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덕열(李德悅)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준경(李浚慶)의 아들로, 이유경(李有慶)에게 출계(出系)함. 승지(承旨)를 지냈으며, 저서로 임진왜란 중에 작성한 《양호당일기(養浩堂日記)》가 있음.
1534~159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덕유(李德裕)
중국 당(唐) 나라 목종(穆宗)~무종(武宗) 때의 문신. 아버지 이길보(李吉甫)와 함께 당을 결성하여 우승유(牛僧孺)ㆍ이종민(李宗閔)의 당파와 40여 년간 '우이당쟁(牛李黨爭)'을 벌임. 위구르 등 외족의 격퇴를 통해 중앙집권 강화를 도모하고, 폐불(廢佛)을 단행함.
787~84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덕윤(李德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좌찬성(左贊成) 이파(李坡)의 아들이며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이청(李淸)의 아버지. 상서원 부직장(尙瑞院副直長) 등을 지냈으며, 병조 참판 겸 동지의금부사(兵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이덕응(李德應)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윤임(尹任)의 사위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안세우(安世愚) 등의 무고를 받아 이휘(李煇)ㆍ이염(李爓)과 함께 효수(梟首)됨.
?~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덕익(李德益)
조선 전기의 유학. 이이(李珥)ㆍ홍가신(洪可臣)ㆍ이우(李瑀)ㆍ구사민(具思閔)ㆍ노국형(盧國亨) 등과 팔현회(八賢會)를 조직하여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덕형(李德泂)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후손. 한성 판윤(漢城判尹)ㆍ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내고, 저서로 《송도기이(松都記異)》 등이 있음.
1566~164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이덕형(李德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과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직되었으며, 남인(南人)과 북인(北人)의 중간 노선을 지키다가 남인에 가담함. 이항복(李恒福)과 절친한 사이였으며, 포천 용연서원(龍淵書院)에 배향됨.
1561~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덕홍(李德弘)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천(永川). 이충량(李忠樑)의 아들로,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영춘 현감(永春縣監) 등을 지냄.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세자를 따라 성천(成川)까지 호종함.
1541~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도(李棹)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개국공신. 전의이씨(全義李氏)의 시조. 태조가 견훤(甄萱)을 정벌하기 위해 남하(南下)했을 때 홍수로 범람한 금강(錦江)의 도강책(渡江策)을 주도한 공로로 공신에 책록되고 전산후(全山侯)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충청도>전의ㅣ충청도>공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도(李燾)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벽(李壁)의 아버지로, 수찬(修撰) 등을 지내고, 《속자치통감장편(續資治通鑑長編)》ㆍ《설문해자오음운보(說文解字五音韻譜)》등을 저술하는 등 사학가(史學家)로서 활동이 두드러짐.
1115~118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도남(李圖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적(李迪)의 아들로, 동래 부사(東萊府使)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관직에서 물러난 후 단성(丹城)으로 낙향하여 노모(老母)를 봉양함.
1496~15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관인>문신
-
이도종(李道宗)
중국 당(唐) 나라의 종친. 고조(高祖)의 당질(堂侄)로, 17세부터 태종(太宗) 이세민(李世民)을 도와 많은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며, 태상경(太常卿) 등을 역임함.
600~653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이돈(李惇)
조선 전기의 종친. 의성군(誼城君) 이채(李寀)의 둘째 아들이며 평고부정(平皐副正) 이신(李信)의 아버지로, 잠성정(岑城正)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돈(李敦)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손자이며, 정양군(定陽君) 이순(李淳)의 아들로, 사옹원 제조(司饔院提調)를 역임함.
?~151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돈(李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참봉(參奉) 이원회(李元晦)의 아들이며 이공(李珙)의 문인으로,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지냄.
1568~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문신
-
이돈(李墪)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엄집(嚴緝)과 함께 《송도지(松都誌)》를 증수하고 발문을 씀.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돈우(李敦宇)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상두(李相斗)의 아들로, 이상형(李相衡)에게 출계함. 《철종실록(哲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냈으며, 저서에 《갑고(甲藁)》가 있음.
1801~1884 한국>근대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동(伊洞)
경상도 안동(安東) 천사(川沙)에 있는 고을 이름. 이황(李滉)이 제자인 이덕홍(李德弘)과 함께 자주 갔던 곳.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이동(李仝)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이며 영천군(永川君) 이정(李定)의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동(李侗)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스승. 나종언(羅從彦)에게 수학하고, 정호(程顥)ㆍ정이(程頤) 사상의 정수를 주희에게 전수함.
1093~116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이동양(李東陽)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문인. 40여 년 동안 조정의 요직을 두루 지내고, 성당(盛唐)의 시풍(詩風)을 추구하여 당시(唐詩) 부흥 운동에 선구적인 역할을 함.
1447~1516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동표(李東標)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운익(李雲翼)의 아들로,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화를 당한 박태보(朴泰輔) 등을 신구(伸救)하다가 양양 현감(襄陽縣監)으로 좌천되었으며, 낙향한 후 여러 번 벼슬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1644~17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문신
-
이두(李斗)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사천(泗川). 1528년(중종 23)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이두만(李斗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영천(永川).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 이승손(李承孫)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유학
-
이득분(李得芬)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신호위 대장군(神虎衛大將軍)을 지낸 이대영(李大榮)의 아들로, 전공 판서(典工判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이득성(李得城)
조선 전기의 유학. 황준량(黃俊良)의 《금계집(錦溪集)》에 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득윤(李得胤)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ㆍ음악가. 본관은 경주(慶州). 괴산 군수(槐山郡守) 등을 지내고, 김장생(金長生) 등과 서신으로 역학과 음악을 토론함. 거문고 악보인 《현금동문유기(玄琴東文類記)》를 지음.
1553~163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락연원록(伊洛淵源錄)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주희(朱熹)가 편찬한 책. 14권. 주돈이(周敦頤) 이하 정호(程顥)ㆍ정이(程頤)의 교유 및 그의 제자(弟子) 46인의 언행을 수록함.
1173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이락연원록신증(伊洛淵源錄新增)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양렴(楊廉)이 편찬한 책. 14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이락연원속록(伊洛淵源續錄)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사탁(謝鐸)의 저서. 총 20권. 주자학(朱子學)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이래(李來)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존오(李存吾)의 아들이며 우현보(禹玄寶)의 문인(門人)으로, 제2차 왕자(王子)의 난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역임함.
1362~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래(李徠)
조선 전기의 종친ㆍ문신.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이며,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셋째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이량(李亮)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평창(平昌). 익평(翼平) 이계남(李季男)의 아들로, 1496년(연산군 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47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이량(李樑)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효령대군(孝寧大君)의 5세손이며, 정사룡(鄭士龍)의 문인. 윤원형(尹元衡)을 견제하기 위해 등용되었으나 전횡을 일삼고, 사림(士林)을 숙청하려던 계획이 발각되어 강계(江界)로 유배된 후 죽음.
1519~156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량(李良)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함풍(咸豐). 함성군(咸城君) 이종생(李從生)의 아들로, 충청도 수군절도사(忠淸道水軍節度使)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무신
-
이량(李諒)
고려 후기의 문신.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최선(崔詵)의 장인으로, 중서 사인(中書舍人)을 지냄.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최선을 대신해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제문(祭文)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려(李膂)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사사(賜死)된 이주(李胄)의 아우로,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역임함.
1484~151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이련(李連)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이며, 봉림수(鳳林守) 이수인(李守仁)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령(李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이인형(李仁亨)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1519년(중종 14)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여 전적(典籍)이 되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출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이령(李苓)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덕수(德水)로, 이의무(李宜茂)의 넷째 아들. 1510년(중종 5) 식년시(式年試)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평해 군수(平海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이령(李領)
조선 전기의 처사(處士). 과거(科擧)에 실패한 뒤 전국을 돌며 산수(山水)를 유람하고 고승(高僧)을 찾아다니다 청주(淸州)의 파관산(葩串山)에 거주함.
151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문사>유학
-
이류(李瑠)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형인 월산대군(月山大君) 이정(李婷)의 손자로, 성종의 첫 번째 서자인 계성군(桂城君) 이순(李恂)에게 출계함. 윤임(尹任)이 명종(明宗) 대신 왕으로 추대하려 했다는 혐의를 받아 거열형(車裂刑)을 당하였으나 선조(宣祖) 때 신원됨.
?~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류(李鎦)
조선 후기의 문신. 별좌(別坐)를 지냈으며, 《송강집(松江集)》에 정철(鄭澈)이 성혼(成渾)에게 보내는 편지를 전달해준 기록이 보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륙(李陸)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지(李墀)의 아들로, 《성종실록(成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1438~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이륜(李倫)@조선후기
조선 후기의 종친. 장천정(長川正) 이수효(李壽㹲)의 아들이며 이응복(李應福)의 아버지로, 양성군(陽城君)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륜(李倫)@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이며, 규보(奎甫) 박종문(朴宗文)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륜(李崙)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우봉(牛峯). 승문원 박사(承文院博士)를 지낸 이응원(李應元)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우봉 , 인명>문사>유학
-
이리(李利)
조선 세종(世宗) 때의 종친. 삭녕 군수(朔寧郡守)를 지낸 양치(梁治)의 장인으로, 세종 때 곧바로 회시(會試)에 나아가기 위해 병을 빙자해 한성시(漢城試)에 나아가지 않았다가 추국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린(李潾)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두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린(李磷)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천휴당(天休堂) 이몽규(李夢奎)의 아버지로 흥녕부정(興寧副正)에 봉해짐.
?~154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린(李遴)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익산 군수(益山郡守) 이순증(李順曾)의 아들이며 오위장(五衛將) 이선(李選)의 형. 1549년(명종 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이린(李鏻)
조선 전기의 종친.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이초(李岹)의 둘째 아들이자 선조(宣祖)의 형으로, 중종(中宗)의 세 번째 서자인 금원군(錦原君)에게 출계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통천(通川)에서 죽음.
1546~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림(李霖)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이세응(李世應)의 아들로, 중종 때 진위사(進慰使)로 중국에 다녀오고 병조 참의를 역임하였으나, 명종 때 윤원형(尹元衡) 일파의 모함을 받아 의주(義州)로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사사(賜死)됨.
?~154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이립(李岦)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대의 문신. 진보 현감(眞寶縣監)을 지내고, 이춘영(李春英) 등과 교유함. 이춘영을 방문했다가 헤어질 때 주고받은 시가 《체소집(體素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립(李立)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하음(河陰). 1513년(중종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인명>문사>유학
-
이만각(李晩慤)
조선 고종(高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보(眞寶)로, 정재(定齋) 유치명(柳致明)의 조카. 경학연구 및 후진양성에 진력하였으며, 저서로 《신암문집(愼庵文集)》이 있음.
1815~187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문사>학자
-
이만간(李萬幹)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 이인전(李仁全)의 아버지로, 헌납(獻納)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만년(李萬年)
조선 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증손인 연산수(連山守) 이사창(李嗣昌)의 넷째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파산(坡山)에서 죽음.
?~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만도(李晩燾)
조선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ㆍ독립운동가. 을미사변(乙未事變) 때 예안(禮安)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하였으나, 조선이 일제(日帝)에 의해 병탄(倂呑)되자 단식(斷食)하던 중 순국함.
1842~1910 한국>근대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만부(李萬敷)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연안(延安).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이옥(李沃)의 아들로, 북청(北靑)에 유배된 아버지를 모시면서 벼슬을 단념하고 학문연구에 진력함.
1664~173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학자
-
이만성(李晩成)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우봉(牛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학문과 정치에 밝았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영암(靈巖)의 죽정서원(竹亭書院)에 제향됨.
1659~172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관인>문신
-
이만수(李萬壽)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종친(宗親)인 숭선군(嵩善君) 이총(李𤄓)의 서자로, 괴산령(槐山令)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만실(李蔓實)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대사헌(大司憲) 이승직(李繩直)의 아버지로,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만영(李萬榮)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으로, 이석(李碩)의 아들.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을 지냈으며, 문장(文章)과 행의(行誼)로 유명하여 《함평선행록(咸平善行錄)》에 행적이 올라 있음.
1510~154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문신
-
이만주(李滿住)
중국 명(明) 나라 선종(宣宗) 때 여진(女眞)의 추장(酋長). 명 나라에 조공(朝貢)을 바쳐 도지휘첨사(都指揮僉使)가 되었으나, 조선 세조(世祖) 때 강순(康純) 등이 명과 협공하여 여진족을 토벌할 때 피살됨.
?~1467 중국>명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이만창(李晩昌)
조선 숙종(肅宗) 때의 유학. 본관은 우봉(牛峯). 숙종~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재(李縡)의 아버지로, 1675년(숙종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65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이말숙(李末叔)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세종(世宗)의 증손이며 길안도정(吉安都正) 이의(李義)의 아들. 1521년(중종 16)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형(兄) 이정숙(李正叔)과 함께 유배됨.
1507~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말정(李末丁)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백겸(李伯謙)의 아들. 예빈시 소윤(禮賓寺少尹) 등을 지내고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에 추증되었으며, 문장(文章)에 능했음.
1395~14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이말정(李末貞)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이철균(李鐵均)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이매(李勱)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이해수(李海壽)의 아들로, 봉사(奉事)를 지냄.
?~159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이맹사(李孟思)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개성 유수(開城留守)를 지낸 이수동(李壽童)의 아버지로, 한림(翰林)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맹우(李孟友)
조선 전기의 공신ㆍ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광국공신(光國功臣) 홍성민(洪聖民)의 외조부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자산 군수(慈山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맹원(李孟元)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이몽필(李夢弼)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이맹전(李孟全)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거제도(巨濟島)로 귀양 온 이행(李荇)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제 , 인명>문사>유학
-
이맹전(李孟專)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계유정난(癸酉靖難)이 일어나자 고향인 선산(善山)으로 내려가 평생 두문불출하며 단종에 대한 절개를 지킴.
1392~14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이맹종(李孟宗)
조선 전기의 종친. 태조(太祖)의 넷째 아들인 회안대군(懷安大君) 이방간(李芳幹)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맹지(李孟知)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으로, 장령(掌令) 이겸(李謙)의 아버지.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이맹진(李孟畛)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색(李穡)의 손자로,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 등을 지냄. 아들 이유기(李裕基)가 단종복위운동에 가담하였다가 죽고 일가족이 노비가 되나, 세조의 특명으로 부자연좌(父子緣坐)에서 풀려남.
1374~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이맹현(李孟賢)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재령(載寧). 울진 현령(蔚珍縣令) 이애(李璦)ㆍ직장(直長) 이날(李㻋)의 아버지로,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등을 지내고, 1464년(세조 10) 수찬낭관(修撰郞官)으로 《동국통감(東國通鑑)》편수에 참여함.
1436~148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면(李勉)@조선후기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이해수(李海壽)의 종자(從子).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이면(李勉)@조선전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이진효(李震孝)의 아들로, 1513년(중종8년)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이면도(李勉道)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이황(李滉)의 종인(宗人)으로, 《퇴계집(退溪集)》에 그의 방문을 기뻐하여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이명(李蓂)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이보간(李輔幹)의 아들로, 권신(權臣) 이기(李芑)를 탄핵하고,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화를 입은 사람들의 신원(伸寃)을 주장함. 좌의정 등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96~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이명(李銘)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남양도호부사(南陽都護府使)를 지낸 이경충(李景忠)의 아들로,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냄.
152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명귀(李明龜)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5세손으로, 신여주(申汝柱)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명규(李名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순(李峋)의 아들로, 두 차례 명(明)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지냄. 행서와 초서에 능함.
1497~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이명린(李命麟)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덕양군(德陽君)의 두 번째 서자이며, 풍성수(豐城守) 이희린(李希麟)의 동생.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명민(李命敏)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대사헌(大司憲) 이승직(李繩直)의 아들로, 안악 군수(安岳郡守) 등을 지냈으나,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수양대군(首陽大君) 일파에게 살해됨.
?~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명생(李命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과 교유하였으며, 첨정(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명숭(李命崇)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원효(李元孝)의 아들로, 통신부사(通信副使)가 되어 일본(日本)에 다녀왔으며, 부제학(副提學) 등을 역임함.
?~148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명신(李明晨)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양(李揚)의 아들로, 판홍주목사(判洪州牧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선정(善政)을 베풀어 명관(名官)으로 칭송되었고, 《세조실록(世祖實錄)》에 그의 졸기(卒記)가 실려 있음.
1392~145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이명윤(李明胤)
조선 전기의 종친.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祺)의 손자로, 능성부령(綾城副令)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명준(李命俊)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청강(淸江) 이제신(李濟臣)의 아들. 광해군(光海君) 때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을 거쳐 복직되어 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1572~163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명한(李明漢)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월사(月沙) 이정귀(李廷龜)의 아들로, 대제학(大提學)ㆍ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이괄(李适)의 난 때 왕을 호종하고, 척화파(斥和派)로 심양(瀋陽)에 억류되기도 함. 저서로 《백주집(白洲集)》 등이 있음.
1595~16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명호(李明怙)
조선 후기의 유학. 조종도(趙宗道)와 교유하였으며, 조종도 '행장(行狀)'에 그의 인물에 대한 평이 보임.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이명홍(李命弘)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영천(永川). 간재(艮齋) 이덕홍(李德弘)의 형으로,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이명효(李明孝)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용인(龍仁). 이성달(李成達)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1525년(중종 20)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이모(李瑁)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의 열여덟째 아들. 무혜비(武惠妃)의 소생으로, 검남절도사(劍南節度使) 등을 지냈으나, 자신의 비(妃)였던 양귀비(楊貴妃)를 현종에게 빼앗김.
?~77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이모(李耄)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손자이자, 경양도정(景陽都正) 이수환(李壽環)의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목(李牧)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의 무신. 이좌거(李左車)의 할아버지로, 조 나라 사대명장(四大名將) 중의 한 사람. 오랜 기간 북부 변경지대에 주둔하면서 흉노(匈奴)를 방비함.
?~B.C.22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