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봉(李逢)
조선 선조(宣祖) 때의 의병장ㆍ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조헌(趙憲)ㆍ정경세(鄭經世) 등과 의병을 규합하여 많은 공적을 세움.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냈으나 난이 진압된 뒤에는 귀향하여 여생을 보냄.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봉(李鋒)
조선 전기의 종친. 내섬시 정(內贍寺正)을 지낸 신거이(愼居易)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봉손(李奉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이조 정랑(吏曹正郞) 이효언(李孝彦)의 아버지로, 임피 현령(臨陂縣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이봉익(李奉翊)
고려 후기의 유학. 척약재(惕若齋) 김구용(金九容)과 교유하여 김구용이 이봉익에게 준 시가 《척약재학음집(惕若齋學吟集)》에 보임.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이봉춘(李逢春)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1576년(선조 9)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뒤 직강(直講) 등을 지냄.
1542~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부(李溥)
조선 세조(世祖)~예종(睿宗) 때의 종친ㆍ문신.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남이(南怡)의 옥사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44~147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이부(李阜)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금(李嶔)의 아들로, 교리(校理) 등을 지냄. 사림파(士林派)로서 조광조(趙光祖)와 교유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벼슬을 떠나 있어 화를 면함.
148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이부광(李溥光)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ㆍ서예가. 조맹부(趙孟頫)가 주방(酒坊)에 쓴 그의 글씨를 보고 추천하여 세조(世祖) 때 소문관 태학사(昭文館太學士)에 봉해짐. 한때 궁성(宮城) 전각의 편액(扁額)에 그의 작품이 많았다고 함.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예술인>서화가
-
이부정(李富丁)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로, 신종군(新宗君) 이효백(李孝伯)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분(李坋)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인. 시학(詩學)에 정통하고 사려가 깊었으며, 김굉필(金宏弼)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
-
이분(李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중(李中)의 아버지로, 한성 판관(漢城判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이붕(李鵬)
조선 전기의 문신.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과 교유하여 옥봉이 이붕에게 준 전별시가 《옥봉집(玉峯集)》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이붕상(李鵬祥)
조선 후기의 문신. 수암(守庵) 박지화(朴枝華)와 교유하여 수암이 이붕상에게 준 시가 《수암유고(守庵遺稿)》에 보임. 학관(學官)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비(李備)
조선 후기의 종친.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청(淸) 나라에서 왕자를 인질로 요구하자, 어린 왕자 대신 자신의 아들인 원창군(原昌君) 이구(李玖)를 보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비(李棐)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지활(李智活)의 아버지로,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40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빈(李份)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원천군(原川君) 이의(李宜)의 세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빙(李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송재(松齋) 이우(李堣)의 손자로, 직장(直長)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사(李斯)
중국 진(秦) 나라 시황(始皇) 때의 재상. 순자(荀子)의 문인. 진 시황을 도와 천하를 통일하고 군현(郡縣) 제도를 확정하였으며 분서갱유(焚書坑儒)를 단행시킴. 시황제가 죽은 뒤 호해(胡亥)를 제2대 황제로 옹립함.
?~B.C.208 중국>진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사겸(李思謙)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석동(李碩童)의 아들로, 상의원 첨정(尙衣院僉正)을 지냄.
1452~153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사경(李思敬)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광익(李光翊)의 아들로, 판사재감사(判司宰監事) 등을 지냄. 나라의 변란이 예상되자 가솔을 거느리고 개령(開寧)에 은거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개령 , 인명>관인>문신
-
이사관(李士寬)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효정공(孝靖公) 이정간(李貞幹)의 아들로, 한성 판윤(漢城判尹) 등을 지냄. 아들인 이의장(李義長)ㆍ이예장(李禮長)ㆍ이지장(李智長)ㆍ이함장(李諴長)ㆍ이효장(李孝長)ㆍ이서장(李恕長)이 모두 과거에 급제함.
1382~14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사균(李思鈞)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폐비(廢妃) 윤씨(尹氏) 복위의 부당성을 주장하다가 보은(報恩)으로 유배되고, 기묘사화(己卯士禍) 후 조광조(趙光祖) 일파로 몰려 좌천되었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471~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사근(李思謹)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이옥(李沃)의 아들이고 이온(李蒕)의 아버지이며 이승주(李承周)ㆍ이승소(李承召)ㆍ이승려(李承呂)의 할아버지. 해주 목사(海州牧使) 등을 지냈으며, 병조 판서(兵曹判書)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이사덕(李師德)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수안(遂安). 진명국사(眞明國師) 혼원(混元)의 아버지로, 경시서 승(京市署丞)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수안 , 인명>관인>문신
-
이사도(李師道)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 때의 역신(逆臣). 고구려 유민 출신. 형인 평로군절도사(平盧軍節度使) 이사고(李師古)가 죽자 자칭 유후(留後)라 하고 반란(叛亂)을 일으켰다가, 819년(헌종 14) 복주(伏誅)됨.
?~819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
-
이사명(李師命)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대사헌(大司憲) 이민적(李敏迪)의 큰아들.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에 가담한 공으로 보사공신(保社功臣)에 책록되었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사사됨.
1647~168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사문(李士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응교(應敎) 등을 지냈으며, 송응개(宋應漑)ㆍ유희춘(柳希春)과 교유함.
1516~?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사백(李師伯)
고려 후기의 인물.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그가 차(茶)를 보내준 데 대해 사례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이사석(李師錫)
중국 당(唐) 나라의 유학. 한유(韓愈)의 친구인 이관(李觀)의 아들로, 한유가 이사석에게 보낸 편지 ‘답이수재서(答李秀才書)’가 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이사안(李思安)
고려 후기의 문신. 춘곡(春谷) 정탁(鄭擢)의 장인으로, 삼중대광(三重大匡)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사언(李士彦)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청백리(淸白吏) 이우직(李友直)의 아버지로, 순릉 참봉(順陵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사영(李士英)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영강서원(榮江書院)에 봉사(奉祀)된 이해(李蟹)의 손자로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사온(李思溫)
조선 전기의 유학. 집에 오죽(烏竹)을 심어놓고 스스로 호(號)로 삼았으며, 김세필(金世弼)의 《십청집(十淸集》에 그의 시운(詩韻)에 화답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사윤(李思胤)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기한(李基漢)의 아들로, 이기하(李基夏)에게 출계함. 1714년(숙종 40)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파주 목사(坡州牧使) 등을 지냄.
168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이사점(李思點)
고려 말~조선 초의 유학.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그에 대한 명자설(名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사종(李嗣宗)@이개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손자이며, 순성군(順成君) 이개(李𧪚)의 서자로, 작은 키와 굵은 허리 등 독특한 외모로 인해 ‘토미륵(土彌勒)’이라는 별호를 얻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사종(李嗣宗)@이오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오(李晤)의 아들로,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하였으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사준(李師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여주(驪州). 의금부 경력(義禁府經歷) 등을 지내고, 정수강(丁壽崗)ㆍ김준손(金俊孫) 등과 시와 술을 즐기며 절친하게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무신
-
이사증(李思曾)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순천(順天). 명종 때 초곶(草串)에 사는 야인(野人) 토벌과 임꺽정(林巨正)을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무신이면서도 시(詩)에 능하였음.
1493~156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
-
이사지(李思之)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벽진(碧珍). 도원수(都元帥) 이희경(李希慶)의 아들로, 낭장(郞將)을 지냄.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절개를 지킴으로써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 중 한 사람이 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무신
-
이사창(李嗣昌)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증손으로, 봉릉 부수(奉陵副守) 이만년(李萬年)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사철(李思哲)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도조(度祖)의 첫째 아들인 이자흥(李自興)의 종손이며, 이난(李蘭)의 아들로, 《선원록(璿源錄)》 등을 개수하였고, 세조를 도와 정난공신(靖難功臣)과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좌의정 등을 역임함.
1405~14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이사청(李思淸)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양성(陽城). 이훈(李薰)의 아들이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금원복(琴元福)의 사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이사필(李士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이공려(李公礪)의 아들로, 명종 때 천추사(千秋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성주 목사(星州牧使) 재임 중에 기민 구제와 전염병 퇴치에 힘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이사필(李師弼)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여주(驪州). 이증석(李曾碩)의 아들이며 월연(月淵) 이태(李迨)의 아버지. 교위(校尉)를 지냈으며, 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나자 밀양(密陽)으로 퇴거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이사후(李師厚)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개국공신(開國功臣) 이직(李稷)의 아들이자 태종(太宗)의 부마인 이정녕(李正寧)의 아버지로, 한성 부윤(漢城府尹) 등을 지냄.
1382~14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산(尼山)
충청남도 논산(論山)의 노성(魯城) 지역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중국 노(魯) 나라의 이구산(尼丘山)의 지형과 비슷하다 하여 노성(魯城)이라고도 부름.
충청도>이산 , 지명>자연지명
-
이산광(李山光)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이지번(李之蕃)의 아들이자 이산해(李山海)의 동생. 시와 술을 잘하였으며, 기개가 있어 술취한 체 하면서 사람들 앞에서 이이첨(李爾瞻)에게 침을 뱉었다는 일화가 전함.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문사>유학
-
이산보(李山甫)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대사간(大司諫)으로 재임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을 수습함.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명(明) 나라 군대의 조선 진군과 군량조달에 큰 공을 세움.
1539~159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산서원(伊山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영주(榮州)에 건립한 서원. 이황(李滉)을 배향함.
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유적>건물>서원,향교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상(李常)@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젊었을 때 여산(廬山)의 백석승사(白石僧舍)에서 공부하였으며, 과거에 급제한 뒤 장서(藏書) 9천여 권을 공부하던 집에 기증하고 ‘이씨산방(李氏山房)’이라 명명했는데, 이에 대해 소식(蘇軾)이 〈이군산방기(李君山房記)〉를 지음.
1027~109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상(李常)@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태조(太祖)의 셋째 아들인 익안대군(益安大君) 이방의(李芳毅)의 손자이며, 익평부원군(益平府院君) 이석근(李石根)의 일곱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상(李湘)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며, 남천군(南川君) 이쟁(李崝)의 아들로, 효성이 지극하였음.
1486~152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상(李祥)@이전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열두 번째 서자인 영산군(寧山君) 이전(李恮)의 아들이며. 안민학(安敏學)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상(李祥)@양숙의사위
조선 전기의 유학. 양숙(梁淑)의 넷째 사위로, 적순부위(迪順副尉)에 오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상(李祥)@이문환의아들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문환(李文煥)의 아들. 1496년(연산군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김극성(金克成)의 《우정집(憂亭集)》에 그에 관한 기록이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상경(李商卿)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장수(長水). 이수림(李壽林)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남해 , 인명>문사>유학
-
이상길(李尙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1602년(선조 35) 정인홍(鄭仁弘)ㆍ최영경(崔永慶) 등을 정여립(鄭汝立)의 일당으로 몰아 추론한 죄로 유배됨.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강화도에 들어갔다가 1637년(인조15)에 자결함. 이항복(李恒福) 등과 교유함.
1556~163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상두(李相斗)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대제학(大提學) 이돈우(李敦宇)의 생부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저서로 《사례계의(四禮稽疑)》ㆍ《거가십요(居家十要)》ㆍ《교아십요(敎兒十要)》등이 있음.
1769~184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상신(李尙新)
조선 후기의 유학. 조종도(趙宗道)의 아들인 조영한(趙英漢)의 사위. 《대소헌일고(大笑軒逸稿)》에 그에 관한 기록이 남아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상신(李尙信)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이우인(李友仁)의 아들이자 이상의(李尙毅)의 동생으로,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허엽(許曄)ㆍ윤근수(尹根壽) 등과 교유하고, 1593년(선조 26) 시폐(時弊)를 고칠 것을 상주(上奏)하였으며, 1605년(선조 38) 명(明) 나라에 가서 염초(焰硝)의 수입을 허락받음.
1564~161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상안(李尙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광주(廣州). 강계 부사(江界府使) 등을 지내고,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병마절도사 남이흥(南以興)의 별장(別將)이 되어 안주(安州)에서 적과 싸우다가 전사함.
1575~162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무신
-
이상연(李尙堧)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용재(慵齋) 이종준(李宗準)의 후손으로, 이진영(李震英)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이상윤(李祥胤)
조선 후기의 종친.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증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손자이자, 원성군(原城君) 이탁(李倬)의 첫째 아들. 봉림수(鳳林守)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상은(李商隱)
중국 당(唐) 나라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ㆍ시인. 영호초(令狐楚)에게 변려문(騈儷文)을 배웠으며, 풍부한 전고(典故)와 화려한 자구(字句)를 구사하여 당대 수사주의문학(修辭主義文學)의 극치를 보여줌. 태상박사(太常博士) 등을 지냄.
812~858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상의(李尙毅)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임진왜란 때 광해군(光海君)을 호위한 위성공신(衛聖功臣)으로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에 봉해짐. 인조반정으로 훈공이 삭탈되고 품계도 강등되어 중추부지사(中樞府知事)로 좌천됨.
1560~16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상정(李象靖)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지내고, 이황(李滉)의 학통을 계승하여 성리학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낙향 후 안동(安東)에서 학술을 강론하여 많은 제자를 양성함.
1711~178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상준(李尙俊)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의(李艤)의 아들로, 어모장군(禦侮將軍) 이인량(李寅亮)에게 출계함. 1609년(광해군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함.
155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상형(李相衡)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대제학(大提學) 이돈우(李敦宇)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이색(李穡)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으로, 삼은(三隱)의 한 사람. 원(元)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귀국하여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내고 공신에 책록됨. 권근(權近)을 배출하는 등 학문과 정치에 큰 영향력을 미침.
1328~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서(李徐)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일곱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서(李曙)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한 공으로 정사공신(靖社功臣)에 봉해지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을 호종하여 남한산성에서 죽음.
1580~163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이서(李緖)
중국 당(唐) 나라의 종친ㆍ화가. 태종(太宗)의 조카이며, 곽왕(霍王) 이원궤(李元軌)의 맏아들로, 금주 자사(金州刺史) 등을 지내고, 서화(書畫)에 재능이 뛰어남. 측천무후(則天武后) 때 배승광(裴承光)과 교통한 혐의로 피살됨.
?~688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
-
이서(李舒)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홍주(洪州). 고려 우왕(禑王) 때 6년간의 여묘살이로 정문(旌門)을 받았으며,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332~141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서장(李恕長)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한성부윤(漢城府尹) 이사관(李士寬)의 아들. 이시애(李施愛)의 난 토벌에 참여하여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고,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23~148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서종(李瑞種)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아들이자,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이보림(李寶林)의 아버지. 봉상대부(奉常大夫)로 종부시 부령(宗簿寺副令)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서태상박사(移書太常博士)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학자인 유흠(劉歆)의 저서. 경학사(經學史)에서 중요한 문헌으로 평가됨.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이석(李碩)@고려
고려 후기의 유학. 진보이씨(眞寶李氏)의 시조(始祖). 이황(李滉)의 6대조이자 안사공신(安社功臣) 이자수(李子脩)의 아버지로, 밀직사(密直司)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문사>유학
-
이석(李碩)@조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평(咸平). 부사(府使) 이장영(李長榮)의 아버지로, 1504년(연산군 1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2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문사>유학
-
이석(李碩)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로, 청평위(淸平尉) 한기(韓紀)의 사위. 옥천수(沃川守)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석간(李碩幹)
조선 전기의 유학ㆍ의원. 본관은 공주(公州). 권호문(權好文)ㆍ박승임(朴承任) 등과 교유하였으며, 의술(醫術)에 정통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문사>유학
-
이석관(李碩寬)
조선 현종(顯宗) 때의 문신. 예안 현감(禮安縣監)을 지냈는데, 당시 허목(許穆)에게 조목(趙穆)의 《월천집(月川集)》초고(草稿)의 산정(刪定)을 부탁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석근(李石根)
조선 전기의 종친. 태조(太祖)의 셋째 아들인 익안대군(益安大君) 이방의(李芳毅)의 아들이며, 백파도정(白波都正) 이상(李常)의 아버지.
?~14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석동(李碩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상의원 첨정(尙衣院僉正) 이사겸(李思謙)의 아버지로, 광흥창 수(廣興倉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석령(李錫齡)
조선 전기의 종친.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이초(李岹)의 맏아들인 하원군(河原君) 이정(李鋥)의 아들이며. 선조(宣祖)의 조카로, 중부(仲父)인 하릉군(河陵君) 이린(李麟)의 후사가 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석명(李碩明)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이민선(李敏善)의 아버지. 정유길(鄭惟吉)ㆍ박순(朴淳)ㆍ구사맹(具思孟) 등과 교유하였고, 덕천 군수(德川郡守) 등을 지냄.
1513~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석손(李錫孫)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 때에 아들 신창령(新昌令) 이흔(李訢)과 함께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고변당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석수(李碩壽)
조선 후기의 종친. 무산군(茂山君)의 여섯째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宣祖)를 호종하고, 동생인 영원군(永原君)과 함께 선릉(宣陵)과 정릉(靖陵)을 봉심(奉審)함. 부안군(扶安君)으로 봉해짐.
1524~159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석주(李錫周)
고려 후기의 은사(隱士). 고려 말에 정몽주(鄭夢周)ㆍ길재(吉再)ㆍ이색(李穡)ㆍ박익(朴翊)ㆍ홍재(洪載)ㆍ이재홍(李在弘)ㆍ김대윤(金大潤) 등과 더불어 ‘팔은(八隱)’이라 일컬어짐.
한국>고려후기 , 인명>기타인명>은자
-
이석지(李釋之)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보문각 제학(寶文閣提學) 등을 지내고, 고려 말에 용인(龍仁)으로 낙향하여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이석형(李石亨)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회림(李懷林)의 아들이며, 김반(金泮)의 문인.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냈으며, 《역대병요(歷代兵要)》ㆍ《치평요람(治平要覽)》등을 편찬함.
1415~147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선(李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한산(韓山). 영월 군수(寧越郡守) 이각(李殼)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이선(李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원종공신(原從功臣) 이교연(李皎然)의 아버지로, 돈녕부 승(敦寧府丞)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이선(李璿)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이원수(李元秀)의 아들이자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첫째 형. 남부 참봉(南部參奉) 등을 지냄.
1524~157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선(李船)
조선 전기의 종친. 영의정 한효원(韓效元)의 아들인 한관(韓綰)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선(李選)@조선전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이순증(李順曾)의 아들로, 명종 때 환관 박세겸(朴世謙)의 비행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가 재서용되어 오위장(五衛將) 등을 지냄.
1522~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이선(李選)@조선후기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우의정(右議政) 이후원(李厚源)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1673년(현종 14) 노산군(魯山君)의 묘소에 시제(時祭)하고 황보인(皇甫仁)ㆍ김종서(金宗瑞) 등의 신원(伸寃)을 상소함.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己巳還局) 때 기장(機張)에 유배되었다가 죽음.
1632~16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선강(李善綱)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 1561년(명종 1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하였으며, 《송암집(松巖集)》에 그를 위해 지은 만사(挽詞)가 있음.
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이선경(李善慶)
조선 후기의 문신. 권문해(權文海)ㆍ백광훈(白光勳) 등과 교유하고, 찰방(察訪)을 지냄. 그에 관한 기록이 《초간집(草澗集)》과 《옥봉집(玉峯集)》에 남아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