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선명(李善鳴)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권호문(權好文)의 문인으로, 장팔국(蔣八國)과 교유함. 《송암집(松巖集)》에 그에 관한 기록이 남아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선손(李善孫)
조선 전기의 종친. 예조 참판(禮曺參判) 권주(權柱)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선손(李璿孫)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의 증손이며, 고림정(高林正) 이훈(李薰)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선열(李善悅)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동고(東皐) 이준경(李浚慶)의 아들로, 부친의 임지인 관서(關西) 지방에 따라나섰다가 병을 얻어 요절함.
1531~154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이선윤(李善胤)
조선 후기의 종친.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증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손자이자 원성군(原城君) 이탁(李倬)의 둘째 아들. 1615년(광해군 7) 나라를 바로잡자는 상소를 올렸으며, 무림군(茂林君)으로 봉해짐.
1563~163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선장(李善長)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한산(韓山).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 이균(李均)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이섬(李銛)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의 두 번째 서자인 해안군(海安君) 이희(李㟓)의 첫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섭(李涉)@당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이균(李鈞)의 아들로, 동생 이발(李渤)과 함께 백록동(白鹿洞)에 은거하였다가 후에 태학 박사(太學博士) 등을 지냄.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섭(李涉)@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천(鎭川). 직산 현감(稷山縣監) 이관림(李管林)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인명>문사>유학
-
이섭(李𤫙)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열 번째 서자인 담양군(潭陽君) 이거(李璖)의 계후(繼後)인 강양군(江陽君) 이숙(李潚)의 손자이며, 희안수(喜安守) 이집(李輯)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성(李成)
중국 송(宋) 나라의 화가. 산수화(山水畫)에 매우 뛰어나 관동(關仝)ㆍ범관(范寬)과 더불어 ‘삼가산수(三家山水)’로 일컬어짐.
919~967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이성(李晟)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장군. 주자(朱泚)의 난을 평정하여 그 공으로 사도(司徒)가 되고, 봉천(奉天)의 포위를 푼 공으로 서평왕(西平王)에 봉해짐.
727~793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이성(李誠)
조선 전기의 종친. 파림군(坡林君) 이주(李珘)의 아들이며, 독송정(獨松亭) 김개(金鎧)의 둘째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성군(利城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 숙용심씨(淑容沈氏)의 소생으로, 중종(中宗)과 우애가 돈독하였으며, 명종(明宗)의 즉위에 공을 세워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됨.
1489~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이성달(李成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이명효(李明孝)의 아버지로, 정주 목사(定州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이성동(李性仝)
조선 전기의 종친. 김순고(金舜皐)의 장인으로, 상산령(象山令)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성동(李成童)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이희안(李希顔)의 아들로 예조 참의(禮曺參議)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후 조광조(趙光祖)의 일파로 몰려 면직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이성동(李盛同)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손자이며, 송림군(松林君) 이효창(李孝昌)의 둘째 아들로, 중종반정 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위훈삭제(僞勳削除)로 녹훈이 취소되었다가 뒤에 복작(復爵)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이성림(李成林)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 등을 역임하였으며, 우왕 때 권신인 이인임(李仁任)을 해치려 하였다는 혐의로 정몽주(鄭夢周) 등과 함께 유배되었으며, 임견미(林堅味) 등과 함께 최영(崔瑩)에게 죽임을 당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성립(李誠立)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응천(李應千)의 아들로, 고경명(高敬命)과 교유함.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지냈으며, 어머니의 죽음을 슬퍼하다가 병을 얻어 38세에 죽음.
1573~1611 한국>조선후기 , 함경도>문천 , 인명>관인>문신
-
이성서(李成瑞)
고려 충정왕(忠定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공민왕(恭愍王) 때 홍건적(紅巾賊)을 맞아 싸우고 최영(崔瑩)을 따라 흥왕사(興王寺)의 변(變)을 평정한 공으로 공신(功臣)에 책록됨.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가서 벼슬을 받음.
?~137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성세(李星洗)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 이효민(李孝閔)의 아들이며 이성익(李星益)의 아우.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이성손(李盛孫)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손자이며, 송림군(松林君) 이효창(李孝昌)의 맏아들로, 일찍 죽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성신(李省身)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동생 이치신(李致身)에게 아들 이환(李桓)을 양자로 보냄.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이며, 이괄(李适)의 난 때 사관으로 왕을 공주(公州)에 호종하고, 동부승지(同副承旨) 등을 지냄.
1580~165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성언(李誠彦)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좌찬성(左贊成) 이손(李蓀)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진위진향사(陳慰進香使)로 명(明) 나라에 갔다가 그곳에서 죽음.
?~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성윤(李聖胤)
조선 후기의 종친. 전성군(全城君)의 증손이며,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祺)의 손자이고, 평양군(平陽君) 이의(李倚)의 첫째 아들. 1617년(광해군 9) 이이첨(李爾瞻)을 처벌하라는 종친의 상소에 참여하였다가 유배됨.
1561~162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성윤(李誠胤)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翼陽君) 이회(李懷)의 증손이며, 청원도정(靑原都正) 이간(李侃)의 둘째 아들. 임진왜란 때 신주(神主)를 봉안하고 세자인 광해군(光海君)을 호종한 공으로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됨.
1570~162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이성익(李星益)
조선 현종(顯宗) 때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로, 통덕랑(通德郞) 이효민(李孝閔)의 아들. 1663년(현종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권상하(權尙夏)와 두터운 정의(情誼)를 나눔.
1639~167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태인ㅣ경기도>광주ㅣ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이성임(李聖任)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종친. 본관은 전주(全州)로, 태조(太祖)의 7대손이며, 이형(李詗)의 아들. 1583년(선조 16) 서장관(書狀官)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등을 지냄. 용모ㆍ문사(文辭)ㆍ언론(言論)ㆍ서화(書畵)ㆍ가성(歌聲)이 뛰어나서 오옥(五玉) 선생이라 불렸으며, 김성일(金誠一)과 교유함.
1555~159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이성정(李成楨)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월성군(月城君) 이철견(李鐵堅)의 아들이고, 선산 부사(善山府使) 이완(李琬)과 이호(李瑚)의 아버지. 종친부 전부(宗親府典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성종(李盛終)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손자이며, 송림군(松林君) 이효창(李孝昌)의 셋째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만년에 파주(坡州)로 내려가 유유자적함.
1474~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이성중(李誠中)@1539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현손이며 금천군(錦川君) 이감(李瑊)의 아들. 이중호(李仲虎)ㆍ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여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되고 완창부원군(完昌府院君)에 봉해짐.
1539~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성중(李誠中)@1330
고려 후기~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달충(李達衷)의 동생. 고려 후기에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조선 개국에 참여하여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되었으며, 검교 좌정승(檢校左政丞) 등을 지냄.
1330~141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성징(李聖徵)
조선 후기의 문신. 윤근수(尹根壽)와 교유하였고 판서(判書) 등을 지냄. 그가 주청사(奏請使)가 되어 중국에 가는 것을 송별한 시가 《월정집(月汀集)》에 남아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성춘(李成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홍주(洪州). 1555년(명종1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고, 정황(丁熿)ㆍ고경명(高敬命) 등과 교유함.
151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이세(二世)
중국 진(秦) 나라 제2대 황제. 재위 B.C.209~B.C.207. 시황제(始皇帝)의 둘째 아들로, 시황제가 죽자 이사(李斯)와 조고(趙高)에 의해 황제로 옹립됨. 방탕한 생활로 진 나라의 멸망을 초래하였으며, 조고의 협박을 받아 자살함.
?~B.C.207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세건(李世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이계완(李季完)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상의원 정(尙衣院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이세걸(李世傑)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좌익공신(佐翼功臣) 이극감(李克堪)의 아들이자 삼가 현감(三嘉縣監) 이수진(李守震)의 아버지로, 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냄.
146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세경(李世卿)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극돈(李克墩)의 아들로, 1480년(성종 11)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고, 첨정(僉正) 등을 역임하였으며, 정수강(丁壽崗)과 시문으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세광(李世匡)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극배(李克培)의 아들로, 1475년(성종 6) 친시(親試)에 급제하였으며, 도승지(都承旨)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세구(李世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계장(李繼長)의 아들로, 1533년(중종 28)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사(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이세기(李世基)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핵(李翮)의 아들로, 충렬왕 때 성균시(成均試)에 장원급제하여 왕이 오문생(吾門生)이라 불렀으며,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세린(李世麟)
조선 전기의 문신. 정대원(鄭大源)의 장인으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이제신(李濟臣)의 《청강집(淸江集)》에 그의 제문(祭文)이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세림(李世琳)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원종공신(原從功臣) 이계장(李繼長)의 아들이자 부사(府使) 이세구(李世球)의 동생으로, 승지(承旨)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이세백(李世白)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송시열(宋時烈)의 유배에 반대하다가 파직당하였으나 갑술환국(甲戌換局) 때 복직됨. 노론(老論)의 중심 인물로서 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냄.
1635~170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이세옥(李世玉)
조선 전기의 유학. 자신의 저서인 《색암유고(嗇庵遺稿)》에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당한 이자(李耔)의 행적을 수록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세우(李世佑)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극감(李克堪)의 아들로, 강직하고 사심 없는 성품으로 성종의 신임을 받았으며, 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 등을 역임함.
1449~149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세원(李世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생원(生員) 이종경(李宗慶)의 아버지. 충청도 도사(忠淸道都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세응(李世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으로, 사재감 부정(司宰監副正) 이계통(李季通)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고, 평안도 관찰사 등을 지냄.
1473~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세의(李世義)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들인 경명군(景明君)의 증손이며, 금천군(錦川君) 이보(李俌)의 아들로, 창원수(昌原守)에 봉해짐. 예조 참판(禮曹參判) 성수익(成壽益)의 둘째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세인(李世仁)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이항(李沆)의 아버지. 부제학(副提學)ㆍ황해 감사(黃海監司)ㆍ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냈으며, 곧은 성품으로 사림의 명망을 얻었음.
1452~1516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상도>개령 , 인명>관인>문신
-
이세장(李世璋)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이목(李穆)의 아들. 명종 때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수관(編修官)을 겸하였고, 호조 참의(戶曹參義)ㆍ호분위 대호군(虎賁衛大護軍) 등을 지냈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97~15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세좌(李世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이극감(李克堪)의 아들로, 무오사화 때 김종직(金宗直)을 극형에 처하도록 주장함. 연산군의 생모인 윤씨(尹氏) 폐위에 극간하지 않고 사약을 전하였다는 죄목으로 갑자사화 때 자살의 명을 받음.
1445~150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세준(李世俊)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이구(李構)의 아버지.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무신
-
이세진(李世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교관(敎官) 이견손(李堅孫)의 아버지로, 영릉 참봉(英陵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이세칙(李世則)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연안(延安). 이숙기(李叔琦)의 아들로, 1483(성종 14) 식년시(式年試)에 합격하였으며, 지조가 출중하고 시문에 능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유학
-
이세화(李世華)@고려
고려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정주이씨(貞州李氏)의 시조로, 고종 때 광주 안무사(廣州按撫使)로서 몽고(蒙古)의 침입을 격퇴하였으며, 예부 시랑(禮部侍郞)ㆍ사재경(司宰卿) 등을 지냄.
?~123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이세화(李世華)@조선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평(富平). 이이재(李以載)의 아들로, 이희재(李熙載)에게 출계함.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내고, 1689년(숙종 15) 인현왕후(仁顯王后)의 폐비설을 듣고 상소를 올렸으며, 청백리(淸白吏)에 선정됨.
1630~1701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이세회(李世薈)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윤구(尹遘)의 사위로, 사섬시 부정(司贍寺副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소(李劭)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로, 민부 전서(民部典書)를 지낸 이윤온(李允蒕)의 아버지. 1254년(고종 41) 국자감시(國子監試)에 급제하여, 전법 판서(典法判書)ㆍ합문지후(閤門祗候)ㆍ지삼사사(知三司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이소(李愬)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무신. 오원제(吳元濟)가 반란을 일으켰을 때 방비가 소홀한 틈을 타 반군의 근거지인 채주(蔡州)를 불의에 습격하여 오원제를 사로잡음으로써 회서(淮西)가 평정되는 무공을 세움.
773~82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이소(李昭)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평안도 절도사(平安道節度使) 이수철(李守哲)의 아들. 이시애(李施愛)의 난 토벌에 참여하였고, 건주위(建州衛)를 공격하였으며, 동여진(東女眞)을 정벌함. 전라우도 수군절도사(全羅右道水軍節度使)를 지냄.
1441~149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무신
-
이소(李素)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하남 소윤(河南少尹)으로, 임지에서 죽음.
755~81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소(離騷)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굴원(屈原)이 지은 서정적 장편 서사시(敍事詩).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이소기(李昭玘)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소식(蘇軾)의 문인(門人)으로 문장에 뛰어났으며, 흡주 지사(歙州知事)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소생(李紹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포(李包)의 아들로,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지냄. 세조(世祖)의 불의(不義)를 간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대흥(大興)으로 내려가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대흥 , 인명>관인>문신
-
이손(李蓀)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평안도 절도사(平安道節度使) 이수철(李守哲)의 아들. 1470년(성종 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좌찬성(左贊成)ㆍ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냄.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공을 세워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책봉됨.
1439~15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손(李遜)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 이사도(李師道)의 난 토벌에 참여하였고, 절동도단련관찰사(浙東都團練觀察使)가 됨. 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지냄.
760~82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수(李䇕)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달충(李達衷)의 셋째 아들로, 판강릉도호부사(判江陵都護府使)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수(李睟)
조선 후기의 종친. 덕양군(德陽君) 이기(李歧)의 손자이며 풍산군(豊山君) 이종린(李宗麟)의 둘째 아들. 임진왜란 이후 《선원록(璿源錄)》의 보수에 참여하고, 1617년(광해군 9)에 종친을 모아 이이첨(李爾瞻)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렸으며,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인조(仁祖)를 호종함.
1569~164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수(李秀)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김일손(金馹孫)과 금란계(金蘭契)를 결성하여 교유하였으며, 금천도 찰방(金泉道察訪)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이수(李穗)@이인민의아들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성산부원군(星山府院君) 이인민(李仁敏)의 아들이자, 호조 판서(戶曹判書)를 지낸 이견기(李堅基)의 아버지. 동지총제(同知摠制)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수(李穗)@구수복의장인
조선 성종(成宗) 때의 종친. 병암(屛菴) 구수복(具壽福)의 장인으로, 무과(武科)에 급제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수(李粹)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증손이며, 물거군(勿巨君) 이철(李徹)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수(李綏)
조선 전기의 종친. 숭선군(嵩善君) 이총(李𤄓)의 손자이고, 연창군(延昌君) 이학수(李鶴壽)의 장남. 음악을 좋아하여 훈(壎)과 저(箸)를 잘 연주함.
1527~158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수(李需)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예부 시랑(禮部侍郞) 등을 역임하였고, 이규보(李奎報)와 매우 절친하였으며, 당시 문장으로 명성이 높아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의 서문(序文)을 씀.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수갑(李壽甲)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증손이자, 도안정(道安正) 이철(李轍)의 아들이며, 김극핍(金克愊)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수강(李壽剛)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서자인 완원군(完原君) 이수(李𢢝)의 아들이며 의천군(義泉君) 이인(李仁)의 아버지로, 이성군(伊城君)에 봉해짐.
1503~154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수경(李壽卿)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두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수경(李首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영부(李英符)의 아들로,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등을 지냄.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온성(穩城)에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후 고향에서 유유자적함.
1516~156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수계(李壽誡)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섯 번째 서자인 견성군(甄城君) 이돈(李惇)의 둘째 아들로, 견성군이 역모 혐의로 귀양 갔을 때 중종(中宗)의 권유로 회산군(檜山君) 이염(李恬)의 양자가 됨.
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수곤(李壽鵾)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들인 익양군(翼陽君) 이회(李懷)의 첫째 서자이며 장양부정(長陽副正) 이주(李儔)의 아버지로, 단천부정(丹川副正)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수공(李守恭)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전한(典翰) 등을 지냄.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창성(昌城)과 광양(光陽)에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후, 갑자사화 때 참살당함.
1464~150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수광(李睟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내고, 사신으로 여러 차례 명(明) 나라에 왕래하면서 천주교 지식과 서양 문물을 소개하여 실학(實學) 발전의 선구자가 됨.
1563~162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수기(李壽祺)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아들로, 전성군(全城君) 이변(李忭)에게 출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수기(李壽麒)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여섯 번째 서자인 희령군(熙寧君) 이타(李袉)의 증손이자, 창원군(昌原君) 이혜(李潓)의 아들이며, 우언겸(禹彦謙)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수남(李壽男)@이함장의아들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예조 참판 이함장(李諴長)의 아들.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고, 사은사(謝恩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온 뒤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가 되었으나 과음하여 32세로 요절함.
1439~147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수남(李壽男)@이현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증손이며, 호산군(湖山君) 이현(李鉉)의 아들로, 노사신(盧思愼)의 손녀사위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수년(李守年)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정주(貞州)로, 사재경(司宰卿)을 지낸 이세화(李世華)의 둘째 아들. 안경부 녹사(安慶府錄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이수동(李壽童)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제주 목사(濟州牧使) 때 감귤 밭을 지키는 방호소(防護所)를 증설하였으며, 개성 유수(開城留守) 때 정몽주(鄭夢周)의 충신비(忠臣碑)를 건립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재(李梓)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인조의 묘호(廟號)에 대하여 인종(仁宗)이 있다는 이유로 반대한 유계(兪棨)ㆍ심대부(沈大孚) 등을 옹호하다가 삭직당함. 집의(執義)ㆍ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등을 지냄.
1606~165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재(李榟)
조선 성종(成宗)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손자이자, 은천군(銀川君) 이찬(李穳)의 둘째 아들이며, 공조 참의(工曹參議) 정충량(鄭忠樑)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재(李縡)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우봉(牛峯). 김창협(金昌協)의 문인으로, 노론(老論)의 중심인물로 활약함. 정미환국(丁未換局) 이후 용인(龍仁)의 한천(寒泉)에 거주하며 학자를 양성하고 《사례편람(四禮便覽)》 등을 저술함.
1680~174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용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재난고(頤齋亂稿)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황윤석(黃胤錫)의 저서. 57책. 저자가 어릴 때부터 평생 동안 농사, 독서, 시문, 토론, 교유, 편지, 기행 등 다방면에 걸쳐 그날그날의 일상을 사실적으로 기록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이재영언(頤齋詠言)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조우인(曺友仁)의 가사집(歌辭集). 〈매호별곡(梅湖別曲)〉ㆍ〈자도사(自悼詞)〉ㆍ〈관동속별곡(關東續別曲)〉ㆍ〈출새곡(出塞曲)〉 등 4편의 가사 작품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이재원(李載元)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정응(李晸應)의 아들로, 이창응(李昌應)에게 출계함. 교련국(敎鍊局)에 배치되어 근대식 군부의 기초를 마련하고, 갑신정변(甲申政變) 때 영의정(領議政)에 추대되었으며, 사후(死後)에 완림군(完林君)에 봉해짐.
1831~1891 한국>근대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재유고(頤齋遺藁)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황윤석(黃胤錫)의 문집. 26권 13책. 목판본. 저자가 남긴 57책의 《이재난고(頤齋亂稿)》를 장손 황수경(黃秀瓊)이 시문을 선별하여 산정(刪定)한 후 조인영(趙寅永)의 도움을 받아 간행함.
182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이재협(李在協)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병조 판서 이경호(李景祜)의 아들로,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친 후 정조 때 영의정 등을 지냄.
1731~179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이재홍(李在弘)
고려 후기의 은자. 정몽주(鄭夢周)ㆍ이색(李穡)ㆍ김석주(李錫周)ㆍ김대윤(金大潤) 등과 함께 충의(忠義)로 결의를 맺은 ‘팔은(八隱)’ 중의 한 사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
-
이쟁(李崝)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손자이며, 영순군(永順君) 이부(李溥)의 맏아들.
1458~151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