽)의 구천서원(龜川書院)에 배향됨.
1531~15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하몽계(何夢桂)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문신ㆍ학자. 송 나라 도종(度宗) 때 감찰어사(監察御使) 등을 지냈으나, 나라의 국운이 기울자 소유원(小酉源)에 은거함. 《주역(周易)》에 정통하고, 저서에 《잠재집(潛齋集)》 등이 있음.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하백(河伯)
고대 전설상의 황하(黃河)의 수신(水神). 고구려의 시조 동명왕(東明王)의 외조부이며, 낙수(洛水)의 여신(女神) 복비(宓妃)의 남편이라고 알려짐.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하복(夏馥)
중국 후한(後漢) 영제(靈帝) 때의 문신ㆍ은자. 당고(黨錮)의 화를 피해 이름을 숨기고 대장간에서 고용살이를 하다가 여생을 마침. 덕행으로써 팔고(八顧)의 한 사람으로 불림.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하빈(河濱)
경상북도 대구(大丘) 북서쪽에 있는 고을 이름. 서쪽으로 성주(星州)를 접하고 있음.
경상도>대구 , 지명>행정지명
-
하상지(何尙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문제(文帝) 때의 문신. 학식과 덕망이 높아 문제에게 총애를 받았으며, 상서령(尙書令) 등을 지냄.
382~46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하서전집(河西全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인후(金麟厚)의 문집. 15권. 김인후의 문인인 양자징(梁子澂)ㆍ신각(申覺)이 편집ㆍ교정하여,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송찬(宋贊)의 도움으로 간행함. 조희문(趙希文)의 서문(序文)이 있음.
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하성(河成)
고려시대의 문신. 진주하씨(晉州河氏) 단계공파(丹溪公波)의 시조로, 주부(主簿)를 지냄.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하세연(河世涓)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김구(金絿)의 《자암집(自庵集)》에 그에게 써 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남해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