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고시(高柴)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위 나라 괴외(蒯聵)의 난 때, 길을 걷되 위험한 소로(小路)를 택하지 않는(道而不徑) 효자의 행동처럼 그 난리를 모면하여 빠져 나왔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고암서원(古巖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합천(陜川)에 건립한 서원. 노흠(盧欽)ㆍ이흘(李屹)ㆍ임진부(任眞怤)를 배향함. 현재는 남아 있지 않음.
169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고암서원(考巖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전라도 정읍(井邑)에 건립한 서원. 송시열(宋時烈)ㆍ권상하(權尙夏) 등을 배향함. 현재는 유허지(遺墟址)에 비(碑)만 남아 있음.
168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정읍 , 유적>건물>서원,향교
-
고암집(顧庵集)
조선 전기의 문신인 정윤희(丁胤禧)의 문집. 임진왜란 때 소실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고앙(高昂)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북제(北齊)의 무신.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고야(姑射)
중국 묘고야(藐姑射) 산에 사는 피부가 눈처럼 희고 고운 신선. 자태가 처녀처럼 아름다우며 오곡을 먹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에 실려 있음.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고야산(姑射山)
평안남도 개천(价川)에 있는 산 이름. 갈인봉(葛仁峰)ㆍ백탑산(白塔山) 등과 함께 묘향산맥(妙香山脈)에 속함.
평안도>개천 , 지명>자연지명
-
고야왕(顧野王)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ㆍ진(陳)의 문신ㆍ학자. 천문(天文)ㆍ복서(卜書)ㆍ기자(奇字)에 능통하여 많은 저술을 남겼는데, 그 가운데 《옥편(玉篇)》이 유명함.
519~58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고약해(高若海)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대사헌(大司憲)ㆍ형조 참판(刑曹參判)ㆍ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 등을 지냄.
1377~14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고양(高陽)
경기도 중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1413년(태종 13)에 고봉(高峯)과 덕양(德陽)의 이름을 따서 고양(高陽)이라 부름.
경기도>고양 , 지명>행정지명
-
고양겸(顧養謙)
중국 명(明) 나라의 장수. 우첨도어사(右僉都御史)를 거쳐 병부 시랑(兵部侍郞)에 이르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일본과 화친을 해야겠다는 내용의 자문(咨文)을 보내왔음.
1537~1604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고어(皐魚)
중국 주(周) 나라의 효자. 어머니가 죽자 봉양(奉養)을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상황을 슬퍼하며 울었다는 고사에서 ‘풍수지탄(風樹之嘆)’이란 말이 유래함.
중국>주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고영(顧榮)
중국 남북조시대 서진(西晉)의 문신. 사마예(司馬睿)의 군사(軍司)를 맡아 동진(東晉)을 중흥시킨 공신.
?~31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고왕(高王)
발해 제1대 왕. 재위 699~719.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을 규합하여 지금의 길림성(吉林省) 돈화현(敦化縣) 지역인 동모산(東牟山)에 도읍하여 진(震)이라는 나라를 건국함. 713년 국호를 발해(渤海)로 바꿈.
?~719 한국>발해 , 인명>왕실>국왕
-
고요(皐陶)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의 신하. 법리(法理)에 밝아서 형벌을 제정하고 옥간(獄間)을 만들었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고용현(高用賢)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고경(高慶)의 아들로, 정몽주(鄭夢周)ㆍ이색(李穡)과 교유하였음.
1302~136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옥구 , 인명>관인>문신
-
고용후(高用厚)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아들. 동지사(冬至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판결사(判決事) 등을 지내고, 저서로 《청사집(晴沙集)》ㆍ《정기록(正氣錄)》 등이 있음.
157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고운(高雲)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장흥(長興). 고맹영(高孟英)의 아버지이며,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할아버지. 형조 좌랑(刑曹佐郞)을 지낼 때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가 후에 예조 참판(禮曹參判)으로 추증됨. 호랑이 그림을 잘 그림.
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고운영당(孤雲影堂)
경상남도 합천군(陜川郡) 홍류동(紅流洞) 계곡에 있던 영당(影堂). 통일신라 때의 문신이자 학자인 최치원(崔致遠)을 제향함.
경상도>합천 , 유적>건물>사당
-
고원(高原)
함경도 최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동뷱쪽으로 영흥부(永興府), 남쪽으로 문천(文川)에 접해 있음.
함경도>고원 , 지명>행정지명
-
고윤(高允)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 태무제(太武帝) 때의 문신. 청렴결백하여 국사필화사건(國史筆禍事件) 때 죽음을 면함.
390~48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고윤종(高胤宗)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개성(開城). 선조(宣祖) 때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낸 고흥운(高興雲)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유학
-
고응성(高應星)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봉화 훈도(奉化訓導)를 지낸 고익겸(高益謙)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고응척(高應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범(金範)의 문인. 《대학(大學)》의 여러 편을 시조로 읊어 교훈시를 만드는 등 사상적 체계를 시(詩)ㆍ부(賦)ㆍ가(歌)ㆍ곡(曲) 등으로 표현함.
1531~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고익겸(高益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봉화 훈도(奉化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고인후(高因厚)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아들.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를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종군하여 의병장으로 활약하다 금산(錦山) 전투에서 아버지와 함께 전사함.
1561~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고장(高張)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경공(景公) 때의 대부. 국하(國夏)와 함께 경공의 애첩 예희(芮姬)의 아들인 안유자(晏孺子)를 후사로 옹립하였으나, 공자 양생(陽生)을 내세운 전걸(田乞)에게 패하여 거(莒) 나라로 망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고저(高翥)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 관직에 나아가는 것을 포기하고 은거하며 시를 지음. 저서로 《국간집(菊澗集)》이 있으나 전하지 않고, 후손 고사기(高士奇)가 유고집 《신천소유고(信天巢遺稿)》를 간행함.
1170~124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고적(高適)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대종(代宗) 때의 시인ㆍ문신. 간의대부(諫議大夫)를 거쳐 몇 차례나 절도사(節度使)로 나가 난을 평정하다가 나이 50이 되어서야 시를 짓기 시작하였는데, 변새(邊塞)의 이정(離情)을 잘 읊어 잠삼(岑參)과 함께 고잠(高岑)으로 병칭됨.
704~765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고절령(高絶嶺)
경상남도 거제(巨濟)에 있는 고개 이름.
경상도>거제 , 지명>자연지명
-
고점리(高漸離)
중국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 사람. 축(筑)이라는 악기의 달인. 형가(荊軻)의 뒤를 이어 연(燕) 나라 태자 단(丹)의 복수를 위해 진왕(秦王)을 죽이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오히려 죽임을 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ㅣ인명>예술인>음악인
-
고제(高帝)
중국 남북조시대 남제(南齊)의 제1대 황제. 재위 479~482. 본래 남조 송(南朝宋)의 장군으로서 왕검(王儉) 등 귀족층의 지지를 얻었으며, 남조 송의 순제(順帝)로부터 양위(讓位)를 받아 제위에 올라 남제를 창건함.
427~48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조(高祖)@오대십국(후한)
중국 오대십국 후한(後漢)의 제1대 황제. 재위 947~948. 후진(後晉)이 거란에게 멸망당하자 장군이었던 고조가 후한을 세웠으나 재위한지 일년 만에 죽음.
895~948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조(高祖)@남북조(전조)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의 하나인 전조(前趙)의 제1대 황제. 재위 304~310. 전조의 기초를 확립함.
?~31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조(高祖)@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대 황제. 재위 B.C.202~B.C.195. 항우(項羽)와 패권을 다투었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
B.C.247?~B.C.19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조(高祖)@오대십국(후진)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진(後晉)의 제1대 황제. 재위 936~942. 재상 풍도(馮道)에게 어린 아들 석중예(石重睿)를 맡기고 죽었으나, 조카 석중귀(石重貴)가 후계자로 즉위하여 출제(出帝)가 됨.
892~942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조(高祖)@남북조(후조)
중국 남북조시대 후조(後趙)의 제1대 황제. 재위 319~333. 유능한 통치자로 알려짐.
274~33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조(高祖)@남북조(전진)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전진(前秦)의 제1대 황제. 재위 351~355.
317~35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조(高祖)@당
중국 당(唐)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618~626.
565~63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조(高祖)@오대십국(전촉)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전촉(前蜀)의 제1대 황제. 당(唐) 나라의 환관 전영자(田令孜)의 양아들로 황소의 난 때 공을 세움. 절도사(節度使)로 갔던 서천(西川)에서 촉(蜀) 나라를 세우고 당 나라가 망하자 황제를 자칭함.
847~918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국왕
-
고조선(古朝鮮)
B.C.108년까지 요동과 한반도 서북부 지역에 존재한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 과거 상고사(上古史)에서는 단군조선(檀君朝鮮)ㆍ기자조선(箕子朝鮮)ㆍ위만조선(衛滿朝鮮)을 통틀어 일컬음.
?~B.C.108 고대 , 시간>국명
-
고종(高宗)@고려
고려의 제23대 왕. 재위 1213~1259. 거란ㆍ몽골 등 북방민족의 침입으로 고통을 받음. 팔만대장경을 조판하고, 유학을 장려하는 등 문화적인 업적도 남김.
1192~125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고종(高宗)@은
중국 은(殷) 나라의 제23대 왕. 부열(傅說)과 감반(甘盤)을 등용하여 선정(善政)을 베풀었으며, 은 나라 최대 번영기를 누림.
B.C.1254~?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종(高宗)@송
중국 송(宋) 나라의 제10대 황제. 재위 1127~1162. 여진족(女眞族)이 침략했을 때 남부로 망명하여 왕조를 재건함.
1107~1187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종(高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3대 황제. 재위 649~683. 전장(典章) 제도를 마무리하였으며, 병이 들자 황후인 측천무후(則天武后)에게 정사를 맡김.
628~683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종실록(高宗實錄)
고려 제23대 고종(高宗)의 재위(1213~1259) 46년간의 일을 기록한 역사서. 1277년(충렬왕 3)에 감수국사(監修國史) 유경(柳璥)ㆍ수국사(修國史) 원부(元傅)ㆍ동수국사(同修國史) 김구(金坵) 등이 편찬함.
1277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고종후(高從厚)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아들로, 임피 현령(臨陂縣令) 등을 지냄.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종군하여 의병장으로 활약하다 진주성(晉州城)이 함락될 때 남강(南江)에 투신하여 죽음.
1554~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고좌(顧佐)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선종(宣宗) 때의 문신. 성조를 쫒아 북정(北征)에 참여하고, 좌도어사(左都御史)ㆍ응천부 윤(應天府尹) 등을 지냄.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고죽국(孤竹國)
중국 은(殷) 나라 때 하북성(河北省) 노룡(盧龍) 부근에 있던 제후국의 하나. 백이(佰夷)ㆍ숙제(叔齊)가 고죽군(孤竹君)의 아들이라는 전설이 있으며, 주(周) 나라 초에 기자(箕子)가 봉해진 곳으로도 알려짐.
중국>은 , 중국 , 시간>국명
-
고죽군(孤竹君)
중국 은(殷) 나라 고죽국(孤竹國)의 군주. 백이(伯夷)와 숙제(叔齊)의 아버지.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고진강(古津江)
평안북도 의주(義州) 동남부 용천평야(龍川平野)를 서류(西流)하여 압록강(鴨綠江)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평안도>의주 , 지명>자연지명
-
고창(高敞)
전라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읍성(邑城)이 있으며, 조선시대에는 지금의 고창읍(高敞邑)과 고수면(古水面)ㆍ아산면(雅山面) 일대를 아우름.
전라도>고창 , 지명>행정지명
-
고천우(高天祐)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고려 말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절개를 지킨 구정충(九貞忠)의 한 사람으로 도총제(都摠制) 등을 지냄. 이행(李行)의 《기우집(騎牛集)》 〈구정충록(九貞忠錄)〉에 그 행적이 보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고천준(顧天埈)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1602년(조선 선조 35) 한림원 시강(翰林院侍講)으로서 황태자 책립의 조서를 반포하기 위해 행인사 행인(行人司行人) 최정건(崔廷健)과 함께 조선에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고청유고(孤靑遺槀)
조선 전기의 학자인 서기(徐起)의 문집. 1750년(영조 26) 홍계희(洪啓禧)가 충청도 관찰사로 있을 때 5대손 서행원(徐行遠)의 부탁으로 공주(公州)에서 목활자로 인행함.
175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문헌>서명
-
고침무우(高枕無憂)
베개를 높이 하고 편안히 잔다는 뜻의 고사성어.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나라 맹상군(孟嘗君)의 식객(食客)인 풍환(馮驩)이 맹상군을 위기에서 구출하면서 했던 말로, 아무런 근심이 없는 상태를 이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고태익(高台翼)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 고득종(高得宗)의 아들이자, 고태필(高台弼)의 아우.
고봉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고태필(高台弼)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고득종(高得宗)의 아들. 세조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예종실록(睿宗實錄)》의 수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고파(高波)
조선 선조(宣祖) 때 남원(南原)의 토적. 김류(金騮)가 이끄는 관병(官兵)을 물리치는 등 기세가 등등했으나 1594년(선조 27년)에 관군에 패퇴하였고, 이듬해 장성(長城)에서 패하여 죽음.
?~159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기타인명>도적
-
고필(古弼)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문신. 머리가 뾰족하여 태종(太宗)이 필(筆)이라는 이름을 하사했다고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고하(高荷)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난주 통판(蘭州通判) 등을 지냈으며, 강서시파(江西詩派)의 한 사람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고한운(高翰雲)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고응척(高應陟)의 아들로, 1585년(선조 18) 문과(文科)에 장원급제하여 부안 현감(扶安縣監)을 지냄.
1552~160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고항(高閌)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비서성 정자(秘書省正字)ㆍ국자사업(國子司業)ㆍ예부 시랑(禮部侍郎) 등을 지냄. 양시(楊時)ㆍ호안국(胡安國)의 문하에서 수학함.
1097~115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고헌지(顧憲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양(梁) 나라의 문신. 진남장군(鎭南將軍) 고개지(顧愷之)의 손자. 건강령(建康令)으로 있을 때 소도둑이 있었는데, 소를 풀어 가는 대로 두게 하니 다시 주인에게 돌아가서 도둑에게 벌을 주었다고 함.
436~50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고현(高晛)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제주(濟州). 영성군(瀛城君) 고희(高曦)의 동생. 임진왜란 때 왕을 의주까지 호위한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고형산(高荊山)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횡성(橫城). 남곤(南袞) 일파와 함께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조광조(趙光祖) 등을 축출함.
1453~1528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횡성 , 인명>관인>문신
-
고홍달(高弘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제주(濟州)로, 성주 통판(星州通判) 고현(高晛)의 아들.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유일(遺逸)로 천거되었으나 곧 물러나 부안(扶安)에 은거하여 학문에 몰두하였고, 권필(權韠)과 교유하였음.
1575~164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문사>학자
-
고황(膏肓)
심장의 하부와 횡격막의 상부를 뜻함.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경공(景公)이 병이 들었을 때 꿈에 병마(病魔)가 이수(二豎)로 변해 고황(膏肓) 사이로 숨어 명의도 고치지 못했다는 고사에서, 치유하기 힘든 깊은 병폐를 이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ㅣ사상>현상>신체증상
-
고흥운(高興雲)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고윤종(高胤宗)의 아들로, 1570년(선조 3) 식년시 문과(式年試文科)에 급제하였으며,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곡강집(曲江集)
중국 당(唐) 나라의 재상이자 문인인 장구령(張九齡)의 문집. 20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곡량적(穀梁赤)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자하(子夏)에게 《춘추(春秋)》를 배우고 여기에 전(傳)을 달아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을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곡백(穀伯)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제후의 한 사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곡부집(曲阜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인 증조(曾肇)의 문집. 4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곡산(谷山)
황해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신덕왕후(神德王后) 강씨(康氏)의 고향.
황해도>곡산 , 지명>행정지명
-
곡산노씨(谷山盧氏)
중국 당(唐) 나라 때의 한림학사(翰林學士) 노수(盧穗)를 도시조(都始祖)로 삼고, 고려 초에 입사(入仕)하여 곡산백(谷山伯)에 봉해진 그의 아홉째 아들 노원(盧垣)을 득관조(得貫祖)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곡산 , 인명>집단>성씨
-
곡성산관시문집(穀城山館詩文集)
중국 명(明) 나라 때의 문신이자 학자인 우신행(于愼行)의 문집. 《곡성산관시집(穀城山館詩集)》이 20권이며 《곡성산관문집(穀城山館文集)》이 42권임.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곡운집(谷雲集)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김수증(金壽增)의 문집. 조카 김창흡(金昌翕)이 시문(詩文)을 정리하여 편차하고, 외증손 이의현(李宜顯)이 경상도 관찰사로 있을 때 대구 감영(監營)에서 6권 3책으로 간행함.
17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문헌>서명
-
곤(鯀)
중국 전설상의 인물. 하(夏) 나라 시조(始祖)인 우(禹) 임금의 아버지로, 홍수를 다스리다가 실패하고 우산(羽山)으로 추방당했다 함.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곤^연(髡^衍)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변사(辯士)인 순우곤(淳于髡)과 위(魏) 나라의 대부인 공손연(公孫衍)을 함께 부르는 말. 말을 잘하는 변사(辯士)를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곤^정(袞^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남곤(南袞)과 심정(沈貞)을 함께 부르는 말.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킨 주역으로, 조광조(趙光祖) 등 신진 사류와 대립하는 훈구파(勳舊派)의 대표 인물.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ㅣ경상도>안동 , 사상>술어>관용어
-
곤^정^항(袞^貞^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남곤(南袞)과 심정(沈貞), 이항(李沆)을 함께 부르는 말.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많은 신진 사류들을 죽게 하였으므로 사림들이 간인(奸人)으로 지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ㅣ경상도>안동ㅣ경상도>성주 , 사상>술어>관용어
-
곤륜산(崑崙山)
전설상 중국 멀리 서쪽에 있다는 성산(聖山) 이름. 황하(黃河)의 발원점으로 여겨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곤명지(昆明池)
중국 섬서성(陝西省) 장안현(長安縣) 서남쪽에 있던 인공호수 이름. 한(漢) 나라 무제(武帝) 때 확장공사를 하고 수군(水軍)을 조련시켰다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곤양(昆陽)
경상남도 사천(泗川)ㆍ하동(河東)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상도>곤양 , 지명>행정지명
-
곤지기(困知記)
중국 명(明) 나라 때의 학자인 나흠순(羅欽順)이 지은 책. 주로 격물(格物)ㆍ치지(致知)에 관한 내용을 수록함. 2권. 속기(續記) 2권, 부록(附錄) 1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곤지잡록(困知雜錄)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조목(趙穆)이 선현의 글 중에서 자기가 수양하는 데 필요한 격언을 모아 기록한 책.
1580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곤학재집(困學齋集)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이자 서예가인 선우추(鮮于樞)의 문집.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공^노(孔^老)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공자(孔子)와 초(楚) 나라의 철학자인 노자(老子) 이이(李耳)를 함께 부르는 말. 공자는 유학(儒學)의 개조(開祖)이고, 이이는 도가(道家)의 창시자로서 중국의 대표적인 사상가를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공^두(龔^杜)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인 공수(龔遂)와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문신인 두시(杜詩)를 함께 부르는 말. 백성을 잘 다스린 관리를 말함.
중국>후한ㅣ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공^맹(孔^孟)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공자(孔子)와 추(鄒) 나라의 학자인 맹자(孟子)를 함께 부르는 말. 유학을 대표하는 인물.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공^묵(孔^墨)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공자(孔子)와 묵적(墨翟)을 함께 부르는 말. 제자백가(諸子百家)의 대표적 사상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공^소(龔^召)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인 공수(龔遂)와 소신신(召信臣)을 함께 부르는 말. 어진 정사를 펼쳐 백성을 잘 다스린 관리를 말함.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공^안(孔^顔)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공자(孔子)와 그의 제자인 안회(顔回)를 함께 부르는 말. 안회는 공자의 제자 중 가장 높이 평가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공^오(龔^吳)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공용경(龔用卿)과 오희맹(吳希孟)을 함께 부르는 말. 1537년(조선 중종 32)에 조선에 함께 사신으로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주(孔^朱)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공자(孔子)와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주희(朱熹)를 함께 부르는 말. 공자는 유학을 창시하고, 주희는 성리학을 발전시킴.
중국>송ㅣ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공^증(孔^曾)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공자(孔子)와 그의 제자인 증삼(曾參)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공^척(孔^跖)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인 공자(孔子)와 도둑인 도척(盜跖)을 함께 부르는 말. 서로 전혀 다른 분야에서 한 시대에 이름을 떨친 자를 대조적으로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공^황(龔^黃)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인 공수(龔遂)와 황패(黃覇)를 함께 부르는 말. 백성을 잘 다스린 관리를 가리킴.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공감(孔戡)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 공잠보(孔岑父)의 아들로, 공자(孔子)의 38대 손(孫). 대리평사(大理評事)를 지냈으며, 사훈원외랑(司勳員外郞)에 추증되었음. 한유(韓愈)가 지은 묘지(墓誌)가 있음.
754~810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검지(恭儉池)
경상북도 상주(尙州) 공검면(恭儉面)에 있는 못 이름. 관개용(灌漑用) 저수지로 이용됨.
경상도>상주 , 지명>자연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