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월(李越)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손자인 수천군(秀泉君) 이정은(李貞恩)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위(李偉)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위(李徫)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위(李韋)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용인(龍仁). 태천 현감(泰川縣監) 이윤검(李允儉)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이위빈(李渭濱)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성혼(成渾)ㆍ이순(李純)ㆍ김경삼(金景參)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유(李濡)
조선 현종(顯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며, 김창집(金昌集)ㆍ이이명(李頤命)ㆍ민진후(閔鎭厚) 등과 교유함. 우의정(右議政)ㆍ좌의정(左議政)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645~172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유(李籲)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정호(程顥)와 정이(程頤)의 제자.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유(李裕)@이승손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선사군(仙槎君) 이승손(李承孫)의 아들이며 이희량(李希良)ㆍ이희검(李希儉)의 아버지. 사장(詞章)과 필법이 탁월함.
1488~156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유(李裕)@이배근의아들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평(富平). 선공감 정(繕工監正) 이배근(李培根)의 아들로,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부평 , 인명>관인>문신
-
이유경(李有慶)@이해의증손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이해(李蟹)의 증손으로, 나주(羅州)의 영강서원(榮江書院)에 배향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
-
이유경(李有慶)@조선후기
조선 후기의 문신.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목사(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유경(李有慶)@이수원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충청도 도사(忠淸道都事) 이수원(李守元)의 아들.
1497~155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이유근(李惟謹)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승의랑(承議郞) 이시(李偲)의 맏아들로, 1561년(명종 1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정랑(禮曹正郞) 등을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유기(李裕基)
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맹진(李孟畛)의 아들로, 도진무(都鎭撫)를 역임하였으며, 세조(世祖) 때 단종복위운동에 가담하였다가 실패하여 죽임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이유령(李幼寧)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주계군(朱溪君) 이심원(李深源)의 아들이며, 김종직(金宗直)의 제자로, 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역임하였으며,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아버지와 함께 직간(直諫)하였다가 화를 당함.
?~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유무(李幼武)
중국 송(送)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송명신언행록(宋名臣言行錄)》을 승계하여 《도학명신언행록(道學名臣言行錄)》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이유민(李惟敏)
조선 전기의 유학. 임운(林芸)이 그에게 보내는 시가 《첨모당집(瞻慕堂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유수(李裕垂)
조선 후기의 유학. 《백담집(栢潭集)》 속집(續集)을 간행할 때 김성구(金成九)와 함께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의 시문(詩文)을 모아 정리하고 김굉(金㙆)의 서문을 받는 등 실무를 담당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이유온(李有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선전관(宣傳官)을 지낸 이승원(李承元)의 아들로, 이천 도호부사(利川都護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유인(李有仁)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계번(李繼蕃)의 아들로, 1459년(세조 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149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이유인(李裕仁)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자(李磁)의 아들로, 1561년(명종 1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함경 감사(咸鏡監司) 등을 지냄. 구사맹(具思孟)의 《팔곡잡고(八谷雜稿)》에 그에 관한 기록이 실려 있음.
153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유정(李惟貞)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평난공신(平難功臣) 이준(李準)의 아버지로,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유중(李惟中)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이정중(李精中)의 형으로, 1588년(선조 2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이유청(李惟淸)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난공신(定難功臣)에 책록되고,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을 몰아내는 데 가담하였으며, 좌의정 등을 지냄.
1459~153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유태(李惟泰)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동부승지(同副承旨) 등을 지내고 예학(禮學)에 뛰어났으며,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宋浚吉)ㆍ윤선거(尹宣擧)ㆍ유계(兪棨)와 더불어 호서산림(湖西山林) 오현(五賢)으로 일컬어짐. 저서로는 《초려집(草廬集)》 등이 있음.
1607~168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유함(李惟諴)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하수일(河受一)의 매서(妹壻)로, 1591년(선조 2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장원하여 영천 군수(榮川郡守) 등을 지냄.
1557~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윤(伊尹)
중국 은(殷) 나라의 재상. 탕(湯) 임금을 도와 천하를 평정하는 데 공헌함. 태갑(太甲)이 탕왕의 법을 어기자 추방하고 직접 정치를 하다가 태갑이 과오를 뉘우치자 정권을 되돌려 주었다고 함.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윤(李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성(固城).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김일손(金馹孫)ㆍ권오복(權五福) 등과 교유하였으며,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재등용되어 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냄.
14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이윤검(李允儉)@이위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중종(中宗) 때의 유학 이위(李韋)의 아버지로, 태천 현감(泰川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이윤검(李允儉)@이순생의아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합천(陜川). 의주 목사(義州牧使) 재임시에 선정으로 표리(表裏)를 하사받았고, 호조 참판(戶曹參判)으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낙향함.
1451~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무신
-
이윤검(李胤儉)
조선 전기의 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이덕연(李德淵)의 아들이자 이민각(李民覺)의 아버지로, 음덕(陰德)으로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벼슬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문인
-
이윤경(李潤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명종 때 대윤(大尹) 세력을 제거하는 데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고, 을묘왜변(乙卯倭變) 때 완산 부윤(完山府尹)으로서 왜구를 방어하였으며, 병조 판서 등을 역임함.
1498~156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윤량(李閏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서자로, 내의원 판사(內醫院判事) 등을 역임함.
151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이윤문(李允文)@이계장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계장(李繼長)의 아버지. 전생서 주부(典牲署主簿)를 지냈으며 원종공신(原從功臣)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이윤문(李允文)@홍인지의장인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때의 유학. 본관은 충주(忠州)이며, 홍인지(洪仁祉)의 장인. 중종때 별과시(別科試)로 천거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유학
-
이윤번(李允藩)
고려 말~조선 초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그가 얻은 그림에 대한 설(說)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이윤보(李允甫)
고려 후기의 문신ㆍ문인. 이규보(李奎報)ㆍ이인로(李仁老)ㆍ최자(崔滋) 등과 교유하였으며, 학식이 매우 정박(精博)하고 시문은 간결하고 고아(古雅)하며 정교하고 빼어났다는 평을 받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윤생(李閏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목(李穆)의 아버지로, 부사과(副司果)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윤손(李允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가평(加平). 1455년(세조 1) 세조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원종공신(元從功臣)에 녹훈되고, 중추부지사(中樞府知事)를 지냄.
1414~14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이윤수(李允綏)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백운거사(白雲居士) 이규보(李奎報)의 아버지로, 호부낭중(戶部郎中) 등을 지냄. 평생을 청렴한 관직생활과 치가(治家)에 전력함.
1130~119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이윤순(李允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이서장(李恕長)의 아들로, 사후(死後)에 통정대부(通政大夫) 형조 참판(刑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이윤식(李允植)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세조(世祖) 때 사간(司諫)을 지낸 이숙문(李淑文)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이윤실(李允實)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평(咸平). 선조(宣祖) 때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을 지낸 이관(李瓘)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문사>유학
-
이윤온(李允蒕)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소(李劭)의 아들이며, 낙안백(樂安伯) 이천선(李千善)의 아버지로, 민부 전서(民部典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나라에 공을 세워 선충경절공신(宣忠勁節功臣)에 책록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윤우(李允耦)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의 집에서 술자리를 함께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윤원(李潤源)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문익성(文益成)과 교유하고, 숙천 도호부사(肅川都護府使)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윤조(李胤祖)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로, 의녕감(義寧監)에 봉해짐. 이이(李珥)가 그를 위해 지은 만사(挽詞)가 《율곡전서(栗谷全書)》에 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윤종(李尹宗)
조선 전기의 유학. 시문(詩文)에 뛰어났고, 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하였으며, 《추강집(秋江集)》에 그와 관련한 글이 여러 편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윤탁(李允濯)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중종(中宗) 때의 문신 이문건(李文楗)ㆍ이충건(李忠楗)의 아버지로,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은(李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극기(李克基)의 아들로, 학식과 지조가 있어 별과(別科)에 추천되었으며, 고원 군수(高原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은보(李殷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재령(載寧). 선조(宣祖) 때 의령 현감(宜寧縣監)을 지낸 이함(李涵)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재령 , 인명>문사>유학
-
이은손(李銀孫)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증손으로, 승훈랑(承訓郞) 유공좌(柳公佐)의 둘째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을진(李乙珍)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장수(長水). 여러 차례 왜구를 격퇴하는 공을 세웠고, 최영(崔瑩) 등과 함께 요동정벌에 참가하였으며, 우왕의 복위를 꾀하던 김저(金佇)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무신
-
이응(李凝)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1566년(명종 21)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지냄.
149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응(李膺)@후한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영제(靈帝) 때의 문신. 당고지화(黨錮之禍) 때 두무(竇武)와 함께 환관(宦官)을 숙청하려다가 환관 조절(曹節)에게 피살됨. 공융(孔融)의 집안과 친하게 지냈으며, 청렴하여 당시 청년 관리들이 그를 알게 되는 것을 등용문(登龍門)이라 부름.
110~16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응(李膺)@조선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조선 개국 후 제2차 왕자의 난에 기여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태종(太宗)의 척불정책(斥佛政策)을 크게 돕고, 계미자(癸未字) 주조에도 공헌함.
1365~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응경(李應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복흥(李復興)의 아들로, 봉산 군수(鳳山郡守)로 있을 때 명(明) 나라의 사신을 접대하는 직무를 수행함.
1513~15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응렬(李應烈)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 무신정권기의 권신 임유무(林惟茂)의 장인으로, 사공(司空) 등을 지냄. 원종의 밀명(密命)을 받은 송송례(宋松禮)에 의해 임유무가 제거되자 연좌되어 유배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응복(李應福)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증손이며, 양성군(陽城君) 이륜(李倫)의 아들로, 신흠(申欽)의 누이와 혼인함.
1560~161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응상(李應祥)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이륜(李倫)의 아들로 파릉수(坡陵守)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응성(李應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공달(李公達)의 아들이며 이제신(李濟臣)의 백부(伯父)로, 찰방(察訪)을 지냄.
1497~153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응순(李應順)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이륜(李倫)의 아들로 파흥수(坡興守)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응우(李應祐)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이륜(李倫)의 아들로 파산수(坡山守)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응원(李應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우봉(牛峯). 이륜(李崙)의 아들로, 1522년(중종 1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문원 박사(承文院博士)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응유(李應籲)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과 교유하고, 정자(正字)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응희(李應禧)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이륜(李倫)의 아들로 파계수(坡溪守)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의(李倚)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猉)의 넷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의(李儀)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이수효(李壽㹲)의 아들로, 금성부정(錦城副正)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의(李宜)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여섯째 아들. 조세강(趙世康)의 딸과 혼인함.
1433~147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의(李嶬)
조선 전기의 유학. 임운(林芸)과 교유했으며, 그와 수작한 시가 《첨모당집(瞻慕堂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의(李漪)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셋째 형으로, 일찍 죽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이의(李義)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영해군(寧海君) 이당(李瑭)의 아들로,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한명회(韓明澮)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의(李艤)
조선 성종(成宗)~명종(明宗)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정종(定宗)의 4세손으로, 백성수(栢城守) 이원(李源)의 아들. 1502년(연산군 8) 종친시예(宗親試藝)에 장원하는 등 학문에 뛰어나고 후진 양성에 힘씀.
1469~155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의(李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창인(李昌仁)의 아들로, 1521년(중종 16)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성균관 학정(成均館學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의(李顗)
고려 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주(仁州). 중서령(中書令)을 지낸 이자연(李子淵)의 아들이며, 학자 이자현(李資玄)의 아버지. 누이들이 문종의 비(妃)가 되자 관직에 올라 외적 평정에 큰 공을 세우고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오름.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이의건(李義健)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 1564년(명종 19)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고 이항복(李恒福)의 추천으로 공조 좌랑(工曹佐郞)이 되었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명현(名賢)들과 교유함. 저서로 《동은집(峒隱集)》이 있고, 광주(廣州) 수곡서원(秀谷書院)ㆍ영평(永平) 옥병서원(玉屛書院)에 배향됨.
1533~162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문인
-
이의근(李義根)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금구(金溝). 영산 현감(靈山縣監) 등을 지냈으며,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금구 , 인명>관인>문신
-
이의남(李義男)
조선 전기의 무신. 만호(萬戶)를 지냈으며, 송강(松江) 정철(鄭澈)과 교유하며 수작한 시가 《송강집(松江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이의로(李義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강원 감사(江原監司) 등을 지낸 이욱(李稶)의 아버지로, 선전관(宣傳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의무(李宜茂)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편찬에 참여하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홍주 목사(洪州牧使) 등을 지냄. 시문(詩文)에 능하고 청빈하다는 평을 들음.
1449~150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이의민(李義旼)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정선(旌善). 1170년(의종 24) 정중부(鄭仲夫)의 난에 가담하여 무반의 최고직인 상장군(上將軍)에까지 오름. 명종의 후원 아래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다 최충헌(崔忠獻) 일파에 의해 살해됨.
?~119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무신
-
이의방(李義方)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정중부(鄭仲夫)의 난에 가담하여 벽상공신(壁上功臣)에 오름. 위위경(衛尉卿)의 벼슬에 올라 딸을 태자비로 들이는 등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던 중 정중부의 아들 정균(鄭筠)에 의해 살해됨.
?~1174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무신
-
이의배(李義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한산(韓山).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이 되고 한천군(韓川君)에 봉해짐.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청병(淸兵)과의 대전 중 전사하여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576~163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무신
-
이의번(李宜蕃)
조선 전기의 문신. 정국공신(靖國功臣) 이함(李菡)의 아버지로, 이조 참의(吏曹參議)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의부(李義府)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 때의 간신. 허경종(許敬宗)과 함께 측천무후(則天武后)를 추종하여 고종(高宗)의 황후인 왕씨(王氏)를 폐하도록 함. 겉으로는 온유하지만 속으로는 음험하여 남들을 해쳤으므로, ‘소중도(笑中刀)’ 또는 ‘이묘(李猫)’라 일컬어짐.
614~66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의산시집(李義山詩集)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이상은(李商隱)의 시집. 문집인 《번남문집(樊南文集)》과 함께 전함.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이의석(李宜碩)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추(李抽)의 아들이며, 이의무(李宜茂)의 형으로, 홍주 통판(洪州通判)을 지냄. 파주(坡州)에 화석정(花石亭)을 지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이의손(李義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종친. 정종(正宗)의 증손으로, 연강수(連江守)에 봉해짐. 안처겸(安處謙)의 무고 사건에 연루되어 유배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의수(李宜壽)
조선 전기의 종친.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손자이며, 숭선군(嵩善君) 이총(李𤄓)의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의신(李義臣)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산(德山). 1549년(명종 4)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군수(郡守)를 지냄. 박승임(朴承任)과 교유했는데, 그가 금산(錦山)으로 갈 때 수작한 시가 《소고집(嘯皐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덕산 , 인명>관인>문신
-
이의윤(李義胤)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祺)의 손자이며 평릉부수(平陵副守) 이엄(李儼)의 아들로, 성산부령(星山副令)에 봉해짐. 1617년(광해군 9)에 이이첨(李爾瞻)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림.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의전(李義傳)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원익(李元翼)의 장남으로,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인조를 호종하고 완선군(完善君)에 봉해졌으며, 봉조하(奉朝賀)에 들음.
1568~164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관인>문신
-
이의현(李宜顯)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으로, 좌의정 이세백(李世白)의 아들. 정미환국(丁未換局) 때 파직되었으나 이인좌(李麟佐)의 무신란(戊申亂) 때 다시 기용되어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를 지냄. 노론(老論)의 영수로 추대되고, 저서로 《도곡집(陶谷集)》이 있음.
1669~17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이(李怡)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이며 의성군(誼城君) 이채(李寀)의 여섯째 아들로, 종실과 나라를 위해 공을 세워 영신군(永新君)에 봉해짐.
1454~152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부평 , 인명>왕실>종친
-
이이(李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중앙관서의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치고 국정 전반에 관한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나, 동인(東人)과 서인(西人) 간의 갈등 해소 노력이 실패하고 개혁안이 시행되지 않자 파주(坡州)로 낙향함.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이(李耳)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주창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이이(李頤)@조선
조선 성종(成宗)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손자로 학림군(鶴林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이(李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가평(嘉平). 이장경(李長卿)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장령(掌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가평 , 인명>관인>문신
-
이이(李頤)@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민사평(閔思平)의 문인(門人)으로, 경상도 안렴사(慶尙道按廉使)를 지낼 때 《급암시집(及菴詩集)》의 판각을 도움.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이(李𢓡)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정종(定宗)의 여섯 번째 서자인 진남군(鎭南君) 이종생(李終生)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