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공공(共工)
중국 고대 신화에 나오는 인물. 제위(帝位)를 놓고 전욱(顓頊)과 다투다가 부주산(不周山)의 천주(天柱)를 꺾어 쓰러뜨리는 바람에 하늘은 서북으로, 땅은 동남으로 기울고, 해와 달과 별은 서쪽으로 이동했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공공(恭公)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제후. 제(齊) 나라의 은사(隱士)인 검루(黔婁)의 지절(志節)을 숭상하여 곡식을 내려 정승을 삼으려고 하였으나 거절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공공(蛩蛩)
중국 전설상의 동물. 하루에 천 리를 달릴 수 있고 거허(距虛)와 항상 붙어 다니며 서로 의지하여 떨어지지 않음. 궐(蟨)이라는 동물에게 음식을 봉양 받다가 궐에게 위험한 일이 생기면 궐을 업고 달린다고 함.
중국 , 자연물>동물
-
공광(孔光)
중국 한(漢) 나라 때의 문신ㆍ학자. 공자(孔子)의 14대손으로, 경학(經學)에 밝았음.
B.C.65~A.D.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괴집(攻媿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이자 학자인 누약(樓鑰)의 문집. 112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공규(公珪)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김포(金浦). 공자유(公子由)의 아들로, 홍문관 저작(弘文館著作) 등을 역임하였고, 시문(詩文)에 능하였음.
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규(孔戣)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 공잠보(孔岑父)의 아들이며 공소보(孔巢父)의 조카로, 공자의 38대 손(孫). 간의대부(諫議大夫)일 때 이섭(李涉)을 탄핵하고 이소화(李少和)의 옥사를 판결하는 등 치적을 쌓아 명성이 높았음.
752~824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급(孔伋)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손자. 사서(四書)의 하나인 《중용(中庸)》을 편찬했으며, 증삼(曾參)의 학(學)을 배워 유학의 전승에 힘씀.
B.C.483~B.C.40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공도보(孔道輔)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공자의 45대손. 좌정언(左正言)ㆍ권어사중승(權御史中丞) 등을 지냈으며, 맹자의 무덤을 방문하고 그 서남쪽에 맹자묘(孟子廟)를 세움.
985~103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동산(崆峒山)
중국 감숙성(甘肅省) 평량(平凉)에 있는 산 이름. 도교(道敎) 발상지의 하나. 황제(黃帝)가 이곳의 신선인 광성자(廣成子)를 찾아가 도를 물었다는 말이 전해짐.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공등(孔騰)
중국 진(秦)~전한(前漢) 때의 인물. 공자(孔子)의 9대손으로, 진 나라의 분서갱유(焚書坑儒) 때 《상서(尚書)》 등의 가서(家書)를 공자의 옛집 벽 속에 감추었다고 하며, 한(漢) 고조(高祖) 때 봉사군(奉祀君)으로 임명되어 공자의 제사를 전담함.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공리(孔鯉)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아들이며, 공급(孔伋)의 아버지. 송(宋) 나라 때 문묘(文廟)에 종사됨.
B.C.532~B.C.48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공문중(孔文仲)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성품이 강직하여 재상 왕안석(王安石)이 창안한 재정 관리와 군사 훈련하는 법이 옳지 않다고 논한 일로 파직되기도 하였으며, 중서사인(中書舍人)ㆍ지공거(知貢擧) 등을 지냄..
1038~1088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민왕(恭愍王)
고려 제31대 왕. 재위 1351~1374. 반원정책(反元政策)을 중심으로 한 개혁정치를 통하여 고려의 중흥을 모색함.
1330~137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공방(孔方)
고려 후기의 문인인 임춘(林椿)이 지은 가전체(假傳體) 소설 《공방전(孔方傳)》의 주인공. 엽전을 의인화한 인물로, 중국 한(漢) 나라 때 천(泉)의 아들로 태어나 홍려경(鴻臚卿) 등을 지냈으나, 재물만 중하게 여기다가 탄핵을 받아 쫓겨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공방전(孔方傳)
고려 후기의 문인인 임춘(林椿)이 지은 엽전을 의인화한 가전(假傳). 《동문선(東文選)》에 내용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문헌>작품명
-
공보가(孔父嘉)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대부. 공자(孔子)의 선조. 화독(華督)이 공보가 부인의 미모에 반해 공보가를 살해하자, 이후 그 후손들은 노(魯) 나라로 망명함.
?~B.C.71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공부(孔俯)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소격전 제조(昭格殿提調)로서 중국에 가서 도교 의식을 배워오고, 검교 한성부 윤(檢校漢城府尹) 등을 지냈으나, 천추사(千秋使)로 중국에 갔다가 돌아오지 못하고 죽음.
?~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공북해집(孔北海集)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이자 학자인 공융(孔融)의 문집. 1권.
중국>후한 , 중국 , 문헌>서명
-
공사견문록(公私見聞錄)
조선 제17대 효종(孝宗)의 부마(駙馬)인 정재륜(鄭載崙)이 궁중에 출입하면서 공적ㆍ사적으로 견문한 것을 기록한 책. 효종ㆍ현종(顯宗)ㆍ숙종(肅宗)ㆍ경종(景宗)의 4대에 걸쳐 복 받을 만한 것과 경계해야 할 것을 기록함. 필사본. 4책.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공산불요(公山弗擾)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계씨(季氏)의 가신(家臣). 계씨(季氏)를 배반하고 비읍(費邑)을 점거하여 반란을 일으키면서 공자(孔子)를 불렀다는 내용이 《논어(論語)》 〈양화(陽貨)〉편에 실려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공상린(孔祥麟)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1528년(중종 23)에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과 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지냄.
?~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공서(功西)
조선 인조(仁祖) 때 서인(西人)에서 갈린 당파.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정권을 잡은 서인 중 반정에 소극적이었던 김상헌(金尙憲) 중심의 일파를 청서(淸西)라 하고, 인조반정에 가담한 김류(金瑬)ㆍ이귀(李貴)ㆍ김자점(金自點)ㆍ신경진(申景禛) 등을 공서라 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집단>조직
-
공서린(孔瑞麟)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김굉필(金宏弼)의 문하생으로 조광조(趙光祖)와 친교를 맺었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투옥되었다가 풀려남.
1483~15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공서적(公西赤)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사람. 공자(孔子)의 제자 중의 한 사람으로 제사(祭祀)와 빈객(賓客)의 예에 뛰어남.
B.C.50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공성인열양황후(恭聖仁烈楊皇后)
중국 송(宋) 나라의 제13대 영종(寧宗)의 비(妃). 의남매 사이인 양차산(楊次山)ㆍ예부 시랑(禮部侍郎) 사미원(史彌遠)과 결탁하여 권력을 잡아 이종(理宗)을 세우고 태후(太后)가 됨.
1162~1233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공손광(公孫光)
중국 전한(前漢)의 명의(名醫). 순우의(淳于意)의 스승으로, 의술에 뛰어났으며 비방(秘方)을 순우의에게 전수해 주고 공승양경(公乘陽慶)에게 순우의를 제자로 추천해 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공손교(公孫僑)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정(鄭) 나라의 재상. 정(鄭) 목공(穆公)의 손자로, 춘추전국시대 제일의 외교가로 꼽힘. 예법(禮法)으로 안을 다스리고 구설(口舌)로 밖을 제어하므로, 당시 강국인 진(晉)과 초(楚)의 침략을 받지 않았음.
?~B.C.52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공손녕(孔孫寧)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陳) 나라의 대부. 대부 하징서(夏徵舒)의 어머니인 하희(夏姬)와 정을 통하는 등 행실이 음란하여 물의를 빚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공손도(公孫度)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 연왕(燕王) 때의 문신. 요동 태수(遼東太守)를 지내며 요동후(遼東侯)라 자칭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공손술(公孫述)
중국 후한(後漢) 때의 역적. 왕망(王莽)의 부하였다가 경시제(更始帝)가 반란을 일으키자 군사를 일으켜 촉(蜀)ㆍ파(巴) 나라를 평정한 뒤 스스로 황제라 칭하고 나라를 성가(成家)라고 하였으나, 광무제(光武帝)에게 멸망됨.
?~36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
-
공손앙(公孫鞅)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공자(公子). 법가(法家)의 대표적인 인물로, 진(秦) 효공(孝公)을 도와 법령을 제정하는 등 진제국(秦帝國) 성립의 기반을 세웠으나, 가혹한 법 집행으로 인해 미움을 받아 처형됨.
B.C.390~B.C.33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공손연(公孫淵)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위 나라를 도와 요동 태수(遼東太守)가 되었다가 자립하여 연(燕) 나라를 세우고 왕을 자칭하였으나, 위 나라 사마의(司馬懿)에 의해 토벌되어 멸망함.
?~238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손연(公孫衍)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의 대부. 장의(張儀)와 함께 여러 제후국을 유세(遊說)함. 일찍이 서수(犀首)를 지내 이것이 그의 이칭이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공손저구(公孫杵臼)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의인(義人). 조삭(趙朔)의 문객(門客)으로, 진 나라 대부(大夫) 도안가(屠岸賈)가 조삭의 일족(一族)을 살해하자 정영(程嬰)과 함께 조삭의 고아(孤兒)를 조씨의 후계자로 세울 일을 도모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공손홍(公孫弘)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승상(丞相). 집이 가난하여 해변에서 돼지를 먹이다가 나이 40이 넘은 뒤에 벼슬에 올라 재상이 되어 평진후(平津侯)에 봉해짐. 최초의 승상봉후(丞相封侯).
B.C.200~B.C.12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수(工倕)
중국 고대 당요(唐堯) 시대의 목수. 춘추전국시대의 공수반(公輸班)과 함께 유명한 교장(巧匠)으로 알려짐.
고대 , 중국 , 인명>기술인>장인
-
공수(龔遂)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 발해군(渤海郡) 난민(亂民)을 잘 다스려 양민(良民)으로 만들어서, 백성을 잘 다스린 관리의 전형으로 칭송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수반(公輸班)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명장(名匠). 고전(古典)과 고사성어(故事成語)에도 인용될 만큼 솜씨가 매우 뛰어났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술인>장인
-
공숙단(共叔段)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 장공(莊公)의 동생. 어머니 무강(武姜)과 내통하여 반역을 꾀했으나, 장공이 이들의 계획을 알고 공숙단의 군대를 격퇴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공숙발(公叔拔)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 영공(靈公) 때의 대부. 가신(家臣)으로 있던 선(僎)을 대부로 추천하여 함께 조반(朝班)에 올랐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공승달(孔承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원(昌原). 중종(中宗) 때 정언(正言)과 좌랑(佐郞) 등을 지낸 공상린(孔祥麟)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문사>유학
-
공승양경(公乘陽慶)
중국 전한(前漢)의 명의(名醫). 순우의(淳于意)의 스승으로, ‘금방(禁方)’ㆍ‘맥서(脈書)’ 및 모든 치료 경험을 순우의에게 전수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공신도감(功臣都監)
조선시대 공신 책록을 위하여 그 업적 등을 조사하던 임시관서. 1392년(태조 1)에 설치하여 개국공신(開國功臣)에 대한 위차(位次)를 정하여 포상하고, 1434년(세종 16)부터 충훈사(忠勳司)라 개칭하였다가, 다시 1454년(단종 2) 충훈부(忠勳府)로 승격시켜 공신에 관한 모든 업무를 관할하게 함.
1392 한국>조선전기 , 법제>관청
-
공신옹주(恭愼翁主)
조선 제9대 성종(成宗)과 숙의엄씨(淑儀嚴氏) 사이에서 태어난 딸. 한명회(韓明澮)의 손자 한경침(韓景琛)과 혼인함. 숙의엄씨가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죽자 서인(庶人)으로 강등되어 외군(外郡)에 위리안치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공야장(公冶長)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이며 사위. 그에 대한 일화가 《논어(論語)》 〈공야장(公冶長)〉 편에 실려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공양감(公羊敢)
중국 전한(前漢) 때의 학자. 가학(家學)으로 내려오던 공양고(公羊高)의 《춘추(春秋)》에 대한 전술(傳述)을 아버지 공양지(公羊地)에게 이어받아 아들 공양수(公羊壽)에게 전수함. 후대에《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으로 완성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공양고(公羊高)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제(齊) 나라의 학자. 자하(子夏)의 제자로 춘추삼전(春秋三傳) 중의 하나인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을 저술하였고 《외전(外傳)》 50편을 저술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공양수(公羊壽)
중국 전한 경제(景帝) 때의 학자. 가학(家學)으로 내려오던 공양고(公羊高)의 《춘추(春秋)》에 대한 전술(傳述)을 제자인 호모생(胡母生)과 함께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으로 정리하여 편찬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공양왕(恭讓王)
고려 제34대 왕. 재위 1389~1392. 고려의 마지막 왕으로, 이성계(李成桂) 등에 의해 왕으로 옹립되었으나 폐위된 후 삼척부(三陟府)에서 사사됨.
1345~139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공양지(公羊地)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학자. 조부 공양고(公羊高)가 《춘추(春秋)》에 대해 전술(傳述)한 것을 아버지 공양평(公羊平)에게 이어받아 가학(家學)으로 전승함. 후대에《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으로 완성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공양평(公羊平)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학자. 아버지 공양고(公羊高)가《춘추(春秋)》에 대해 전술(傳述)한 것을 이어받아 가학(家學)으로 전승함. 후대에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으로 완성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공어(孔圉)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大夫). 인물됨이 총명하면서도 배우기를 좋아하고,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아 시호(諡號)가 문(文)이 되었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공영달(孔穎達)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문장ㆍ천문ㆍ수학에 능통하였으며, 태종의 명에 따라 《수서(隋書)》ㆍ《오경정의(五經正義)》 등을 편찬함.
574~648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예달(孔禮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원(昌原). 중종(中宗) 때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과 예조 좌랑(禮曹佐郞) 등을 지낸 공상린(孔祥麟)의 생부(生父).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문사>유학
-
공왕(共王)@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재위 B.C.591~B.C.560. 장왕(莊王)의 뒤를 이어 왕위를 계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공왕(共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6대 왕. 재위 B.C.922~B.C.900. 목왕(穆王)의 아들.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공용경(龔用卿)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한림원 수찬(翰林院修撰) 등을 지내고, 1537년(중종 32) 조선에 사신으로 와서 황태자가 탄생하였다는 조서(詔書)를 반포함.
1500~156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우(貢禹)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 때의 문신. 현량(賢良)으로 천거되어 간의대부(諫議大夫)를 지냄. 왕길(王吉)과 절친한 친구 사이로, 세간에 “왕길이 먼저 벼슬길에 오르니 공우가 갓의 먼지를 털고 임금의 소명(召命)을 기다린다”라는 말이 전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융(孔融)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ㆍ학자. 건안칠자(建安七子)의 한 사람으로, 헌제(獻帝) 때 북해(北海)의 재상(宰相)이 되어 학교를 세우고 유학(儒學)을 가르침. 한조(漢朝)의 세력 회복에 힘썼으나 조조(曹操) 등의 미움을 받아 일족과 함께 피살됨.
153~20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의휴(公儀休)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재상. 관직에 있으면서 백성들과 이익을 다투지 않았으며 백성들의 생업을 침범하지 않았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공자가어(孔子家語)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학자인 왕숙(王肅)이 공자의 언행 및 공자와 문인(門人)과의 문답(問答)과 논의(論議)를 수록한 책. 전한(前漢)의 공안국(孔安國)의 이름을 빌려 《좌전(左傳)》ㆍ《국어(國語)》 등에 수록된 공자에 관한 기록을 모아 주석을 붙임.
중국>삼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공자규(公子糾)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환공(桓公)의 동생. 양공(襄公)이 시해되자, 형인 환공과 내전을 벌이다 죽임을 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공자당(工字堂)
충청북도 음성(陰城)에 있는 지천서원(知川書院)의 강당. 정면 4칸 측면 1칸 반, 앞의 1칸은 툇간인 팔작지붕의 목조기와집 형태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음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공자매(公子買)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대부(大夫). 노(魯) 희공(僖公)이 위(衛) 나라에 보내 국경을 수비하게 하였는데, 진(晉) 나라의 공격을 받게 되자 보복이 두려워 살해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공자모(公子牟)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 《장자(莊子)》 양왕(讓王)에, “몸은 강과 바다 위에 있어도 마음은 항상 대궐 아래에 있다(身在江海之上 心居乎魏闕之下).”라는 공자모(公子牟)고 이야기가 실려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공자묘(孔子廟)
공자(孔子)와 그의 제자(弟子) 및 여러 성현(聖賢)들의 신위를 모시고 제향을 올리는 사당 이름. 원래는 중국 산동성(山東省) 곡부(曲阜)에 있는 사당을 지칭하였으나, 당(唐) 나라 태종(太宗) 이후로 각 주현(州縣)에 설치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유적>건물>사당
-
공자묘당비(孔子廟堂碑)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 건립된 비문. 해서(楷書)로 유명한 우세남(虞世南)의 작품으로, 현재 두 개로 중각(重刻)되어 서안(西安)과 성무현(城武縣)에 각각 존재함.
633 중국>당 , 중국 , 유적>기타유적
-
공자비(公子比)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 공왕(共王)의 아들. 강왕(康王) 때에 우윤(右尹)을 지냈고, 영왕(靈王)에게 승리하여 자립하려 했지만 평왕(平王)에게 시해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공자수(公子遂)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장공(莊公)의 서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공자오(公子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문신. 영윤(令尹)이 된 후 선대의 원수를 갚기 위해 정(鄭) 나라를 정벌할 계획을 세웠지만 이루지 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자유(公子由)
조선 전기 문신. 본관은 김포(金浦). 공규(公珪)의 아버지로, 혜민서 봉사(惠民署奉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자전(公子鱄)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위(衛) 나라의 공자(公子). 헌공(獻公)의 동생으로, 헌공이 자신을 복위시킨 영희(甯喜)를 죽이자 진(晉) 나라로 달아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공자정(公子貞)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의 공자. 양공(襄公) 10년에 정(鄭) 나라 호뢰(虎牢)를 수비하였을 때, 공자 정(貞)이 군사를 거느리고 정 나라를 구원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공자집어(孔子集語)
중국 송(宋) 나라 학자인 설거(薛據)가 편찬한 공자의 어록(語錄). 후대 학자인 청(淸) 나라 손성연(孫星衍)도 《공자집어(孔子集語)》를 편찬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공자하(公子瑕)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제후. 재위 B.C.630~B.C.628. 성공(成公)을 내쫓은 대부 원훤(元晅)의 옹립으로 왕이 되었으나, 2년 뒤에 성공(成公)이 주(周) 나라 천자의 협조를 받아 다시 복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공제(恭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11대 황제. 재위 418~420. 효무제(孝武帝)의 아들로, 형인 안제(安帝)의 뒤를 이어 제위에 오름. 420년 송(宋) 무제(武帝) 유유(劉裕)에게 선위(禪位)하고 영릉왕(零陵王)이 되었다가 다음해 살해당함.
386~42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공제(恭帝)@수
중국 수(隋) 나라 제3대 황제. 재위 617~618. 양제(煬帝)의 손자.
605~619 중국>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공종(恭宗)
중국 송(宋) 나라 제16대 황제. 재위 1274~1276. 몽고(蒙古)의 침략 때 항복하고 잡혀감.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공종한(孔宗翰)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문신. 어사중승(御史中丞)을 지낸 공도보(孔道輔)의 아들. 형부 시랑(刑部侍郎)을 지냈으며, 공자의 46대손으로 《공씨종보(孔氏宗譜)》를 편찬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주(公州)
충청남도 중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백제(百濟)의 도읍 중 하나.
충청도>공주 , 지명>행정지명
-
공지학(孔志學)
중국 명(明) 나라의 의생(醫生). 요동(遼東) 사람. 서거정(徐居正)의 《사가집(四佳集)》에 그의 시권(詩卷)에 써 준 제시(題詩)가 실려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공치규(孔稚珪)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제(齊) 나라의 문신ㆍ문인. 작품 중에 〈북산이문(北山移文)〉이 유명함.
447~50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공풍(鞏豊)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ㆍ문인. 여조겸(呂祖謙)의 문인. 효종(孝宗) 때 진사(進士)가 되었고, 할좌장고(轄左藏庫) 등을 지냈으며 시(詩)ㆍ문(文)에 능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공혜왕후(恭惠王后)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비(妃). 본관은 청주(淸州)로, 영의정 한명회(韓明澮)의 딸.
1456~14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공황제(恭皇帝)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의 둘째 아들. 아들 애제(哀帝)가 황위에 오른 뒤 공황제(恭皇帝)로 추존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과거(科擧)
일정한 시험을 거쳐 관리를 등용하는 제도. 중국에서는 587년 수(隋) 문제(文帝)가 처음 실시했고, 우리나라에서는 958년(광종 9)에 중국 후주(後周)에서 귀화한 쌍기(雙冀)의 건의에 의해 시행됨. 고려시대의 과거는 크게 제술과(製述科)ㆍ명경과(明經科)ㆍ잡과(雜科)ㆍ승과(僧科)로, 조선시대는 소과(小科)ㆍ문과(文科)ㆍ무과(武科)ㆍ잡과로 구분됨.
958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시대 , 법제>제도
-
과재집(果齋集)
조선 철종(哲宗) 때 집의(執義) 성근묵(成近默)의 시문집. 1883년(고종 20)에 손자인 성두호(成斗鎬)가 편집하여 간행함.
188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과전법(科田法)
1391년(공양왕 3) 조준(趙浚) 등에 의해 사전개혁(私田改革)이 단행됨으로써 새롭게 제정된, 조선 초기의 근간을 이루는 토지 제도.
1391~146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법제>제도
-
과진론(過秦論)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 때의 문인이자 학자인 가의(賈誼)가 지은 글. 진(秦) 나라 멸망의 원인을 분석하여 한 왕조가 정권을 공고히 하도록 하기 위해 지은 명문(名文).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작품명
-
과천(果川)
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기도>과천 , 지명>행정지명
-
곽^왕(霍^王)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장군인 곽광(霍光)과 신(新) 나라의 황제인 왕망(王莽)을 합하여 부르는 말. 신하로서 왕을 잘 보필한 자와 왕위를 찬탈한 반역자를 대조하여 일컫는 말.
중국>신ㅣ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곽^이(郭^李)
중국 당(唐) 나라의 명장 이광필(李光弼)과 곽자의(郭子儀)를 함께 부르는 말. 중흥(中興) 제일의 공신들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곽^장(霍^張)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장군인 곽광(霍光)과 문신인 장안세(張安世)를 함께 부르는 말. 왕을 잘 보좌하여 나라를 안정시킨 신하를 가리킴.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곽간(郭趕)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으로, 사인(舍人) 곽지견(郭之堅)의 아들.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불교부흥 정책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언관의 자리에서 파직됨. 종부시 정(宗簿寺正)ㆍ강릉 부사(江陵府使) 등을 지냄.
1529~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곽거(郭巨)
중국 후한(後漢) 때의 이름난 효자. 가난한 형편에 노모(老母)를 봉양하기 위해 자식을 매장(埋葬)하려다가 황금을 얻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곽거병(霍去病)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무신. 18세 때 시중(侍中)이 되어 위청(衛靑)을 따라 흉노 토벌에 공을 세워 관군후(冠軍侯)에 봉해졌고, 영토 확장에 큰 공을 세워 위청과 함께 대사마(大司馬)가 되었으나, 24세로 죽음.
B.C.140~B.C.11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곽고(郭𡼗)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의주 목사(義州牧使)를 지냈으며, 《율곡전서(栗谷全書)》에 이이(李珥)가 이별하면서 쓴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곽곤(郭㻒)
고려 후기의 문신. 충정왕(忠定王) 때 제학(提學)을 지냈으며, 《동문선(東文選)》에 약간 편의 시가 전함. 《급암시집(及菴詩集)》에 민사평(閔思平)의 기시(寄詩)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