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연손(李延孫)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승(李昇)의 아들이며, 윤번(尹璠)의 사위. 세조가 즉위하자 상호군(上護軍)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공조 참판(工曹參判) 등을 지냄.
?~14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무신
-
이연수(李延壽)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자, 청안군(淸安君) 이영(李嶸)의 맏아들이며, 노공필(盧公弼)의 외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연정(李連丁)
조선 전기의 종친.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손자.
1470~15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왕실>종친
-
이연종(李衍宗)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가리((加利). 이승휴(李承休)의 아들로, 감찰대부(監察大夫) 등을 역임하였으며, 부친의 문집인 《동안거사집(動安居士集)》을 초간(初刊)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열도(李閱道)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굉(李宏)의 아들로, 종조부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1576년(선조 9)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좌랑(禮曹佐郞) 등을 지냄.
1538~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이염(李恬)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수안(遂安). 이수산(李壽山)의 아들로, 고려 때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를 지내고 조선 개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되었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鄭道傳) 일파로 몰려 충군(充軍)됨.
?~140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수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염(李爓)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주(星州)로, 이충건(李忠楗)의 아들. 1544년(중종 39)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림학사(翰林學士)ㆍ이조 정랑(吏曹正郞)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효수당함. 저서로 《정서류편(征西類編)》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엽(李曄)@이수오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진사(進士) 이수오(李秀塢)의 아버지. 의흥위 중부장(義興衛中部將)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무신
-
이엽(李曄)@이구의손자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손자이며, 음죽 현감(陰竹縣監) 이강(李綱)의 맏아들인 이준인(李遵仁)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영(李嶸)@1560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예문관 봉교(藝文館奉敎) 등을 지냈으며, 이이(李珥)ㆍ성혼(成渾)과 학문적 교유를 나눌 정도로 경전에 밝았음.
1560~158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영(李嶸)@1462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손자이며, 영순군(永順君) 이부(李溥)의 둘째 아들.
1462~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영(李渶)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아들인 온녕군(溫寧君) 이정(李裎)의 증손이고, 금천군(錦川君) 이변(李抃)의 아들이며, 화산군(花山君) 김주(金澍)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영(李濚)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고, 남천군(南川君) 이쟁(李崝)의 맏아들이며, 문성정(文城正) 이상(李湘)의 형.
1471~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영(李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명종 때 경연(經筵)에 참가하여 명(明) 나라가 우리나라의 사신 접대를 소홀히 함을 지적하고 북경(北京)과의 무역금지를 건의함.
1501~155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이영(李穎)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아들이며 이금산(李金山)ㆍ이옥산(李玉山)의 아버지로, 복성정(福城正)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영남(李永男)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증손이며, 호산군(湖山君) 이현(李鉉)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영도(李詠道)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손자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집하여 왜군과 싸웠고, 전재민(戰災民) 구호와 군량미를 조달하여 명관으로 이름을 떨쳤으며, 현풍 현감(玄風縣監) 때 뛰어난 치적으로 표리(表裏)를 하사받음.
1559~163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영무(李英茂)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이충절(李忠節)의 아버지. 평해군 훈도(平海郡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영부(李英符)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반(李攀)의 아들로, 세자시강원 문학(世子侍講院文學) 등을 지냈으나, 지평(持平)으로 있을 때 현량과(賢良科)의 폐지를 반대하다가 탄핵을 받아 파직됨.
1487~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영성(李永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이홍간(李弘幹)의 아들로, 1537년(중종 3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정랑(禮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이영수(李永壽)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손자이며, 숭선군(嵩善君) 이총(李𤄓)의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영우(李永祐)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별시위(別侍衛)를 지낸 이귀(李龜)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이영원(李永元)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인. 읍취헌(挹翠軒) 박은(朴誾)의 문객(門客)으로, 전서(篆書)ㆍ예서(隸書)ㆍ팔분서(八分書)에 능하고 시(詩)를 좋아하였으며, 《송명파수집(松明破睡集)》을 편찬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
-
이영윤(李英胤)
조선 전기의 종친ㆍ화가. 청성군(靑城君) 이걸(李傑)의 셋째 아들이며, 이경윤(李慶胤)ㆍ이중윤(李仲胤)의 아우. 그림을 잘 그리고, 특히 영모(翎毛)ㆍ화조(花鳥)ㆍ말 그림에 뛰어남.
1561~161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
-
이영은(李永垠)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이효문(李孝文)의 아버지. 1456년(세조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좌부승지(左副承旨)ㆍ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성종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34~147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영준(李英俊)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안(鎭安)으로, 이인현(李仁賢)의 아버지. 1507년(중종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전라 도사(全羅都事)ㆍ예조 정랑(禮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안 , 인명>관인>문신
-
이영창(李永昌)
중국 명(明) 나라의 문인ㆍ서화가. 그림과 글씨에 뛰어나고 서화(書畫)와 골동품 수집을 좋아하였으며, 시집(詩集)으로 《화향(畫響)》이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이영춘(李榮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5대손이며, 서부 주부(西部主簿) 이길(李洁)의 아들로, 음성 현감(陰城縣監) 등을 지냄.
153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영현(李英賢)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윤원형(尹元衡)의 미움을 받아 좌천되었다가 복직되어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등을 지내고, 《중종실록(中宗實錄)》ㆍ《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507~157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예(李芮)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집현전 박사(集賢殿博士)로 있을 때 세종의 총애를 받고, 《의방유취(醫方類聚)》ㆍ《고려사(高麗史)》등의 편찬에 참여함. 형조 판서 등을 지내고, 학식ㆍ문명이 높아 명망을 떨침.
1419~148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이예견(李禮堅)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중종 때의 문신 이운(李耘)ㆍ이자(李耔)의 생부로, 대사간(大司諫)을 지냄. 연산군(燕山君) 때 유배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난 후 귀향하여 학업에 정진함.
143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천 , 인명>관인>문신
-
이예신(李禮臣)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명종(明宗) 때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된 이몽량(李夢亮)과 평안 도사(平安都事)를 지낸 이몽윤(李夢尹)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이예윤(李禮胤)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의 증손이며, 평해부수(平海副守) 이담(李倓)의 아들. 임진왜란 때 선조(宣祖)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68~162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이예장(李禮長)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이사관(李士寬)의 아들. 안숭선(安崇善)의 옥사에 연루되어 장류(杖流) 되었다가 풀려났으며, 세조를 도운 공로로 정난공신(靖難功臣)과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06~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예전(李禮全)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상원 군수(祥原郡守) 등을 역임하였으며, 서거정(徐居正)의 《사가집(四佳集)》에 그가 세운 정성루(政成樓)에 대한 기문(記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오(李塢)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 대한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오(李晤)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계성군(雞城君) 이양생(李陽生)의 아들이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사종(李嗣宗)의 생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이오(李鰲)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공린(李公麟)의 아들로, 1486년(성종 1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옥(李沃)@고려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이사근(李思謹)의 아버지이며 이승주(李承周)ㆍ이승소(李承召)ㆍ이승려(李承呂)의 증조부로,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오름.
?~1409 한국>고려후기ㅣ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이옥(李沃)@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네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옥곤(李玉崑)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세종(世宗)의 고손(高孫)으로, 덕림군(德林君) 이자(李孜)의 아들이며 진천군(晉川君) 이옥정(李玉貞)의 동생. 1550년(명종 5)에 역모를 꾀한다는 고변으로 형과 함께 국문을 받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옥산(李玉山)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손자이며, 복성정(福城正) 이영(李穎)의 아들로, 성종(成宗) 때 안양부수(安陽副守)로 봉해졌으나, 뒤에 왕자인 안양군(安陽君)의 호를 피하여 고영(高瀛)으로 고침.
1455~151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옥정(李玉貞)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종친. 세종(世宗)의 4대손으로, 덕림군(德林君) 이자(李孜)의 아들. 정의대부(正義大夫)에 오르고, 1550년(명종 5)에 역모를 꾀한다는 고변으로 동생 이옥곤(李玉崑)과 함께 국문을 받음.
1513~158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옥형(李玉荊)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넷째 서자인 선성군(宣城君) 이무생(李茂生)의 손자이며, 명산도정(明山都正) 이금정(李金丁)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온(李蒕)@이친의아들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서원군(瑞原君) 이친(李𡩁)의 셋째 아들.
1441~150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온(李蒕)@이승소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양성(陽城). 삼탄(三灘) 이승소(李承召)의 아버지.
?~146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문사>유학
-
이옹(李滃)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며, 회원군(會原君) 이쟁(李崢)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옹(李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승사랑(承仕郞) 이극인(李克仁)의 아들로, 1569년(선조 2)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옹원 정(司饔院正) 등을 지냄.
153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완(李完)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하(李河)의 아들이며, 숙부인 이황(李滉)의 문인. 영천 교관(永川敎官)으로 재직시 임진란에 창의(倡義)하고, 조목(趙穆)과 함께 이산서당(伊山書堂)에서 〈성학십도(聖學十圖)〉를 강론함.
1512~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완(李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월성군(月城君) 이철견(李鐵堅)의 손자이며, 이성정(李成楨)의 첫째 아들로, 선산 부사(善山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왕(夷王)
중국 주(周) 나라 제9대 왕. 재위 B.C.885~B.C.878. 의왕(懿王)의 아들이자, 효왕(孝王)의 조카이며, 여왕(厲王)의 아버지로, 제후들과 대립하여 제(齊) 나라 애공(哀公)을 팽살(烹殺)하였으며, 집권 후 권위가 떨어져 왕실의 힘이 약화되었음.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외(李畏)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정종(定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수도군(守道君) 이덕생(李德生)의 아들이며, 청연수(淸淵守) 이숙의(李淑義)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요(李瑤)
조선 전기의 종친ㆍ학자. 세종(世宗)의 열 번째 서자인 담양군(潭陽君) 이거(李璖)의 증손이며, 남언경(南彦經)의 문인으로, 조선 최초의 양명학자(陽明學者). 선조(宣祖) 때 유성룡(柳成龍) 등을 동인(東人)의 괴수로 지목하여 논란을 야기함.
153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종친
-
이요당유고(二樂堂遺稿)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인 박흥거(朴興居)의 시문집. 형 박흥생(朴興生)의 시문집 《국당유고(菊堂遺稿)》의 뒤에 합본되어 간행됨. 시 4수, 기(記) 1수 등 극히 소량의 글이 수록됨.
1895 한국>근대 , 충청도>영동 , 문헌>서명
-
이용(李墉)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성종(成宗)의 아들인 회산군(檜山君) 이염(李恬)의 증손이며, 의성부정(義城副正) 이강(李鋼)의 셋째 아들.
157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용(李容)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굉(李肱)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후릉 참봉(厚陵參奉)을 지내다가 곧 낙향하여 유유자적하며 특히 국문가시(國文歌詩)를 잘 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이우(李堣)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로, 이황(李滉)의 숙부. 중종반정(中宗反正)에 협력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안동 부사(安東府使) 등을 지냄. 시에 뛰어났고, 최숙생(崔淑生) 등의 사류와 교유함.
1469~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우(李瑀)@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문하시중(門下侍中) 이암(李嵒)과 어사대부(御史大夫) 이교(李嶠)의 아버지로, 여러 지역의 외관을 거쳤으며 철원군(鐵原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이우(李瑀)@조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덕수(德水)로, 이이(李珥)의 아우. 시(詩)ㆍ서(書)ㆍ화(畫)ㆍ금(琴)을 잘하여 ‘사절(四絶)’이라 불림. 어머니 신사임당(申師任堂)의 화풍을 따르고, 특히 화훼(花卉)와 초충(草蟲)을 잘 그림.
1542~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우량(李友諒)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손자. 본관은 전주(全州).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아들로,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형 이우직(李友直)과 함께 연좌되어 죽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우민(李友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오봉공(五峯公) 이호민(李好閔)의 큰형으로, 1546년(명종 1)에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이우보(李祐甫)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이효공(李孝恭)의 아들로, 1464년(세조 10)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직제학(直提學)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이우생(李遇生)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평안도 절도사(平安道節度使)를 지낸 이수철(李守哲)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이우인(李友仁)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여주(驪州).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이사필(李士弼)의 아들이며 좌찬성(左贊成) 이상의(李尙毅)의 아버지로, 1568년(선조 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이우직(李友直)@1441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손자.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아들로,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진도(珍島)로 귀양 가서 죽음.
1441~14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우직(李友直)@1529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선조가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부묘제(祔廟祭)를 마치고 정기(呈技)를 관람하자 이를 비판하다 파직되었으며, 다시 등용되어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29~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욱(李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선전관(宣傳官) 이의로(李義老)의 아들로, 1599년(선조 3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강원 감사(江原監司) 등을 지냄.
156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욱(李郁)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정사공신(靖社功臣) 이후원(李厚源)의 아버지로 봉산 군수(鳳山郡守) 등을 지냄.
1558~161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운(李耘)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음애(陰崖) 이자(李耔)의 형. 공조 참의(工曹參議) 등을 지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69~153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운달(李云達)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덕산(德山). 중종(中宗) 때 호조 참의(戶曹參議)를 지낸 이번(李蕃)의 아버지로, 오위도총부 경력(五衛都摠府經歷)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덕산 , 인명>관인>무신
-
이운로(李云老)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고성(固城). 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인 이귀생(李貴生)의 아들이며, 조선 세조(世祖)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된 이교연(李皎然)의 조부.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문사>유학
-
이운익(李雲翼)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 숙종(肅宗) 때 양양 현감(襄陽縣監)을 지낸 이동표(李東標)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문사>유학
-
이원(李傊)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원천군(原川君) 이의(李宜)의 두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원(李原)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암(李嵒)의 손자이며 정몽주(鄭夢周)의 문인. 조선 개국 후 제2차 왕자의 난 때 협력하여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국기를 다지고 제도를 확립하는 데 공헌함.
1368~14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원(李愿)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사도(司徒)를 지냈으나 관직을 그만두고 한가하게 살며 음악과 기생으로 호사함. 벼슬을 그만두고 반곡(盤谷)으로 돌아갈 때 한유(韓愈)가 지어 준 〈송이원귀반곡서(送李愿歸盤谷序)〉로 유명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원(李源)@1501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조식(曺植)ㆍ이황(李滉)과 교유하면서 성리학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벼슬에는 뜻을 두지 아니하고 평생을 학문연구에 바침.
1501~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
-
이원(李源)@1448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여섯 번째 서자인 진남군(鎭南君) 이종생(李終生)의 손자이며, 진례군(進禮君) 이형(李衡)의 맏아들로, 효행과 우애가 돈독하였음.
1448~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원(李瑗)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영해군(寧海君) 이당(李瑭)의 증손이며, 기묘명현(己卯名賢)인 강녕부정(江寧副正) 이기(李祺)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원(李蒝)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충숙왕(忠肅王) 때 춘추관사(春秋館事)를 지낸 이언충(李彦冲)의 아버지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원(李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여흥(驪興). 명종(明宗) 때 좌부승지(左副承旨)를 지낸 이광진(李光軫)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이원(李黿)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종직(金宗直)에게 문충(文忠)의 시호를 줄 것을 제안하였다가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장류(杖流)되었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참형당함. 문장에 능하고, 특히 행의(行義)로 추앙받음.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원간(李元幹)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이효독(李孝篤)의 아들로, 진주 목사(晉州牧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성격이 강직하고 엄격하였음.
?~153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이원강(李元綱)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저서에 《성문사업도(聖門事業圖)》ㆍ《후덕록(厚德錄)》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이원경(李元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계원군(桂原君) 이의(李艤)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세자시강원 사서(世子侍講院司書) 등을 역임함.
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원계(李元桂)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무신. 조선 태조(太祖)의 이복형(異腹兄). 홍건적(紅巾賊)을 격퇴하여 공신에 책록되고, 황산(荒山) 싸움에서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왜구를 격퇴하였으며,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에 참여하여 회군공신(回軍功臣)에 책록됨.
133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이원구(李元具)
고려 충목왕(忠穆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성주(星州).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의 아버지로, 신돈(辛旽)의 총애를 받았으며, 판태복사(判太僕事) 등을 지냄.
129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무신
-
이원궤(李元軌)
중국 당(唐) 나라 고조(高祖)의 열네 번째 아들. 측천무후(則天武后) 때 모반 혐의로 피살된 이서(李緖)의 아버지로, 평생 겸신(謙慎)한 자세로 자신을 지켰다고 전해짐.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이원길(李元吉)
중국 당(唐) 나라 고조(高祖)의 넷째 아들. 형인 은태자(隱太子) 이건성(李建成)과 함께 후에 태종(太宗)이 된 이세민(李世民)을 몰래 제거하려다가 오히려 이세민에게 죽임을 당함.
603~62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이원록(李元祿)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행(李荇)의 아들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당시 권신이던 숙부 이기(李芑)를 비판하고 이황(李滉)ㆍ정황(丁熿) 등 많은 선비들을 구해 주었으며, 공조 참의(工曹參議) 등을 역임함.
1514~157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이원부(李元富)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를 지낸 이나해(李那海)의 아들로, 정의대부(正議大夫)를 거쳐 응양상장군(鷹揚上將軍)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이원빈문집(李元賓文集)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이관(李觀)의 문집. 6권 1책. 본래 여러 문학작품이 전했으나 대부분 산실되어 현재본만 전함.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이원손(李元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수에 참여하였으며, 대간(臺諫)으로서 윤원형(尹元衡)을 탄핵하여 외직으로 밀려났다가 뒤에 참의(參議) 등을 지냄.
1498~155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원수(李元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이(李珥)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156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이원승(李元承)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손자이며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1567년(선조 즉위년)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이원영(李元嬰)
중국 당(唐) 나라 고조(高祖)의 스물두째 아들. 등왕(滕王)에 봉해지고 양주 도독(梁州都督) 등을 역임하였으며, 홍주 도독(洪州都督)으로 있을 때에 등왕각(滕王閣)을 세움.
?~684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이원영(李源英)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중종(中宗) 때의 유학 이창근(李昌根)의 아버지로, 영암 군수(靈巖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원익(李元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함천군(咸川君) 이억재(李億載)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병제와 조세제도를 정비하고 대동법(大同法)을 실시하는 데 공헌함.
1547~16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원진(李元鎭)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광해군(光海君) 때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에 반대하여 이원익(李元翼) 등과 귀양갔다가 인조반정 후 풀려남. 효종(孝宗) 때 제주 목사(濟州牧使)로 하멜 등 표류한 네덜란드인들을 서울로 압송하고, 《탐라지(耽羅志)》를 편수함.
1594~166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이원화(李元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07년(중종 2)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였으며, 목사(牧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원효(李元孝)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성종(成宗) 때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이명숭(李命崇)의 아버지로, 충청도 감사(忠淸道監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