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극감(李克堪)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세조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고, 형조 판서 등을 지냄. 신숙주(申叔舟)와 함께 《국조보감(國朝寶鑑)》ㆍ《북정록(北征錄)》 등을 편찬함.
1427~146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극강(李克綱)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운산군(雲山君) 이계(李誡)의 증손. 1564년(명종 19)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 등을 지냄.
1534~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극견(李克堅)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장단 부사(長湍府使)를 지낸 이반(李攀)의 아버지로,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극균(李克均)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좌의정(左議政) 등을 역임하였으며, 연산군의 황음(荒淫)을 바로잡으려다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된 후 사사됨.
1437~150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극기(李克基)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고원 군수(高原郡守)를 지낸 이은(李誾)의 아버지로, 성리학(性理學)에 정통하였으며 공조 참판(工曹參判) 등을 지냄.
?~148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극돈(李克墩)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성종(成宗)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훈구파(勳舊派)의 거물로서 무오사화(戊午士禍)를 일으켜 사림파(士林派)의 많은 학자들을 제거함.
1435~150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극명(李克明)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함평(咸平). 함성군(咸城君) 이종생(李從生)의 아버지로, 호분위 호군(虎賁衛護軍)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무신
-
이극문(李克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낸 이희보(李希輔)의 아버지로,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 등을 지냄.
?~1528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이극배(李克培)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세조(世祖)와 성종(成宗)의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 및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우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임명되자 노병으로 사양함.
1422~149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극영(李克榮)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여흥(驪興). 통례원 봉례(通禮院奉禮)를 지낸 이난(李蘭)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이극인(李克仁)@조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사옹원 정(司饔院正) 이옹(李雍)의 아버지로, 승사랑(承仕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이극인(李克仁)@고려
고려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무신. 본관은 영천(永川). 김취려(金就勵)의 휘하에서 거란(契丹)의 침입을 방어함. 대장군(大將軍)으로서 상장군 최유공(崔愈恭) 등과 함께 최우(崔瑀)를 죽이려다 실패하고 죽임을 당함.
?~122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무신
-
이극증(李克增)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익대공신(翊戴功臣)과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역임함.
1431~149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근(李瑾)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로, 이이(李珥)의 문인.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근성(李謹成)
조선 전기의 문신. 직장(直長)을 지내고, 조위한(趙緯韓)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이금(李嶔)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고성(固城). 교리(校理)를 지낸 이부(李阜)의 아버지로, 사과(司果)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무신
-
이금(李錦)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의 두 번째 서자인 해안군(海安君) 이희(李㟓)의 다섯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금산(李金山)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손자이며, 복성정(福城正) 이영(李穎)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금손(李金孫)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현손(玄孫)이며, 석보정(石保正) 이복생(李福生)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금정(李金丁)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넷째 서자인 선성군(宣城君) 이무생(李茂生)의 아들이며, 하양군(河陽君) 이옥형(李玉荊)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급(李及)
고려 후기의 문신. 경학(經學)에 밝고 행정(行政)에 능하였으며 충원판관(忠原判官)을 역임함. 이숭인(李崇仁)의 《도은집(陶隱集)》에 그에 대한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이급(李汲)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담양 부사(潭陽府使) 이중호(李仲虎)의 아들로, 정읍 현감(井邑縣監) 등을 지냄. 기축옥사(己丑獄事)에 연루되어 아우인 이발(李潑)ㆍ이길(李洁)과 함께 장살(杖殺)당함.
1537~158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긍익(李肯翊)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학자. 본관은 전주(全州)로, 이광사(李匡師)의 아들. 가학(家學)을 따라 양명학(陽明學)을 익혔으며, 저서로 《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이 있음.
1736~180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이기(李圻)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우봉(牛峰).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를 지낸 이승건(李承健)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관인>문신
-
이기(李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지란(李之蘭)의 아들로,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22~160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이기(李巙)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수장(李壽長)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명종 때 진헌사(進獻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93~154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이기(李琦)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5세손이며, 함라수(咸羅守) 이효원(李孝元)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기(李祺)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영해군(寧海君) 이당(李塘)의 손자. 기묘명현(己卯名賢) 중 한 사람으로, 조광조(趙光祖)와 도의(道義)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기(李耆)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손자이자, 운성군(雲城君) 이수철(李壽鐵)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세자인 광해군(光海君)을 호종한 공으로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이기(李芑)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의무(李宜茂)의 아들로, 명종 때 윤원형(尹元衡) 등 소윤(小尹) 일파와 손잡고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킴. 보익공신(輔翼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476~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기(李麒)
조선 후기의 종친. 형조 참판(刑曹參判) 박민헌(朴民獻)의 서녀(庶女)를 첩으로 맞이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기경(李基敬)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익렬(李翊烈)의 아들로, 참판(參判) 등을 지냄. 정조를 배척한 홍지해(洪趾海) 집안과 친밀하다 하여 죄안(罪案)에 올랐다가 아들 이덕감(李德鑑)의 호소로 인해 삭제됨.
171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기남(李期男)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성(安城). 1568년(선조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천안 군수(天安郡守)ㆍ부윤(府尹) 등을 지내고, 조헌(趙憲)ㆍ정철(鄭澈) 등과 교유함.
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기옥(李璣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의(全義). 김우옹(金宇顒)ㆍ정구(鄭逑)의 문인으로, 공릉 참봉(恭陵參奉) 등을 지내고, 장현광(張顯光)ㆍ김부륜(金富倫) 등과 교유를 맺고 학문을 강마함.
1566~16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기종(李起宗)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홍주(洪州). 이서(李舒)의 아버지로, 연경궁제학(延慶宮提學) 등을 지냄. 홍양부원군(洪陽府院君)에 봉해짐으로써 이때부터 홍주를 관향으로 삼은 홍주이씨(洪州李氏)의 세계(世系)가 이어짐.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이기준(李耆俊)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청강(淸江) 이제신(李齊臣)의 첫째 아들. 1580년(선조 1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문원 부정자(承文院副正字) 등을 지냄.
1555~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기하(李基夏)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한산(韓山). 어영 대장(御營大將) 이여발(李汝發)의 아들이자 이사윤(李思胤)의 아버지. 훈련 대장(訓鍊大將) 등을 지내고, 숙종대 20여 년간 군대를 지휘함.
1646~171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무신
-
이기호발(理氣互發)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에 입각하여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을 각각 이(理)와 기(氣)의 발현으로 구분하는 이황(李滉)의 학설.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에 입각한 기대승(奇大升)과 8년간에 걸친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을 이룸.
한국>조선전기 , 사상>이론>학설
-
이기홍(李箕洪)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풍산군(豐山君) 이종린(李宗麟)의 후손이며, 송준길(宋浚吉)ㆍ송시열(宋時烈)의 문인. 사포서 별검(司圃署別檢)ㆍ집의(執義) 등을 지내고, 만년에 낙향하여 권상하(權尙夏)와 함께 경전(經傳)을 강론하였으며, 《정암집(靜庵集)》의 편찬에 참여함.
1641~170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연풍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이길(李佶)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翼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단천부정(丹川副正) 이수곤(李壽鵾)의 첫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길(李洁)@이영춘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종친ㆍ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4대손이며, 음성 현감(陰城縣監) 이영춘(李榮春)의 아버지로, 서부 주부(西部主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이길(李洁)@이중호의아들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담양 부사(潭陽府使) 이중호(李仲虎)의 아들로, 응교(應敎) 등을 지냄. 기축옥사(己丑獄事)에 연루되어 형 이급(李汲)ㆍ이발(李潑)과 함께 장살(杖殺)당함.
1547~15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이길권(李吉卷)
고려 전기의 무신. 용인이씨(龍仁李氏)의 시조. 고려 태조(太祖)를 도와 삼한통일(三韓統一)에 공을 세우고, 태조의 여동생과 혼인하여 고려조의 첫 부마가 되었다고 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이길보(李吉甫)@당
중국 당(唐) 나라 대종(代宗)~헌종(憲宗) 때의 문신ㆍ재상. 아들 이덕유(李德裕)와 함께 우승유(牛僧孺)ㆍ이종민(李宗閔)의 당(黨)과 대립함. 저서에 《원화군현도지(元和郡縣圖志)》 등이 있음.
758~814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길보(李吉甫)@조선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이우보(李祐甫)의 형으로, 문과(文科)에 세 번이나 급제하였으며, 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이길상(李吉商)
고려 후기의 유학. 이색(李穡)과 교유하였으며, 이색의 《목은시고(牧隱詩稿)》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이길상(李吉祥)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우정언(右正言)을 지낸 이존오(李存吾)의 아버지로, 사재시 승(司宰寺丞)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길안(李吉安)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전주 부윤(全州府尹)을 지낸 이감(李堪)의 아버지로, 호조 참판(戶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이나(李那)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완산(完山). 이보(李保)의 아들로, 지삼기현사(知三岐縣事)를 지냄. 길재(吉再)의 《야은집(冶隱集》에 그에게 차운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나해(李那海)
고려 충숙왕(忠肅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충숙왕이 원(元) 나라에 있을 때 시종한 공으로 일등공신(一等功臣)이 됨. 원 나라에서 직서사인(直書舍人)을 지내고, 귀국해서는 첨의평리(僉議評理) 등을 지냄.
?~134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난(李瀾)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두 번째 서자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여섯째 아들로, 방산수(方山守)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난(李蘭)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이극영(李克榮)의 아들로, 천안 군수(天安郡守)ㆍ통례원 봉례(通禮院奉禮)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이날(李㻋)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재령(載寧)으로,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를 지낸 이맹현(李孟賢)의 아들. 직장(直長) 등을 지내고, 사재(思齋) 김정국(金正國)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옥천 , 인명>관인>문신
-
이남(李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를 지낸 이극견(李克堅)의 아들로, 참판(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이납(李蒳)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이자 서원군(瑞原君) 이친(李𡩁)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녕(李寗)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이해(李瀣)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조카로, 이교(李㝯)ㆍ이치(李寘)ㆍ이혜(李寭)의 형. 지례 현감(知禮縣監) 등을 지내고, 초서(草書)와 예서(隸書)에 능함.
1527~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이녕(李濘)
조선 후기의 종친. 1592년(선조 25)에 임해군(臨海君)과 순화군(順和君)이 왜적(倭賊)에게 잡혔을 때 선전관(宣傳官) 김극성(金克惺)과 함께 은(銀)과 명주 등을 가져옴.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녕(李寧)@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넷째 아들이며, 군자감 주부(軍資監主簿) 김중행(金仲行)의 사위.
1418~14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녕(李寧)@명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부총병(副摠兵)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이여송(李如松)ㆍ조승훈(祖承訓) 등과 함께 조선에 와서 거창(居昌)ㆍ평양(平壤) 등지에서 전투를 벌임.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이노(李櫓)
조선 명종(明宗) 때의 종친ㆍ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현손이자 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를 지낸 이대(李薱)의 아들로, 이천 현감(伊川縣監) 등을 지냄.
1509~156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이노(李輅)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양녕대군(讓寧大君)의 6대손이며 교하 현감(交河縣監) 이원우(李元友)의 아들. 1567년(선조 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돈녕부 판사(敦寧府判事) 등을 지냄.
1536~161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노(李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조종도(趙宗道)와 함께 창의(倡義)하고 김성일(金誠一)의 종사관(從事官)으로도 활약함. 정언(正言) 등을 지냄.
1544~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이단하(李端夏)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택당(澤堂) 이식(李植)의 아들로,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에 이름.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가운데 경학(經學)을 대표할 만한 인물로, 저서에 《선묘보감(宣廟寶鑑)》ㆍ《외재집(畏齋集)》 등이 있음.
1625~168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지평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달(李達)@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이며, 봉림수(鳳林守) 이수인(李守仁)의 맏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달(李達)@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시인. 본관은 신평(新平). 최경창(崔慶昌)ㆍ백광훈(白光勳)과 어울리며 시사(詩社)를 결성하여 ‘삼당시인(三唐詩人)’으로 일컬어짐. 제자 허균(許筠)이 그의 전기(傳記)인 〈손곡산인전(蓀谷山人傳)〉을 지음.
1539~161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문인
-
이달선(李達善)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이형원(李亨元)의 아들로, 장악원 정(掌樂院正)ㆍ지제교(知製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이달정(李達貞)
조선 전기의 종친. 졸곡(卒哭) 후에 창기(娼妓)들과 간음한 죄로 고신(告身)을 빼앗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달정종(伊達政宗)
일본 도산시대~강호시대 때의 무신. 어릴 때 천연두로 오른쪽 눈을 실명하였으나, 중장(中將)으로 임진왜란에 참가하여 진주성(晉州城) 함락에 앞장섬. 덕천가강(德川家康)과 깊은 유대를 가짐.
1567~1636 일본>강호시대ㅣ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이달존(李達尊)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이제현(李齊賢)의 아들로, 충혜왕이 원(元) 나라에 잡혀갈 때 아버지와 함께 배종하였다가, 충혜왕이 복위하자 전리 총랑(典理摠郞)이 되어 이듬해 귀국하던 도중 병사함. 문장이 뛰어남.
1313~134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달충(李達衷)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천(李蒨)의 아들로, 유학(儒學)에 정통함.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낼 때 공석에서 신돈(辛旽)을 비판하여 파면되었다가 신돈이 실각한 후 계림부윤(鷄林府尹)으로 복직함.
1309~138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담(李倓)
조선 후기의 종친.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祺)의 아들이며 영산부령(寧山副令) 이예윤(李禮胤)의 아버지로, 평해부수(平海副守)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담(李橝)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해수(李海壽)의 증손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門人)으로, 석곡(石谷)의 옥사에 연루되어 삼수(三水)에 유배되었다가 풀려났으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담(李湛)@1510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용인(龍仁).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양산(梁山)에 부처(付處)되었다가 복직된 후 충청도 관찰사 등을 지냄. 성리학자로서 의약ㆍ천문ㆍ산수ㆍ궁술ㆍ서화에도 능함.
1510~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담(李湛)@고려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기거주(起居注)와 우대언(右代言)을 역임하였으며, 동지공거(同知貢擧)를 맡아 송천봉(宋天鳳) 등을 선발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이담(李湛)@1488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사천(泗川). 구암(龜巖) 이정(李楨)의 아버지로, 호조 참판(戶曹參判)에 추증됨.
1488~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사천 , 인명>문사>유학
-
이담룡(李耼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 1570년(선조 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능성 현감(綾城縣監) 등을 지내고, 권문해(權文海)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이담지(李湛之)
고려 명종(明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중국 금(金)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토적병마서기(討賊兵馬書記) 등을 지냄. 조통(趙通)ㆍ이인로(李仁老) 등과 벗하여 해좌칠현(海左七賢)으로 불리고, 즉흥적으로 써내려가는 한시 창작법인 주필(走筆)의 창시자로 알려짐.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당(李唐)
고려 후기의 향리. 본관은 광주(廣州). 이집(李集)의 아버지로, 광주 향리(廣州鄕吏)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아전
-
이당(李譡)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당(李𧭢)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셋째 아들.
?~151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당자(李唐咨)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석홍경(石洪慶)ㆍ임이간(林易簡) 등과 함께 월단평(月旦評)으로 추중을 받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이대(李薱)
조선 전기의 종친ㆍ문신.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현손이며 여양군(呂陽君) 이자겸(李子謙)의 아들로, 용강 현령(龍岡縣令)ㆍ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 등을 지냄.
1488~154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이대건(李大建)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낸 이시발(李時發)의 아버지로, 1573년(선조 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나 27세로 요절함.
1550~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이대기(李大期)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전치원(全致遠) 등과 정인홍(鄭仁弘)의 휘하에서 공을 세웠으며, 청풍 군수(淸風郡守)ㆍ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지냄. 초계(草溪)의 청계서원(淸溪書院)에 배향됨.
1551~162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이대령(李大齡)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 이성익(李星益)의 아들로, 권상하(權尙夏)에게 아버지의 저술을 보내 산정(刪定)을 부탁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이대신(李大伸)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기성(杞城). 1537년(중종 32) 식년시(式年試)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청주 목사(淸州牧使)ㆍ평안도 절도사(平安道節度使)를 지냄. 이제신(李濟臣)의 《청강집(淸江集)》에 묘지명이 전함.
1510~157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이대영(李大榮)
고려 후기의 무신. 영천이씨(永川李氏)의 중시조(中始祖)로, 신호위 대장군(神虎衛大將軍)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무신
-
이대원전(李大源傳)
조선 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안방준(安邦俊)이 지은 전기(傳記). 1587년(선조 20) 왜구가 침입했을 때 전사한 녹도 만호(鹿島萬戶) 이대원(李大源)의 절의를 기려 입전함.
1587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이대위(李大▼(由/己))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1570년(선조 3) 생원시에 입격하여 사옹원 참봉(司饔院參奉)을 지냈으나, 이후 더 이상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 주력함. 남원(南原)의 영천서원(寧川書院)에 배향됨.
1540~160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덕감(李德鑑)
조선 정조(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로, 이기경(李基敬)의 아들. 이기경이 정조의 즉위를 반대했던 홍지해(洪趾海) 집안과 친밀하다 하여 죄안(罪案)에 올랐을 때 상언(上言)하여 죄명을 씻게 함.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이덕근(李德根)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의령 현감(宜寧縣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김일손(金馹孫)의 《탁영집(濯纓集)》 〈금란계록(金蘭契錄)〉에 이름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덕량(李德良)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조카사위.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대사헌(大司憲)ㆍ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냄.
1435~148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이덕림(李德林)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전리 총랑(典理摠郞)을 지낸 이달존(李達尊)의 아들로, 여흥 군사(驪興郡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덕무(李德懋)
조선 정조(正祖) 때의 실학자. 서얼 출신으로, 박제가(朴齊家)ㆍ유득공(柳得恭)ㆍ이서구(李書九) 등과 함께 《건연집(巾衍集)》이라는 사가시집(四家詩集)을 내어 문명을 떨침. 명(明)과 청(淸) 나라의 학문과 고증학적 방법론에 관심을 가져 실질적으로는 북학을 함.
1741~17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이덕배(李德培)
조선 헌종(憲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고려 후기의 문신인 이달충(李達衷)의 후손으로, 그의 《제정집(霽亭集)》을 중간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덕부(李德符)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성(安城). 충주 목사(忠州牧使) 성호선(成好善)의 장인으로, 사직(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안성 , 인명>관인>문신
-
이덕수(李德壽)
조선 후기의 종친. 부안군(扶安君) 이석수(李碩壽)와 함께 임진왜란 때 훼손된 선릉(宣陵)ㆍ정릉(靖陵)을 봉심(奉審)하는 데 참여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덕숭(李德崇)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형조 참의(刑曹參議)를 지낸 이신효(李愼孝)의 아들로, 1462년(세조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관찰사(觀察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덕언(李德言)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으로, 석성 현감(石城縣監)ㆍ함흥 판관(咸興判官) 등을 지냄.
1571~163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이덕연(李德淵)
조선 전기의 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이종준(李宗準)의 아들이며 이윤검(李胤儉)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벼슬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