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시민(李時敏)@고려
고려 말~조선 초의 유학.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ㆍ권근(權近) 등과 교유하였으며, 《목은시고(牧隱詩稿)》ㆍ《도은집(陶隱集)》ㆍ《양촌집(陽村集)》 등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봉산 , 인명>문사>유학
-
이시발(李時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임진왜란 때 접반관(接伴官) 등으로 활약하고. 광해군(光海君) 때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비론에 반대함. 인조반정 후 이괄(李适)의 난을 수습하는 데 공을 세우고 형조 판서 등을 지냄.
1569~162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시백(李時白)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연평부원군(延平府院君) 이귀(李貴)의 아들.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었고,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81~1660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시보(李時珤)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이예장(李禮長)의 아들. 정난공신(定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지방관을 두루 거치고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 등을 지냄.
1433~149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시애(李施愛)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무신ㆍ역적. 본관은 길주(吉州)로, 함길도 첨절제사(咸吉道僉節制使) 이인화(李仁和)의 아들. 1467년(세조 12)에 길주에서 반란을 일으켜, 함길도 절도사(咸吉道節度使) 강효문(康孝文)을 살해함. 구성군(龜城君) 이준(李浚)과 남이(南怡) 등이 난을 진압하고, 이시애는 체포되어 참수됨.
?~1467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길성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무신
-
이시원(李始元)
조선 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 이선제(李先齊)의 아들이며, 감사(監司) 이복선(李復善)의 아버지. 1450년(세종 3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헌납(獻納)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이시자(李時孶)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요동 순안어사(遼東巡按御史)로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명 나라와 조선 사이에 오가는 외교문서를 전달하는 역할을 함. 정곤수(鄭崐壽)의 《백곡집(栢谷集)》에 그와 관련한 글이 실려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시직(李時稷)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조호익(曺好益)ㆍ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이괄(李适)의 난 때 인조를 공주(公州)까지 호종함. 병자호란 때 강화(江華)가 함락되자 송시영(宋時榮) 등과 함께 자결함.
1572~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시진(李時珍)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ㆍ의원. 《본초강목(本草綱目)》의 저자로, 의업(醫業)에 종사하는 한편, 약물의 기준서(基準書)를 집대성하는 일에 주력함.
1518~1593 중국>명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문사>학자
-
이시하(李時夏)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쌍계(雙溪) 이재(李梓)의 아들이며, 병조 정랑(兵曹正郞) 최석우(崔錫祐)의 사위로, 젊은 나이에 요절함.
165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이식(李埴)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계양(李繼陽)의 아들이며, 퇴계 이황(李滉)의 아버지로, 아우인 이우(李堣)와 함께 학문 연구에 정진함.
1463~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이식(李拭)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승상(李承常)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동서분당(東西分黨)이 일어나자 정희적(鄭熙績) 등과 함께 서인(西人)의 등용을 막으려다 체직됨.
1510~158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식(李植)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인조반정 후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지냄. 당대의 이름난 학자로서, 문장이 뛰어나 신흠(申欽)ㆍ이정귀(李廷龜)ㆍ장유(張維)와 함께 ‘한문사대가(漢文四大家)’로 불림.
1584~1647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기도>지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식(李湜)
조선 전기의 종친ㆍ시인. 세종(世宗)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셋째 아들로, 시(詩)에 능하여 많은 작품을 남김.
1458~14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종친
-
이식(李軾)@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사천이씨(泗川李氏)의 시조로, 송악 군수(松岳郡守)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관인>문신
-
이식(李軾)@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아들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손자이며, 부림군(富林君) 이식(李湜)의 아들로, 동생 도안군(道安君) 이철(李轍)과 함께 아버지 부림군의 문집인 《사우정집(四雨亭集)》을 초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신(李信)@이석근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조(太祖)의 셋째 아들인 익안대군(益安大君) 이방의(李芳毅)의 손자이며, 익평부원군(益平府院君) 이석근(李石根)의 다섯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신(李信)@이돈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증손이며, 잠성정(岑城正) 이돈(李惇)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신(李信)@이수기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麒)의 둘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신요(李神饒)
조선 전기의 종친. 명양정(鳴陽正) 이현손(李賢孫)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신하(李紳夏)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로, 이식(李植)의 아들이며 이여(李畬)의 아버지. 예빈시 정(禮賓寺正)ㆍ돈녕부 봉사(敦寧府奉事)를 지냄.
1623~169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이신효(李愼孝)@1422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음직(蔭職)으로 출사하여, 형조 참의(刑曹參議)ㆍ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등을 지냄.
1422~1493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이신효(李愼孝)@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젊은 나이에 요절하였으며, 이이의 《율곡전서(栗谷全書)》에 그의 죽음을 애도한 만시(挽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심(李深)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으로, 의정부 참찬(議政府參贊)을 지낸 이문화(李文和)의 아버지. 전공 판서(典工判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이심(李𦸂)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중종반정(中宗反正)의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하원군(河源君)에 봉해짐. 중종 때 좌의정을 지낸 이행(李荇)의 종형(從兄)으로, 《용재집(容齋集)》에 묘지(墓誌)가 실려 있음.
1472~151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이심원(李深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증손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임사홍(任士洪)의 무고로 유배생활을 했고,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죽임을 당함.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이심지(李審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인 이맹전(李孟專)의 아버지. 예빈시 사(禮賓寺事)를 지내고, 후에 병조 판서(兵曹判書)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이십사시품(二十四詩品)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사공도(司空圖)의 시 평론서. 시의 의경(意境)을 24품(品)으로 나누어, 각각 4언(言)의 운어(韻語) 12구(句)를 가지고 상징적으로 해설함.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이십팔수(二十八宿)
중국에서 달의 공전주기가 27.32일이라는 것에 착안하여 적도대(赤道帶)를 28개의 구역으로 나눈 것. 각 구역이 각각의 수(宿)를 가리킴.
자연물>천체
-
이안눌(李安訥)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덕수(德水). 중종 때 좌의정을 지낸 이행(李荇)의 증손이며, 택당(澤堂) 이식(李植)의 종숙(從叔). 당시(唐詩)에 능하여 이태백에 비유되었고 글씨도 잘 썼음.
1571~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안도(李安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이황(李滉)의 장손(長孫)으로,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이황 문하의 명유(名儒)들과 교유하였으며, 음서(蔭敍)로 벼슬하여 사온서 직장(司醞署直長) 등을 지냄.
1541~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이안성(李安性)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로,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를 지낸 이식(李植)의 아버지. 안기도 찰방(安奇道察訪)을 지내고, 후에 좌찬성(左贊成)에 증직됨.
1554~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안손(李安孫)
조선 전기의 유학. 홍귀달(洪貴達)의 《허백정집(虛白亭集)》에 그에게 부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안유(李安柔)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병조 정랑(兵曹正郞) 등을 지냈으나, 태종의 잘못을 간하다가 경산(京山)에 유배됨, 세종 때 낙향하여 유방선(柳方善)ㆍ조상치(曺尙治) 등과 교유하며 후진 양성에 힘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이안직(李安直)
조선 정종(定宗)~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으로, 이종검(李宗儉)ㆍ이종겸(李宗謙)의 아버지. 1399년(정종 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ㆍ보문각 직제학(寶文閣直提學) 등을 지냄. 대치서원(大峙書院)에 배향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이안충(李安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창년(李昌年)의 아들로, 상의원 정(尙衣院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알평(李謁平)
신라 사로육촌(斯盧六村) 중의 하나인 알천 양산촌(閼川楊山村)의 촌장. 경주이씨(慶州李氏)의 시조.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이암(履菴)
조선 태종(太宗) 때의 승려. 태재(泰齋) 유방선(柳方善)과 교유하였으며,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과 유방선의 《태재집(泰齋集)》에 그에게 써 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이암(李嵒)
고려 충선왕(忠宣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고성(固城)으로, 철원군(鐵原君) 이우(李瑀)의 아들. 찬화공신(贊化功臣)ㆍ익조공신(翊祚功臣)에 책록되고, 좌정승 등을 지냄. 글씨에 뛰어나 동국(東國)의 조자앙(趙子昻)으로 불리고, 묵죽화(墨竹畫)에도 능함.
1297~136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이암(李巖)
조선 인종(仁宗) 때의 종친ㆍ화가.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으로, 동식물을 소재로 한 그림을 잘 그렸으며, 인종 초에 중종(中宗)의 어용(御容)을 그릴 때 이에 참여함.
149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
-
이암유고(頤庵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송인(宋寅)의 시문집. 목판본. 손자 송기(宋圻)가 산일되고 남은 약간 권의 시문을 모아 선조 말에서 광해군(光海君) 초기에 순천(順天)에서 간행한 것으로 추측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순천 , 문헌>서명
-
이애(李崖)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익산(益山). 익산부원군(益山府院君) 이공수(李公遂)의 아버지로, 감찰규정(監察糾正)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이애(李薆)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이거이(李居易)의 아들로, 태조의 맏딸인 경신공주(慶愼公主)와 혼인함. 태종을 도와 두 차례의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한 공으로 정사공신(定社功臣)과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1363~141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이야순(李野淳)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상정(李象靖)ㆍ김종덕(金宗德)의 문하에서 이황(李滉)의 성리학을 전습(傳習)하였으며, 특히 예학(禮學)에 조예가 깊었음.
1755~18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문사>학자
-
이약빙(李若氷)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함창 현감(咸昌縣監)을 지낸 이자(李滋)의 아들. 1514년(중종 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산 군수(韓山郡守)ㆍ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지냄. 1547년(명종 2) 양재역(良才驛) 벽서(壁書)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8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이약수(李若水)@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자(李滋)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 문인.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가 유배되자 소두(疏頭)로서 항소하였다가 투옥됨. 평해(平海)로 유배되었다가 예산(禮山)으로 이배되어 죽음.
1486~153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학자
-
이약수(李若水)@송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흠종(欽宗) 때의 문신. 이부 시랑(吏部侍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정강(靖康)의 변(變) 때 금군(金軍)에 포로로 끌려간 흠종을 보호하다가 피살됨.
1093~112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약해(李若海)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직제학(直提學) 등을 지냈으나, 명종 때 윤원형(尹元衡)이 정권을 잡은 후 나주 목사(羅州牧使)로 좌천되고,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윤임(尹任)의 일파로 몰려 사사(賜死)됨.
1498~154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이양(李揚)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인범(李仁範)의 아들로, 공조 참의(工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이양(李穰)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무신ㆍ종친. 태조(太祖)의 서제(庶弟)인 의안대군(義安大君) 이화(李和)의 손자이며, 완천군(完川君) 이숙(李淑)의 아들로, 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냈으나,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황보인(皇甫仁) 등과 함께 피살됨.
?~145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이양무(李陽茂)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조선 태조(太祖)의 고조부인 목조(穆祖) 이안사(李安社)의 아버지로, 상장군(上將軍) 이강제(李康濟)의 딸과 혼인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ㅣ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무신
-
이양생(李陽生)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오(李晤)의 아버지이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사종(李嗣宗)의 할아버지. 1467년(세조 13)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전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계성군(鷄城君)에 봉해짐.
1423~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이양서원(伊陽書院)
조선 효종(孝宗) 때 경상도 성주(星州)에 세운 서원. 지방 유림의 공의로 창건하여 장봉한(張鳳翰)ㆍ장이유(張以兪) 등을 배향하고, 1772년(영조 48) 김뉴(金紐)ㆍ유세훈(柳世勛)의 위패를 신천서원(新川書院)에서 옮겨 추가로 배향함.
165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이양서원(尼陽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현풍(玄風)에 건립한 서원. 익산 군수(益山郡守) 곽안방(郭安邦)ㆍ호조 좌랑(戶曹佐郞) 곽지운(郭之雲)ㆍ승지(承旨) 곽규(郭赳)ㆍ예조 좌랑(禮曹佐郎) 곽황(郭瑤)을 배향함. 현재는 대구광역시에 속함.
17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현풍 , 유적>건물>서원,향교
-
이양성(李養性)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단성 현감(丹城縣監)을 지낸 이겸인(李兼仁)의 아버지. 길주 목사(吉州牧使)ㆍ광주 목사(光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양우(李良祐)
조선 전기의 종친. 태조(太祖)의 서형(庶兄)인 완산군(完山君) 이원계(李元桂)의 아들로,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제2차 왕자의 난 때 중립을 지켜 태종(太宗)의 미움을 받아 유배되었다가 풀려남.
?~141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이양원(李陽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원부령(利原副令) 이학정(李鶴汀)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명(明) 나라에 가서 종계(宗系)를 변무(辨誣)한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우고, 영의정 등을 지냄.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양중(李養中)@고려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형조 참의(刑曹參議)를 역임하였으며, 조선이 건국되자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고향에 은거하여 절개를 지킴.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양중(李養中)@조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금천부수(錦泉副守) 이감(李瑊)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동부승지(同副承旨)ㆍ의주 목사(義州牧使) 등을 지냄.
1549~159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양직(李養直)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우봉(牛峯). 감찰규정(監察糾正)을 역임하였으며, 이곡(李穀)의 《가정집(稼亭集)》에 그에 대한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관인>문신
-
이양충(李㔦忠)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 대한 자사(字辭)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양필(李良弼)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봉상시 정(奉常寺正)을 지낸 이영(李瑛)의 아버지. 충좌위 부사과(忠佐衛副司果)를 지내고, 후에 병조 참의(兵曹參議)에 추증됨.
1458~15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무신
-
이어(鯉魚)
잉어. 효성(孝誠)ㆍ서신(書信)ㆍ길몽(吉夢)ㆍ입신출세(立身出世)를 뜻하는 상징물로 많이 쓰임.
자연물>동물
-
이억년(李億年)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자, 청안군(淸安君) 이영(李嶸)의 넷째 아들이며, 노공필(盧公弼)의 외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억상(李億祥)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영창부수(永昌副守) 이연동(李連仝)의 아들로, 1544년(중종 39)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억손(李億孫)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자, 청안군(淸安君) 이영(李嶸)의 다섯째 아들이며, 노공필(盧公弼)의 외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억수(李億壽)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손자이며, 숭선군(嵩善君) 이총(李𤄓)의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억재(李億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로, 청기군(靑杞君) 이표(李彪)의 아들이며 이원익(李元翼)의 아버지. 문학을 좋아하고 오성(五聲)과 율려(律呂)에 능통함.
1503~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억천(李億千)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증손이며, 동음수(洞陰守) 이성손(李盛孫)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언(李堰)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으로, 대사헌(大司憲) 이은(李垠)의 아들.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ㆍ전주 부윤(全州府尹) 등을 지냄. 세조(世祖)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으로 책록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언경(李彦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계장(李繼長)의 아들로, 1544년(중종 39)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이언괄(李彦适)
조선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여주(驪州)로, 이언적(李彦迪)의 아우. 학행으로 천거되어 송라도 찰방(松蘿道察訪) 등을 역임하였으며, 형 이언적이 윤원형(尹元衡)의 일파에게 몰려 유배되자 상소문을 지어 윤원형의 전횡을 규탄함.
1494~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
-
이언눌(李彦訥)
조선 전기의 유학. 십성당(十省堂) 엄흔(嚴昕)의 죽마고우(竹馬故友).
150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이언명(李彦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철성(鐵城)으로,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낸 기묘명현(己卯名賢) 박훈(朴薰)의 사위이며 이순(李淳)의 아버지. 참판(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언무(李彦茂)
조선 후기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경주(慶州). 재사당(再思堂) 이원(李黿)의 5세손으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효행이 뛰어나 효종(孝宗) 때에 정려(旌閭)가 세워짐.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언순(李彦淳)
조선 순조(純祖)~헌종(憲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성(眞城). 이귀용(李龜容)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성품이 강직ㆍ근면하고, 국사에 남다른 관심을 두어 정사(正史)와 야사(野史)를 두루 섭렵함.
1774~184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이언적(李彦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중종 때 김안로(金安老)의 등용을 반대하다가 숙청되고, 명종 때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배소에서 죽음.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이황(李滉)의 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49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언정(李彦廷)
조선 전기의 종친. 의흥위 호군(義興衛護軍) 김봉서(金鳳瑞)의 셋째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언창(李彦暢)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감찰시승(監察侍丞)을 역임하였으며, 정도전(鄭道傳)의 《삼봉집(三峰集)》에 그의 호(號)에 대한 명문(銘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언충(李彦冲)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충숙왕 때 하정사(賀正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다녀오고,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충렬왕(忠烈王)에서 충혜왕(忠惠王)까지 네 왕을 섬기면서 총애를 받음.
1273~1338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언침(李彦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을사사화 직전에 민제인(閔齊仁) 등이 주관한 중학재(中學齋) 모임에서 윤원형(尹元衡) 일파의 회유와 협박에 굴하지 않았으며, 정미년(丁未年)에 서천(舒川)에 유배되어 죽음.
1507~154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이언호(李彦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유청(李惟淸)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하였으며, 글씨에 능하여 전서(篆書)와 팔분체(八分體)를 잘 썼음.
1477~151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이엄(李儼)@고려
고려 충혜왕(忠惠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충혜왕의 폐신(嬖臣)으로,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 등을 지내고, 조적(曺頔)의 난 때 충혜왕을 호종한 공으로 일등공신(一等功臣)에 책록됨.
?~134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엄(李儼)@조선
조선 중중(中宗) 때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으로, 문장에 능함. 박상(朴祥)과 김정(金淨)의 처벌을 반대하고, 당파(黨派)에 붙어 정치에 관여하였다는 이유로 삭탈관직되었으나 다시 서용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여(李畬)@1645
조선 현종(玄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식(李植)의 손자로,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역임하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때에 면직되었으며, 갑술환국(甲戌換局)에 적극 참여하여 형조 참판(刑曹參判)에 발탁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함.
1645~17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이여(李畬)@1503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인로(李仁老)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문학(文學) 등을 지내고 학문연구에 힘써 역학(易學)에 정통함. 형 이치(李菑)와 함께 진천(鎭川)에 거주하면서 풍속 교화에 힘씀.
1503~154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이여경(李餘慶)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충청도 도사(忠淸道都事)를 지낸 이수원(李守元)의 아들로, 청도 군수(淸道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여발(李汝發)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한천군(韓川君) 이의배(李義培)의 손자. 성품이 청렴하고 강직하였으며, 여러 도의 절도사(節度使)와 어영대장(御營大將) 등을 지냄.
1621~168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이여빈(李汝馪)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우계(羽溪). 참봉(參奉) 이효신(李孝信)의 아들이며 한우(韓佑)의 문인.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인목대비(仁穆大妃) 폐위를 주장하는 정인홍(鄭仁弘)과 이이첨(李爾瞻)을 비판하는 상소문을 올림.
1556~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이여송(李如松)
중국 명(明) 나라 말기의 무신. 요동 총병(遼東總兵) 이성량(李成梁)의 맏아들로, 1592년 동정제독(東征提督)으로서 영하(寧夏)에서 일어난 발배(哱拜)의 난을 평정함. 임진왜란 때 원군으로 조선에 들어와 왜병을 격파해 전세를 역전시킴.
1549~159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이여점(李與點)
고려 말~조선 초의 유학. 아우 이사점(李思點)과 함께 두 형제의 명자(名字)에 대한 설이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여필(李汝佖)
조선 전기의 유학. 우봉 현령(牛峯縣令) 민계량(閔季良)의 셋째 사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역(李櫟)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현손이자 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를 지낸 이대(李薱)의 넷째 아들이고, 이즙(李楫)ㆍ이백(李柏)ㆍ이건(李楗)의 아우이며 이노(李櫓)ㆍ이박(李樸)ㆍ이량(李樑)의 형. 1540년(중종 3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공조 좌랑(工曹佐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연(李妍)
중국 한(漢) 나라 무제(武帝)의 총희(寵姬). 이광리(李廣利)ㆍ이연년(李延年)ㆍ이계(李季)의 세 오빠를 둠. 아름답고 가무(歌舞)에 능해 무제의 사랑을 받았으나, 일찍 죽음. 경국지색(傾國之色)이라는 고사(古事)의 주인공으로 알려짐.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이연(李延)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사재 주부(司宰主簿) 등을 지냈으며, 지극한 효성에 대한 일화가 남효온(南孝溫)의 《추강냉화(秋江冷話)》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이연(李璉)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경원부수(慶源副守)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밀산부수(密山副守) 이신손(李信孫)에게 출계함. 1528년(중종 2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고산 현감(高山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연경(李延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홍문관 교리(弘門館校理)로 재직할 때 조광조(趙光祖)를 재상으로 천거하였으며, 인품이 높고 학문과 식견이 뛰어나 문하에서 인재들이 배출됨.
1484~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연년(李延年)
중국 한(漢) 나라 무제(武帝) 때의 문신. 무제의 총희(寵姬)인 이연(李妍)의 오빠로, 음악을 잘하여 협율도위(協律都尉)가 됨. 《교사가(郊祀歌)》19수(首)를 지음.
?~B.C.9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관인>문신
-
이연동(李連仝)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로, 신곡수(薪谷守) 이부정(李富丁)의 아들이며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이억상(李億祥)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연서원(伊淵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합천(陜川)에 건립한 서원. 1660년(현종 1) 사액되었으며,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 등을 배향함. 1869년(고종 6)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서원 철폐령으로 없어짐.
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유적>건물>서원,향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