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이명(李頤命)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ㆍ학자.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6세손.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유배되었다가 갑술옥사(甲戌獄事) 때 재등용 된 후 좌의정 등을 지내고, 노론(老論) 정권의 핵심적 인물로 활약함.
1658~17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이수(李頤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경주부윤(慶州府尹) 이전(李㙉)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였으며, 진도 군수(珍島郡守)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이첨(李爾瞻)
조선 선조(宣曺)~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대북(大北)의 영수로서, 광해군(光海君) 즉위 후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살해하고 소북(小北)파를 숙청하는 등 생살치폐(生殺置廢)를 자행하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이 일어나자 처형됨.
1560~16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이현(李以顯)
조선 전기의 문인. 노수신(盧守愼)과 교유하였으며, 그의 부탁으로 이연경(李延慶)에 대하여 지은 시의 내용이 《소재집(穌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이익(李瀷)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실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중농사상(中農思想)에 기반을 두고, 한전론(限田論)ㆍ사농합일론(士農合一論) 등의 사회 개혁론을 주장함. 천문ㆍ지리ㆍ율산(律算)ㆍ의학 등에 능통하고, 저서로 《성호사설(星湖僿說)》ㆍ《곽우록(藿憂錄)》등이 있음.
1681~1763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운산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
-
이익(李翊)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강계부 판관(江界府判官)을 지낸 이계의(李繼義)의 아들로, 1513년(중종 8)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인명>문사>유학
-
이익렬(李翊烈)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영조(英祖) 때 참판(參判)을 지낸 이기경(李基敬)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이익번(李益蕃)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중종(中宗) 때 호조 정랑(戶曹正郞)을 지낸 이장(李璋)의 아버지로, 충좌위 부호군(忠佐衛副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무신
-
이익하(李翊夏)
조선 후기의 문인. 본관은 전의(全義). 두원(斗元) 이추(李樞)의 아들이고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를 지낸 이정(李珽)의 아버지.
162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문인
-
이익희(李益禧)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명종(明宗) 때 참의(參議)를 지낸 이원손(李元孫)의 조부로, 부정(副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인(李仁)@1465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영해군(寧海君) 이당(李瑭)의 아들로, 연산군(燕山君) 때 아들인 이기(李祺)의 사건에 연좌되어 남해(南海)에 유배됨.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나 복직되고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에 책록됨.
1465~150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이인(李仁)@1524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세 번째 서자인 완원군(完原君) 이수(李𢢝)의 손자이며, 이성군(伊城君) 이수강(李壽剛)의 아들.
1524~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인(李寅)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중종(中宗) 때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이조정(李竈禎)의 아버지로, 구례 현감(求禮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이인(李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증수(李增壽)의 아들로, 1517년(중종 12)에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함.
14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삼가 , 인명>관인>문신
-
이인(李韌)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신돈(辛旽)의 문객으로 잠입하여 흉모를 자세히 기록하였다가 김속명(金續命)에게 알림으로써 신돈의 무리를 처벌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역임함.
?~1381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안변 , 인명>관인>문신
-
이인개(李仁愷)
조선 전기의 유학. 오건(吳健)의 문인(門人)으로, 그를 방문했을 때 수작한 시가 《덕계집(德溪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이인건(李仁健)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질부(質夫) 이욱(李郁)의 아버지이며 동은(峒隱) 이의건(李義健)의 형. 음사(蔭仕)로 관직에 올라 아산 현감(牙山縣監)을 지낼 때 선정(善政)을 베풂.
1525~156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인견(李仁堅)
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중종(中宗) 때의 원종공신(原從功臣) 이운(李耘)의 아버지로, 1453년(단종 1)에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전한(典翰)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인기(李麟起)
고려 충렬왕(忠烈王)~원종(元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판태복사(判太僕事) 이원구(李元具)의 아버지로, 평양 부윤(平壤府尹)을 지냄.
127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인령(李引齡)
조선 후기의 종친. 선조(宣祖)의 맏형인 하원군(河源君) 이정(李鋥)의 맏아들로, 판서(判書) 박계현(朴啓賢)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인로(李仁老)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원(慶源). 강좌칠현(江左七賢)의 한 사람으로, 오세재(吳世才)ㆍ임춘(林椿) 등과 교유하고,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 등을 지냄. 시문(詩文)뿐만 아니라 초서(草書)ㆍ예서(隸書)에도 능함.
1152~1220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인립(李仁立)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이포(李褒)의 아들.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냈으나 국정이 어지러워지자 낙향하여 여생을 음영(吟詠)하며 지냄.
1333~138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인문(李仁文)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이전(李㙉)의 아버지로, 철원 도호부사(鐵原都護府使)를 지냄.
142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이인민(李仁敏)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포(李褒)의 아들이며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이직(李稷)의 아버지.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내고 사후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인범(李仁範)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세종(世宗) 때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낸 이양(李揚)의 아버지로, 군부 좌랑(軍簿佐郞)을 지냈으며 정당 문학(政堂文學)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이인복(李仁復)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백이정(白頤正)의 문인으로, 공민왕 때 조일신(趙日新)의 난을 토평하는 데 공을 세우고, 단성좌리공신(端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검교시중(檢校侍中) 등을 지냄.
1308~137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인상(李仁祥)
조선 선조(宣祖) 때의 의원(醫員). 양예수(楊禮壽)ㆍ허준(許浚) 등과 함께 어의(御醫)로 활동하고, 통정대부(通政大夫)에 가자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술인>의원
-
이인상(李麟祥)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덕수(德水). 중종(中宗) 때의 정국공신(靖國功臣) 이함(李菡)의 아들로, 선공감 감역관(繕工監監役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무신
-
이인손(李仁孫)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세종(世宗) 때 천추사(千秋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세조의 즉위와 함께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우의정 등을 지냄.
1395~146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인수(李麟壽)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첫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인숙(李寅叔)
조선 전기의 유학. 이정(李楨)의 《구암집(龜巖集)》에 그의 연갑(硯匣) 보자기에 써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인신(李仁臣)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이몽규(李夢奎)의 생부로, 주부(注簿)를 지내고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인영(李仁英)@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양(光陽). 여말선초의 문신 이무방(李茂芳)의 아버지로, 사후 찬성사(贊成事)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양 , 인명>관인>문신
-
이인영(李仁英)@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ㆍ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인 이엄(李儼)의 아들로, 과거에 급제하여 승지(承旨)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이인우(李仁佑)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도안(道安). 이승(李勝)의 아들로, 1472년(성종 3)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첨정(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안 , 인명>관인>문신
-
이인윤(李仁胤)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麒)의 손자이며 평릉부수(平陵副守) 이엄(李儼)의 아들로, 1617년(광해군 9)에 금산군(錦山君) 이성윤(李誠胤) 등과 함께 이이첨(李爾瞻)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림.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인임(李仁任)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권신. 본관은 성주(星州).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크게 활약하고,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록됨. 공민왕(恭愍王)이 피살되자 우왕을 즉위시킨 뒤 임견미(林堅味)ㆍ염흥방(廉興邦) 등과 함께 권력을 휘두름.
?~138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인재(李寅在)
조선 후기의 문신. 1843년(헌종 9) 밀양 부사(密陽府使) 재임시 임진왜란 때 소실된 우리나라 3대 명루(名樓)의 하나인 영남루(嶺南樓)를 중건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인전(李仁全)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만간(李萬幹)의 아들로, 세조 즉위 후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감정(監正)ㆍ시정(寺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인제(李仁悌)
조선 전기의 유학. 덕계(德溪) 오건(吳健)과 교유했으며, 오건이 그를 위해 쓴 제문(祭文)이 《덕계집(德溪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이인필(李仁弼)
조선 전기의 문신. 참봉(參奉)을 지냈으며, 구봉령(具鳳齡)의 외가 친척으로 구봉령이 그를 위해 지은 만사(挽詞)가 《백담집(栢潭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인행(李仁行)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관섭(李觀燮)의 아들로, 세자익위사 익위(世子翊衛司翊衛) 등을 지냄. 경사(經史)에 두루 능통하여 서연(書筵)에 입시하여 진강하기도 함.
1758~18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인현(李仁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안(鎭安). 이영준(李英俊)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감정(監正) 등을 지냄.
149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안 , 인명>관인>문신
-
이인형(李仁亨)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내며 치정에 힘썼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라는 이유로 부관참시(剖棺斬屍) 당함. 1506년(중종 1) 예조 판서(禮曹判書)에 추증됨.
1436~149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이일상(李一相)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정귀(李廷龜)의 손자이며 이명한(李明漢)의 아들.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내고, 효종(孝宗)의 북벌계획 수립에 송시열(宋時烈) 등과 도움을 주었으며,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ㆍ《효종실록(孝宗實錄)》을 편찬함.
1612~1666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이임보(李林甫)
중국 당(唐) 나라의 재상. 환관과 비빈들을 매수하여 현종(玄宗)의 총애를 얻어 양국충(楊國忠)과 더불어 정권을 전단함. 현명한 사람을 미워하고 능력 있는 사람을 질투하여, 구밀복검(口蜜腹劍)이란 고사가 유래함.
?~75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임순(李林淳)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 병인양요(丙寅洋擾) 때 공을 세운 이휘재(李彙載)의 아버지로, 사후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문사>유학
-
이임종(李林宗)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가리(加利). 이승휴(李承休)의 아들이며 감찰대부(監察大夫)를 지낸 이연종(李衍宗)의 형으로, 헌부 산랑(獻部散郞)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자(李孜)@이행의손자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대제학(大提學) 이행(李行)의 손자로,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사위가 됨. 돈녕 부사(敦寧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이자(李孜)@이순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손자이며, 정양군(定陽君) 이순(李淳)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자(李滋)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세우(李世佑)의 아들로, 《성종실록(成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나자 연산군에게 자주 풍간(諷諫)한 일로 화가 미칠 것을 예감하고 이듬해에 과음한 뒤 죽음.
1466~149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자(李耔)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사림파(士林派)의 한 사람으로 도학정치의 이상을 추구했으며, 온건하고 원만한 성품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의 참화를 면함. 파직된 후 음성(陰城) 등지에 은거하여 학문에 힘씀.
1480~153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ㅣ충청도>음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자건(李自健)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주(李湊)의 아들로, 연산군(燕山君) 때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선산(善山)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복직된 후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55~152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자견(李自堅)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주(李湊)의 아들로, 연산군(燕山君) 때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함창(咸昌)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복직된 후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54~152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자겸(李子謙)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의 증손이며, 율원군(栗元君) 이종(李徖)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자겸(李資謙)
고려 예종(睿宗)~인종(仁宗) 때의 외척. 본관은 인주(仁州). 딸이 인종의 비(妃)가 되자 익성공신(翼聖功臣)에 녹훈됨. 예종의 사후 어린 인종을 즉위시킨 뒤 권세를 독차지하고 왕을 독살하려다 왕의 밀명을 받은 척준경(拓俊京) 등에 의해 처형됨.
?~112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왕실>인척
-
이자보(李自寶)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함평(咸平). 조선 초기에 호분위 호군(虎賁衛護軍)을 지낸 이극명(李克明)의 아버지로, 신무위 대장군(神武衛大將軍)을 지내고 사후 호조 참의(戶曹參義)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무신
-
이자성(李自成)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가정(稼亭) 이곡(李穀)의 아버지로, 정읍 감무(井邑監務)를 지내고, 뒤에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에 증직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이자송(李子松)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수원이씨(水原李氏)의 시조. 덕흥군(德興君)의 변란 때 공민왕에 대한 절의를 지켜 단성보조공신(端誠輔祚功臣)의 호를 받았으나, 우왕의 방탕함을 간하다 파직되고, 요동정벌에 반대하다 죽임을 당함.
?~138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수원ㅣ충청도>청양 , 인명>관인>문신
-
이자수(李子脩)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로, 이황(李滉)의 5대조. 공민왕 때 홍건적(紅巾賊)을 평정한 공으로 안사공신(安社功臣)에 책록되고, 판전의시사(判典儀寺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자연(李子淵)
고려 현종(顯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이한(李翰)의 아들로, 세 딸이 모두 문종의 비(妃)가 됨으로써 세력을 장악함.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지내고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종의 묘정에 배향됨.
1003~106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이자영(李自英)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건공장군(建功將軍) 이주(李湊)의 아들이며, 일재(一齋) 이항(李恒)의 아버지로, 의영고 주부(義盈庫主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자하(李自夏)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생원 이찬(李璨)의 아들이며, 사헌부 헌납(司憲府獻納) 이치(李致)의 아버지로, 적성 현감(積城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이자현(李資玄)
고려 선종(宣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인주(仁州). 과거에 급제하여 대악서 승(大樂署丞)이 되었으나, 관직을 버리고 춘천(春川)의 청평산(淸平山)에 들어가 아버지가 세웠던 보현원(普賢院)을 문수원(文殊院)이라 고치고 평생을 수도생활로 일관함.
1061~1125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춘천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이자화(李子華)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첨의정승(僉議政丞)을 지낸 이혼(李混)의 아우로, 선부 전서(選部典書)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자화(李自華)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호조 판서(戶曹判書) 이자견(李自堅)과 좌참찬(左參贊) 이자건(李自健)의 아우로, 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작(李碏)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의 증손이며, 봉성군(蓬城君) 이항(李恒)의 아들이고 언보(彦輔) 이경충(李景忠)의 아버지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작(李綽)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광해군에게 인목왕후(仁穆王后)를 폐비하는 것이 부당함을 논함. 명성도정(明城都正)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잠(李潛)@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 진사 이식(李埴)의 맏아들이며,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이복형.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이잠(李潛)@조선후기
조선 후기의 종친. 영양군(永陽君) 이거(李岠)의 손자로, 능해군(綾海君) 구성(具宬)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잡(李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1578년(선조 11)에 오운(吳澐)ㆍ박유(朴愈) 등과 함께 고을을 잘 다스리지 못하고 행실이 바르지 못하다 하여 탄핵당함. 송인(宋寅)의 《이암유고(頤庵遺稿)》에 그와 관련한 글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장(李場)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 대한 자사(字辭)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장(李璋)@이익번의아들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익번(李益蕃)의 아들로, 호조 정랑(戶曹正郞) 등을 지냄. 중종 때 동래(東萊)에 유배되었다가 명종 때 정언(正言)으로 소환되는 도중 병으로 죽음.
1510~155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장(李璋)@이효원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증손인 석보정(石保正) 이복생(李福生)의 증손이며, 함라수(咸羅守) 이효원(李孝元)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장(李萇)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간성(杆城). 주을온 병마 만호(朱乙溫兵馬萬戶)을 지낸 이효강(李孝綱)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안변 , 인명>문사>유학
-
이장경(李長卿)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가평(加平). 이철근(李鐵根)의 아들이며, 장령(掌令) 이이(李頤)의 아버지. 음서(蔭敍)로 벼슬하여 안음 현감(安陰縣監) 등을 지냄.
1472~153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가평 , 인명>관인>문신
-
이장경(李長庚)
고려 후기의 향리. 성주이씨(星州李氏)의 중시조(中始祖)로, 다섯 아들이 모두 동시대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명성을 떨침. 후에 경산부원군(京山府院君)에 추봉(追封)되었으며, 원(元) 나라 황제로부터 농서군공(隴西郡公)에 추봉됨.
1214~?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이장곤(李長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중종 때 창성(昌城)에 침입한 야인(野人)을 격파하고 우찬성(右贊成)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처형을 반대하다가 삭탈관직됨.
1474~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ㅣ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이장길(李長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이장곤(李長坤)의 형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스승의 가르침을 배반하고 권신을 추종하여 악정(惡政)을 자행했으며, 심정(沈貞)의 심복이 되었다가 그의 몰락과 함께 고향으로 쫓겨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장림(李長林)
조선 전기의 유학. 임운(林芸)과 교유했는데, 임운이 그에게 정관(程冠)을 받고 지어준 시가 《첨모당집(瞻慕堂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장손(李長孫)@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화기제조 공장(工匠). 군기시(軍器寺)에 소속된 화포장(火砲匠)으로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라는 포탄을 만들어 공을 세움.
한국>조선후기 , 인명>기술인>장인
-
이장손(李長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종친. 정종(定宗)의 5세손이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남순민(南舜民)의 장인. 중종 때 여러 종친들과 함께 정종(定宗)의 묘호(廟號)를 정할 것을 상소함.
1456~15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장손(李長孫)@조선전기
조선 예종(睿宗) 때의 종친. 사아(士雅) 성경온(成景溫)의 장인. 1469(예종 1)에 환관(宦官) 최해(崔海)가 원자(元子)가 피우(避寓)하는 곳에 들어왔을 때 이를 저지하다가 오히려 최해에게 봉변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장영(李長榮)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성균관 유생 시절에 관노(館奴)와 소란을 피운 군졸을 구타하였다가 의금부에 하옥됨. 후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사(府使) 등을 지냄.
152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문신
-
이장용(李藏用)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인주(仁州). 원종이 몽고(蒙古)에 입조할 때 수행하고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냈으나, 원종의 손위(遜位)를 권한 일로 면직되어 서인(庶人)이 됨. 경사(經史)ㆍ음양(陰陽)ㆍ의약(醫藥)ㆍ율력(律曆)에 통달함.
1201~127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장원(李長元)
조선 전기의 유학. 고경명(高敬命)과 교유했으며, 고경명이 그를 위해 지은 만사(挽詞)가 《제봉집(霽峯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장윤(李長胤)
조선 전기의 문신. 하양 현감(河陽縣監)을 지냄. 권문해(權文海)와 교유했으며, 권문해가 그를 위해 지은 만사(挽詞)가 《초간집(草澗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재(李宰)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로, 이황(李滉)의 셋째 형인 이의(李漪)의 아들. 1546년(명종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문사>유학
-
이재(李材)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 남경병부 상서(南京兵部尚書)를 지냈으며, 육구연(陸九淵)의 학문을 깊이 연구함.
1518~1599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재(李栽)
조선 효종(孝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재령(載寧). 주리론(主理論)으로 영남학파를 이끈 성리학의 대가로 많은 문인을 배출했으며, 저서로 《성유록(聖喩錄)》ㆍ《금수기문(錦水記聞)》ㆍ《주서강록간보(朱書講錄刊補)》 등이 있음.
1657~173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이귀정(李貴丁)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증손으로, 신종군(新宗君) 이효백(李孝伯)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귀지(李貴枝)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사재감 정(司宰監正)을 지낸 이희백(李希伯)의 아버지로, 풍저창 직장(豐儲倉直長)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이규(李揆)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의 아들. 우대언(右代言)ㆍ첨의 참리(僉議參理) 등을 지내고, 충혜왕의 묘정(廟廷)에 배향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규(李珪)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5세손이며, 함라수(咸羅守) 이효원(李孝元)의 첫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규(李逵)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경(李庚)의 아들로, 시와 글씨에 능하고, 제용감 정(濟用監正) 등을 지냄.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투옥되었다가 이듬해에 풀려나 고향에서 죽음.
1454~150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이규보(李奎報)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여주(驪州). 최씨무인정권(崔氏武人政權)의 대표적 문인으로, 《백운소설(白雲小說)》ㆍ《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ㆍ〈동명왕편(東明王篇)〉 등 많은 작품과 저서를 남김.
1168~124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균(李勻)@조선전기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철성(鐵城). 청도 군수(淸道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이균(李勻)@김의정의사위
조선 전기의 문신. 잠암(潛庵) 김의정(金義貞)의 둘째 사위로, 여강군(驪江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이균(李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선장(李善長)의 아버지로, 1477년(성종 8)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 등을 지냄.
145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이균(李鈞)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이발(李渤)의 아버지로,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 등을 지냄.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