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곤(李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창평 현령(昌平縣令)을 지낸 이공린(李公麟)의 막내 아들로, 사복시 판관(司僕寺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곤변(李鯤變)
조선 전기의 문인. 본관은 사천(泗川). 구암(龜巖) 이정(李楨)의 손자로, 사부(詞賦)로 이름이 남.
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문인
-
이공(李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예안(禮安). 조목(趙穆)ㆍ권호문(權好文) 등과 교유하였으며, 이돈(李燉) 등의 문인이 있음. 지평(持平) 등에 제수되었으나 거절하고 학문에만 정진하였으며, 저서로 《율원문집(栗園文集)》이 있음.
1533~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공달(李公達)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판결사(判決事) 이시보(李時珤)의 아들이자 찰방(察訪) 이응성(李應誠)의 아버지로, 양주 목사(楊州牧使) 등을 지냄.
1464~151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공동집(李空同集)
중국 명(明) 나라 무종(武宗) 때의 문인인 이몽양(李夢陽)의 문집. 66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이공량(李公亮)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매부(妹夫)로, 봉사(奉事)를 역임함.
1500~156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공려(李公礪)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여흥(驪興). 이사필(李士弼)의 아버지로,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이공린(李公麟)@조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오(李鰲)ㆍ이귀(李龜)ㆍ이원(李黿)ㆍ이타(李鼉)ㆍ이별(李鼈)ㆍ이벽(李鼊)ㆍ이경(李鯨)ㆍ이곤(李鯤)의 아버지. 장인 박팽년(朴彭年)의 죄에 연좌되어 한동안 관직에 나가지 못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는 아들 이원의 죄에 연좌되어 유배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이공린(李公麟)@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화가. 병을 핑계로 벼슬을 그만두고 용면산(龍眠山)에 은거함. 시에 뛰어나고 골동품 감정에 정통하였으며, 특히 그림에 능하여 명성을 떨쳤음.
1049~1106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이공수(李公遂)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익산(益山).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공민왕을 호종하고, 공민왕 복위에 공을 세워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신돈(辛旽)의 시기를 받아 덕수현(德水縣)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냄.
1308~136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공승(李公升)
고려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김보당(金甫當)의 난(亂) 때 이의방(李義方)의 무리에게 붙잡혀 죽을 뻔하였으나 제자인 문극겸(文克謙)의 도움으로 화를 면함.
1099~1183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이공의(李公毅)
조선 중종(中宗) 때의 생원. 본관은 전의(全義). 1522년(중종 17)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주세붕(周世鵬)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이공인(李公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이달선(李達善)의 아들로, 홍문관 박사(弘文館博士) 등을 지냄.
?~15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이공장(李公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산(星山). 금산 군수(金山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과(李顆)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연산군(燕山君) 때 반정(反正)을 모의하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의 성공으로 중단하였으며,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에 책록됨. 후에 박원종(朴元宗) 등을 제거하려다 발각되어 처형됨.
1475~150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관(李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종친ㆍ학자. 세종(世宗)의 아들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증손이며, 희안군(喜安君) 이집(李輯)의 아들. 이중호(李仲虎)에게 수학하였으며, 평상시의 언행과 부모의 상례를 《소학(小學)》ㆍ《가례(家禮)》에 따라 행하여 성리학적 생활태도의 수립을 선도함.
1518~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종친
-
이관(李瓘)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이윤실(李允實)의 아들로,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등을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문신
-
이관(李觀)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이화(李華)의 조카로, 태자교서랑(太子校書郞) 등을 지내고, 문장에 능하여 당대에 한유(韓愈)와 막상막하로 일컬어짐.
766~79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관림(李管林)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천(鎭川). 유학 이섭(李涉)의 아버지로, 직산 현감(稷山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이관섭(李觀燮)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 세자익위사 익위(世子翊衛司翊衛)를 지낸 이인행(李仁行)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이관의(李寬義)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학행으로 천거되어 율봉도 찰방(栗峯道察訪)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함.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ㆍ지리ㆍ기상ㆍ역학 등의 일반과학 분야에 전심하여 각기 일가를 이룸.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관징(李觀徵)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연안(延安).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나, 갑술환국(甲戌換局) 때 삭출됨. 해서(楷書)에 능했으며 만년에는 김생(金生)의 필법을 연구함.
1618~169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이괄(李适)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무신ㆍ역적. 본관은 고성(固城). 인조 반정(仁祖反正) 때 큰 공을 세웠으나 논공에 대해 불만을 품고 난을 일으킴. 서울을 무혈점령했으나 안현(鞍峴) 싸움에 참패한 뒤 부하에게 죽임을 당함.
1587~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무신
-
이괄지란(李适之亂)
조선 인조(仁祖) 2년에 평안 병사(平安兵使) 이괄(李适)이 인조반정(仁祖反正)의 논공행상(論功行賞)에 불만을 품고 일으킨 반란. 정묘호란(丁卯胡亂)의 명분을 제공함.
162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영변 , 사건>역모
-
이광(李㼅)
조선 후기의 종친. 제25대 철종(哲宗)의 아버지로, 부모ㆍ형ㆍ형수 등의 죄에 연좌되어 강화부(江華府) 교동(喬桐)으로 쫓겨나 빈농으로 삶. 1849년 셋째 아들 덕완군(德完君) 이원범(李元範)이 철종에 등극하자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에 추봉됨.
?~184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교동 , 인명>왕실>종친
-
이광(李光)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평창(平昌). 이계남(李季男)의 아들로, 연산군 때 불재(佛齋)를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정거(停擧) 처분을 받았으며, 승문원 부정자(承文院副正字) 등을 역임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74~149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창 , 인명>관인>문신
-
이광(李匡)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낸 이효신(李孝臣)의 아들로, 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이광(李廣)
중국 전한(前漢) 때의 장군. 문제(文帝)ㆍ경제(景帝)ㆍ무제(武帝)를 차례로 섬기면서 70여 차례에 걸쳐 변방의 흉노(匈奴)를 평정한 공이 컸으나, 위청(衛靑)을 따라 흉노를 공격하다가 길을 잃어 견책을 받자 목을 베어 자살함.
?~B.C.11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이광국(李匡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상안(李尙安)의 아버지로, 연산 현감(連山縣監)ㆍ예빈시 별좌(禮賓寺別坐)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광로(李光輅)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여주(驪州)로, 좌부승지(左副承旨)를 지낸 이광진(李光軫)의 형. 1531년(중종 2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유학
-
이광록(李匡祿)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상안(李尙安)의 생부로, 충의위(忠義衛)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무신
-
이광리(李廣利)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무신. 무제(武帝)의 총희(寵姬)인 이연(李妍)의 오빠로, 무제 때 이사장군(貳師將軍)이 되어 4년에 걸쳐 대완(大宛)을 격파하고 많은 양마(良馬)를 얻어 돌아왔으나, 그 후 흉노(匈奴)와의 전투에서 패하여 살해됨.
?~B.C.8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이광보(李光輔)
고려 후기의 문신. 판사(判事)를 역임하였으며, 이색(李穡)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광부(李光富)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으로, 첨의평리(僉議評理)를 지낸 이나해(李那海)의 아들. 1371(공민왕 20) 신돈(辛旽)의 당으로 지목되어 형제인 이춘부(李春富)ㆍ이원부(李元富)와 함께 유배를 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이광사(李匡師)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학자ㆍ서예가. 본관은 진주(全州)로, 이긍익(李肯翊)의 아버지. 정제두(鄭齊斗)의 문인으로, 양명학(陽明學)에 조예가 깊었으나 당쟁에 휘말려 유배지에서 죽음. 서예에 뛰어나 원교체(圓嶠體)를 확립하고 후세에 많은 영향을 끼침.
1705~177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이광식(李光軾)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우계(羽溪). 이지방(李之芳)의 아들이며 이감(李戡)의 아버지로, 전라도 병마절도사(全羅道兵馬節度使)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493~?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무신
-
이광악(李光岳)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광주(廣州). 1584년(선조 17) 식년시(式年試)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곤양 군수(昆陽郡守)ㆍ전라도 병마절도사(全羅道兵馬節度使) 등을 지냄.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워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1557~160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이광연(李光演)
조선 전기의 문신. 참봉(參奉)을 지냄. 고경명(高敬命)의 《제봉집(霽峯集)》에 그를 위해 지은 만시(挽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이광우(李光友)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학자. 본관은 합천(陜川).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오건(吳健)ㆍ하항(河沆) 등과 교유함. 저서에 《죽각선생문집(竹閣先生文集)》이 있음.
1529~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
-
이광우(李光雨)
고려 후기의 문신. 여말~선초 때의 문신인 이거인(李居仁)의 장인.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광윤(李光胤)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곤(李鯤)의 손자이며 이득윤(李得胤)의 형. 1594년(선조 2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ㆍ성주 목사(星州牧使) 등을 지냄.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예천(醴泉)의 인산서원(仁山書院)에 배향됨.
1564~163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이광윤(李光輪)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여주(驪州). 문소전 참봉(文昭殿參奉)을 지내고, 임진왜란 때 조헌(趙憲) 등과 함께 금산(錦山) 전투에서 전사한 뒤 종용사(從容祠)에 배향됨.
1545~159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양 , 인명>문사>유학
-
이광익(李光翊)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판사재감사(判司宰監事)를 지낸 이사경(李思敬)의 아버지로, 밀직부사(密直副司)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광전(李光前)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으로, 동래 부사(東萊府使)를 지낸 이도남(李圖南)의 아들. 1546년(명종 1)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를 지냈으나 요절함.
1517~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이광정(李光庭)@1674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원주(原州). 문장(文章)과 학술(學術)로 중망을 얻어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사양하고 산림에 묻혀 후학 교육에 전념함.
1674~175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이광정(李光庭)@1552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주(李澍)의 아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으며, 정묘호란 때 왕을 호종하여 강화(江華)에 들어갔다가 병사함.
1552~162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광준(李光俊)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으로, 이민성(李民宬)ㆍ이민환(李民寏)의 아버지. 1561년(명종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충주 목사(忠州牧使)ㆍ강원도 감사(江原道監司) 등을 지냄. 구봉령(具鳳齡) 등과 교유함.
1531~160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광진(李光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흥(驪興).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좌부승지(左副承旨) 등을 지낸 후 귀향하여 학문에 전념함.
1513~156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광필(李光弼)@당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대종(代宗) 때의 무신. 현종 때 곽자의(郭子儀)와 함께 안사(安史)의 난(亂)을 평정한 중흥 제일의 공신이며, 곽자의를 대신해 삭방(朔方)을 맡으면서 천하 병마도원수(天下兵馬都元帥)로 명성을 떨침.
708~764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이광필(李光弼)@조선
조선 전기의 유학. 소재(穌齋) 노수신(盧守愼)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 , 인명>문사>유학
-
이괵(李𥕏)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임진왜란 때 부제학(副提學)으로서 의주(義州)에 왕을 호종하고,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51~159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굉(李宏)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황(李滉)의 조카이자 문인(門人)으로, 찰방(察訪)을 지내고, 시문(詩文)에 능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문신
-
이굉(李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좌의정 이원(李原)의 손자로,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김굉필(金宏弼)의 당여로 몰려 관직이 삭탈되었다가 중종반정 뒤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 등을 역임하고 안동(安東)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냄.
1440~151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굉(李肱)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으로, 형조 낭관(刑曹郎官) 이명(李洺)의 아들. 예빈시 별제(禮賓寺別提)에 제수되었으나 곧 사직하고 안동(安東)의 남쪽 낙동강(洛東江) 건너편에 반구정(伴鷗亭)을 짓고 유유자적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굉(李鍧)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의 두 번째 서자인 해안군(海安君) 이희(李㟓)의 세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굉조(李閎祖)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임계 주부(臨桂主簿)ㆍ광서안무사(廣西安撫使)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교(李㝯)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성(眞城). 이황(李滉)의 조카로, 이황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대흥 현감(大興縣監) 등을 지냄.
1534~159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이교(李喬)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여주(驪州). 금오위 중랑장(金吾衛中郞將) 등을 지냄.
118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무신
-
이교(李嶠)@조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고성(固城). 청파(靑坡) 이륙(李陸)의 아들이며, 하성군(夏城君) 성수재(成秀才)의 사위. 젊은 나이에 요절하였으며, 아들인 이택(李澤)으로 인해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문사>유학
-
이교(李嶠)@고려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우(李瑀)의 아들이며, 이조년(李兆年)의 사위로, 공민왕 때 천추사(千秋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다녀오고, 어사대부(御史大夫)로서 전선(銓選)을 관장함.
?~136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이교(李嶠)@당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현종(玄宗) 때의 문신ㆍ문인. 봉각 사인(鳳閣舍人)ㆍ통주 자사(通州刺史) 등을 지냈으며, 문장에 능하여 두심언(杜審言)ㆍ소미도(蘇味道)ㆍ최융(崔融) 등과 함께 문장사우(文章四友)로 일컬어짐.
645~71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교연(李皎然)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선(李旋)의 아들로, 세조(世祖)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의 주요 관직을 지냄.
1413~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교익(李喬翼)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1858년(철종 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조 판서(工曹判書)ㆍ협판내무부사(協辦內務府事) 등을 지냄.
1830~189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구(李久)
조선 중종(中宗) 때의 생원학. 본관은 성주(星州). 이자견(李自堅)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이구(李構)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세준(李世俊)의 아들로, 관직에 진출하여 선정(善政)을 베풀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인해 파직된 후 낙향하여 후진 양성에 힘씀.
1484~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이구(李玖)
조선 인조(仁祖) 때의 종친. 의신군(義信君) 이비(李備)의 아들.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청(淸) 나라에서 왕자를 볼모로 요구하자, 왕자 대신 볼모가 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구(李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종친ㆍ학자.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증손으로, 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주기설(主氣說)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15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종친
-
이구(李矩)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여류 서예가인 위삭(衛鑠)의 남편으로, 여음 태수(汝陰太守) 등을 지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구(李耈)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손자이자, 경양도정(景陽都正) 이수환(李壽環)의 첫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구(李覯)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친하게 지내던 범중엄(范仲淹)의 추천으로 태학설서(太學說書) 등을 지냈으며, 언변과 문장에 능하고 경술(經術)에 통달함.
1009~105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구령(李九齡)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계준(李繼俊)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이구산(尼丘山)
중국 산동성(山東省) 곡부현(曲阜縣) 동남쪽에 있는 산 이름. 공자(孔子)의 어머니인 안징재(顔徵在)가 기도하여 공자를 낳은 곳으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이구인(李求仁)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춘추관 편수관(春秋館編修官)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종부시 첨정(宗簿寺僉正) 등을 지냄.
1524~156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이구직(李丘直)
고려 말~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정간(李貞幹)의 아버지로, 문음(門蔭)으로 관계에 나아가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조선이 개국하자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책록되고 호조 전서(戶曹典書) 등을 지냄.
?~139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국량(李國樑)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영천(永川). 이현준(李賢俊)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이자 조카사위로, 1546년(명종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17~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이국필(李國弼)
조선 전기의 유학.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물암(勿巖) 김륭(金隆)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군산방기(李君山房記)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인 소식(蘇軾)이 지은 기(記). 이상(李常)이 여산(廬山)의 백석승사(白石僧舍)에 만 권의 장서를 쌓아 두고는 이씨산방(李氏山房)이라 하였는데, 이에 대해 소식이 기를 지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이궁지(離宮址)
황해도 우봉(牛峯)의 영취봉(靈鷲峯) 아래에 있던 고려의 별궁터. 고려 목종(穆宗)과 현종(顯宗)이 머물렀던 곳.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우봉 , 유적>건물>궁궐
-
이권(李勸)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부제학(副提學) 이해수(李海壽)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이해수와 함께 선조를 의주(義州)까지 호종하고,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장악원 정(掌樂院正)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55~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귀(李貴)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정화(李廷華)의 아들로,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하에서 수학함. 임진왜란 때 난후 수습에 힘쓰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성공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됨.
1557~163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귀(李龜)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유학 이영우(李永祐)의 아버지. 무오(戊午)ㆍ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인 동생 이원(李黿)에게 연좌되어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재기용되어 장례원 판결사(掌隷院判決事) 등을 지냄.
1469~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귀남(李貴南)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청평위(淸平尉) 한기(韓紀)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귀령(李龜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외척. 본관은 전의(全義). 이덕숭(李德崇)의 아들이며, 중종 계비(繼妃)인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외삼촌으로,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냄.
1482~154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이귀복(李龜福)
조선 전기의 종친. 영성수(寧城守) 이경생(李敬生)의 셋째 아들이며, 청백리(淸白吏)인 최명창(崔命昌)의 외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귀생(李貴生)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으로,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이임(李琳)의 아들. 1389년(공양왕 1) 우왕(禑王)의 복위를 도모한 이저(李佇)의 옥사에 연좌되고, 1390년(공양왕 2) 이초(彝初)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이귀서(李龜書)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교리(校理)를 지낸 이가순(李家淳)의 아버지로, 경기전 참봉(慶基殿參奉)을 지냄.
1727~179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문신
-
이귀손(李貴孫)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넷째 서자인 선성군(宣城君) 이무생(李茂生)의 아들이며, 풍무령(豊茂令) 이계손(李繼孫)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ㅣ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귀손(李龜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익산 군수(益山郡守)를 지낸 이순증(李順曾)의 아버지로, 선공감 봉사(繕工監奉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이귀수(李龜壽)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열한 번째 서자인 무산군(茂山君) 이종(李悰)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귀용(李龜容)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이언순(李彦淳)의 아버지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문신
-
이수련(李壽鍊)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명군(景明君) 이침(李忱)의 둘째 아들로, 선조(宣祖) 때 안남군(安南君)에 추증됨.
1520~156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수령(李壽苓)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송재(松齋) 이우(李堣)의 아들로, 찰방(察訪)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문신
-
이수령(李壽齡)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명군(景明君) 이침(李忱)의 맏아들이며 안남군(安南君) 이수련(李壽鍊)의 형으로, 안성군(安城君)에 봉해짐.
151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수례(李壽禮)
조선 전기의 종친. 예종(睿宗)의 둘째 아들 제안대군(齊安大君) 이현(李琄)이 후사가 없이 죽자, 중종(中宗)의 명으로 그의 상례(喪禮)를 주관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수록(李綏祿)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이극강(李克綱)의 아들이자 이경여(李敬輿)의 아버지. 이원익(李元翼)ㆍ정엽(鄭曄) 등과 교유하고,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등을 지냄. 1617년(광해군 9)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모론이 대두하자 사직하고 슬퍼하다 죽음.
1564~162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수린(李壽麟)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수림(李壽林)@고려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전법총랑(典法摠郞) 이달존(李達尊)의 아들. 군부 판서(軍簿判書)ㆍ이부 판서(吏部判書) 등을 지냄. 공민왕을 적극 지지하였으나, 배원정책(排元政策)의 와중에 노은(盧訔)의 일파로 몰려 죽음을 당함.
?~136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수림(李壽林)@조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장수(長水)로, 생원(生員) 이상경(李商卿)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문사>유학
-
이수복(李壽福)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옹진(瓮津). 1519년(중종 14) 경과 별시(慶科別試)에 급제하여 영흥 부사(永興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이수붕(李壽朋)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