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쟁(李崢)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손자이며, 영순군(永順君) 이부(李溥)의 셋째 아들.
1464~149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저아(李猪兒)
중국 당(唐) 나라 때의 환관(宦官). 본래 거란(契丹) 출신으로, 안녹산(安祿山)이 칭제(稱帝)할 때 환관이 되어 총애를 받았으나, 후에 계속 욕을 당하자 장군 엄장(嚴莊) 등과 공모하여 안녹산을 죽임.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이적(李勣)
중국 당(唐) 나라 고조(高祖)~고종(高宗) 때의 명장. 요동도 행군대총관(遼東道行軍大總官)으로 고구려 보장왕(寶藏王) 때 안시성(安市城)을 침공하였으나 함락시키지 못했다가 재차 침공하여 고구려를 멸망시킴. 이정(李靖)과 함께 ‘영위(英衛)’로 병칭됨.
594~66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이적(李績)
조선 전기의 유학.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김굉필의 행장(行狀)을 찬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적(李迪)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백손(李伯孫)의 아들이며, 이도남(李圖南)의 아버지로, 외숙인 강문회(姜文會)에게 수학하고, 교서관 교리(校書館校理)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이적(李逖)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기우자(騎牛子) 이행(李行)의 아들로, 1390년(공양왕 2)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이적(李𤁰)
조선 전기의 종친.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장남. 1469년(예종 1) 6세에 연성군에 봉해지고, 중종 때 종1품 가덕대부(嘉德大夫)가 되어 문소전(文昭殿)ㆍ연은전(延恩殿)ㆍ영경전(永慶殿)과 종친부 제조를 지냄.
1464~152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전(李㙉)@1558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으로, 사섬시 주부(司贍寺主簿)를 지낸 이수인(李守仁)의 아들. 동생 이준(李埈)과 함께 유성룡(柳成龍)의 문하에서 퇴도(退陶)의 학설을 배웠음.
1558~164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이전(李㙉)@1454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철원 도호부사(鐵原都護府使)를 지낸 이인문(李仁文)의 아들. 연성군(延城君) 이곤(李坤)의 형으로, 제주 목사(濟州牧使) 등을 지냄.
145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이전(李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재령(載寧).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평생 학문에 정진하고 후학을 양성함.
1502~157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이전(李竱)
고려 후기의 문신.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낸 이달충(李達衷)의 둘째 아들로,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전(李銓)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의 다섯째 아들 회산군(檜山君)의 손자이며 계산군(桂山君) 이수계(李壽誡)의 아들. 승정원 도승지(承政院道承旨) 황섬(黃暹)의 장인임.
1525~15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전(李恮)
조선 전기의 종친.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장남인 의성군(誼城君) 이채(李寀)의 아들로, 강화 부사(江華府使)를 지낸 서천군(西川君) 한사문(韓斯文)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전수(李專粹)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보한재(保閑齋) 신숙주(申叔舟)와 시(詩)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부 , 인명>문사>유학
-
이전인(李全仁)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이언적(李彦迪)의 서자(庶子)로, 이언적이 찬술한 〈진수팔규(進修八規)〉를 올려 이언적의 훈작(勳爵)이 복작(復爵)됨.
1516~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
-
이전지(李全之)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이맹상(李孟常)의 아들이며, 형조 판서(刑曹判書) 이예(李芮)의 아버지로, 첨지충추원사(僉知中樞院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절(李節)
조선 전기의 유학. 구봉령(具鳳齡)과 교유하였으며, 구봉령이 그를 위해 지은 만사(挽詞)가 《백담집(栢潭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점(李坫)
조선 성종(成宗)~종종(中宗) 때의 문신. 찰방(察訪) 이관의(李寬義)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과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내고, 몸가짐이 염간(廉簡)하여 청백리(淸白吏)로 일컬어짐.
1445~152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정(二程)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정호(程顥)와 정이(程頤) 형제를 함께 부르는 말. 정주학(程朱學)을 창시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정(李侹)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명군(景明君) 이침(李忱)의 손자이며 안남군(安南君) 이수련(李壽鍊)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정(李定)
조선 전기의 종친. 효령대군(孝寧大君)과 예성부부인(蘂城府夫人) 정씨(鄭氏)의 소생으로, 영천군(永川君)에 봉해짐. 시주(詩酒)를 즐겼고 산수화(山水畫)에 뛰어났음.
142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정(李挺)@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증손으로, 기산 부수(岐山副守) 이저(李櫧)의 아들이며,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를 지낸 유순선(柳順善)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정(李挺)@고려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중대광(重大匡) 이계함(李季瑊)의 아들로, 성균관 좨주(成均館祭酒)ㆍ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지냈고, 공민왕의 총애를 받아 내불당(內佛堂)을 감역함.
1297~1361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이정(李楨)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어려서는 규암(圭菴) 송인수(宋麟壽)로부터 배우고 성장한 뒤에는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홍문관 부제학에 제수되었으나 사천(泗川)에 구암정사(龜巖精舍)를 짓고 후진양성에 힘씀.
1512~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사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정(李淨)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아들. 어명으로 덕성군(德城君)의 후사로 입계(入繼)되었으나, 후사가 없어 형 정양군(定陽君)의 3남인 황원정(黃原正)을 후사로 삼았다
1445~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정(李瀞)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재령(載寧). 조식(曹植)의 문인(門人)으로, 임진왜란 때 창의함. 청주 목사(淸州牧使)를 지냈으며, 사후에 대각사(大覺祠)에 배향됨.
1541~161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이정(李珽)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익하(李翊夏)의 아들로,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 등을 지냄.
1659~169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정(李禎)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운후(李云侯)의 아들로, 선산 부사(善山府使) 등을 지냄. 영변부 판관(寧邊府判官) 때 건주위(建州衛)의 침략에 대비하고 모련위(毛憐衛) 정벌 때 공을 세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무신
-
이정(李精)
조선 전기의 종친.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증손(曾孫)으로, 물거군(勿巨君) 이철(李徹)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정(李鋥)
조선 후기의 종친. 종종(中宗)의 여덟 째 아들인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이초(李岹)의 장남이며, 선조(宣祖)의 형. 임진왜란 때 분의복수군(奮義復讐軍)에 가담하여 적극 활약하였음.
1545~159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정(李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ㆍ화가. 세종(世宗)의 현손이자, 익주군(益州君) 이지(李枝)의 아들로, 석양군(石陽君)에 봉해짐. 시ㆍ서ㆍ화에 능하고, 특히 묵죽화(墨竹畫)에 뛰어나 명성을 떨침.
1541~162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
-
이정(李靖)@당
중국 수(隋) 말~당(唐) 초의 명장. 처음에는 수 나라를 섬겼으나, 당 나라 태종(太宗) 때 행군총관(行軍總管)이 되어 돌궐(突厥) 등 서역(西域)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움.
571~649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이정(李靖)@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양녕대군(讓寧大君)의 넷째 아들인 고정부정(古丁副正) 이겸(李謙)의 외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정간(李貞幹)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원종공신(原從功臣) 이구직(李丘直)의 맏아들로, 음보(蔭補)로 등용되어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냄.
1360~143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정귀(李廷龜)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현감(縣監) 이계(李𡹘)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명(明) 나라에 원병을 청하고, 대제학(大提學)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신흠(申欽)ㆍ장유(張維)ㆍ이식(李植)과 함께 조선 중기 4대 문장가로 불림.
1564~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정녕(李正寧)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ㆍ외척. 한성부윤(漢城府尹)을 지낸 이사후(李師厚)의 아들로, 태종(太宗)의 딸인 숙혜옹주(淑惠翁主)와 결혼하여 성원위(星原尉)에 봉작되었으며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등을 역임함.
1411~14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이정랑(李呈琅)
조선 전기의 종친.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의 장인. 1549년(명종 4) 이홍윤(李洪胤)의 옥사에 연루되어 처형되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정립(李廷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으로 기축옥사(己丑獄死)를 다스린 공으로 평난공신(平難功臣)이 되었고, 병조 참판(兵曹參判)ㆍ대사성(大司成) 등을 역임함.
1556~159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정면(李廷冕)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호조 참의(戶曹參議) 이민각(李民覺)의 아들로, 병조 정랑(兵曹正郞) 등을 지냄.
155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정백(李庭柏)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 이황(李滉)의 문인인 이정회(李庭檜)의 동생.
155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이정보(李廷俌)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경기좌도 관찰사(京畿左道觀察使)를 지냈음. 이색(李穡)이 지어준 자설(字說)이 《목은고(牧隱藁)》와 《동문선(東文選)》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정숙(李正叔)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손자인 길안도정(吉安都正) 이의(李義)의 맏아들로,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 등과 교유하였으며, 기묘사화 때 관작을 삭탈당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재차 연루되어 처형됨.
?~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정암(李廷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사직서 영(社稷署令) 이탕(李宕)의 아들로, 황해도 관찰사ㆍ병조 참판 등을 지냄. 임진왜란 때 연안(延安) 수비의 공으로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1541~16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정우(李庭友)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신평(新平). 상의원 정(尙衣院正) 이세건(李世健)의 아들.
154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이정은(李貞恩)
조선 태종(太宗)의 아들인 익녕군(益寧君) 이치(李袳)의 둘째 아들. 음률(音律)과 시(詩)에 뛰어나고 청담파(淸談派)의 일원이 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정전서(二程全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글을 총괄하여 편집한 책. 유서(遺書)ㆍ외서(外書)는 주희(朱熹)가 편집하고, 수언(粹言)ㆍ경설(經說)ㆍ문집(文集) 등은 양시(楊時)가 정정(訂定)하여, 1606년 서필달(徐必達)이 간행함.
1606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이정주(李呈珠)
조선 중종(中宗) 때의 종친. 영정수(永定守) 이복중(李福重)의 아들로, 난역(亂逆) 혐의로 유배된 아버지의 억울함을 하소연하고 방면(放免)을 요청하였으나 실패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정중(李精中)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이유중(李惟中)의 아우로, 1588년(선조 2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이정하(李鼎夏)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동부승지(同副承旨) 이성신(李省身)의 손자.
1652~172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이정형(李廷馨)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이탕(李宕)의 아들이며, 정윤희(丁胤禧)의 문인. 성리학(性理學) 등 다방면에 밝고, 이원익(李元翼)ㆍ이호민(李好民)ㆍ이수광(李睟光) 등과 교유하였으며, 이조 참판 등을 지냄.
1549~16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정화(李廷華)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기(李巙)의 아들로, 충좌위 부사용(忠佐衛副司勇)을 지냈으며, 아들인 연평부원군(延平府院君) 이귀(李貴)의 공으로 인해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에 추봉됨.
1520~155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무신
-
이정회(李庭檜)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아 공을 세운 뒤에 귀향하여 지남서당(芝南書堂)을 짓고 후진교육에 힘씀.
1542~161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제(李怟)
조선 전기의 종친. 효령대군(孝寧大君)의 맏아들인 의성군(誼城君) 이채(李寀)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제(李濟)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성계(李成桂)의 셋째 딸 경순공주(慶順公主)와 결혼함.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흥안군(興安君)에 봉해졌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鄭道傳)의 일파로 몰려 이방원(李芳遠)에 의하여 살해됨.
?~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ㅣ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제(李躋)@이농의아들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맏아들로, 세종부터 성종까지 내리 여섯 조정을 섬겼으며, 옥산군(玉山君)에 봉해짐.
1429~14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제(李躋)@이창량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로,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지낸 이창량(李昌良)의 아들.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이제묘(夷齊廟)@중국
중국 영평부(永平府) 북쪽 17리 지점의 고죽성(孤竹城)에 있는 백이(伯夷)ㆍ숙제(叔齊)의 사당.
중국 , 유적>건물>사당
-
이제묘(夷齊廟)
황해도 해주(海州)의 수양산(首陽山)에 있는 백이(伯夷)ㆍ숙제(叔齊)의 사당. 조선 숙종(肅宗) 때 ‘청성묘(淸聖廟)’라는 어필(御筆)을 내림.
황해도>해주 , 유적>건물>사당
-
이제민(李齊閔)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영신군(永新君) 이이(李怡)의 손자로,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냈으며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오름.
1528~160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제신(李濟臣)@1536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병마사(兵馬使)를 지낸 이문성(李文誠)의 아들로, 선조 때 예조 정랑(禮曹正郞)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시문(詩文)에 능하고 글씨를 잘 썼음.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제신(李濟臣)@1510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안주(安宙)의 문인으로 약관(弱冠)에 국학(國學)에 들어가 김범(金範)ㆍ배신(裵紳) 등과 수학(修學)했으며, 임진왜란과 인종(仁宗)의 승하(昇遐)를 예언하고 산림에 은둔함.
1510~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이제현(李齊賢)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 문신. 검교정승(檢校政丞) 이진(李瑱)의 아들로,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충선왕(忠宣王)을 수행하여 원(元) 나라에 가서 명사들과 교유하면서 다양한 외교활동을 펼쳐 고려 왕실의 안정에 기여함.
1287~136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제화(李齊華)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익령(李翼齡)의 아들이며, 간옹(艮翁) 이헌경(李獻慶)의 아버지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169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조(李晁)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주(星州).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내다가 귀향한 후 더 이상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 정진함. 저서로 《동곡실기(桐谷實記)》 등이 있으며, 성주(星州)의 안산서원(安山書院)에 배향됨.
1530~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조(李調)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로, 군기시 주부(軍器寺主簿) 이사성(李思誠)의 아들. 권호문(權好文)의 《송암집(松巖集)》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이조년(李兆年)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농서군공(隴西郡公) 이장경(李長庚)의 아들로,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냄. 심양왕 고(瀋陽王暠)가 충숙왕(忠肅王)의 왕위 찬탈을 도모할 때 원 나라의 중서성(中書省)에 그 부당함을 상소하여 음모를 저지시킴.
1269~134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조손(李兆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청주 목사(淸州牧使)를 지냈음. 《사재집(思齋集)》에 김정국(金正國)의 기시(寄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이조정(李竈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구례 현감(求禮縣監)을 지낸 이인(李寅)의 아들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증산 현령(甑山縣令) 등을 지냄.
1488~15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이존광(李存光)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4남인 성녕대군(誠寧大君)의 증손으로, 중종(中宗) 때 강원도 관찰사를 지낸 최중홍(崔重洪)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존비(李尊庇)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진(李瑨)의 아들이자, 철성부원군(鐵城府院君) 이우(李瑀)와 승려 복구(復邱)의 아버지로, 유경(柳璥)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등을 지냄.
1233~128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이존오(李存吾)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우정언(右正言)이 되어 신돈(辛旽)의 횡포를 탄핵하다가 좌천되고, 공주(公州)의 석탄(石灘)에서 은거하던 중 울분으로 병이 나서 죽음. 정몽주(鄭夢周)ㆍ박상충(朴尙衷) 등과 교분이 두터웠음.
1341~1371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이종(李徖)
조선 전기의 종친. 효령대군(孝寧大君)의 3남인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차남으로,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됨.
1432~147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종(李琮)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충좌위 부사과(忠佐衛副司果) 이양필(李良弼)의 아들이자,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이영(李瑛)의 형이며, 종실인 춘성령(春城令) 이형(李珩)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이종(李踵)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아들로, 태종의 세 번째 서자인 온녕군(溫寧君) 이정(李裎)에게 출계함.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1506년(연산군 12) 아들들과 함께 죽음을 당함.
?~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종(李鍾)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증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종(理宗)
중국 송(宋) 나라의 제14대 국왕. 재위 1225~1264년. 조광윤(趙匡胤)의 아들인 조덕소(趙德昭)의 구세손(九世孫). 영종(寧宗) 사후에 재상 사미원(史彌遠)에 의해 옹립되었으나 국정운영을 못하여 몽고(蒙古)에게 장강(長江) 이북을 할양함.
1205~126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종검(李宗儉)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을 지낸 이안직(李安直)의 아들로, 아우 이종겸(李宗謙)과 함께 용인의 남곡(南谷)에 은거하여 이맹전(李孟專)ㆍ김시습(金時習) 등과 도의지교(道義之交)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이종겸(李宗謙)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으로,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을 지낸 이안직(李安直)의 아들. 일찍 벼슬을 버리고 형 이종검(李宗儉)과 함께 용인의 남곡(南谷)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이종경(李宗慶)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충청도 도사(忠淸道都事)를 지낸 이세원(李世元)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이종도(李宗道)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로, 이황(李滉)의 종손(從孫)이며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장 김해(金垓)의 휘하(麾下)에서 의병부장(義兵副將)으로 활약함.
1535~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이종린(李宗麟)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중종(中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아들. 사옹원 제조(司饔院提調)ㆍ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538~161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종무(李從茂)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1400년(정종 2) 상장군으로 제2차 왕자의 난에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녹훈되었고, 1419년(세종 1)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하여 찬성사(贊成事)에 올랐음.
1360~142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무신
-
이종민(李宗閔)
중국 당(唐) 나라 목종(穆宗)~무종(武宗) 때의 문신. 우승유(牛僧孺)와 함께 ‘우당(牛黨)’의 대표적인 인물로, 이덕유(李德裕)ㆍ이길보(李吉甫) 중심의 ‘이당(李黨)’과 40여 년간 ‘우이당쟁(牛李黨爭)’을 벌임.
?~84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종사(李宗思)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건안(建安) 사람으로 불학(佛學)에 심취했으나 개변하여 정주학(程朱學)에 매진하여 《예범(禮範)》 등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이종생(李從生)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함평(咸平).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토벌할 때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고, 경상우병사(慶尙右兵使) 등을 역임함.
1423~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무신
-
이종선(李種善)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이색(李穡)의 아들이며 권근(權近)의 사위.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ㆍ개성 유후(開城留後) 등을 지냄.
1368~143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이종성(李宗城)@명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1595년(선조 28) 풍신수길(豐臣秀吉)을 왜왕(倭王)으로 책봉하기 위한 흠차책봉일본정사(欽差冊封日本正使)로 조선에 나와, 동래(東萊)의 왜진(倭陣)에 들어갔다가 소문에 놀라 도망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종성(李宗城)@조선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박문수(朴文秀)와 함께 붕당(朋黨)의 폐를 논하고 암행어사(暗行御史)가 되어 민폐를 일소했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저서로 《오천집(梧川集)》이 있음.
1692~175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이종손(李從孫)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공주(公州).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이함(李諴)의 아버지로, 사직(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무신
-
이종식(李宗軾)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부평(富平). 선공감 정(繕工監正) 이배근(李培根)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부평 , 인명>문사>유학
-
이종악(李宗岳)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사인(士人) 이문좌(李文佐)의 아들이며, 좌의정 이경일(李敬一)의 아버지로, 도사(都事)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종우(李從愚)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으로, 김정국(金正國)의 문인. 이언적(李彦迪)ㆍ기준(奇遵)ㆍ송순(宋純)과 함께 동년금방계(同年金榜契)를 설립(設立)함.
148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이종유(李宗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사복시 정(司僕寺正) 이적(李績)의 아들이며, 정존재(靜存齋) 이담(李湛)의 아버지로,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지냄.
1479~15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이종윤(李宗胤)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증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운림군(雲林君)에 봉해짐.
1563~164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종윤(李從胤)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사선서 주부(司膳署主簿)를 지낸 이효손(李孝孫)의 아들로, 군기시 주부(軍器寺主簿)ㆍ금성 현령(金城縣令) 등을 지냄.
1428~149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무신
-
이종윤(李悰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창평 현령(昌平縣令) 이수(李洙)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이종준(李宗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시서화(詩書畵)에 능하고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무고를 받아 국문을 받던 중에 죽음.
?~149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종학(李種學)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둘째 아들로, 진현관 제학(進賢館提學) 등을 지냄. 1392년 정몽주(鄭夢周)가 살해된 뒤 이숭인(李崇仁) 등과 함께 탄핵을 받아 유배되었다가 살해됨.
1361~139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문사>문인
-
이좌거(李左車)
중국 진(秦)~전한(前漢) 때의 무신. 조(趙) 나라의 명장 이목(李牧)의 손자. 조왕(趙王) 갈(曷)을 보좌하여 광무군(廣武君)이 되었으나, 한(漢) 나라의 한신(韓信)이 그를 스승으로 섬겨 그의 계책으로 연(燕)ㆍ제(齊)를 굴복시킴.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이주(李儔)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翼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단천부정(丹川副正) 이수곤(李壽鵾)의 두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