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하소(何劭)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하증(何曾)의 아들로, 젊은 시절 훗날 무제(武帝)가 된 사마염(司馬炎)과 친하게 지냈으며, 진 나라 개국 후 태자태사(太子太師) 등을 지냄. 박학(博學)하고 속문(屬文)을 잘하였으나 매우 교만하고 사치를 부림.
?~30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하소지(河紹地)
조선 세종(世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전력부위(展力副尉) 하원(河源)의 생부이자, 하위지(河緯地)의 동생. 1447년(세종 2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4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하손(何遜)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시인. 시문(詩文)에 뛰어나 범운(范雲)과 망년(忘年)의 교유를 맺고, 건안왕(建安王)ㆍ여릉왕(廬陵王) 등 왕족들의 총애를 받음. 유효작(劉孝綽)과 더불어 ‘하유(何劉)’로 병칭됨.
?~51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하수일(河受一)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진주(晉州).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지내고, 문장(文章)과 사장(詞章)이 뛰어났으며 권제(權濟)ㆍ손천우(孫天祐) 등과 교유함.
1553~161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하숙도(何叔度)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 안제(安帝)~송(宋) 문제(文帝) 때의 문신. 상서령(尙書令) 하상지(何尙之)의 아버지로, 오군 태수(吳郡太守) 등을 지냄.
?~43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하순(賀循)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원제(元帝) 때의 문신ㆍ학자. 예학(禮學)과 경학(經學)에 뛰어나 당대의 유종(儒宗)이 되었으며,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등을 역임함.
260~31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하시원(河恃源)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하륜(河崙)의 조부로, 식목도감 녹사(式目都監錄事)를 역임하였으며, 사후에 보조공신(補祚功臣)에 추록되고, 진강부원군(晉康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하식(河湜)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하륜(河崙)의 증조부로, 선관서 승(膳官署承)을 역임하였으며, 사후에 보조공신(補祚功臣)에 추록되고, 진강군(晉康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하안(何晏)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ㆍ학자. 하후현(夏侯玄)ㆍ왕필(王弼) 등과 함께 현학(玄學)을 창시하여 새로운 기풍을 일으키고, 유가경전을 도교식으로 해석함. 저서로 《논어집해(論語集解)》 등이 있음.
193~249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하억수(河億水)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하응림(河應臨)의 아버지로, 목사(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하연(河演)
조선 태조(太祖)~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불교의 일곱 종파를 선(禪)ㆍ교(敎) 양종으로 통합하고, 혁파된 사원의 토지와 노비를 국가에 환수하게 하였으며,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고, 문종(文宗)의 묘정에 배향됨.
1376~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하옥(河沃)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하형산(河荊山)의 아들로, 1496년(연산군 2)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교리(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하우명(河友明)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진주(晉州). 영의정을 지낸 하연(河演)의 아들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역임하였으며, 효행으로 정려(旌閭)됨.
141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하우석(河禹碩)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사과(司果)를 지낸 하유(河鮪)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하원(河源)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하소지(河紹地)의 아들. 전력부위(展力副尉)에 오르고, 국명(國命)에 따라 중부(仲父)인 하위지(河緯地)의 후사를 이음.
1451~151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하원길(夏原吉)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선종(宣宗) 때의 문신. 다섯 명의 황제를 보좌한 명대신으로, 호부 상서(戶部尙書) 등을 지냈으며, 죽은 후 대신 최고의 영예인 ‘태사(太師)’에 추증됨. 저서에 《하충정집(夏忠靖集)》 등이 있음.
1366~1430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하위지(河緯地)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문장이 뛰어나 《역대병요(歷代兵要)》등의 편찬에 참여함.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세조(世祖)가 왕위를 찬탈하자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처형됨.
1412~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하유(河鮪)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중종(中宗) 때의 유학 하우석(河禹碩)의 아버지로, 사과(司果)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하유종(河有宗)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부사(府使)를 역임하였으며, 정도전(鄭道傳)의 《삼봉집(三峰集)》에 그의 고결한 인품을 매화에 비유하여 읊은 〈매천부(梅川賦)〉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하육(夏育)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역사(力士). 천균(千鈞)의 무게를 들어 올렸다고 하며, 오획(烏獲)ㆍ맹분(孟賁)ㆍ북궁유(北宮黝) 등과 함께 용맹으로 이름을 떨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하윤린(河允潾)
고려 충정왕(忠定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하륜(河崙)의 아버지로, 선관서 승(膳官署丞)을 거쳐 순흥 부사(順興府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사후에 협찬공신(協贊功臣)에 추록되고, 진양부원군(晉陽府院君)에 봉해짐.
1321~139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하윤원(河允源)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하즙(河楫)의 아들로, 홍건적(紅巾賊)을 격퇴하여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하였으며, 신돈(辛旽)이 정사를 전횡할 적에 아첨하지 않고 지조를 지킴.
?~137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하을지(河乙沚)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개경(開京)을 수복하여 일등공신(一等功臣)이 되었으나, 이후 여러 차례 왜구(倭寇)를 제대로 방어하지 못하여 문책을 당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하응림(河應臨)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진주(晉州). 예조 정랑(禮曹正郞) 등을 지내고, 문장이 뛰어나 송익필(宋翼弼)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렸으며, 서(書)ㆍ화(畫)에도 능했음.
1536~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하의집(荷衣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홍적(洪迪)의 저서.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하인사(何人斯)
《시경(詩經)》 〈소아(小雅)〉의 한 편명. 주(周) 나라 소공(蘇公)이 친구 포공(暴公)을 나무라는 내용을 담은 시.
중국>주 , 중국 , 문헌>편명
-
하인서(河麟瑞)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조식(曺植)의 문인인 하항(河沆)의 아버지로, 1531년(중종 26)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6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하자종(河自宗)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영의정 하연(河演)의 아버지로, 고려 말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의 한 사람으로 절개를 지키다가 조선 태종(太宗) 때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내고 세종 때 판청주목사(判淸州牧事) 등을 역임함.
?~14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하정(河瀞)
조선 후기의 학자.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인 박태무(朴泰茂)의 스승.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학자
-
하즙(河楫)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하직의(河直漪)의 아들로,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지내고,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303~138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하증(何曾)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하소(何劭)의 아버지로, 무제(武帝) 때 태위(太尉)를 지냄. 의식(衣食)에 사치를 부려 하루에 1만 전(錢) 상당의 성찬을 먹고 지냈다 하며, 위(魏) 나라의 권신(權臣) 사마의(司馬懿)와 교분을 쌓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하지장(賀知章)
중국 당(唐) 현종(玄宗) 때의 시인ㆍ문신. 비서감(秘書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문사(文辭)에 능하고 특히 초서(草書)를 잘 썼음. 성격이 호탕하고 음주를 좋아하여 이백(李白)과 친하게 지냈으며, 만년에 도사(道士)가 되어 고향으로 돌아감.
659~74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하직의(河直漪)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 좌리공신(佐理功臣) 하즙(河楫)의 아버지로, 호군(護軍)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
-
하진(河溍)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이각(李殼)의 문인(門人)으로, 사재감 직장(司宰監直長)에 임명되나 노부모의 봉양을 위하여 부임하지 않음. 효종 때 지평(持平)이 되어 김자점(金自點)의 전횡(專橫)을 논핵함.
1597~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하진(河珍)
고려 정종(定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진주하씨(晉州河氏) 사직공파(司直公波)의 시조로. 사직(司直)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하징서(夏徵舒)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陳) 나라의 대부(大夫). 어머니인 하희(夏姬)가 영공(靈公)ㆍ공손녕(孔孫寧)ㆍ의행보(儀行父)와 간통한 사실을 고발한 대부 예야(洩冶)를 영공이 죽이자 영공을 시해하였는데, 이로 인해 초(楚) 장왕(莊王)에게 살해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하항(河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최영경(崔永慶)과 교유하며 일생 동안 학문을 연구하고, 문장과 시에 뛰어남.
1538~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하형(河瀅)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중종(中宗) 때의 유학 하희서(河希瑞)와 하인서(河麟瑞)의 아버지로, 황간 현감(黃澗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하형산(河荊山)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교리(校理) 하옥(河沃)의 아버지로, 목사(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하호(何鎬)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강변(講辨)에 정밀하였으며, 저서에 《담주선화령(潭州善化令)》이 있음.
1128~117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하혼(河渾)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조식(曺植)ㆍ오건(吳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활동을 하였고, 장수 찰방(長水察訪) 등을 역임하였으며, 낙향 후 이안눌(李安訥) 등과 교유하며 만년을 보냄.
1548~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하홍도(河弘度)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성균관 유생일 때 광해군의 실정을 개탄하며 낙향하여 경사(經史)에만 전념함. 현종 때 남구만(南九萬)이 해박한 그의 지식에 감탄하여 임금에게 상주(上奏)해서 상을 내렸으나 사양함.
1593~166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하활(河活)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노진(盧禛)의 문인(門人)인 하맹보(河孟寶)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하황(河愰)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노진(盧禛)의 문인(門人)인 하맹보(河孟寶)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하후상(夏侯尙)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장수. 하후현(夏侯玄)ㆍ하후휘(夏侯徽)의 아버지. 조조(曹操)의 부하로 황문 시랑(黃門侍郞)을 지냄.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하후영(夏侯嬰)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 때의 공신. 원래는 말을 관리하는 천역(賤役)에 종사하였으나, 소하(蕭何)ㆍ번쾌(樊噲)와 함께 유방(劉邦)을 도와 한(漢) 나라를 건국하는 데 큰 공을 세움. 개국 후 태복(太僕)을 지내고 여음후(汝陰侯)에 봉해짐.
?~B.C.17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기타인명>공신
-
하후현(夏侯玄)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장수. 하후상(夏侯尙)의 아들이며, 조상(曹爽)의 외사촌 동생. 후에 진(晉) 나라 경제(景帝)로 추존된 사마사(司馬師)가 전횡하자, 이풍(李豐) 등과 제거할 것을 모의하다가 발각되어 죽음을 당함.
209~25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하흠(賀欽)
중국 명(明) 헌종(憲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학자. 호과 급사중(戶科給事中)을 역임한 뒤 낙향하여 진헌장(陳獻章)에게 수학하며 학문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저서에 《의려집(醫閭集)》이 있음.
1437~151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하희서(河希瑞)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황간 현감(黃澗縣監)을 지낸 하형(河瀅)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남명(南冥) 조식(曺植)과 교유함.
?~15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학^용(學^庸)
《대학(大學)》과 《중용(中庸)》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문헌>기타문헌
-
학가(鶴駕)
태자의 거가(車駕). 중국 주(周) 나라 영왕(靈王)의 태자인 왕자교(王子喬)가 신선(神仙)이 되어 백학(白鶴)을 타고 구씨산(緱氏山)에 내려앉았다는 고사에서 유래되어, 황태자를 비유함.
중국>주 , 중국 , 물품>기타물품
-
학동서원(鶴洞書院)@강서
조선 숙종(肅宗) 때 평안도(平安道) 강서(江西)에 건립된 서원. 1684년(숙종 10)에 건립되고, 1686년(숙종 12)에 사액됨. 김반(金泮)을 배향함.
168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강서 , 유적>건물>서원,향교
-
학령서원(鶴翎書院)@성천
조선 선조(宣祖) 때 평안도(平安道) 성천(成川)에 건립된 서원. 1607년(선조 40)에 건립되고, 정구(鄭逑)ㆍ조호익(曺好益) 등을 배향함.
1607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성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학림옥로(鶴林玉露)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학자인 나대경(羅大經)의 수필집. 16권. 주자(朱子)ㆍ장식(張栻) 등의 말을 인용하여 고평(考評)을 가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학문삼요(學問三要)
조선 고종(高宗)~근대의 문신ㆍ순국지사인 송병순(宋秉珣)의 저서. 3권 1책. 목판본. 학문을 하는 데 있어 가장 필요한 글을 여러 문헌에서 발췌하여 엮음.
1907 한국>근대 , 문헌>서명
-
학봉집(鶴峯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김성일(金誠一)의 문집. 이홍조(李弘祚)와 종손 김시온(金是榲)이 저자의 사위인 김영조(金榮祖) 등이 간행한 해사록(海槎錄)과 유고를 수집ㆍ편차하여 간행하고, 1782년(정조 6)에 후손 김주국(金柱國) 등이 이상정(李象靖)과 함께 속집(續集)을 간행함.
164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문헌>서명
-
학부통변(學蔀通辯)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진건(陳建)의 저서. 12권. 전(前)ㆍ후(後)ㆍ결(結)ㆍ종(終)의 4편으로 구성되었는데, 불학(佛學)과 육상산(陸象山)의 성리학에 대해 정학(正學)을 그르치는 학문이라고 논술함.
1535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학사집(鶴沙集)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인 김응조(金應祖)의 문집. 10권 6책. 목판본. 증손 김개(金价)가 수집한 유고를 현손 김서필(金瑞必)이 의산서원(義山書院) 원유(院儒)들의 협조와 이상정(李象靖)의 도움을 받아 교정하여 간행함.
177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문헌>서명
-
학산초담(鶴山樵談)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허균(許筠)의 시(詩) 비평집. 필사본 1책. 선조(宣祖) 무렵의 시인들에 대한 시화ㆍ시평 99칙과 시인에 관한 소개 9칙 등 총 108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패림(稗林)》 제6집에 수록됨.
1593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강릉 , 문헌>서명
-
학암서원(鶴巖書院)
조선 정조(正祖)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된 서원. 정사성(鄭士誠)ㆍ정사신(鄭士信)ㆍ권익창(權益昌) 등을 배향함.
177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학역재집(學易齋集)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인지(鄭麟趾)의 저서.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학용찬술(學庸纂述)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인 요로(饒魯)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학음고(學音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윤춘년(尹春年)의 문집. 현재 일본 천리도서관(天理圖書館)에 필사본이 소장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학전(學專)
조선 전기의 승려. 신숙주(申叔舟)와 친분이 두터웠으며, 말년에 황해도 문화현(文化縣)의 패엽사(貝葉寺)에 기거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종교인>승려
-
학정서원(鶴亭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임실(任實)에 건립된 서원. 김천일(金千鎰)ㆍ홍붕(洪鵬)ㆍ조평(趙平) 등을 배향함.
160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임실 , 유적>건물>서원,향교
-
학조(學祖)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승려. 여러 고승들과 함께 불경을 언해(諺解)하였고, 인수대비(仁粹大妃)의 명으로 해인사(海印寺) 대장경판당(大藏經板堂)을 중창하였으며, 대장경(大藏經)을 간인(刊印)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종교인>승려
-
학창의(鶴氅衣)
흰 창의(氅衣)에 가장자리는 돌아가며 검은 헝겊으로 넓게 선을 두른 일종의 웃옷.
고대 , 중국 , 물품>의복>예복
-
학천집(鶴泉集)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성여학(成汝學)의 문집. 목판본. 2권 2책. 외손 한후명(韓厚明)이 수집ㆍ편찬하고, 조카 이야(李壄)가 이돈(李墪)의 서(序)를 실어 간행함.
1706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학포당(學圃堂)
조선 중종(中宗) 때 전라도 능성(綾城) 중조산(中條山) 아래에 건립된 서재. 학자ㆍ문신인 양팽손(梁彭孫)이 1521년(중종 16)에 건립하고, 후손 양재경(梁在慶)이 비를 세움. 현재 전라남도 화순군(和順郡)에 위치함.
152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유적>건물>사제
-
학포집(學圃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시문집. 현손 양세남(梁世南)이 수집하고, 12대손 양즙(梁楫)이 부록을 만들어 편집하여 1840년 간행함.
184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문헌>서명
-
한^구(韓^歐)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한유(韓愈)와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구양수(歐陽脩)를 함께 부르는 말.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에 속하는 인물들로, 문장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송ㅣ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한^두(寒^蠹)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인 한훤(寒喧) 김굉필(金宏弼)과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을 함께 부르는 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성리학 이기론(理氣論)의 대표적인 인물을 가리킴.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ㅣ경상도>함양 , 사상>술어>관용어
-
한^두(韓^杜)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인 한유(韓愈)와 두보(杜甫)를 함께 부르는 말. 시(詩)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한^마(韓^馬)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한유(韓愈)와 한(漢) 나라의 문신ㆍ사학자인 사마천(司馬遷)과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사마광(司馬光)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 산문문학에서 고문(古文)을 지지한 대표적인 사람을 가리킴.
중국>송ㅣ중국>당ㅣ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한^맹(韓^孟)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한유(韓愈)와 시인인 맹교(孟郊)를 함께 부르는 말. 문장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한^범(韓^范)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인 한기(韓琦)와 범중엄(范仲淹)을 함께 부르는 말. 서하(西夏)의 침략을 방어하는 데 공을 세우고, 고상한 시를 잘 지음.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한^부(韓^富)
중국 송(宋) 나라의 명재상인 한기(韓琦)와 부필(富弼)을 함께 부르는 말. 어진 신하를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한^사마(韓^司馬)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인 한기(韓琦)와 사마광(司馬光)을 함께 부르는 말. 어진 신하를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한^소(韓^蕭)
중국 전한(前漢)의 공신인 한신(韓信)과 소하(蕭何)를 함께 부르는 말. 고조(高祖)를 도와 천하를 통일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을 말함.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한^양(韓^楊)@인명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한유(韓愈)와 양거원(楊巨源)을 함께 부르는 말. 시(詩)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한^양(韓^楊)@지명
충청도에 위치한 한산(韓山)과 경기도에 위치한 양주(楊州)를 함께 부르는 말.
충청도>한산ㅣ경기도>양주 , 지명>기타지명
-
한^유(韓^柳)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한유(韓愈)와 유종원(柳宗元)을 함께 부르는 말.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에 속하는 인물들로, 문장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한^유^소(韓^柳^蘇)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한유(韓愈)ㆍ유종원(柳宗元)과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소식(蘇軾)을 함께 부르는 말.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에 속하는 인물들로, 문장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송ㅣ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한^육(韓^陸)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한유(韓愈)와 육지(陸贄)를 함께 부르는 말. 문장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한^이(韓^李)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한유(韓愈)와 그의 제자이자 사위인 이한(李漢)을 함께 부르는 말. 문인으로 종유(從遊)하다가 인척이 된 사람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한^장(韓^張)@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공신인 한신(韓信)과 장량(張良)을 함께 부르는 말. 고조(高祖)를 도와 천하를 통일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을 가리킴.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한^장(韓^張)@당
중국 당(唐) 나라의 문인인 한유(韓愈)와 장적(張籍)을 함께 부르는 말. 문장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한^팽(韓^彭)
중국 전한(前漢)의 무신인 한신(韓信)과 팽월(彭越)을 함께 부르는 말. 고조(高祖)를 도와 천하를 통일한 인물로, 명장(名將)을 가리킴.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한강(漢江)
태백산맥(太白山脈)에서 발원하여 강원도ㆍ충청북도ㆍ경기도ㆍ서울을 동서로 흘러 서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 하류 지역은 고대부터 문화 발달의 터전이었고, 삼국시대에는 쟁패의 요지였으며, 조선시대에 들어와 교통로로서의 중요성이 커짐.
서울 , 지명>자연지명
-
한강(韓康)@후한
중국 후한(後漢)의 은자. 30여 년 동안 명산(名山)의 약초를 캐다가 장안(長安) 시장에서 늘 똑같은 값으로 팔면서 흥정을 허락하지 않았는데, 이름이 세간에 알려지자 패릉산(霸陵山)에 은거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한강(韓康)@고려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충렬왕 때 성절사(聖節使)로 원(元) 나라에 다녀오고, 첨의중찬(僉議中贊) 등을 지냈으며, 원부(元傅) 등과 함께 《고금록(古今錄)》을 편찬함.
?~1303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윤승홍(尹承弘)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윤간(尹侃)의 아들로, 돈녕부 정(敦寧府正) 등을 지냄. 이황(李滉)의 《퇴계집(退溪集)》에 그의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83~156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승휴(尹承休)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평군(鈴平君) 윤척(尹陟)의 맏아들로, 전의시 판사(典儀寺判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시걸(尹時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은(尹訔)의 아들로,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시동(尹蓍東)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득민(尹得敏)의 아들이며, 유척기(兪拓基)의 사위. 소신이 뚜렷하여 당론(黨論)을 논하다가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내직과 외직을 여러 번 거친 후 우의정 등을 지냄.
1729~17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윤시침(尹時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도사(都事)를 지내고, 사암(思菴) 박순(朴淳)과 교유함.
153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식(尹湜)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 윤시영(尹時英)의 아들로 윤시호(尹時豪)에게 출계함. 윤자신(尹自新)의 아버지. 당제(堂弟)인 윤결(尹潔)이 화를 입자 은둔하였으며, 죽은 후 영의정(領議政) 용은부원군(龍恩府院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윤신(尹信)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파평(坡平). 윤희이(尹希夷)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학자
-
윤신걸(尹莘傑)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1285년(충렬왕 11) 국자시(國子試)에서 시(詩)ㆍ부(賦)로 수석합격함. 충숙왕 때 순성보리공신(純誠輔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첨의평리(僉議評理) 등을 역임함.
1266~133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신달(尹莘達)
고려 태조(太祖)~광종(光宗) 때의 문신ㆍ공신. 파평윤씨(坡平尹氏)의 시조. 왕건(王建)을 도와 후삼국(後三國)을 통일하는 데 공을 세우고 벽상삼한익찬공신(壁上三韓翊贊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삼중대광태사(三重大匡太師) 등을 지냄.
893~97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