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윤신지(尹新之)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부마(駙馬). 본관은 해평(海平). 윤방(尹昉)의 아들로, 선조의 두 번째 서녀인 정혜옹주(貞惠翁主)와 혼인함.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능했음.
1582~165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왕실>인척
-
윤심(尹沈)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윤화명(尹化溟)의 아들로,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안국(尹安國)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윤응상(尹應商)의 아들로, 병조 참의(兵曹參議)ㆍ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역임함.
1569~162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안비(尹安庇)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평부원군(鈴平府院君) 윤보(尹珤)의 여섯째 아들로, 1294년(충렬왕 20) 문과(文科)에 장원하고, 문하시랑(門下侍郞)ㆍ찬성사(贊成事)ㆍ태위(太尉)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안성(尹安性)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부(尹釜)의 아들로, 양양 부사(襄陽府使) 등을 지냄. 익사공신(翼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능창군(陵昌君) 이전(李佺)의 추대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당함.
1542~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안숙(尹安淑)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평부원군(鈴平府院君) 윤보(尹珤)의 넷째 아들로, 충숙왕(忠肅王)과 충정왕 때 공을 세워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안인(尹安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림(尹琳)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암(尹巖)
조선 태종(太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파평(坡平). 태종의 아홉 번째 서녀(庶女)인 숙경옹주(淑慶翁主)와 혼인하였으며,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를 지냈고.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인척
-
윤암(尹諳)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평부원군(鈴平府院君) 윤보(尹珤)의 다섯째 아들이며, 전법 판서(典法判書) 윤해(尹侅)의 아버지로, 소부 윤(少府尹)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어(尹圉)
중국 주(周) 나라의 경대부. 선왕(宣王) 때 윤길보(尹吉甫)가 대부가 된 뒤로부터 세습해 경대부가 됨.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윤언성(尹彦誠)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윤임형(尹任衡)의 아들이며, 수심당(水心堂) 윤동로(尹東老)의 아버지로, 1549년(명종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
-
윤언직(尹彦直)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ㆍ서화가.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가 유배되자, 성균관의 유생들과 함께 항소했다가 이약수(李若水)ㆍ박세호(朴世豪)ㆍ김수성(金遂性)ㆍ황계옥(黃季沃) 등과 함께 투옥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유학
-
윤언청(尹彦淸)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교위(校尉) 윤심(尹深)의 아들로, 별좌(別坐)를 지냈으며, 아들인 무성부원군(茂城府院君) 윤형(尹泂)이 귀하게 됨으로 인해 영의정(領議政) 송릉부원군(松陵府院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윤엄(尹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파평(坡平). 윤지함(尹之諴)의 아들로, 호조 좌랑(戶曹佐郞) 등을 지냄. 서화(書畵)에 능하고 필법(筆法)에 조예가 깊었으며, 감식안이 높아 고금 서화의 판별에 뛰어나다는 평가를 들음.
1536~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윤여필(尹汝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윤보(尹甫)의 아들이며, 중종 계비(繼妃) 장경왕후(章敬王后)의 아버지로,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역임함.
1466~15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여해(尹汝諧)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윤보(尹甫)의 아들이며, 윤여필(尹汝弼)의 아우로,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 등을 역임함.
1480~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염(尹恬)
조선 전기의 문신. 해남 현감(海南縣監)을 지내고, 소재(穌齋) 노수신(盧守愼)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윤엽(尹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극신(尹克新)의 아들이며,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낸 윤돈(尹暾)의 형으로, 서천 군수(舒川郡守) 등을 지냄.
1546~160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윤영(尹瑛)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기상(尹起祥)의 아들로, 상의원 직장(尙衣院直長) 등을 지냈으며, 아들 윤명은(尹鳴殷)이 귀하게 됨으로 인해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됨.
157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옥(尹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사익(尹思翼)의 아들이며 순회세자(順懷世子)의 장인으로,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등을 지냄.
1511~15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윤용(尹湧)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이손(尹李孫)의 아들이며, 윤개(尹漑)의 아우로, 선교랑(宣敎郞)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우(尹遇)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형(尹炯)의 아들로, 돈녕부 첨정(敦寧府僉正)과 정선(旌善)ㆍ옥천(沃川)ㆍ배천(白川)등의 군수를 역임함.
1435~150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우신(尹又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징(尹澄)의 아들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윤우형(尹友衡)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칠원(漆原)으로, 1507년(중종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김안국(金安國)이 그의 쾌혜정(快兮亭)을 소재로 쓴 시가 《모재집(慕齋集)》에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윤욱(尹旭)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이이에게 《소학(小學)》을 배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
-
윤원개(尹元凱)
고려 후기의 문신. 안축(安軸)이 준 시(詩)가 《근재집(謹齋集)》에 남아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윤원로(尹元老)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윤지임(尹之任)의 아들로,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오빠이자 윤원형(尹元衡)의 형. 왕실의 외척으로 득세 후 김안로(金安老)ㆍ윤임(尹任)과 대립하다가 유배되었으며, 후에 윤원형과 권력을 다투다가 사사됨.
?~154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원성(尹元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훈도(訓導)를 지내고, 아계(鵝溪) 이산해(李山海)․해월(海月) 황여일(黃汝一)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원필(尹元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윤지임(尹之任)의 아들이며, 중종 계비(繼妃)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오빠. 용양위 대호군(龍驤衛大護軍) 등을 역임하였으며, 위사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됨.
1496~154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윤원형(尹元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중종 계비(繼妃)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동생. 소윤(小尹)의 영수로 을사사화(乙巳士禍)와 정미사화(丁未士禍)를 일으켜 대윤(大尹) 등 반대파를 숙청하고 공신에 책록됨. 영의정 등을 지냄.
?~156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위(尹威)
고려 명종(明宗)~희종(熙宗) 때의 문신. 윤관(尹瓘)의 증손이며, 남원윤씨(南原尹氏)의 시조로, 신종(神宗) 때 남원에서 반란을 일으킨 복기남(卜奇男)을 평정하고 남원백(南原伯)에 봉해졌으며, 서경 유수(西京留守)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윤유기(尹惟幾)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의 아버지로,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ㆍ판결사(判決事) 등을 지냄.
154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유심(尹惟深)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우참찬(右參贊) 윤의중(尹毅中)의 아들이며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의 생부(生父)로, 예빈시 부정(禮賓寺副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유연(尹裕延)
고려 후기의 문신. 태악서 승(太樂署丞) 윤수(尹壽)의 아들이며, 검교상서 호부시랑(檢校尙書戶部侍郞) 윤승해(尹承解)의 아버지로, 검교 호부상서(檢校戶部尙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통진 , 인명>관인>문신
-
윤은(尹垠)
조선 전기의 문신. 윤희제(尹希齊)의 아들이며. 세종(世宗)의 부마인 윤사로(尹師路)의 아버지로, 공조 참의(工曹參議)ㆍ광주 목사(廣州牧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은보(尹殷輔)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성종실록(成宗實錄)》ㆍ《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ㆍ《대전후속록(大典後續錄)》ㆍ《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등의 편찬에 참여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468~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윤은필(尹殷弼)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영의정 윤은보(尹殷輔)의 아우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을 옹호하고,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윤응규(尹應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상주 목사(尙州牧師) 윤탕(尹宕)의 아들이자 죽재(竹齋) 윤인함(尹仁涵)의 아버지로, 포천 현감(抱川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응상(尹應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윤시우(尹時雨)의 아들이며, 윤안국(尹安國)의 아버지로, 학행(學行)으로 벼슬하여 수운판관(水運判官) 등을 지냄.
1547~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의신(尹宜臣)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윤린(尹麟)의 아들이며,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윤횡(尹宖)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
-
윤의정(尹義貞)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생원. 본관은 덕산(德山). 종부시 주부(宗簿寺主簿)를 지낸 윤관(尹寬)의 아들로, 1573년(선조 6)의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유성룡(柳成龍)ㆍ정탁(鄭琢) 등과 교유함.
1525~161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윤의중(尹毅中)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윤구(尹衢)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냈으나, 정여립(鄭汝立)의 역모 사건으로 동인들이 축출될 때 이발(李潑)의 외숙이라는 이유로 파직됨.
152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윤이(尹伊)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내섬시 판관(內贍寺判官) 윤문형(尹文亨)의 아들로, 우봉 현령(牛峯縣令)을 지냈으며, 아들인 칠계군(漆溪君) 윤탁연(尹卓然)의 공으로 인해 영의정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관인>문신
-
윤이(尹彝)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의 역신(逆臣). 한때 중이 되었다가 장죄(贓罪)를 범하고 명(明) 나라로 도망하였으며, 명 나라에 공양왕(恭讓王)과 이성계(李成桂)를 무고(誣告)하였다가 유배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이손(尹李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세자익위사 시직(世子翊衛司侍直)을 지낸 윤귀몽(尹龜蒙)의 아들이며, 명종(明宗) 때 우의정(右議政)을 지낸 윤개(尹漑)의 아버지.
1467~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이지(尹履之)
조선 선조(宣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영의정(領議政) 윤방(尹昉)의 아들. 1616년(광해군 8)에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형조 판서(刑曹判書)ㆍ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지냄.
1579~16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윤인(尹訒)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광해군 때 대사간(大司諫)으로서 정조(鄭造)와 함께 인목대비(仁穆大妃)를 폐할 것을 가장 먼저 주장하여 서궁(西宮)에 유폐시켰으나,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주살당함.
1555~162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인경(尹仁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중종 때 이조 판서로서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억울하게 죄를 입은 사람을 서용하였고, 인종(仁宗) 때 영의정이 되어 국정을 총괄하였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됨.
1476~154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인서(尹仁恕)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 여러 관직을 지냈으나, 권간(權奸)에 아부하고 공명(功名)을 탐하여 누차 탄핵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인연(尹仁演)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무성부원군(茂城府院君) 윤형(尹泂)의 아들로, 충훈부 도사(忠勳府都事)를 지냈으며, 좌승지(左承旨)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윤인함(尹仁涵)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파평(坡平).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 때 경주(慶州)가 함락되자 의병을 모집하여 활동함. 문장과 그림에 능하고, 특히 대나무를 잘 그림.
1531~159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윤임(尹任)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윤여필(尹汝弼)의 아들이며, 중종 계비(繼妃) 장경왕후(章敬王后)의 오빠. 대윤(大尹)의 거두로, 윤원형(尹元衡)의 소윤(小尹) 일파와 대립하다가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숙청되어 유배 도중 사사됨.
1487~154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임형(尹任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윤달신(尹達莘)의 아들이며 김인후(金麟厚)의 장인으로, 1525년(중종 20)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진안 현감(鎭安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윤자당(尹子當)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무신. 병조 전서(兵曹典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윤자신(尹自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식(尹湜)의 아들로, 정여립(鄭汝立)의 역모사건 때 정즙(鄭緝) 등을 체포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고 종묘의 신주를 잘 보존하여 죽은 뒤에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추록됨.
1529~160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자영(尹子濚)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진주 목사(晉州牧使) 등을 역임하고,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세종실록(世宗實錄)》ㆍ《문종실록(文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자운(尹子雲)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윤경연(尹景淵)의 아들이자 신숙주(申叔舟)의 처남으로, 영의정 등을 지냄. 정인지(鄭麟趾) 등과 함께 《고려사(高麗史)》편찬에 참여하고, 좌익공신(佐翼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16~147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자임(尹自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금손(尹金孫)의 아들로, 문무를 겸비하고 삼사(三司)의 청요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좌승지로 있을 때 조광조(趙光祖)의 일파로 몰려 북청(北靑) 배소에서 죽음.
1488~151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저(尹抵)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태조 때 형조 전서(刑曹典書)로서 고려 왕족을 강화(江華) 나루에 수장(水葬)하는 데 앞장섰으며, 태종 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역임함.
?~14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전(尹烇)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창세(尹昌世)의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이괄(李适)의 난 때 인조를 공주(公州)로 호종하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강화(江華)에서 순절함.
1575~163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정(尹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여해(尹汝諧)의 아들로, 충좌위 대호군(忠佐衛大護軍) 등을 역임함.
1515~156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무신
-
윤정(尹渟)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희천(尹希天)의 아들로, 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낸 윤희성(尹希聖)에게 출계함.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친 후에 이조 정랑을 지냄.
153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정(尹鼎)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파평(坡平). 과거(科擧)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고 특히 《주역(周易)》에 뛰어났으며, 민기(閔箕)ㆍ허엽(許曄)ㆍ이항(李恒) 등 많은 인물을 배출함.
1490~153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학자
-
윤정원(尹正元)
조선 전기의 유학. 송인(宋寅)의 죽마고우(竹馬故友)로, 송인의 《이암유고(頤庵遺稿)》에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윤존성(尹存性)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부(尹釜)의 아들로, 1567년(선조 1)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돈용교위(敦勇校尉)ㆍ첨정(僉正) 등을 역임함.
153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종의(尹宗儀)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파평(坡平).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지내고 병(兵)ㆍ농(農)ㆍ율력(律曆)ㆍ도상(圖象) 등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특히 예학(禮學)에 조예가 깊어 헌종(憲宗)의 부묘(祔廟)와 관련해 《방례고증(邦禮考證)》을 저술함.
1805~188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윤주(尹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1522년(명종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동부승지(同副承旨) 등을 지내고, 홍인우(洪仁祐)ㆍ노수신(盧守愼) 등과 교유함. 이량(李樑)에게 아부하였다는 탄핵을 받고 파직당하기도 함.
1525~156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준(尹浚)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 윤시걸(尹時傑)의 셋째 아들로, 시정기(時政記) 필화사건으로 처형된 안명세(安明世)를 비호하였다는 구사안(具思顔)의 밀계(密啓)로 인해 형 윤결(尹潔)과 함께 처형됨.
1520~154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윤준정(尹俊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태종(太宗)의 부마(駙馬)인 파평군(坡平君) 윤암(尹巖)의 아들이며, 이조 참판(吏曹參判) 윤희인(尹希仁)의 아버지로,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ㅣ인명>왕실>인척
-
윤중암(允中菴)
고려 말 일본인 승려. 용산(龍山)의 제자. 당(唐) 나라 배휴(裴休)가 편찬한 《황벽전심요결(黃蘗傳心要訣)》과 《완릉록(宛陵錄)》을 전포하기 위해 이색(李穡)에게 발문(跋文)을 구함.
1335~? 일본>실정시대 , 일본 , 인명>종교인>승려
-
윤중형(尹仲衡)
조선 중중(中宗) 때의 문신. 제주 목사(濟州 牧使)ㆍ위원 군수(渭原郡守)ㆍ삭주 부사(朔州府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윤증(尹拯)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윤선거(尹宣擧)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박세당(朴世堂)ㆍ박세채(朴世采)ㆍ민이승(閔以升) 등과 교유함. 후에 송시열과 대립하여 소론(少論)의 영수로 추대됨.
1629~171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이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윤지강(尹之岡)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잠(尹岑)의 아들이자, 파성군(坡城君) 윤금손(尹金孫)의 아버지이며, 문효공(文孝公) 어효첨(魚孝瞻)의 사위로, 부승(府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지숭(尹之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형조 참판(刑曹參判) 윤잠(尹岑)의 아들로, 돈녕부 정(敦寧府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지임(尹之任)
조선 중종(中宗) 때의 외척(外戚). 중종 계비(繼妃) 문정왕후(文定王后)와 윤원형(尹元衡)의 아버지로,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를 역임하였으며, 파산부원군(坡山府院君)에 봉해짐.
?~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왕실>인척
-
윤지표(尹之彪)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재상. 본관은 해평(海平). 윤석(尹碩)의 아들로, 충혜왕의 폐신(嬖臣)이었다는 이유로 유배되었다가 재등용되었으며,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윤지함(尹之諴)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윤엽(尹燁)의 아들로, 영평위(鈴平尉) 윤섭(尹爕)에게 출계함. 윤엄(尹儼)의 아버지. 1546년 (명종 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이조 참의(吏曹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ㅣ인명>왕실>인척
-
윤지형(尹止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효손(尹孝孫)의 아들로,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냈으나, 심정(沈貞) 등의 사주를 받아 신사무옥(辛巳誣獄)을 일으킴.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윤지화(尹之和)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으로, 폐비 윤씨(廢妃尹氏)의 당질(堂姪). 호조 정랑(戶曹正郞)을 지내고, 당시 문장으로 유명한 눌재(訥齋) 박상(朴祥)ㆍ하천(霞川) 고운(高雲) 등과 시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윤진(尹珍)@조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윤륜(尹倫)의 아들이며, 윤인서(尹仁恕)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
-
윤진(尹珍)@고려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해평군(海平君) 윤지표(尹之彪)의 아들로, 밀직부사(密直副使) 이희번(李希蕃)과 함께 명(明) 나라에 가서 세공(歲貢) 감면에 대해 사례함.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윤집(尹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형갑(尹衡甲)의 아들로,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 병자호란 때 청(淸)과의 화의를 적극 반대하다가 오달제(吳達濟)ㆍ홍익한(洪翼漢)과 함께 중국 심양(瀋陽)에 끌려가 순절함.
1606~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집형(尹執衡)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상서 좌복야(尙書左僕射) 윤금강(尹金剛)의 아들이자, 문숙공(文肅公) 윤관(尹瓘)의 아버지로, 검교 소부소감(檢校小府少監)을 지냈으며, 상서 우복야(尙書右僕射)에 추증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징(尹澂)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사간원 우정언(司諫院右正言) 윤미견(尹彌堅)의 아들이며, 문경공(文敬公) 허조(許稠)의 외손자로, 영원 군수(寧遠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윤징(尹澄)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 윤시영(尹時英)의 아들로, 아들인 용릉군(龍陵君) 윤우신(尹又新)의 공으로 인해 영의정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윤찬(尹贊)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형(尹炯)의 아들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창(尹敞)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진현관 제학(進賢館提學) 윤취(尹就)의 아들이자, 파원군(坡原君) 윤평(尹泙)의 아버지로, 인수부 윤(仁壽府尹)을 지냈으며, 호조 판서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창명(尹昌鳴)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으로, 윤신(尹信)의 아들. 정자(正字)를 지냈으며, 유몽인(柳夢寅)ㆍ구사맹(具思孟) 등과 교유함.
153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제천 , 인명>관인>문신
-
윤창세(尹昌世)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이조 참의(吏曹參議) 윤황(尹煌)의 아버지로, 임진왜란 때 향병(鄕兵)을 모집하여 싸우다 병으로 죽었으며, 이조 참판(吏曺參判)에 추증됨.
1543~159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
-
윤척(尹陟)
고려 충정왕(忠定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윤안숙(尹安淑)의 아들로, 우부대언(右副代言)을 지냈으며,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수도를 수복한 공으로 공신(功臣)에 책록됨.
?~138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철(尹轍)
조선 전기의 문신. 송화 현감(松禾縣監)으로 있을 때 지은 건물에 김주(金澍)가 조경헌(照鏡軒)이라 이름하고 시를 지은 것이 《우암유집(寓庵遺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윤춘년(尹春年)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안인(尹安仁)의 아들로, 윤원형(尹元衡)의 세력에 가담하여 대윤(大尹) 일파와 윤원로(尹元老) 제거에 앞장서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14~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취(尹就)
고려 우왕(禑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지낼 때 천추사(千秋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탁(尹倬)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중(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파평(坡平). 윤사은(尹師殷)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으로,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 등을 역임하였고, 학문이 높아 조광조(趙光祖) 등에게 도학(道學)을 가르침.
1472~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윤탁(尹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파평(坡平). 훈련원 부정(訓練院副正)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박사겸(朴思謙) 등과 향리에서 의병을 일으키고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많은 공을 세웠으나, 진주(晉州)에서 김천일(金千鎰) 등과 함께 전사함.
1554~159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무신
-
윤탁연(尹卓然)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윤이(尹伊)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 때 공을 세워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시문에 능하여 이산해(李山海)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일컬어짐.
1538~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탄(尹坦)
조선 예종(睿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윤삼산(尹三山)의 아들이며, 성종(成宗) 계비(繼妃)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의 숙부로, 중종 즉위 후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탕(尹宕)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사하(尹師夏)의 아들. 1507년(중종 2)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탕로(尹湯老)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윤호(尹壕)의 아들이며, 성종의 계비(繼妃)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의 오빠. 중종 때 정국공신(靖國功臣)과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냄.
?~150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윤택(尹澤)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1317년(충숙왕 4)에 등제하여 밀직제학ㆍ개성부윤 등을 지냄. 정직ㆍ검소하였으며, 공민왕에게 유학에 힘쓸 것을 권하고 치국의 길을 직언함. 저서로 《율정집(栗亭集)》이 있음.
1289~1307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금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