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윤통(尹統)
조선 전기의 문신. 유방선(柳方善)의 《태재집(泰齋集)》에 부모를 모시기 위해 벼슬을 버리고 돌아가는 그를 전송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윤편(輪扁)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장인(匠人). 수레바퀴를 잘 만드는 사람으로, 제 환공(桓公)에게 기술의 미묘한 점은 자식에게도 가르칠 수 없다고 말한 일화로 유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술인>장인
-
윤평(尹泙)
조선 태종(太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파평(坡平). 윤창(尹敞)의 아들로, 태종의 열세 번째 서녀(庶女)인 숙순옹주(淑順翁主)와 혼인하였으며, 의빈부승빈(儀賓府承賓)에 오름.
1420~146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왕실>인척
-
윤풍형(尹豊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윤석보(尹碩輔)의 아들로,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을 지낼 때 문정왕후(文定王后)의 폐위를 도모한 김안로(金安老)를 탄핵하였으며,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관인>문신
-
윤필상(尹弼商)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윤경(尹埛)의 아들로, 세조의 신임과 총애를 받고, 적개공신(敵愾功臣)과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영의정 등을 지냈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유배지에서 자결함.
1427~150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한(尹瀚)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무송(茂松). 영의정(領議政) 윤자운(尹子雲)의 아들이며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윤화명(尹化溟)의 아버지로, 용양위 대호군(龍驤衛大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무신
-
윤항(尹沆)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파평(坡平).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윤희길(尹希吉)의 아버지로, 충의위(忠義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무신
-
윤항(尹衖)
조선 전기의 문인. 본관은 해남(海南). 1534년(중종 2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임억령(林億齡)ㆍ노수신(盧守愼)ㆍ김인후(金麟厚)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문인
-
윤해(尹侅)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윤암(尹諳)의 아들로,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전법 판서(典法判書) 등을 역임함.
1307~137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행(尹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윤효정(尹孝貞)의 아들로, 1531년(중종 2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목사(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윤향(尹向)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문하 평리(門下評理) 윤승순(尹承順)의 아들이며, 윤계동(尹季童)의 아버지. 민무구(閔無咎)ㆍ민무질(閔無疾)의 옥사에 관련된 윤목(尹穆)의 죄를 고발하고,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 당시의 공신녹권(功臣錄券) 개정을 상소했다가 파직됨.
1374~141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혁(尹奕)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밀직사(密直司) 등을 지냈으며, 이제현(李齊賢)의 《익재난고(益齋亂稿)》에 그에게 화답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윤현(尹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담수(尹聃壽)의 아들로, 이조 정랑(吏曹正郞) 등을 지냈으며, 서인(西人)의 거두인 윤두수(尹斗壽)ㆍ윤근수(尹根壽)와 함께 ‘삼윤(三尹)’으로 일컬어짐.
1536~15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윤현(尹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승홍(尹承弘)의 아들로,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역임함. 행정수완이 탁월하고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14~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현조(尹顯祖)
조선 전기의 문인. 본관은 파평(坡平). 이의무(李宜茂)가 지어준 시서(詩序)가 《연헌잡고(蓮軒雜稿)》에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문인
-
윤형(尹泂)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언청(尹彦淸)의 아들이며, 전치원(全致遠)의 문인. 정유재란 때 접반사(接伴使)로 활약하고, 임진왜란으로 불탄 실록(實錄)을 재간행할 때 참여하였으며,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1549~161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형(尹炯)
조선 태종(太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규(尹珪)의 아들로,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역임하였으며, 세조(世祖) 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추록(追錄)됨.
1388~145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형로(尹衡老)
조선 성종(成宗)~중중(中宗) 때의 문신. 윤탄(尹坦)의 아들이며, 성종 계비(繼妃)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의 사촌 오빠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형지(尹衡之)
조선 전기의 유학. 신광한(申光漢)이 보낸 시가 《기재집(企齋集)》에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윤호(尹壕)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윤삼산(尹三山)의 아들이며,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윤탕로(尹湯老)와 성종비 정현왕후(貞顯王后)의 아버지로, 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424~14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호(尹虎)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해(尹侅)의 아들.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과 공양왕(恭讓王)을 옹립한 공으로 회군공신(回軍功臣)에 책록되고,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됨.
?~139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호연(尹浩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문경 현감(聞慶縣監)을 지냈으며, 정탁(鄭琢) 등과 교유함.
155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홍(尹洪)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원평 부사(原平府使) 윤구(尹救)의 아들이며 함열 현감(咸悅縣監) 윤공(尹恭)의 아버지로, 서흥 부사(瑞興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홍언(尹弘彦)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이조 참판(吏曹參判) 윤은필(尹殷弼)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예빈시 별좌(禮賓寺別坐)가 되고, 직장(直長)ㆍ전중(殿中) 등을 지냄.
1503~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윤홍중(尹弘中)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윤구(尹衢)의 아들로, 1546년(명종 1)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였으며, 군수(郡守)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윤화명(尹化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한(尹瀚)의 아들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최항(崔恒)의 《태허정집(太虛亭集)》에 그의 명자(名字)에 대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윤화중(尹和中)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목사(牧使) 윤행(尹行)의 아들이며, 공조 좌랑(工曹佐郞) 윤광계(尹光啓)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윤환(尹晥)
조선 전기의 문신. 면천 군수(沔川郡守)를 지낼 때 중수(重修)한 면천객사중수기(沔川客舍重修記)가 《용재집(容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윤환(尹桓)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칠원(漆原). 조적(曺頔)의 난 때 충혜왕을 시종한 공으로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역임함.
?~138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윤환(尹瓛)
조선 중중(中宗) 때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와 고산(孤山)을 유람할 때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윤황(尹煌)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윤창세(尹昌世)의 아들로,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내고, 정묘호란(丁卯胡亂)과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척화(斥和)를 주장함.
1571~163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회(尹淮)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소종(尹紹宗)의 아들로,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지내고, 왕명으로 《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ㆍ《자치통감훈의(資治通鑑訓義)》를 편찬함.
1380~143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윤회종(尹會宗)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소종(尹紹宗)의 아우로, 형조 총랑((刑曹摠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변정도감사(辨正都監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윤횡(尹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의신(尹宜臣)의 아들로, 1594년(선조 27)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역임함.
156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효빙(尹孝聘)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계(尹繼)의 아들로, 1496년(연산군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수찬(修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효손(尹孝孫)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세조(世祖)와 성종(成宗)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성종실록(成宗實錄)》 등의 수찬에 참여하였으며, 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냄.
1431~150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효숙(尹孝肅)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글씨에 능하였으며, 윤근수(尹根壽)ㆍ유희춘(柳希春)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윤효전(尹孝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윤휴(尹鑴)의 아버지. 민순(閔純)ㆍ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서경덕(徐敬德)을 존숭하여 《화담집(花潭集)》 간행에 참여하고, 계축화옥(癸丑禍獄)에 가담하여 익사공신(翼社功臣)에 책록됨.
1563~161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효정(尹孝貞)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해남(海南). 윤경(尹耕)의 아들로, 1501년(연산군 7)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와 갑자사화(甲子士禍) 이후로 숨어 살며 ‘어초은자(漁樵隱者)’라 자호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유학
-
윤훤(尹暄)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윤두수(尹斗壽)의 넷째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정묘호란 때 부체찰사(副體察使)로 적과 싸우다 안주(安州)와 평양(平壤) 일대를 빼앗긴 죄로 체포되어 강화도(江華島)에서 효수됨.
1573~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윤훤(尹萱)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해평(海平). 영의정(領議政) 윤은보(尹殷輔)와 이조 참판(吏曹參判) 윤은필(尹殷弼)의 아버지. 군기시 첨정(軍器寺僉正) 등을 지내고,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무신
-
윤휘(尹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두수(尹斗壽)의 셋째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의 특명전권대사(特命全權大使)로 청(淸) 나라와의 강화조약을 체결하는 등, 청 나라와의 외교를 전담함.
1571~164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윤휴(尹鑴)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주자(朱子)의 학설과 사상을 비판ㆍ반성하는 독자적 학문체계를 수립하고, 기해예송(己亥禮訟) 때 참최설(斬衰說)을 주장하여 서인(西人)과 대립함. 경신출척(庚申黜陟) 때 유배되었다가 사사(賜死)됨.
1617~168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윤흔(尹昕)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윤두수(尹斗壽)의 둘째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이괄(李适)의 난(亂)ㆍ정묘호란(丁卯胡亂)ㆍ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을 호종하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64~163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윤흠중(尹欽中)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해남(海南). 윤복(尹復)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벼슬하지 않고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유학
-
윤흥(尹興)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해평(海平).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노인을 우대하는 은전(恩典)을 입어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윤흥례(尹興禮)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임(尹任)의 셋째 아들로, 감역(監役) 등을 지내고,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사사됨.
?~154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흥의(尹興義)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윤임(尹任)의 둘째 아들로, 1543년(중종 3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아버지와 삼형제가 모두 사사됨.
?~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윤흥인(尹興仁)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임(尹任)의 첫째 아들이며, 안세형(安世亨)의 사위.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지냈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사사됨.
?~154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무신
-
윤흥종(尹興宗)
조선 전기의 유학.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이정형(李廷馨)의 《지퇴당집(知退堂集)》에 옷감을 보내 준 그에게 사례하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윤희(尹喜)
중국 주(周) 나라의 대부(大夫). 함곡관 윤(函谷關尹)을 지낼 때 서역(西域)으로 가던 노자(老子)가 함곡관(函谷關)을 지나가자 제자(弟子)의 예를 갖추고 《도덕경(道德經)》 오천언(五千言)을 받았다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윤희(尹熺)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경승부윤(敬承府尹) 윤규(尹珪)의 아들이며, 중부 참봉(中部參奉) 윤귀몽(尹龜蒙)의 아버지로, 선공감 직장(繕工監直長)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희길(尹希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항(尹沆)의 아들로,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내고, 이이(李珥)ㆍ고경명(高敬命) 등과 도의(道義)로 교유함.
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희렴(尹希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공조 판서(工曹判書) 윤국형(尹國馨)의 아버지로, 경산 현령(慶山縣令) 등을 지내고, 좌승지(左承旨)ㆍ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됨. 학행(學行)으로 이름이 남.
1517~157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희림(尹希琳)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해평(海平). 군자감 정(軍資監正) 윤변(尹忭)의 아버지로, 부사용(副司勇) 등을 지내고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무신
-
윤희성(尹希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당한 사림(士林)의 억울함을 상소하여 조광조의 관작을 회복시킴. 사헌부 지평(司憲府持評)ㆍ이조 정랑(吏曹正郞) 등을 지냄.
?~154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희이(尹希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파평군(坡平君) 윤곤(尹坤)의 아들이며, 윤신(尹信)의 아버지로, 공정고사(供正庫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희인(尹希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준정(尹俊丁)의 아들로, 남곤(南袞)ㆍ심정(沈貞) 등과 함께 조광조(趙光祖)를 비롯한 사림파의 신진세력을 배척하였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함.
1465~153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희제(尹希齊)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파평군(坡平君) 윤곤(尹坤)의 아들이며, 광주 목사(廣州牧使) 윤은(尹垠)의 아버지. 한성부 판사(漢城府判事) 등을 지내고, 찬성(贊成)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희주(尹希周)
조선 전기의 유학. 십성당(十省堂) 엄흔(嚴昕)과 같이 자란 동갑내기 죽마고우(竹馬故友).
15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윤희평(尹熙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윤길생(尹吉生)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삼포왜란(三浦倭亂) 때 왜적 토벌에 활약하였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69~154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율(律)
불교 용어로 불가(佛家)의 제자들이 지켜야 할 계율(戒律). 부처에게 기도(祈禱)하여 불력(佛力)으로 원적(怨敵)과 악마(惡魔)를 제어하는 것.
사상>이론>교리
-
율곡전서(栗谷全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이(李珥)의 시문집을 집대성한 책. 44권 23책. 목판본. 1611년(광해군 3) 제자 박여룡(朴汝龍) 등에 의해 원집(原集)이 간행된 것을 시초로 하여, 그후 여러 차례 증보ㆍ간행되다가, 1814년(순조 14) 완간됨.
161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문헌>서명
-
율려신서(律呂新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채원정(蔡元定)이 저술한 악서(樂書). 2권. 중국의 대표적인 악률서(樂律書)의 하나로, 상권(上卷)은 율려본원(律呂本源) 총 13편이고, 하권(下卷)은 율려변증(律呂辨證) 총 10편임.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율려신서직해(律呂新書直解)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한방기(韓邦奇)의 저서.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율옹유고(栗翁遺稿)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학자인 송징(宋徵)의 시문집. 1책. 목판본. 1826년(순조 26)에 후손 송재일(宋在一)ㆍ송이신(宋以新) 등에 의해 편집ㆍ간행됨. 송치규(宋穉圭)의 서문과 이헌승(李憲承)의 발문이 실려 있음.
1826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율정난고(栗亭亂稾)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권절(權節)이 지은 시문집. 이이(李珥)가 지어준 서문(序文)이 《율곡전서(栗谷全書)》에 실려 있고, 책은 현존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율현(栗峴)
전라도 장수(長水)에 있는 고개 이름.
전라도>장수 , 지명>자연지명
-
융중산(隆中山)
중국 호북성(湖北省) 양양현(襄陽縣)의 서쪽에 있는 산 이름. 촉한(蜀漢) 때의 재상인 제갈량(諸葛亮)이 전란을 피하여 이곳에 초막을 짓고 은거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은(殷)
중국 고대의 왕조(王朝). 시조는 탕왕(湯王)이며 주왕(紂王)의 폭정으로 주(周) 나라 무왕(武王)에게 멸망당함. 수도의 이름을 따라 상(商)이라고도 하며, 은허(殷墟)의 발굴로 인해 중국 최초의 역사적 왕조로 인정됨.
B.C.1600~B.C.1046 중국>은 , 중국 , 시간>국명
-
은계(隱溪)
고려 후기의 승려. 삼봉(三峰) 정도전(鄭道傳)ㆍ목은(牧隱) 이색(李穡) 등과 교유하였으며, 《삼봉집(三峰集)》과 《목은고(牧隱稿)》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은봉전서(隱峯全書)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안방준(安邦俊)의 시문집. 40권 20책. 목활자본. 1773년(영조 49) 5대손 안창현(安昌賢)에 의해 《우산선생집(牛山先生集)》으로 간행되고, 1864년 원집을 증보시켜 중간함.
177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문헌>서명
-
은선(殷羨)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성품이 탐욕스럽고 잔인하였으며, 예장 태수(豫章太守)로 옮겨 갈 때 서울 사람들이 부친 백여 통의 편지를 모두 물에 던져버렸다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은선폭포(隱仙瀑布)
충청남도 공주(公州) 계룡산(鷄龍山)에 있는 폭포. 신선이 숨어 살던 곳이라 한 데서 유래됨. 계룡산에 있는 폭포 가운데 가장 크며, 이곳의 운무는 계룡8경(鷄龍八景) 중 제7경으로 지정되어 있음.
충청도>공주 , 지명>자연지명
-
은아(銀娥)
조선 전기의 열녀. 종실(宗室)의 첩으로 들어가 정절(貞節)을 지킨 여인으로 송익필(宋翼弼)이 그녀의 뜻을 기려 〈은아전(銀娥傳)〉을 지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열녀
-
은아전(銀娥傳)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송익필(宋翼弼)이 종실(宗室)의 첩으로 정절(貞節)을 지킨 은아(銀娥)에 대해 지은 전(傳). 성혼(成渾)이 지은 전에 글을 더 보충하여 개작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작품명
-
은유(殷侑)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예학(禮學)에 능통하여 태상박사(太常博士)에 발탁되었으며, 충무군 절도사(忠武軍節度使) 등을 역임함. 한유(韓愈)는 〈송은원외서(送殷員外序)〉에서 대장부의 경중(輕重)을 안다고 평가함.
767~838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은율(殷栗)
황해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해안에 위치하여 소금이 많이 생산됨.
황해도>은율 , 지명>행정지명
-
은정화(殷鼎和)
조선 숙종(肅宗) 때의 유학. 본관은 행주(幸州). 관곡(寬谷) 최서림(崔瑞琳)의 문인(門人)으로, 시문(詩文)에 능하였으며, 효성이 지극하였음.
1650~172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유학
-
은주(殷周)
중국 고대 왕조(王朝)인 은(殷) 나라와 주(周) 나라를 함께 부르는 말. 요순(堯舜)의 시대를 이어받은 이상적인 정치시대를 말함. 혹은 걸(桀)을 멸한 은 나라의 탕(湯)과 주(紂)를 멸한 주 나라의 무왕(武王)이 중국의 질서를 바로 잡았기 때문에 폭군ㆍ폭정을 제거한 사람을 말하기도 함.
B.C.1600~B.C.771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은진(恩津)
충청도 남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 금강유역에 있어 물자운송이 편리하여 농산물의 집산지이며, 강경산(江景山)․황화산(皇華山)에는 봉수(烽燧)가 있음. 현재는 충청남도 논산시(論山市)에 속함.
충청도>은진 , 지명>행정지명
-
은진송씨(恩津宋氏)
고려 때 판원사(判院事)를 지내고 은진군(恩津君)에 봉해진 송대원(宋大原)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집단>성씨
-
은진임씨(恩津林氏)
중국 당(唐) 나라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로 동래(東來)한 임팔급(林八及)을 도시조(都始祖)로 삼고, 고려 말 태상박사(太常博士)를 지낸 임성근(林成槿)을 일세조(一世祖)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집단>성씨
-
은천상(殷天祥)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道士). 환술(幻術)을 이용하여 제철이 아닌 때에 학림사(鶴林寺)의 두견화(杜鵑花)를 피게 하였다 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은풍(殷豊)
경상북도 예천(醴泉) 일대에 속하는 옛 고을 이름.
경상도>예천 , 지명>행정지명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은행(銀杏)
한국ㆍ중국ㆍ일본에만 분포하는 나무로, 씨가 살구처럼 생기고 은빛이 난다 하여 붙여진 이름. 유학(儒學)의 전래와 관계가 깊으며 유학을 상징함.
자연물>식물
-
은호(殷浩)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무신. 중원장군(中原將軍)이 되었을 때 북벌(北伐)에 번번이 실패하여 벗인 환온(桓溫)의 상소로 인해 축출되자, 하루종일 허공에 ‘돌돌괴사(咄咄怪事)’ 네 글자만 썼다는 고사로 유명함
?~35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을묘왜변(乙卯倭變)
조선 명종(明宗) 때 왜구(倭寇)가 전라남도 영암(靈岩)ㆍ강진(康津)ㆍ진도(珍島) 일대에 침입한 사건. 비변사(備邊司)가 상설기관으로서 위치를 굳히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됨.
155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도ㅣ전라도>영암ㅣ전라도>강진 , 사건>전쟁
-
을사(乙巳)
육십갑자(六十甲子)의 마흔 두 번째 간지(干支). 을사해에 일어난 일에 관련하여 을사사화(乙巳士禍)ㆍ을사오적(乙巳五賊) 등의 말이 파생함.
시간>간지
-
을사록(乙巳錄)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안홍(安鴻)의 저서.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을사사화(乙巳士禍)
조선 명종(明宗) 즉위년(1545)에 소윤(小尹)이 대윤(大尹)을 몰아내는 과정에서 사림(士林)이 화를 당한 사건. 외척(外戚) 간의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발생함.
1545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을사전문록(乙巳傳聞錄)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이중열(李中悅)의 편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화를 당한 90여 인의 전기를 모아 엮었으며, 《대동야승(大東野乘)》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음갱(陰鏗)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진(陳) 나라의 문신ㆍ시인. 양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진 나라에 들어가 원외 산기상시(員外散騎常侍) 등을 지냄. 시(詩)에 뛰어나 하손(何遜)과 함께 ‘하음(何陰)’으로 불리기도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음성(陰城)
충청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북쪽으로는 충주(忠州), 남쪽으로는 괴산(槐山)ㆍ청안(淸安), 서쪽으로는 진천(鎭川)에 접해 있음.
충청도>음성 , 지명>행정지명
-
음애집(陰崖集)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자(李耔)의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후손 이도흥(李道興)과 이이장(李彝章)이 수집ㆍ편찬하여 1754년(영조 30)에 간행함. 김재로(金在魯)의 서문과 권만(權萬)의 발문이 실려 있음.
175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음유우(陰幼遇)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 송 나라가 멸망하자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 매진하여 《운부군옥(韻府群玉)》등의 저서를 남김.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음장생(陰長生)
중국 후한(後漢) 때의 도사. 화제음황후(和帝陰皇后)의 증조. 마명생(馬明生)의 제자로, 그에게 《태청신단경(太淸神丹經)》을 전수받고, 청성산(靑城山)에서 수도하여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음죽(陰竹)
경기도 동남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기도 내륙지방의 교통요지로서 도로가 발달하였고, 천민천(天民川) 유역은 기름진 평야로 쌀이 많이 생산됨. 현재는 경기도 이천시(利川市)에 편입됨.
경기도>음죽 , 지명>행정지명
-
읍청정(挹淸亭)
황해도 해주(海州)에 있는 정자 이름. 해주 사람 허희(許曦)가 지은 정자로 허정(許亭)이라 부르기도 함.
황해도>해주 , 유적>건물>누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