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개(李塏)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이계주(李季疇)의 아들.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등에 공헌하였으나, 단종(端宗)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처형됨으로써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이 됨.
1417~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이개(李漑)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도사(道士) 진단(陳摶)의 문인으로, 그로부터 당시의 삼보(三寶)인 하도 낙서(河圖洛書)ㆍ선천도(先天圖)ㆍ고역(古易)을 전해 받았다고 함. 한편으로는 충방(种放)에게 전수받았다고도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이개(李開)
통일신라 말~고려 초의 인물로 합천이씨(陜川李氏)의 시조. 신라 알천 양산촌(閼川楊山村)의 촌장 이알평(李謁平)의 후손으로, 신라 말에 강양군(江陽君)에 봉해짐. 고려 건국 후 가수 현장(嘉樹縣長)으로 강등되었다가, 뒤에 합천 호장(陜川戶長)을 지냄.
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아전
-
이개(李𧪚)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첫째 아들.
?~14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개립(李介立)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해(李𥩲)의 아들. 박승임(朴承任)ㆍ김성일(金誠一)의 문인으로, 효행(孝行)과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참봉(參奉)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군량을 조달함.
1546~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용궁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이개백(李介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전옥서 참봉(典獄署參奉)을 지냈으며, 효자로 이름남. 윤근수(尹根壽)의 《월정집(月汀集)》에 만시(晩時)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이거(李璖)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1536년(중종 31)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광주 목사(光州牧使)ㆍ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이거(李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으로, 이세순(李世純)의 아들. 허엽(許曄)의 문인으로, 경기 감사(京畿監司) 등을 지냈으며 윤인함(尹仁涵)ㆍ정탁(鄭琢) 등과 교유함.
1532~160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이거명(李居明)
통일신라 때의 문신. 경주이씨(慶州李氏)의 중시조. 진골(眞骨) 출신이며, 시조 이알평(李謁平)의 36세손으로, 소판(蘇判)에 오름.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거이(李居易)
고려 후기~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조선 개국 후 정사공신(定社功臣)ㆍ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으며, 아들 이저(李佇)와 이백강(李伯剛)이 각각 태조(太祖)와 태종의 부마가 되었음.
1348~141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이거인(李居仁)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 김저(金佇)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다시 등용되었으며, 조선 태조(太祖) 때 밀무역을 한 일과 타인의 가기(家基)를 탈취한 일로 파직됨.
?~140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이건(李健)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명군(景明君) 이침(李忱)의 손자이자 안남군(安南君) 이수련(李壽鍊)의 아들.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억울하게 죽은 봉성군(鳳城君) 이완(李岏)의 후사로 들어감.
1560~162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건(李建)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이며, 봉림수(鳳林守) 이수인(李守仁)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건(李楗)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이순전(李純全)의 아들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436~151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이건(李鍵)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의 두 번째 서자인 해안군(海安君) 이희(李㟓)의 여섯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건(李楗)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현손이자 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를 지낸 이대(李薱)의 셋째 아들이며, 이즙(李楫)ㆍ이백(李柏)의 아우이고, 이역(李櫟)ㆍ이노(李櫓)ㆍ이박(李樸)ㆍ이량(李樑)의 형. 통례원 우통례(通禮院右通禮)ㆍ예조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150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건명(李健命)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노론사대신(老論四大臣)의 한 사람으로, 경종 때 김창집(金昌集)ㆍ이이명(李頤命)ㆍ조태채(趙泰采)와 함께 연잉군(延礽君)의 왕세자 책봉에 진력하였으나, 신임사화(辛壬士禍)에 연루되어 유배지에서 사사됨.
1663~17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걸(李傑)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맏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격(李䛿)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격(李格)
조선 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서자인 한남군(漢南君) 이어(李𤥽)의 증손. 호천군(湖川君)의 아들로, 효자로 이름남.
154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격비(李格非)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예부 원외랑(禮部員外郞) 등을 역임하였고, 경학(經學)에 정통하고 사장(詞章)에 뛰어났으며, 저서에 《예기설(禮記說)》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견기(李堅基)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성절사(聖節使)ㆍ사은사(謝恩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냄.
1384~14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견손(李堅孫)@이서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증손이며 동양정(東陽正) 이서(李徐)의 아들로, 삼척 도호부사(三陟都護府使) 민영(閔寧)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견손(李堅孫)@이세진의아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세진(李世晉)의 아들로, 교관(敎官) 등을 지냄. 이해수(李海壽)의 《약포유고(藥圃遺稿)》에 그의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504~15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이결(李結)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지후(祗候) 등을 역임하였으며, 권근(權近)과 교유함. 권근의 《양촌집(陽村集)》에 그와 관련하여 지은 시가 여러 수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겸(李謙)@이제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아들이며, 이정(李靖)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겸(李謙)@이맹지의아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장령(掌令)으로서 유운(柳雲)ㆍ조광조(趙光祖) 등을 변호하는 극렬한 상소를 올렸다가 파직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이겸인(李兼仁)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양성(李養性)의 아들로, 단성 현감(丹城縣監) 등을 지냄. 외손 김구(金絿)가 지은 묘갈음기(墓碣陰記)가 《자암집(自菴集)》에 실려 있음.
1412~147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경(李儆)@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인주(仁州). 문하시중(門下侍中) 이장용(李藏用)의 아버지로, 추밀원사(樞密院使)를 지냄.
?~122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이경(李儆)@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들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다섯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경(李庚)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제용감 정(濟用監正) 이규(李逵)의 아버지로, 평산 부사(平山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이경(李慶)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낸 이계기(李啓基)의 아들로, 1498년(연산군 4) 식년시(式年試) 의과(醫科)에 급제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경(李熲)
조선 중종(中宗)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손자이며, 서산군(瑞山君) 이혜(李譓)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경(李璥)@조선후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이만영(李萬榮)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진주 목사(晉州牧使)로 있다가 병사함.
1538~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문신
-
이경(李璥)@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증손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무죄를 극력 간하여 남해(南海)로 유배되었다가 복직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경(李瓊)
고려 말~조선 초의 충신.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의 한 사람으로, 고려가 망하자 조선의 건국에 반대하며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끝까지 충성과 지조를 지킴.
133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
-
이경(李經)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교리(校理) 이수언(李粹彦)의 아들로, 장례원 사의(掌隷院司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경검(李景儉)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증손이며, 해풍군(海豊君) 이기(李耆)의 아들. 선조(宣祖) 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나, 계축화옥(癸丑禍獄)에 연루되어 무림군(茂林君) 이선윤(李善胤)과 함께 원지에 위리안치(圍籬安置)되었다가 적소에서 죽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이경기(李慶祺)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첨지(僉知) 이간(李幹)의 아들로, 요절함.
?~158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이경동(李瓊仝)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북정록(北征錄)》ㆍ《세조실록(世祖實錄)》 등의 편찬에 참여하고,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사홍(任士洪)의 횡포를 견제하고 유자광(柳子光)을 탄핵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경례(李鏡禮)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동원(東園) 김귀영(金貴榮)의 사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경부(二京賦)
중국 후한의 문신ㆍ문인인 장형(張衡)이 장안(長安)과 낙양(洛陽)의 사치한 풍속을 풍자한 부문(賦文). 《동경부(東京賦)》와 《서경부(西京賦)》의 합칭.
중국>후한 , 중국 , 문헌>작품명
-
이경생(李敬生)
조선 전기의 종친.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낸 최명창(崔命昌)의 장녀와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경석(李景奭)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이괄(李适)의 난과 병자호란 때 인조를 호종하고, 청(淸) 나라의 침략으로 인한 위기에서 국가를 구하는 데 큰 공을 세웠으며, 삼전도비(三田渡碑)의 비문을 씀.
1595~167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제천 , 인명>관인>문신
-
이경신(李敬身)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권(李勸)의 아들로, 봉사(奉事) 이매(李勱)에게 출계함. 동부승지(同副承旨) 이성신(李省身)의 아우이며 이치신(李致身)의 형.
1585~165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이경억(李慶億)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판서(判書) 이시발(李時發)의 아들이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이경휘(李慶徽)의 동생으로, 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냄.
1620~16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경엄(李景嚴)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연릉부원군(延陵府院君) 이호민(李好閔)의 아들로, 1610년(광해군 2)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지냄.
1579~165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이경여(李敬輿)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괄(李适)의 난과 병자호란 때 인조(仁祖)를 호종하고, 1642년(인조 20) 배청친명파(背淸親明派)로 청 나라 연호를 쓰지 않았다는 밀고를 받고 심양(瀋陽)에 끌려가 억류되었다가 풀려났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85~165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경온(李景蘊)
조선 전기의 유학. 유헌(游軒) 정황(丁熿)과 교유하여, 《유헌집(游軒集)》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경우(李慶祐)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목사(牧使) 이경희(李慶禧)의 형으로, 장령(掌令) 등을 지냄.
15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경유(李慶裕)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첨지(僉知) 이간(李幹)의 아들로, 영암 군수(靈岩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경윤(李慶胤)
조선 전기의 종친ㆍ화가. 청성군(靑城君) 이걸(李傑)의 맏아들이며, 이중윤(李仲胤)ㆍ이영윤(李英胤)의 형. 그림을 잘 그리고, 특히 산수인물화(山水人物畵)에 뛰어남. 조선 중기 화단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사람으로 절파화풍의 정착에도 큰 역할을 함.
1545~161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
-
이경의(李景義)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군량을 조달하고 어가(御駕)를 호종하였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함. 이안눌(李安訥)과 친교를 맺었으며 문장가로 이름이 높았음.
1590~164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경일(李敬一)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경주(慶州). 진사(進士) 이종열(李宗悅)의 아들로, 도사(都事) 이종악(李宗岳)에게 출계함. 좌의정 등을 지내고, 저서에 《청헌유고(聽軒遺稿)》가 있음.
1734~182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경장(李敬長)@정세창의사위
조선 전기의 종친. 장연 현감(長淵縣監)을 지낸 정세창(鄭世昌)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경장(李敬長)@이혼의아들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혼(李渾)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송기수(宋麒壽)의 《추파집(秋坡集)》에 그의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82~156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이경전(李慶全)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이산해(李山海)의 아들로, 문필이 뛰어났으며, 유영경(柳永慶)을 탄핵하다가 유배생활을 하였고, 병자호란 후 병을 핑계로 삼전도(三田渡)의 비문 작성의 명을 거절하였으며,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함.
1567~164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이경절(李景節)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이우(李瑀)의 아들로, 광해군(光海君)의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하고,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킴. 서(書)ㆍ화(畫)ㆍ금(琴)에 능하여 ‘삼절(三絶)’로 불림.
1571~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
-
이경종(李慶宗)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주(李澍)의 아버지로, 여산 군수(礪山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이경주(李擎柱)
조선 전기의 문인. 덕계(德溪) 오건(吳健)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이경중(李敬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금천군(錦川君) 이감(李瑊)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1581년(선조 14) 이조 좌랑(吏曹佐郞)으로 있을 때 정여립(鄭汝立)이 높이 등용되는 것을 배척하다가 논핵당하여 파직됨.
1542~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경증(李景曾)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권필(權韠)의 문인(門人)으로,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어사(御史)로서 식량조달을 담당하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에는 병방승지(兵房承旨)로서 인조를 호종함.
1595~164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이경진(李景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로, 남부 참봉(南部參奉) 이선(李璿)의 아들이자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조카.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참봉(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1559~159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이경충(李景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군수(郡守) 이감(李鑑)의 아버지로, 남양도호부사(南陽都護府使) 등을 지냄.
1485~153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경충(李鏡忠)
조선 후기의 종친. 오위장(五衛將) 이선(李選)의 사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경항(李景恒)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로, 남부 참봉(南部參奉) 이선(李璿)의 아들이자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조카. 형인 이경진(李景震)과 함께 성혼(成渾)에게 수학하였으며,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이경헌(李景憲)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소세양(蘇世讓)의 《양곡집(陽谷集)》에 그에게 주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이경휘(李慶徽)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시발(李時發)의 아들. 춘추관 기사관(春秋館記事官)으로서 《인조실록(仁祖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617~166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경희(李慶禧)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장령(掌令) 이경우(李慶祐)의 동생으로, 목사(牧使) 등을 지냄.
15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계(李溪)
고려 말~조선 초의 문인. 권근(權近)과 교유하였으며, 그와 관련하여 지은 시가 《양촌집(陽村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이계(李誡)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둘째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가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이계(李𡹘)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월사(月沙) 이정귀(李廷龜)의 아버지. 문장으로 한 시대에 이름을 떨쳤으나 과거에 급제하지 못한 채 삼등 현령(三登縣令)으로 관직을 마침.
?~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계감(李季瑊)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판도총랑(版圖摠郞)을 지낸 이창우(李昌祐)의 아들이며, 문간공(文簡公) 이정(李挺)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이계근(李繼根)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원주(原州). 유학 이희징(李希澄)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유학
-
이계기(李啓基)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영의정 성준(成俊)의 장인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 등을 지내고, 성종 때 세자 책봉을 축하하는 시를 지어 올림.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적성 , 인명>관인>문신
-
이계남(李季男)
조선 예종(睿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창(平昌).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가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호조 판서를 지낼 때 국가재정 운용에 뛰어난 능력을 발휘함.
1448~1512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계남(李繼男)
조선 전기의 무신. 상호군(上護軍) 정효충(鄭孝忠)의 사위로, 적순부위(迪順副尉)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이계동(李季仝)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평창(平昌)으로, 호조 판서(戶曹判書)를 지낸 이계남(李季男)의 아우. 이극균(李克均)과 함께 《서북제번기(西北諸藩記)》ㆍ《서북지도(西北地圖)》 등을 찬진하였으며, 관직은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에 이름.
1450~150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창 , 인명>관인>무신
-
이계량(李季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의흥 현감(義興縣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이계맹(李繼孟)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일손(金馹孫)ㆍ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함.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영광(靈光)으로 유배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 이후 대사헌(大司憲)ㆍ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1458~152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김제 , 인명>관인>문신
-
이계명(李繼命)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무신. 진위장군(振威將軍) 행 오위도총부 도사(行五衛都摠府都事)를 지냈으며,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이계번(李繼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낸 이유인(李有仁)의 아버지로, 참찬(參贊)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계보(李繼保)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현손으로, 완성군(莞城君) 이귀정(李貴丁)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계상(李繼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안협 현감(安峽縣監)을 지낸 이문좌(李文佐)의 아버지로, 감무(監務)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계손(李繼孫)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로 있을 때 향교를 후원하여 지방의 학문을 진작시켰으며, 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지냄.
1423~148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이계양(李繼陽)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정(李禎)의 아들이며, 청해군(淸海君) 이우(李堣)의 아버지로, 단종 때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했으나 단종이 왕위를 빼앗기자 예안(禮安)으로 낙향함.
1424~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이계완(李季完)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신평(新平). 원정(院正)을 지낸 이세건(李世健)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이계의(李繼義)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유학 이익(李翊)의 아버지로, 강계부 판관(江界府判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계장(李繼長)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윤문(李允文)의 아들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십여 년간 여러 지방관을 두루 지내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이름.
1465~152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이계전(李季甸)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색(李穡)의 손자로, 《세종실록(世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과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04~145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계주(李季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개(李塏)의 아버지로, 호조 정랑(戶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이계준(李繼俊)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인. 본관은 연안(延安). 이구령(李九齡)의 아들로, 거창(居昌)에 은거하여 시와 술을 즐기며 유유자적함. 임훈(林薰)의 《갈천집(葛川集)》에 그의 묘갈(墓碣)이 실려 있음.
1490~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문사>문인
-
이계중(李繼重)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남원부원군(南原府院君) 황수신(黃守身)의 사위로, 군사(郡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이계창(李啓昌)
조선 전기의 종친. 영의정 유순정(柳順汀)의 아들인 황간 현감(黃澗縣監) 유자(柳滋)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계통(李季通)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된 이세응(李世應)의 아버지로, 사재감 부정(司宰監副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이계현(李季賢)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재령(載寧). 유학 이전(李琠)의 아버지로, 장례원 사의(掌隷院司議)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재령 , 인명>관인>문신
-
이고(李固)
중국 후한(後漢) 순제(順帝)~환제(桓帝) 때의 문신. 대사농(大司農)ㆍ태위(太尉) 등을 지냈으나, 양기(梁冀)에 의해 하옥되어 살해됨.
?~14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고(李翺)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학자. 한유(韓愈)의 제자로, 중서사인(中書舍人) 등을 지냄. 스승과 달리 불교사상을 채택하여 심성(心性) 문제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보이고, 저서에 《복성서(復性書)》와 《이문공집(李文公集)》이 있음.
772~841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곡(李穀)
고려 충숙왕(忠肅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색(李穡)의 아버지로, 원(元) 나라에 들어가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을 받고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본국에서 정당문학(政堂文學)ㆍ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 등을 지냄.
1298~1351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곤(李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인문(李仁文)의 아들로,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1506년(중종 1)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녹훈되었으나 1519년(중종 14)에 삭록됨. 철원 부사(鐵原府使)ㆍ여주 목사(驪州牧使) 등을 지냄.
1462~152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