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수붕(李壽鵬)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둘째 서자로, 정개청(鄭介淸) 등에게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수산(李壽山)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수안(遂安). 충혜왕 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공민왕(恭愍王) 때 동북면 도순문사(東北面都巡問使)로 나가 여진(女眞)을 평정하고 경계를 정했으며,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376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수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수산(李秀山)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로, 금오위 중랑장(金吾衛中郞將)을 지낸 이교(李喬)의 아들. 서예동정(書藝同正)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선천 , 인명>관인>문신
-
이수생(李遂生)
고려 말~조선 초의 은자. 본관은 수안(遂安).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 중 한 사람으로, 길재(吉再)ㆍ이색(李穡) 등과 함께 수안(遂安)의 표리(票里)에 은거하여 고려에 대한 절개를 지킴.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수안 , 인명>기타인명>은자
-
이수선(李壽璿)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열네 번째 서자인 양원군(楊原君) 이희(李憘)의 아들로, 함녕군(咸寧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수성(李守誠)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이행(李荇)의 《용재집(容齋集)》에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
?~1506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수신편(理藪新編)
조선 영조(英祖) 때의 학자인 황윤석(黃胤錫)이 지은 수학책. 23권. 목활자본으로, 1774년(영조 50)에 간행됨.
177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이수심(李守深)
고려 원종(元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정주(貞州)로, 사재경(司宰卿)을 지낸 이세화(李世華)의 셋째 아들. 변량(邊亮)과 함께 진도의 삼별초(三別抄)를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움.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이수언(李秀彦)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대사헌(大司憲)ㆍ지중추부 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며 이선(李選)ㆍ이이명(李頤命)ㆍ이여(李畬)와 함께 대표적인 노론(老論)으로 꼽힘. 청주의 국계사(菊溪祠)에 배향됨.
1636~169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수언(李粹彦)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손(李蓀)의 아들로, 성종 때 야인(野人)이 변경을 침범하자 허종(許琮)의 종사관(從事官)이 되어 전공을 세우고, 교리(校理) 등을 지냄.
1457~149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수연(李守淵)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예학(禮學)과 이기설(理氣說)에 밝고 시문(詩文)에도 능하였으며, 이황(李滉)의 학문을 정리하여 《퇴계선생속집(退溪先生續集)》을 편찬함.
1693~174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수영(李守英)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천(醴泉). 이인우(李仁佑)의 아들로, 1507년(중종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이수오(李秀塢)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 이엽(李曄)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이수완(李秀莞)
조선 전기의 문신.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전집(河西全集)》에 그에게 부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수원(李壽元)
조선 전기의 종친. 예빈시 부정(禮賓寺副正) 신수린(申壽麟)의 맏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수원(李守元)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광양군(光陽君) 이세좌(李世佐)의 아들. 충청도 도사(忠淸道都事)ㆍ산릉도감 낭청(山陵都監郞廳) 등을 지냄.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함경도 북청으로 유배되었다가 처형됨.
?~150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수인(李守仁)@이옥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손자이며, 옥천군(玉泉君) 이옥(李沃)의 아들로, 봉림수(鳳林守)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수인(李守仁)@이준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으로,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인 이준(李埈)ㆍ이전(李㙉)의 아버지. 사섬시 주부(司贍寺主簿)를 지내고, 후에 좌승지(左承旨)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관인>문신
-
이수인(李守訒)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이행(李荇)과 함께 충주(忠州)로 유배되었다가 다시 거제도(巨濟島)로 이배(移配)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ㅣ경상도>거제 , 인명>관인>문신
-
이수장(李壽長)@이의손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현손이자, 연강수(連江守) 이의손(李義孫)의 아들이며, 안처겸(安處謙)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수장(李壽長)@이혼의아들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을 지낸 이혼(李渾)의 아들이자,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이기(李巙)의 아버지. 충좌위 부사과(忠佐衛副司果)ㆍ충좌위 대호군(忠佐衛大護軍)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무신
-
이수전(李秀荃)
조선 후기의 종친. 중종(中宗)의 네 번째 서자인 영양군(永陽君) 이거(李岠)의 양자로, 선조(宣祖) 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이수정(李壽定)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자, 청안군(淸安君) 이영(李嶸)의 둘째 아들이며, 노공필(盧公弼)의 외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수정(李守貞)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광양군(光陽君) 이세좌(李世佐)의 아들이며 이준경(李浚慶)의 아버지. 1501년(연산군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ㆍ홍문관 부수찬(弘文館副修撰) 등을 지냄.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처형됨.
1477~150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수준(李壽俊)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청강(淸江) 이제신(李齊臣)의 둘째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 때 왜적을 방어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정조사(正朝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던 중 병사(病死)함.
1559~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수진(李守眞)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정주(貞州)로, 사재경(司宰卿)을 지낸 이세화(李世華)의 맏아들. 남원부 통판(南原府通判)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이수진(李守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극감(李克堪)의 손자이며, 이세걸(李世傑)의 아들로, 삼가 현감(三嘉縣監) 등을 지냄.
1482~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관인>문신
-
이수철(李壽鐵)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셋째 아들로, 계성군(桂城君) 이순(李恂)의 후사로 출계(出系)함.
1515~156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수철(李守哲)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우생(李遇生)의 아들이며, 한산군(漢山君) 이손(李蓀)의 아버지로, 평안도 절도사(平安道節度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수한(李壽鷴)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맏아들이며, 이걸(李傑)ㆍ이탁(李倬)ㆍ이준(李俊)ㆍ이위(李偉)ㆍ이경(李儆)ㆍ이현(李俔)의 아버지로, 용천군(龍川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수함(李秀咸)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으로, 이달(李達)의 아버지. 1521년(중종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교서관 교리(校書館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이수형(李守亨)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성리학에 조예가 깊음.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큰형 이인형(李仁亨)이 화를 입자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였다가,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자살함.
1448~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이수형(李秀亨)
조선 문종(文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우계(羽溪). 평시서 영(平市署令)을 지냈으며, 세조(世祖)가 즉위하자 원호(元昊)ㆍ조려(趙旅) 등과 치악산(雉岳山)에 들어갔다가 영천(榮川)의 도촌(桃村)으로 내려가 은거함.
1435~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이수혜(李秀蕙)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종친. 성종(成宗)의 열한 번째 서자인 무산군(茂山君) 이종(李悰)의 손자이며, 영안정(永安正) 이학수(李鶴壽)의 아들.
153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수환(李壽環)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첫째 아들.
1508~156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수효(李壽㹲)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넷째 아들이며, 양성군(陽城君) 이륜(李倫)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숙(李俶)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祺)의 첫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숙(李叔)
조선 전기의 유학.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하여 권호문이 준 시가 《송암집(松巖集)》에 여러 편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숙(李塾)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학사(學士) 이도(李燾)의 아들이며, 남헌(南軒) 장식(張栻)의 문인(門人).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이숙(李淑)
조선 전기의 종친. 태조(太祖)의 서제(庶弟)인 의안대군(義安大君) 이화(李和)의 아들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의정부 찬성사(議政府贊成事) 등을 지냄.
1373~14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이숙(李潚)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둘째 아들로, 세종의 열 번째 서자인 담양군(潭陽君) 이거(李璖)에게 출계함. 안악 군사(安岳郡事) 허준(許峻)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숙(李肅)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평창(平昌)으로, 목조(穆祖)의 비(妃)인 효공왕후(孝恭王后)의 아버지. 천우위 장사(千牛衛長史)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창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이숙감(李淑瑊)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 이말정(李末丁)의 아들. 세조(世祖)가 즉위하자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으로 책록되었으며,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ㆍ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숙기(李叔琪)
고려 후기의 문신. 밀직 대언(密直代言) 등을 지냈으며,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과 교유함. 이제현의 《익재난고(益齋亂稿)》에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지은 시 등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숙기(李淑琦)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시애(李施愛)의 난(亂)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29~148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기타인명>공신
-
이숙량(李叔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영천(永川). 이현보(李賢輔)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성리학(性理學) 연구에 전념함.
1519~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
-
이숙묘(李叔畝)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색(李穡)의 손자이며, 진안대군(鎭安大君) 이방우(李芳雨)의 사위로, 여러 차례 명(明)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으며,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역임함.
?~143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이숙문(李淑文)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윤식(李允植)의 아들로, 1460년(세조 6년)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사간(司諫)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숙번(李叔蕃)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성(安城). 두 차례 왕자(王子)의 난(亂)을 진압하여 정사공신(定社功臣)과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조사의(趙思義)의 난을 평정하는 등 공이 컸으나, 성품이 광망(狂妄)하여 탄핵을 받아 유배됨.
1373~144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숙손(李淑孫)
조선 전기의 종친. 정희수(鄭希壽)의 외조부이며, 심곡수(深谷守)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숙야(李叔野)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진현관 제학(進賢館提學)을 지낸 이종학(李種學)의 아들. 사재 소감(司宰少監)ㆍ광주 목사(光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이숙의(李淑義)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수도군(守道君) 이덕생(李德生)의 손자이며, 풍산부정(豐山副正) 이외(李畏)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숙인(李淑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이영(李英)의 아들이며 이공(李珙)의 아버지로, 집현전 참봉(集賢殿參奉)에 제수됨. 권호문(權好文)의 《송암집(松巖集)》에 그에 대한 만시(輓詩)가 실려 있음.
?~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숙황(李淑璜)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예빈 소윤(禮賓少尹) 이말정(李末丁)의 아들이며 이형례(李亨禮)의 아버지. 1468년(세조 14)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성균관 직강(成均館直講)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이순(李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으로, 세조(世祖) 때 승문원 참교(承文院參校)를 지낸 이지(李墀)의 손자이자,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를 지낸 이명규(李名珪)의 아버지. 의영고 영(義盈庫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이순(李廵)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이며, 봉림수(鳳林守) 이수인(李守仁)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순(李循)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맏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순(李揗)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손자이며,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의 매제(妹弟)로, 덕성군(德城君) 이민(李敏)의 후사가 되었다가 파양(破養)됨.
1448~150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순(李淳)@1530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철성(鐵城). 이언명(李彦明)의 아들이자,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김우옹(金宇顒)ㆍ정구(鄭逑) 등과 교유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소모장(召募將)으로 의병을 모집하여 왜적과 싸움.
1530~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
-
이순(李淳)@1442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셋째 아들이며, 덕림군(德林君) 이자(李孜)의 아버지.
1442~14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순(李諄)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증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순(李純)@조선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성혼(成渾)ㆍ이위빈(李渭濱)ㆍ김경삼(金景參)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
-
이순(李純)@이형문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산(德山). 여주 목사(驪州牧使) 등을 지냈으며, 학문으로 이름이 높아 김안국(金安國)ㆍ이황(李滉)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덕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순(李詢)@이승건의아들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우봉(牛峰)으로, 예조 판서(禮曹判書) 이승건(李承健)의 아들이며 이지충(李之忠)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우봉 , 인명>문사>유학
-
이순(李詢)@이호의아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종친. 세종(世宗)의 세 번째 서자인 의창군(義昌君) 이공(李玒)의 손자이며, 사산군(蛇山君) 이호(李灝)의 아들.
1465~153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순도(李純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이황(李滉)의 손자로, 조목(趙穆) 등에게 수학하고 학문에 전심하였으나, 친상(親喪)의 거상중에 병으로 죽음.
1554~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
-
이순민(李舜民)
조선 전기의 종친. 전중(殿中)을 지낸 윤홍언(尹弘彦)의 장인으로, 장림수(長臨守)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순생(李順生)
조선 전기의 문인. 본관은 합천(陜川)으로, 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낸 이윤검(李允儉)의 아버지. 학문을 좋아했으나 벼슬하지 않고, 후에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문인
-
이순수(李順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유언(李幼彦)의 아들이며, 능평군(綾平君) 구희경(具希璟)의 사위로, 군기시 정(軍器寺正) 등을 지냄.
150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순신(李舜臣)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덕수(德水).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로서 임진왜란 때 여러 해전에서 연전연승을 거두었으나 노량해전(露梁海戰)에서 전사함.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시문(詩文)에도 능하여 《난중일기(亂中日記)》등의 저서를 남김.
1545~159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이순인(李純仁)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중호(李仲虎)ㆍ이황(李滉)ㆍ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이이(李珥) 등과 교유하였으며, 특히 문장에 뛰어나 당시 이산해(李山海)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림. 광해군(光海君) 때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순정(李順丁)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손자이며, 신종군(新宗君) 이효백(李孝伯)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순증(李順曾)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이귀손(李龜孫)의 아들로, 1520년(중종 15년)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익산 군수(益山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이순형(李純亨)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난(李蘭)의 아들로, 명종(明宗) 때 진위사(陳慰使)로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지방관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까지 지냄.
149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이숭경(李崇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전의(全義). 성균 생원(成均生員) 이정(李頲)의 아들로, 시(詩)와 초서(草書)에 뛰어났으며, 박순(朴淳)ㆍ임억령(林億齡) 등 당대의 명사들과 교유함.
1510~158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문인
-
이숭문(李崇文)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원구(李元具)의 아들이며,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의 아우로, 흥위위 대호군(興威衛大護軍)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숭원(李崇元)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보정(李補丁)의 아들로,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중종 때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28~149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숭인(李崇仁)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주(星州). 삼은(三隱)의 한 사람으로, 이색(李穡)에게 수학하고 정몽주(鄭夢周)ㆍ정도전(鄭道傳) 등과 교유하였으나, 조선 개국에 앞서 정도전의 심복인 황거정(黃巨正)에 의해 피살됨.
1347~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승(李勝)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도안(道安)으로, 첨정(僉正) 이인우(李仁佑)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안 , 인명>문사>유학
-
이승(李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연손(李延孫)의 아버지. 전농판관(典農判官)을 지내고,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승건(李承健)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우봉(牛峰)으로, 이기(李圻)의 아들. 《성종실록(成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두 차례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 등을 지냄.
1452~150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관인>문신
-
이승도(李承渡)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서원(西原). 의곡(義谷) 이방직(李邦直)의 아들로, 삼사 좌윤(三司左尹)을 지냄. 공민왕(恭愍王)으로부터 이름에 대한 어찰(御札)을 받았으며, 권근(權近)이 지은 명찬(名讚)이 《양촌집(陽村集)》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이승려(李承呂)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이온(李蒕)의 셋째 아들이고, 이승소(李承召)ㆍ이승주(李承周)의 아우로, 현감(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이승상(李升商)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달충(李達衷)의 손자로,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는 데 협력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함.
?~141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승상(李承常)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장양부정(長陽副正) 이주(李儔)의 아들이자 이조 참판(吏曹參判) 이식(李拭)의 아버지로, 1528(중종 2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죽산 현감(竹山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승소(李承召)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내고, 성종 때 신숙주(申叔舟) 등과 함께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편찬함. 당대의 문장가로 예악(禮樂)ㆍ음양(陰陽)ㆍ율력(律曆) 등 여러 방면에 조예가 깊음.
1422~148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이승손(李承孫)@1474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손자이며, 모양군(牟陽君) 이직(李稙)의 아들.
1474~151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승손(李承孫)@1394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세종(世宗) 때 북변(北邊)의 이만주(李滿住)를 정벌하는 데 공을 세웠고, 세조 때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의정부 우찬성(議政府右贊成) 등을 역임함.
1394~14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이승수(李承須)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산(陽山). 진사(進士) 이강(李絳)의 아들로, 1516년(중종 1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성균관 직강(成均館直講)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승언(李承彦)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김굉필(金宏弼)과 함께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한성부 참군(漢城府參軍)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승원(李承元)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이천 도호부사(利川都護府使)를 지낸 이유온(李有溫)의 아버지. 선전관(宣傳官)ㆍ공조 낭관(工曹郞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삼가 , 인명>관인>문신
-
이승은(李承恩)
조선 성종(成宗)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익녕군(益寧君) 이치(李袳)의 맏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승종(李承宗)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함양 군수(咸陽郡守) 등을 지냈으며,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이승주(李承周)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양성(陽城). 이온(李蒕)의 아들이며 좌참찬(左參贊) 이승소(李承召)의 형으로, 어려서 죽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문사>유학
-
이승직(李繩直)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만실(李蔓實)의 아들로, 공신천첩(功臣賤妾)의 소생을 충의위(忠義衛)에 소속시키는 조치를 반대하고, 조말생(趙末生)의 장오죄(贓汚罪)를 논하였으며,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378~143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승효(李承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김안로(金安老)의 문인.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지냈으며, 김안로가 사사(賜死)된 뒤 진우(陳宇) 등을 모함하였다 하여 관직을 삭탈당하고 경외(京外)로 추방됨.
151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승휴(李承休)@당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덕종(德宗) 때 재상을 지낸 이필(李泌)의 아버지로, 2만여 권의 서책을 모아서 자손에게 물려주었다고 하며, 그의 서가(書架)를 ‘업가(鄴架)’라 일컬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승휴(李承休)@고려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가리이씨(加利李氏)의 시조. 충렬왕 때 국왕의 실정과 국왕 측근의 폐단을 간언하다가 파직된 후 삼척(三陟) 구동(龜洞)의 용안당(容安堂)에 은거하면서 《제왕운기(帝王韻紀)》ㆍ《내전록(內典錄)》 등을 저술함.
1224~1300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이시(李偲)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예조 정랑(禮曹正郞) 이유근(李惟謹)의 아버지로, 승의랑(承議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문신
-
이시민(李時敏)@조선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유학. 이승직(李繩直)의 아들이며, 용재(慵齋) 이종준(李宗準)의 아버지. 형인 이명민(李命敏)이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화를 당한 일로 인하여 안동(安東)의 금계촌(琴溪村)으로 낙향하여 은거함.
?~14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