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읍취헌유고(挹翠軒遺稿)
조선 연산군 때의 시인ㆍ학자인 박은(朴誾)의 시문집(詩文集). 1514년(중종 9)에 친구인 이행(李荇)이 유고(遺稿)를 수집하여 초간(初刊)함.
1514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응거(應璩)
중국 삼국시대 위(魏) 문제(文帝) 때의 문신ㆍ문인. 시중(侍中) 등을 지냄. 형 응창(應瑒)과 함께 문장이 뛰어나고 특히 풍자에 능함.
191~25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응석사(凝石寺)
경상도 영천(榮川)에 있는 사찰. 박승임(朴承任)과 문하생들이 응석사(凝石寺)를 유람하면서 지은 시를 〈응석사창수록(凝石寺唱酬錄)〉이라 하는데 《소고집(嘯皐集)》에 실려 있음.
경상도>영천(榮川) , 유적>건물>사찰
-
응수(應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노비. 홍성민(洪聖民) 집안의 노비로, 《졸옹집(拙翁集)》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기타인명>노비
-
응정(應貞)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문인. 응거(應璩)의 아들로, 문장으로 이름이 났으며, 참상국군사(慘相國軍事)를 지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응제시주(應製詩註)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인 권람(權攬)의 저서. 1권 1책. 목판본. 할아버지 권근(權近)이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의 명으로 지은 〈응제시(應製詩)〉와 명 태조가 권근에게 하사한 〈어제시(御製詩)〉에 주석을 붙임.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응창(應瑒)
중국 후한(後漢)~삼국시대 위(魏) 나라 문제(文帝) 때의 문신ㆍ문인. 후한(後漢) 건안칠자(建安七子)의 한 사람으로, 동생 응거(應璩)와 함께 문장이 뛰어나고, 유정(劉楨)과 함께 ‘응유(應劉)’로 불림.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응휘겸(應撝謙)
중국 청(淸) 나라 성조(聖祖) 때의 학자. 1679년(성조 18)에 조정의 부름을 받았지만 출사하지 않았고, 성리학(性理學)에 대해 깊이 연구하여 《성리대중(性理大中)》ㆍ《대청일통지(大淸一統志)》 등을 저술함.
1615~1683 중국>청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의^연(儀^衍)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의 재상인 장의(張儀)와 공손연(公孫衍)을 함께 부르는 말. 여러 제후국을 유세(遊說)하며 돌아다녔는데, 맹자(孟子)가 이 두 사람을 대장부(大丈夫)라 칭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의경(義瓊)
조선 전기의 승려. 송인(宋寅)이 준 시가 《이암유고(頤庵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의곡집(義谷集)
고려 후기의 문신인 이방직(李邦直)의 문집.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의돈(猗頓)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때의 부자(富者). 월(越) 나라 구천(句踐)의 신하인 범려(范蠡)에게 상술(商術)을 배운 뒤 의(猗) 지방에서 목축업으로 거부(巨富)가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의려집(醫閭集)
중국 명(明) 나라 학자 하흠(賀欽)이 성화(成化) 연간에 벼슬을 그만두고 의무려산(醫無閭山) 아래에 퇴거하여 학문을 연구하면서 지은 책.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의령(宜寧)
경상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는 함안(咸安), 서쪽으로는 삼가(三嘉)에 접해 있음.
경상도>의령 , 지명>행정지명
-
의령남씨(宜寧南氏)
중국 당(唐) 나라 사람으로 신라에 귀화한 남민(南敏)을 시조로 삼고,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의령군(宜寧君)에 봉해진 남군보(南君甫)를 일세조(一世祖)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집단>성씨
-
의례(儀禮)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 13경(經) 중의 하나이며, 《주례(周禮)》ㆍ《예기(禮記)》와 함께 삼례(三禮)로 불림. 관혼상제(冠婚喪祭)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의례경전통해(儀禮經傳通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주희(朱熹)가 지은 의례에 관한 책. 37권. 《의례(儀禮)》를 경(經)으로 삼아, 여러 책에서 예(禮)에 관한 내용을 뽑아 덧붙이고 주소(注疏)함. 책을 완성하지 못하고 죽어서 문인 황간(黃榦) 등이 산개(删改)하지 않고 그대로 간행함.
1200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의례경전통해속(儀禮經傳通解續)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황간(黃榦)ㆍ양복(楊復)이 지은 의례에 관한 책. 29권. 주희(朱熹)가 지은 《의례경전통해(儀禮經傳通解)》의 속편으로, 《의례(儀禮)》를 경(經)으로 삼아, 여러 책에서 예(禮)에 관한 내용을 뽑아 덧붙여 주소(注疏)하고 도식(圖式)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의례고증(疑禮攷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인 신식(申湜)의 저서.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의례도(儀禮圖)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양복(楊復)이 《의례》를 배우면서 황간(黃榦)과 함께 지은 저서. 17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의례문해(疑禮問解)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ㆍ문신인 김장생(金長生)이 문인ㆍ친구들과 나눈 예(禮)에 관한 문답을 적은 예서(禮書). 4권 4책. 목판본. 1646년(인조 24) 아들 김집(金集)에 의해 간행됨.
1646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의림촬요(醫林撮要)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의관(醫官)인 양예수(楊禮壽)가 박세거(朴世擧)ㆍ손사명(孫士銘) 등과 함께 편찬한 의서(醫書). 13권 13책. 활자본. 정경선(鄭敬先)이 찬하고, 양예수가 교정한 것이라는 다른 견해도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의무려동(醫巫閭洞)
중국 요령성(遼寧省) 의무려산(醫巫閭山) 아래에 있는 신당인 북진묘(北鎭廟) 부근에 있는 골짜기.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의무려산(醫巫閭山)
중국 요령성(遼寧省)에 있는 산 이름. 순(舜) 임금이 십이산(十二山)을 봉할 때에 유주(幽州)의 진산(鎭山)으로 삼았고, 산세(山勢)가 6리를 덮으므로 육산(六山)이라고도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의방유취(醫方類聚)
조선 세종(世宗) 때 왕명으로 편찬된 의학사전.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ㆍ《동의보감(東醫寶鑑)》과 함께 조선시대 3대 의서(醫書)로 꼽힘.
14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의비(懿妃)
고려 제26대 충선왕(忠宣王)의 제2비. 원(元) 나라 사람이며, 제27대 충숙왕(忠肅王)의 어머니.
?~1316 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의상(義湘)
신라 진평왕(眞平王)~성덕왕(聖德王) 때의 승려. 우리나라 화엄종(華嚴宗)의 개조(開祖). 중국 승려 지엄(智儼)의 제자이며, 제자들을 육성하고 사찰을 건립하는 등 실천수행을 근본으로 하여 화엄의 선양에 전념함. 대표작으로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가 있음.
625~702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승려
-
의상대(義湘臺)
통일신라 문무왕(文武王) 때 강원도 양양(襄陽)에 건립한 누대 이름. 의상(義湘)이 낙산사(洛山寺)를 창건할 당시 좌선(坐禪)하던 곳에 세웠다 함. 지금의 건물은 1925년에 건립됨.
676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양양 , 유적>건물>누정
-
의상인(宜上人)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승려.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그의 시집에 써 준 서문(序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의선(義旋)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조인규(趙仁規)의 아들로, 무외국사(無畏國師)에게 법(法)을 받고 원(元) 나라에 건너가 천원(天源) 연성사(延聖寺)의 주지로 있으면서, 본국 영원사(瑩原寺)의 주지를 겸함.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종교인>승려
-
의성(義城)
경상북도 중앙에 동서로 길게 위치한 고을 이름. 지금의 고을은 옛 의성(義城)과 옛 비안(比安)이 합해 이루어진 것으로, 옛 의성은 현재 의성군의 동부에 해당함.
경상도>의성 , 지명>행정지명
-
의성김씨(義城金氏)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아들이자 고려 태조(太祖)의 외손으로 의성군(義城君)에 봉해진 김석(金錫)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집단>성씨
-
의성왕후(義成王后)
신라 제53대 신덕왕(神德王)의 비. 성은 김(金). 헌강왕(憲康王)의 딸이며, 경명왕(景明王)ㆍ경애왕(景哀王)의 어머니.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왕비
-
의숙공주(懿淑公主)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딸.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소생으로, 영의정(領議政) 정인지(鄭麟趾)의 아들 정현조(鄭顯祖)와 혼인함.
?~147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의순관(義順館)
조선시대에 중국의 사신(使臣)을 접대하기 위해 평안도 의주(義州)에 설치한 관사(館舍). 원래는 망화루(望華樓)가 있었는데, 세조(世祖) 때 누(樓)를 헐고 관사를 세움.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의주 , 유적>건물>관사
-
의안대군(宜安大君)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여덟째 아들. 신덕왕후(神德王后) 강씨(康氏)의 소생으로, 배극렴(裵克廉)ㆍ조준(趙浚)ㆍ정도전(鄭道傳) 등의 요청으로 세자(世子)로 책봉되었으나,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피살됨.
1382~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의안대군(義安大君)
조선 태조(太祖)의 이복동생. 태조를 도와 조선 건국에 공을 세우는 등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태종(太宗) 때 외척인 민무구(閔無咎)ㆍ민무질(閔無疾) 형제의 처벌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림.
1348~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의암서원(義巖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담양(潭陽)에 건립한 서원. 1668년(현종 9) 사액되었으며, 유희춘(柳希春)을 배향함.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서원 철폐령으로 없어짐.
160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유적>건물>서원,향교
-
의연(義衍)
조선 선조(宣祖) 때의 승려. 정여립(鄭汝立)의 모사(謀士)로 도사 지함두(池涵斗) 등과 함께 기축옥사(己丑獄死)를 일으킴.
?~15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운봉 , 인명>종교인>승려
-
의열사(義烈祠)@부여
조선 선조(宣祖) 때 홍가신(洪可臣)이 충청도 부여(扶餘)에 세운 사당. 성충(成忠)ㆍ흥수(興首)ㆍ계백(階伯) 등을 배향함.
157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 , 유적>건물>사당
-
의열사(義烈祠)@광산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광산(光山)에 건립한 사우. 1681년(숙종 7) 사액되었으며, 박광옥(朴光玉)ㆍ김덕령(金德齡)ㆍ오두인(吳斗寅)ㆍ김덕홍(金德弘)ㆍ김덕보(金德普) 등을 배향함.
160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유적>건물>사당
-
의왕(懿王)
중국 주(周) 나라의 제7대 왕. 재위 B.C.899~B.C.892. 공왕(共王)의 아들로, 호(鎬)에서 견구(犬口)로 도읍을 옮겼으나, 거듭된 융적(戎狄)의 침략으로 주 왕조가 쇠퇴하기 시작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의인(宜仁)
경상도 안동(安東) 일대에 있던 고려 말기의 옛 고을 이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안 , 지명>행정지명
-
의인왕후(懿仁王后)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비. 본관은 반남(潘南). 반성부원군(潘城府院君) 박응순(朴應順)의 딸로, 1569년(선조 2) 왕비에 책봉됨.
1555~16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의자왕(義慈王)
백제 제31대 왕. 재위 641~660. 무왕(武王)의 맏아들로, 일찍이 효성과 우애가 깊어 '해동증자(海東曾子)‘라 일컬어졌으나, 성충(成忠) 등 충신을 죽이고, 신라(新羅)와 잦은 군사대립으로 국력을 소모한 나머지 나당(羅唐) 연합군에 의해 패망함.
한국>백제 , 충청도>부여 , 인명>왕실>국왕
-
의적(儀狄)
중국 하(夏) 나라 때 처음 술을 만든 사람.
중국>하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의제(義帝)
중국 초(楚) 나라 황제. 초 회왕(懷王) 웅괴(熊槐)의 손자. 항우(項羽)에 의해 황제로 세워졌으나, 항우의 밀명(密命)을 받은 영포(英布)에게 침강(郴江)에서 살해됨.
?~B.C.205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의종(懿宗)
중국 당(唐) 나라 제17대 황제. 재위 860~873. 선종(宣宗)의 맏아들로, 즉위 후 주색(酒色)에 빠져 정사를 게을리 하고 충간(忠諫)하는 신하를 멀리하며, 불사(佛事)에 재정을 탕진하는 등 방탕하고 무능하였음.
833~873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의종(毅宗)@고려
고려 제18대 왕. 재위 1146~1170. 인종(仁宗)의 맏아들로, 무신들을 천대하다가 정중부(鄭仲夫)ㆍ이의방(李義方) 등에게 폐위당함. 김보당(金甫當)의 복위운동 실패 후 이의민(李義旼)에게 살해됨.
1127~117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의종(毅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7대 황제. 재위 1628~1644. 광종(光宗)의 다섯째 아들로, 서광계(徐光啓)를 기용하여 재정을 바로잡으려 하였지만 신하들의 파벌당쟁으로 인해 실패하였으며, 이자성(李自成)이 이끄는 반란군에 수도가 함락되자 자살함.
1610~1644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의종실록(毅宗實錄)
고려 제18대 의종(毅宗) 재위기간(1147~1170)의 일을 기록한 역사서. 1186년(명종 16)경 문극겸(文克謙)ㆍ최세보(崔世輔) 등에 의해 편찬됨.
118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문헌>서명
-
의주(義州)
평안북도 북서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북서쪽으로 압록강(鴨綠江)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경계를 이루고 있음. 993년(성종 12) 서희(徐熙)의 활약으로 고려에 편입된 강동6주(江東六州)의 하나.
평안도>의주 , 지명>행정지명
-
의주성(義州城)
평안도 의주(義州)에 위치한 성곽. 1520년(중종 15) 확장 개축하고, 국경 방비와 중국 사신을 접견하는 장소로 알려짐.
평안도>의주 , 유적>시설>성,진,책
-
의창군(義昌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세 번째 서자. 신빈김씨(愼嬪金氏)의 소생으로, 단종복위운동(端宗復位運動)에 연루되어 지리산(智異山)으로 피신하여 떠돌다가 병을 얻어 젊은 나이에 죽음.
1428~146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의천(義天)@고려
고려 문종(文宗)~숙종(肅宗) 때의 승려. 문종의 넷째 아들로 태어나 출가함. 송(宋) 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와 해동 천태종(海東天台宗)을 개창함. 흥왕사(興王寺)의 주지가 되어 교장도감(敎藏都監)을 세웠으며, 《교장(敎藏)》 등을 간행함.
1055~110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왕실>왕자
-
의천(義天)@조선
조선시대의 승려. 시(詩)와 초서(草書)에 능하였으며, 휴정(休靜)ㆍ유정(惟政)과 교유함.
한국>조선시대 , 인명>종교인>승려
-
의침(義砧)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승려. 시승(詩僧)으로 두보(杜甫)의 시에 정통하였으며, 조위(曺偉)ㆍ유윤겸(柳允謙) 등과 함께 《분류두공부시(分類杜工部詩)》를 언해하여 편찬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
-
의평군(義平君)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첫 번째 서자. 숙의지씨(淑儀池氏)의 소생으로, 금천 감무(衿川監務) 최치숭(崔致崇)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의행로난(擬行路難)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시인인 포조(鮑照)가 지은 7언 고시. 총 18수로 불우한 자신의 분노를 묘사하였으며 전쟁을 제재로 한 시가 많음. 후에 당대(唐代) 근체시의 발흥에 기여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의현(義玄)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임제종(臨濟宗)의 개조(開祖)로, 희운(希運)에게 법을 이어받았으며, 삼해탈문(三解脫門)을 내세워 문도들을 책려하였고, 중국 선종(禪宗) 가운데서 법손(法孫)이 가장 번창함.
?~867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의현사(義峴祠)
1982년에 대구시(大邱市) 북구(北區) 검단(檢丹)에 건립한 사당. 채귀하(蔡貴河)를 배향함.
1982 한국>근대 , 경상도>대구 , 유적>건물>사당
-
의혜공주(懿惠公主)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둘째 딸.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소생으로, 영의정(領議政) 한승권(韓承權)의 아들인 청원위(淸原尉) 한경록(韓景祿)과 혼인함.
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의혜왕후(懿惠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어머니. 본관은 영흥(永興). 최한기(崔漢奇)의 딸로, 태조가 등극한 후 의비(懿妃)에 봉해지고, 태종(太宗) 때 의혜왕후로 추봉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 , 인명>왕실>왕비
-
의화(醫和)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명의(名醫). 의술(醫術)에 능통하여 흔히 편작(扁鵲)과 더불어 병칭되며, 진(晋) 나라 평공(平公)이 성병을 앓자 초빙되어 병의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였으므로, 조맹(趙孟)으로부터 ‘양의(良醫)’라는 칭송을 들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의흥(義興)
경상도 북쪽 중앙에 위치한 고을 이름. 현재의 경상북도 군위군(軍威郡)에 해당함.
경상도>의흥 , 지명>행정지명
-
이^곽(伊^霍)
중국 은(殷) 나라의 재상 이윤(伊尹)과 전한(前漢)의 장군 곽광(霍光)을 함께 부르는 말. 이윤은 태갑(太甲)을 동궁(桐宮)에 내쳐 악행을 바로잡고, 곽광은 창읍왕(昌邑王)을 폐하고 선제(宣帝)를 세운 데서, 무도한 임금을 내친 대표적인 인물을 가리킴.
중국>전한ㅣ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곽(李^郭)
중국 후한(後漢)의 대신인 이응(李膺)과 학자인 곽태(郭泰)를 함께 부르는 말. 인품이 고결한 명사(名士)를 가리킴.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두(李^杜)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영제(靈帝) 때의 문신인 이응(李膺)과 두밀(杜密)을 함께 부르는 말. 팔준(八俊)에 속하는 명신(名臣)으로 명망이 높았으나 당고지화(黨錮之禍)로 희생됨.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두^한^백(李^杜^韓^白)
중국 당(唐) 나라의 문인인 이백(李白)ㆍ두보(杜甫)ㆍ한유(韓愈)ㆍ백거이(白居易)를 함께 부르는 말. 당대(唐代)의 ‘팔대가(八大家)’에 속하는 인물들로, 시문(詩文)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소(李^蘇)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이백(李白)과 송(宋) 나라의 시인인 소식(蘇軾)을 함께 부르는 말.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에 속하는 인물들로, 시(詩)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송ㅣ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안(伊^顔)
중국 은(殷) 나라의 재상 이윤(伊尹)과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현인 안회(顔回)를 함께 부르는 말. 훌륭한 현인(賢人)을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ㅣ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여(尼^輿)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성인(聖人) 공자(孔子)와 초(楚) 나라의 광인(狂人) 접여(接輿)를 함께 부르는 말. 《논어(論語)》 〈미자(微子)〉에 두 사람의 문답이 보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윤(夷^尹)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인 백이(伯夷)와 재상인 이윤(伊尹)을 함께 부르는 말. 유교에서 성인(聖人)을 가리킴. 《맹자(孟子)》 〈만장(萬章)〉에, “백이는 성인으로서 청렴한 자이고, 이윤은 성인으로서 사명감이 투철한 자이다.”라고 함.
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제(夷^齊)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인 백이(伯夷)와 숙제(叔齊)를 함께 부르는 말. 은 나라 주왕(紂王)을 치려는 주(周) 나라 무왕(武王)을 만류하다 실패하자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굶어 죽은 고사로 인해, 청렴하고 절개가 굳은 사람을 가리킴.
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주(伊^周)
중국 은(殷) 나라의 재상인 이윤(伊尹)과 주(周) 나라의 종친인 주공(周公)을 함께 부르는 말. 이윤은 방탕한 태갑(太甲)을 추방하여 깨우치게 하고 주공은 어린 성왕(成王)을 도와 섭정(攝政)한 고사로 인해, 충신(忠臣)을 가리킴.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협(伊^峽)
강원도 이천(伊川)과 안협(安峽)을 함께 부르는 말. 서로 연접해 있으며, 길이 좁음.
강원도>이천 , 지명>기타지명
-
이^혜(夷^惠)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인 백이(伯夷)와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인 유하혜(柳下惠)를 함께 부르는 말. 유교에서 성인(聖人)을 가리킴.
중국>은ㅣ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가서법(二家書法)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예가인 김희수(金希壽)와 아들 김로(金魯)의 필적을 모각(摹刻) 탁본한 책. 1책. 목판본. 김희수의 글씨로 된 계주문(戒酒文) 등 3건과 김로의 글씨로 된 동국송(東國頌) 1건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이가순(李家淳)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귀서(李龜書)의 아들로, 성균관(成均館)에서 수학할 때 정조의 특별한 총애를 받음. 교리(校理) 등을 지내며, 시폐(時弊)를 구제하는 데 힘씀.
1768~184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가신(李可臣)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량(李亮)의 아들로, 1504년(연산군 10)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각(李恪)
조선 전기의 문인.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문인으로, 《미암집(眉巖集)》 〈일기(日記)〉에 유희춘(柳希春)을 방문한 내용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문인
-
이각(李殼)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선(李墠)의 아버지로, 1516년(중종 1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영월 군수(寧越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이각(李覺)
중국 송(宋) 나라의 서화가. 글씨와 거문고에 능하였으며, 특히 산수화(山水畫)에 뛰어났음.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이간(李侃)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庶子)인 익양군(益陽君)의 손자이며, 황양정(荒壤正) 이수린(李壽麟)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간(李衎)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서화가. 절강행성평장정사(浙江行省平章政事) 등을 지내고, 대나무ㆍ돌ㆍ나무 등을 잘 그려 당대에 이름을 떨침.
1245~1320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이간(李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풍덕 군수(豐德郡守) 이광윤(李光胤)의 아들로, 온양 군수(溫陽郡守)ㆍ첨지(僉知) 등을 지냄.
1527~159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감(李堪)@이강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성종(成宗)의 아들인 회산군(檜山君) 이염(李恬)의 증손이며, 의성부정(義城副正) 이강(李鋼)의 맏아들.
15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감(李堪)@이길안의아들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종친. 본관은 경주(慶州). 이길안(李吉安)의 아들로, 전주 부윤(全州府尹) 등을 지내고, 이륙(李陸)ㆍ홍귀달(洪貴達)ㆍ성현(成俔)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종친
-
이감(李戡)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우계(羽溪)로, 참판(參判) 이광식(李光軾)의 아들. 윤원형(尹元衡)ㆍ이량(李樑) 등과 결탁하여 기대승(奇大升)ㆍ허엽(許曄) 등 사림(士林)을 공격하는 데 가담하였으며,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이감(李敢)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밀양 도호부사(密陽都護府使) 등을 지냈으며,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그에 대한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이감(李瑊)@이집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희안수(喜安守) 이집(李輯)의 아들이며, 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 이성중(李誠中)ㆍ예조 정랑(禮曹正郞) 이경중(李敬中)ㆍ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이양중(李養中)의 아버지.
1515~155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감(李瑊)@이계손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넷째 서자인 선성군(宣城君) 이무생(李茂生)의 증손이며, 풍무령(豊茂令) 이계손(李繼孫)의 아들.
?~154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감(李甘)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성품이 강직하여 시어사(侍御史)를 지낼 때 교활한 정주(鄭注)에게 재상 임명장이 내려지자 이것을 찢어버렸다가 죄를 얻어 좌천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감(李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남양도호부사(南陽都護府使) 이경충(李景忠)의 아들로, 1543년(중종 3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군수(郡守)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강(李岡)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암(李嵒)의 아들로, 죽은 후 관례를 깨고 특별히 시호를 받았으며, 이색(李穡)의 《목은집(牧隱集)》에 그의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1333~136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이강(李絳)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792년 당 나라 정원(貞元) 8년에 구양첨(歐陽詹)ㆍ한유(韓愈) 등과 함께 육지(陸贄)의 방(榜)에 합격하였는데, 당시 사람들에게 용호방(龍虎榜)이라는 칭호를 들음.
764~830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강(李綱)@이순언의아들
조선 중중(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음사(蔭仕)로 음죽 현감(陰竹縣監) 등을 지내고, 벼슬에서 물러난 후 김안국(金安國)과 내왕하며 은사(隱士)로서 여생을 보냄.
1479~152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이강(李綱)@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금(金) 나라와의 화친을 반대한 주전론자(主戰論者)로서 송 나라의 국력을 신장시키고자 노력하였으며, 금 나라 군대를 공격하다가 화친 조약을 어겼다는 죄목으로 파직당함.
1083~114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강(李鋼)@이수계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들인 회산군(檜山君) 이염(李恬)의 손자이며 계산군(桂山君) 이수계(李壽誡)의 둘째 아들. 또한 경력(經歷)을 지낸 한여필(韓汝弼)의 사위이며, 한백겸(韓百謙)의 고모부. 휴암(休菴) 백인걸(白仁傑)의 문하에서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강(李鋼)@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손자로, 이방석(李芳碩)의 계후(繼後)가 된 숙부 춘성군(春城君) 이당(李譡)의 후사를 이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