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목(李穆)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 등과 교유함. 무오사화 때 조의제문(弔義帝文)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되고,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剖棺斬屍)되었다가 중종 때 신원됨.
1471~149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목(李霂)
조선 전기의 종친. 낙안군(樂安君) 이녕(李寧)의 아들로, 청원정(靑原正)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몽(李蒙)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조선 개국 공신인 이백유(李伯由)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이몽가(李蒙哥)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이행(李行)의 아들로,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등을 역임함.
1405~148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몽규(李夢奎)
조선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이인신(李仁臣)의 아들로, 종실이었던 이모부 흥녕부정(興寧副正) 이린(李磷)에게 출계함. 사후에 명현(名賢)으로 평가받아 대사헌(大司憲)에 추증되었으며, 이이(李珥)가 지은 행장(行狀)과 김육(金堉)이 지은 전기(傳記)가 있음.
1510~156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이몽량(李夢亮)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명종 때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되고, 대사간(大司諫)으로서 학문에 의거한 도학(道學) 정치를 제창하였으며, 우참찬(右參贊) 등을 역임함.
1499~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몽룡(李夢龍)
조선 전기의 유학. 송인(宋寅)과 교유하였으며, 송인이 그의 상심정(賞心亭)이란 정자를 두고 지은 시가 《이암유고(頤庵遺稿)》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몽무(李夢武)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증손인 의천군(義泉君) 이인(李仁)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몽문(李夢文)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증손인 의천군(義泉君) 이인(李仁)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몽양(李夢陽)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문인. 진(秦)ㆍ한(漢) 시대의 고문과 이백(李白)ㆍ두보(杜甫)의 시를 이상으로 하고 시의 격조를 중시함. 하경명(何景明)ㆍ서정경(徐禎卿) 등과 함께 ‘칠재자(七才子)’ 또는 ‘십재자(十才子)’로 불림.
1473~153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이몽우(李夢禹)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증손인 의천군(義泉君) 이인(李仁)의 맏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몽윤(李夢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예신(李禮臣)의 아들로 평안 도사(平安都事)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몽은(李夢殷)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증손인 의천군(義泉君) 이인(李仁)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몽필(李夢弼)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맹원(李孟元)의 아들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87~156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연산 , 인명>관인>문신
-
이몽학(李夢鶴)
조선 선조(宣祖) 때의 반란자. 본관은 전주(全州). 왕실의 서얼 출신으로 아버지에게 쫓겨나 충청도ㆍ전라도 지방을 전전하다가, 임진왜란(壬辰倭亂)을 틈타서 모속관(募粟官) 한현(韓絢)과 함께 반란을 모의함.
?~159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산ㅣ서울 , 인명>기타인명>역적
-
이무(李懋)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경제(景帝) 때의 문신. 《영락대전(永樂大典)》 등의 편찬에 참가하고 국자 좨주(國子祭酒) 등을 지냄.
1374~1450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무강(李無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소윤(小尹) 일파 이기(李芑)의 사주를 받아 구수담(具壽聃)ㆍ허자(許磁)ㆍ송순(宋純)ㆍ이준경(李浚慶) 등을 모함하여 유배보냈으나 그 일이 발각되자 죄를 받고 유배지에서 죽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이무방(李茂芳)
고려 충목왕(忠穆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양(光陽). 고려 때 주요 관직을 두루 지내고 찬화공신(贊化功臣) 등에 책록됨. 조선 개국 후 조준(趙浚)의 천거로 검교문하시중(檢校門下侍中)을 지냄.
1319~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묵(李黙)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무종(武宗) 때의 문신. 시랑(侍郎) 등을 지냈으나, 엄숭(嚴嵩)과 대립하고 조문화(趙文華)의 모함으로 옥사함. 저서로 《고수부담(孤樹裒談)》ㆍ《군옥루고(群玉樓稿)》등이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문(泥文)
신라 진흥왕(眞興王) 때 가야금 명인. 우륵(于勒)의 제자로, 스승을 따라 가야에서 신라로 망명함. 그가 지은 곡으로 〈오(烏)〉ㆍ〈서(鼠)〉ㆍ〈순(鶉)〉 3곡의 곡명만이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전함.
한국>신라 , 인명>예술인>음악인
-
이문건(李文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성주(星州)에 유배되었다가 죽음.
1494~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문공집(李文公集)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이고(李翺)의 저서. 총 18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이문규(李文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성(眞城).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효행(孝行)으로 천거되어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문량(李文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천(永川).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음직(蔭職)으로 평릉도 찰방(平陵道察訪) 등을 역임하였으며, 이웃에 살던 이황(李滉)과 가깝게 지내며 시를 읊고 학문을 토론함.
1498~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문망(李文望)
조선 후기의 유학. 박순(朴淳)의 외증손으로, 백헌(白軒) 이경석(李景奭)에게 편정을 부탁하고 발문을 받아 《사암집(思菴集)》을 간행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이문비(李文埤)
조선 전기의 유학. 사가(四佳) 서거정(徐居正)과 교유하여 전라도 남원(南原) 축천정(丑川亭)에서 서거정이 베푼 시회에 참여한 일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산 , 인명>문사>유학
-
이문성(李文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 예조 정랑(禮曹正郞)을 지낸 이제신(李濟臣)의 아버지로, 병마사(兵馬使)가 되어 왜구를 물리침.
1503~157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무신
-
이문우(李文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이겸(李謙)의 아들로, 1537년(중종 3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이문윤(李文胤)
조선 후기의 문신. 승지(承旨)를 지냈으며 고종(高宗) 때 금양군(錦陽君)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문제서집람(吏文諸書輯覽)
조선 중종(中宗) 때 편찬된 이어(吏語)와 중국 관제(官制)에 대한 주석서. 김안국(金安國)의 건의로 시작되어 찬집국(纂集局)을 설치하고, 정번(鄭蕃)ㆍ최세진(崔世珍) 등이 편찬에 참여함.
1540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이문좌(李文佐)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일손(金馹孫)ㆍ권오복(權五福) 등과 함께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안협 현감(安峽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문창(李文昌)
조선 전기의 종친. 임당(林塘) 정유길(鄭惟吉)의 외증조부로, 장풍령(長豐令)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문학관(吏文學官)
조선시대 사대교린(事大交隣)에 관한 문서를 맡아보았던 승문원(承文院) 소속의 관리. 1525년(중종 20)에 남곤(南袞)의 건의에 의해 설치됨.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직
-
이문한(李文漢)
고려 전기의 문신. 영천이씨(永川李氏)의 시조로, 평장사(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이문현(李文賢)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종종(中宗) 때의 학자인 이지번(李之蕃)의 아버지로, 현감(縣監)을 지냄.
1452~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문화(李文和)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조선 개국 후 세 차례에 걸쳐 명(明)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의정부 참찬(議政府參贊) 등을 지냄.
1358~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이미(李美)
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이인형(李仁亨)과 이수형(李守亨)의 아버지로, 전적(典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이미(李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의무(李宜茂)의 아들이며, 이행(李荇)의 아우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미수(李眉壽)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열두 번째 아들인 무산군(茂山君) 이종(李悰)의 둘째 아들이고, 이귀수(李龜壽)의 아우이며 민유경(閔有慶)의 외할아버지. 영천군(永川君)에 봉해짐.
1509~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민각(李民覺)@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용재(慵齋) 이종준(李宗準)의 증손이자 이윤검(李胤儉)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이민각(李民覺)@조선후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약빙(李若氷)의 손자로, 임진왜란 때, 전라도에 파견되어 군량미 조달에 공을 세웠으며, 호조 참의(戶曹參議) 등을 지냄.
15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민상(李敏祥)
조선 전기의 유학.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ㆍ호조 판서(戶曹判書)에 추증됨. 김귀영(金貴榮)의 《동원집(東園集)》에 제문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민서(李敏敍)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영의정(領議政) 이경여(李敬輿)의 아들로, 이후여(李厚輿)에게 출계함.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내고, 저서로 《서하집(西河集)》등이 있음.
1633~168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민성(李民宬)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으로, 이광준(李光俊)의 아들. 김성일(金誠一)의 문인으로 1597년(선조 3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ㆍ좌승지(左承旨) 등을 지냄. 저서로 《경정집(敬亭集)》이 있음.
1570~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이민적(李敏迪)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영의정(領議政) 이경여(李敬輿)의 아들로, 숙부인 이정여(李正輿)에게 출계하였고, 이이명(李頤命)의 생부임.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내고, 저서로 《죽서집(竹西集)》이 있음.
1625~167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민채(李敏采)
조선 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영의정(領議政) 이경여(李敬輿)의 아들이자 이이명(李頤命)의 아버지로, 지평(持平)을 지냄.
163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민환(李民寏)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으로, 이광준(李光俊)의 아들. 1600년(선조 3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동래 부사(東萊府使)ㆍ경주 부윤(慶州府尹) 등을 지냄. 저서로 《자암집(紫巖集)》이 있음.
1573~164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이밀(李密)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아버지가 일찍 죽고 어머니가 개가(改嫁)한 탓에 할머니 유씨(劉氏)의 손에서 자랐으며, 무제(武帝) 때 세자 사마(世子洗馬)에 제수되자 할머니의 봉양을 위해 〈진정표(陳情表)〉를 올리고 사양한 일로 유명함.
224~28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박(李樸)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현손이자 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를 지낸 이대(李薱)의 여섯째 아들이며, 이즙(李楫)ㆍ이백(李柏)ㆍ이건(李楗)ㆍ이역(李櫟)ㆍ이노(李櫓)의 아우이고, 이량(李樑)의 형. 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반(李攀)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극견(李克堅)의 아들로, 장단 부사(長湍府使) 등을 지냄. 정사룡(鄭士龍)의 《호음잡고(湖陰雜稿)》에 그의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1460~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반(李槃)
중국 한(漢) 나라 무제(武帝) 때의 문신. 24세손인 철령군(鐵嶺君) 이황(李璜)이 고성이씨(固城李氏)의 시조임.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반룡(李攀龍)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후칠자(後七子)의 한 사람으로, 전칠자(前七子)의 '복고설(復古說)'을 계승하고, 왕세정(王世貞) 등과 함께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제창함.
1514~157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발(李渤)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이균(李鈞)의 아들로, 형인 이섭(李涉)과 함께 백록동(白鹿洞)에 은거하였다가 후에 태자 빈객(太子賓客) 등을 지냄.
773~83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발(李潑)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이중호(李仲虎)의 아들. 동인(東人)의 거두로서 정철(鄭澈)의 처벌문제에 강경파를 이끌어 북인(北人)의 수령이 되었으며, 정여립(鄭汝立)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장살(杖殺)당함.
1544~158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방(李昉)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평장사(平章事) 등을 지내고, 칙명을 받들어 《태평어람(太平御覽)》ㆍ《태평광기(太平廣記)》ㆍ《문원영화(文苑英華)》등을 편수함.
925~99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방자(李方子)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통판진주(通判辰州) 등을 역임하였으며, 탄핵을 당하자 낙향하여 학문을 강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방주(李邦柱)
조선 전기의 유학.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과 교유하였으며, 유희춘이 그에게 준 시가 《미암집(眉巖集)》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방직(李邦直)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서원(西原). 시문(詩文)에 능하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냄. 공민왕(恭愍王)으로부터 자(字)에 대한 어찰(御札)을 받았으며, 이색(李穡)이 지은 자찬(字讚)이 《목은고(牧隱藁))》에 실려 있음.
?~138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이배(李培)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정읍 감무(井邑監務)를 지낸 이자성(李自成)의 아들로, 사의서 승(司議署丞)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이배근(李培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평(富平). 이종식(李宗軾)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선공감 정(繕工監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부평 , 인명>관인>문신
-
이배달(李培達)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ㆍ문신. 숭선군(崇善君) 이총(李𤄓)의 증손으로, 율곡(栗谷) 이이(李珥)와 교유하였으며 군수(郡守)를 지냄.
155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ㅣ인명>관인>문신
-
이백(李白)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시인. 두보(杜甫)와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시선(詩仙)이라 일컬어짐. 수많은 시를 남겼으며, 저서에 《이태백시집(李太白詩集)》이 있음.
701~76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이백(李柏)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현손이자 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를 지낸 이대(李薱)의 둘째 아들이며, 이즙(李楫)의 아우이고, 이건(李楗)ㆍ이역(李櫟)ㆍ이노(李櫓)ㆍ이박(李樸)ㆍ이량(李樑)의 형.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백강(李伯剛)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이거이(李居易)의 아들이며, 태종(太宗)의 부마(駙馬)로,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아버지와 함께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태종의 맏딸인 정순공주(貞順公主)과 혼인함.
1381~145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이백겸(李伯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예조 판서(禮曹判書) 이보정(李補丁)과 예빈시 소윤(禮賓寺少尹) 이말정(李末丁)의 아버지로, 감정(監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이백림(李伯林)
조선 전기의 유학. 1414년(태종 14) 생원시(生員試)에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아버지인 김숙자(金叔滋)와 동년(同年)으로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삼가 , 인명>문사>유학
-
이백유(李伯由)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문인(門人)으로,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정도전(鄭道傳)의 일파로 지목되어 관작과 공신의 칭호를 삭탈당하고 유배되었다가 죽음.
?~139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백윤(李伯胤)
조선 전기의 종친.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증손이자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손자로, 풍림부수(豐林副守)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백지(李百之)
고려 후기의 유학. 가명(可明)이란 자(字)를 짓고 목은(牧隱) 이색(李穡)으로부터 '가명설(可明說)'이라는 자설(字說)을 받은 일이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이번(李燔)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주희가 죽은 후 백록서원(白鹿書院)의 당장(堂長)을 맡아 학문을 성대히 일으켰으며, 황간(黃榦)과 더불어 ‘황이(黃李)’로 일컬어짐.
1163~123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번(李蕃)@1463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여주(驪州). 이언적(李彦迪)의 아버지로, 경주 교생(慶州校生)일 때 성종에게 글을 인정받아 궐내에 들어가 시부(詩賦)를 지어 바쳤으며,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고 성균관 유생(成均館儒生)으로 수학함.
1463~150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이번(李蕃)@1470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산(德山). 이운달(李云達)의 아들로, 호조 참의(戶曹參議)ㆍ사간원 대사간(司諫院大司諫) 등을 지냄.
1470~152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범(李範)
중국 당(唐) 나라 예종(睿宗)의 넷째 아들. 현종(玄宗)의 동생으로, 왕유(王維)와 같은 문인 아사(文人雅士)를 좋아하여 친교를 맺음. 현종 때 기주 자사(岐州刺史)ㆍ태자 태부(太子太傅) 등을 지냄.
?~72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왕자
-
이벽(李壁)@송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문인. 문장(文章)이 뛰어나고 전장(典章)과 제도(制度)에 정통하였으며, 권신 한탁주(韓侂冑)를 추종하여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냄.
1159~122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벽(李璧)@조선
조선 선조(宣祖) 때의 공신ㆍ문신.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박여룡(朴汝龍) 등과 창의했으며 선조를 따라 의주(義州)까지 호종한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변(李抃)
조선 전기의 종친. 우산군(牛山君) 이종(李踵)의 아들로,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아버지를 비롯하여 여섯 형제가 모두 사사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신원됨.
?~150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별(李鱉)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1513년(중종 8)에 식년시(式年試)에 입격했으며, 우정(憂亭) 김극성(金克成)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이별(李鼈)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이공린(李公麟)의 아들로,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형 이원(李黿)이 처형되자 황해도 평산(平山)으로 낙향하여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이병(李郱)
중국 당(唐) 나라의 학자. 일찍 부모를 여의고 학문에 매진하여 문행(文行)으로 세상에 이름을 떨친 인물로, 이재(李栽)의 글에 언급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이보(李俌)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명군(景明君) 이침(李忱)의 손자이며 안남군(安南君) 이수련(李壽鍊)의 장남.
1537~159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보(李保)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완산(完山). 지삼기현사(知三岐縣事) 이나(李那)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이보(李輔)@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주로 외직에서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의 칭송을 받음.
1545~1608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이보(李輔)@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증손으로, 자암(自菴) 김구(金絿)와 사돈 관계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보간(李輔幹)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청백리(淸白吏) 이명(李蓂)과 이훤(李萱)의 아버지로, 연산 현감(連山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이보림(李寶林)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제현(李齊賢)의 손자로,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보정(李寶丁)
조선 중종(中宗) 때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아들인 덕천군(德泉君)의 손자이며 신종군(新宗君) 이효백(李孝伯)의 서자.
한국>조선전기 , 인명>왕실>종친
-
이보정(李補丁)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백겸(李伯謙)의 아들로, 1420년(세종 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이보흠(李甫欽)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이현보(李玄寶)의 아들로, 지대구군사(知大丘郡事)를 지낼 때 성공적으로 사창법(社倉法)을 실시함. 세조 때 단종복위(端宗復位)를 모의하였다는 혐의를 받고 유배된 뒤 교살(絞殺)됨.
?~14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이복근(李福根)
조선 전기의 종실. 태조(太祖)의 첫째 아들인 진안대군(鎭安大君) 이방우(李芳雨)의 첫째 아들로,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이복남(李福男)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우계(羽溪).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를 지냈으나,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남원성(南原城) 전투에서 명장(明將) 이여송(李如松)ㆍ양원(楊元) 등과 함께 싸우다가 전사함.
?~1597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무신
-
이복로(李福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택(李澤)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봉상시 판관(奉常寺判官) 등을 지냄.
1469~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복생(李福生)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증손이며 곡성군(鵠城君) 이금손(李金孫)의 아버지로, 석보정(石保正)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복선(李復善)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이시원(李始元)의 아들로, 1474년(성종 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감사(監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이복원(李復元)
조선 전기의 유학. 제봉(霽峯) 고경명(高敬命)과 교유하였으며, 《제봉집(霽峯集)》에 고경명이 그를 위해 지은 만사(挽詞)가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복윤(李福胤)
조선 전기의 종친.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祺)의 손자이자 이엄(李儼)의 아들로, 완산부령(完山副令)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복중(李福重)
조선 전기의 종친. 도개부정(道開副正) 이효장(李孝長)의 아들로, 중종(中宗) 때 삼정승(三政丞)을 암살하고 중종을 폐위한 후 완원군(完原君) 이수(李𢢝)를 옹립하려 하였다는 혐의를 받아 체포된 후 유배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복홍(李福弘)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영천(永川). 이충량(李忠樑)의 아들이며, 간재(艮齋) 이덕홍(李德弘)의 형으로, 부장(部將)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무신
-
이복흥(李復興)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응경(李應慶)의 아버지로, 충좌위 사과(忠佐衛司果)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무신
-
이봉(怡峯)
중국 남북조시대 서위(西魏)의 무신. 뛰어난 용맹으로 훗날 북주(北周)의 태조(太祖)가 된 우문태(宇文泰)의 신임을 얻어 어지러운 정국을 돌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이봉(李封)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계전(李季甸)의 아들이자, 이파(李坡)의 아우로, 진위 겸 진향사(陳慰兼進香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함.
1441~149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