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주(李椆)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손자인 은천군(銀川君) 이찬(李穳)의 아들로, 용재(容齋) 이행(李荇)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주(李湊)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이유(李洧)의 아들이며, 호조 판서(戶曹判書) 이자견(李自堅)의 아버지로, 좌참찬(左參贊)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이주(李澍)@1437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맏아들로, 성종(成宗)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37~14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이주(李澍)@1534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명종 때 성균관(成均館)의 유생(儒生)으로서 보우(普雨)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림. 아들 이광정(李光庭)의 공으로 영의정에 추증됨.
1534~158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이주(李胄)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김종직(金宗直)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진도(珍島)로 유배되었으며,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김굉필(金宏弼) 등과 함께 사사(賜死)됨.
1468~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주(李珘)
조선 명종(明宗) 때의 종친. 성종(成宗)의 형인 월산대군(月山大君) 이정(李婷)의 손자이며, 계림군(桂林君) 이류(李瑠)와 전성부정(全城副正) 이리(李璃)의 형으로, 파림군(坡林君)에 봉해짐.
1500~154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준(李俊)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준(李埈)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흥양(興陽).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남인(南人) 세력을 결집하고 여론을 주도함. 임진왜란(壬辰倭亂)ㆍ정유재란(丁酉再亂)ㆍ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의병을 모집하고 군량미를 조달함.
1560~163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준(李寯)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황(李滉)의 아들로, 봉화 현감(奉化縣監)ㆍ의흥 현감(義興縣監)ㆍ군자시 첨정(軍器寺僉正) 등을 지냄.
1523~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이준(李浚)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 둘째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과 남이(南怡)의 옥사 때 공을 세워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성종(成宗)을 몰아내려 한다는 혐의로 탄핵을 받아 영해(寧海)에 유배되어 죽음.
1441~147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이준(李準)@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때 공을 세워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이이첨(李爾瞻)ㆍ정인홍(鄭仁弘) 등이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유폐하는 등 정사를 어지럽히자 벼슬을 버리고 은퇴함.
1545~162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준(李準)@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증손인 결기수(結己守) 이현(李玄)의 맏아들이며, 삼휴자(三休子) 윤관(尹寬)의 문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준(李竴)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 이달충(李達衷)의 맏아들로, 1360년(공민왕 9) 동당시(東堂試)에 입격하고, 호조 전서(戶曹典書)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준경(李浚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선조 때 신진 사류(新進士類)와 기성 사류(旣成士類) 사이의 알력을 조정하려다가 신진 사류의 정적(政敵)이 되어 공격을 받음.
1499~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준민(李俊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냈으나, 동서(東西)의 당론(黨論)이 심해지자 병을 칭탁하고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으며, 당론을 조정하려던 이이(李珥)를 존경함.
1524~159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준의(李遵義)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음죽 현감(陰竹縣監) 이강(李綱)의 아들이며, 한천군(漢川君) 이괵(李𥕏)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이준인(李遵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음죽 현감(陰竹縣監) 이강(李綱)의 맏아들이며, 이준의(李遵義)의 형. 일선수(一善守) 이엽(李曄)의 사위. 1534년(중종 2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소격서 영(昭格署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중(李中)@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고성(固城).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의 문인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선산(善山)에 유배되었다가 도망쳐 온 스승 김식을 숨겨준 일로 의금부에 하옥되고 부령(富寧)에 유배됨.
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문사>학자
-
이중(李中)@오대십국(남당)
중국 오대십국 남당(南唐)의 문신ㆍ문인. 신도 영(新塗令) 등을 지냄.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저서에 《벽운집(碧雲集)》이 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중경(李重慶)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영부(李英符)의 아들로,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고,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 여러 요직을 두루 지냄.
1517~15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중량(李仲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효행(孝行)과 학행(學行)이 뛰어났으며, 지방관을 두루 역임하며 선정(善政)을 베풂.
1504~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이중립(李中立)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김성일(金誠一)ㆍ권호문(權好文)ㆍ서해(徐嶰) 등과 교유하고, 서당을 지어 후진 양성에 힘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이중숙(李仲叔)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손자인 길안도정(吉安都正) 이의(李義)의 셋째 아들로,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화를 당한 맏형 시산정(詩山正) 이정숙(李正叔)에 연좌되어 선산(善山)에 유배되었다가 후에 풀려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중안(李仲安)
조선 전기의 유학. 유방선(柳方善)의 《태재집(泰齋集)》에 그에게 보낸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중열(李中悅)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유희춘(柳希春)ㆍ노수신(盧守愼) 등과 친교를 맺었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된 이휘(李輝)를 변호하다가 파직되어 이듬해 갑산(甲山)에 유배된 뒤 사사(賜死)됨.
1518~154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중열(李仲悅)
조선 전기의 유학. 조욱(趙昱)의 《용문집(龍門集)》에 그에게 부친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중윤(李中允)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성주 목사(星州牧使) 이지유(李之柔)의 아들로, 판결사(判決事)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중윤(李仲胤)
조선 전기의 종친. 청성군(靑城君) 이걸(李傑)의 둘째 아들이며, 이경윤(李慶胤)의 동생이자 이영윤(李英胤)의 형.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중은(李重恩)
중국 북송(北宋) 때의 기사(棋士). 당대(當代)에 맞수가 없을 정도로 바둑 실력이 뛰어났다는 기록이 구양수(歐陽脩)의 《귀전록(歸田錄)》에 실려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이중인(李中仁)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이성계(李成桂)의 역성혁명으로 정국이 혼란해지자 벼슬에서 물러나고, 조선 개국 후에는 머리를 풀고 산속에 들어가 은둔하여 절개를 지킴.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이중현(李仲賢)
조선 전기의 문신. 양양 부사(襄陽府使)를 역임하였으며, 도량이 넓고 백성을 사랑하여 선정(善政)을 베풂.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중호(李仲虎)@이공인의아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 이공인(李公仁)의 아들이며, 동암(東巖) 이발(李潑)의 아버지로, 담양 부사(潭陽府使) 등을 지냄.
151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이중호(李仲虎)@이정의아들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고안정(高安正) 이정(李精)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ㆍ유우(柳藕)의 문인. 과거(科擧)에 뜻을 두지 않고 도학(道學)에 전심하였으며, 문장(文章)에 뛰어나고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었음.
1512~15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이중희(李仲禧)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현감(縣監) 이굉식(李宏植)의 아들로, 사옹원 별좌(司饔院別坐)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즙(李葺)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옹진(瓮津). 영흥 부사(永興府使) 이수복(李壽福)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옹진 , 인명>문사>유학
-
이즙(李楫)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현손이자 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를 지낸 이대(李薱)의 맏아들이며, 이백(李柏)ㆍ이건(李楗)ㆍ이역(李櫟)ㆍ이노(李櫓)ㆍ이박(李樸)ㆍ이량(李樑)의 형. 1543년(중종 3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충훈부 경력(忠勳府經歷)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증(李增)@이원의아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좌의정 이원(李原)의 아들로, 영산 현감(靈山縣監)을 지내고, 후에 안동(安東)으로 낙향하여 덕이 높은 향인(鄕人)들과 우향계(友鄕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증(李增)@이지숙의아들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정여립(鄭汝立)의 옥사 때 공을 세위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후에는 국가의 기강을 바로잡는 데 헌신함.
1525~160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증(李增)@이이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여섯 번째 서자인 진남군(鎭南君) 이종생(李終生)의 손자이자, 봉성군(鳳城君) 이이(李𢓡)의 아들이며, 돈녕부정(敦寧府正) 윤승홍(尹承弘)의 장인.
1453~150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증(李增)@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 대한 자사(字辭)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증무(李增茂)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덕산(德山). 사간원 대사간(司諫院大司諫) 이번(李蕃)의 둘째 아들로,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덕산 , 인명>관인>문신
-
이증석(李曾碩)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기우자(騎牛子) 이행(李行)의 증손이며,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외손자로, 중화 군수(中和郡守)를 지냄.
142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이증수(李增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조 참판(吏曹參判) 이인(李認)의 아버지로, 사옹원 가낭청(司饔院假郎聽)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이증화(李增華)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산(德山). 사간원 대사간(司諫院大司諫) 이번(李蕃)의 맏아들이며, 예문관 대교(藝文館待敎) 정전(鄭荃)의 사위로, 판관(判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덕산 , 인명>관인>문신
-
이지(李墀)@이계중의사위
조선 전기의 종친. 군사(郡事) 이계중(李繼重)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지(李墀)@이원의아들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좌의정 이원(李原)의 아들로, 승문원 참교(承文院參校)를 지냄.
14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이지(李漬)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현군(翼峴君) 이곤(李璭)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지강(李之剛)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집(李集)의 둘째 아들로, 이방원(李芳遠)의 측근이 되어 활약하고, 태종(太宗) 즉위 후 풍기 단속과 공신(功臣) 세력을 제거하는 데 앞장섬.
1363~142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지란(李之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여진의 금패천호(金牌千戶) 아라불화(阿羅不花)의 아들로, 공민왕 때 고려에 귀화함.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건국에 큰 공을 세우고,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됨.
1331~140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북청ㅣ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이지렴(李之濂)
조선 현종(玄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함풍(咸豊). 김집(金集)ㆍ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학문이 뛰어나고 시와 글씨에 능하였으며, 흡곡 현령(歙谷縣令) 등을 지냄.
1628~169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함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지무(李之茂)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이치(李穉)의 둘째 아들로, 이지번(李之蕃)의 아우이자 이지함(李之菡)의 형. 1543년(중종 3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아들인 이산보(李山甫)의 공으로 인해 한창부원군(韓昌府院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 , 인명>문사>유학
-
이지방(李之芳)
중국 청(淸) 나라 세조(世祖)~성조(聖祖) 때의 문신. 오삼계(吳三桂)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문화전 태학사(文華殿太學士) 등을 지냄.
1622~1694 중국>청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지번(李之蕃)@조선전기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주(星州). 표연말(表沿沫)ㆍ유호인(兪好仁)ㆍ최한후(崔漢侯) 등과 교유하였으며, 연산군(燕山君)의 폭정에 벼슬살이의 염증을 느끼고 낙향하여 학문에 몰두함.
1469~152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지번(李之蕃)@이산해의아버지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산해(李山海)의 아버지이며, 이지함(李之菡)의 형. 명종(明宗) 때 김안로(金安老)의 무고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단양(丹陽)의 구담(龜潭)에 은거함.
?~157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지복(李之復)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인. 본관은 여주(驪州). 이태(李迨)의 6대손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소실된 쌍경당(雙鏡堂)을 복원하고 《월연집(月淵集)》의 부록에 들어 있는 〈쌍경당기사후지(雙鏡堂記事後識)〉를 지음.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
-
이지성(李之誠)
조선 중종(中宗) 때의 생원. 본관은 경주(慶州). 충무위 상호군(忠武衛上護軍) 이화(李譁)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이지수(李之秀)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삼중대광(三重大匡)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지숙(李之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한성군(韓城君) 이질(李秩)의 아들로, 종묘서 영(宗廟署令)을 지냈으며, 아들인 아천군(鵝川君) 이증(李增)의 훈공으로 인해 이조 판서(吏曹判書) 한평군(韓平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이지식(頤知識)
고려 후기의 승려. 이규보(李奎報)와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이지완(李志完)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시문(詩文)에 능하여 1606년(선조 39) 중국 사신 주지번(朱之蕃)이 왔을 때 이호민(李好閔)ㆍ허균(許筠) 등과 접반함. 이이첨(李爾瞻)과 사돈을 맺고 권력을 탐해 사람들의 비난을 받음.
1575~161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이지원(李之元)
조선 전기의 유학. 이이(李珥)와 교유했으며, 이이가 그의 집에 가서 주고받은 시가 《율곡전서(栗谷全書)》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지유(李之柔)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집(李集)의 셋째 아들로, 성주 목사(星州牧使)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지지(李知止)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완산(完山). 지삼기현사(知三岐縣事) 이나(李那)의 아들이며, 동래군(東萊君) 정난종(鄭蘭宗)의 장인이자, 문익공(文翼公) 정광필(鄭光弼)의 외조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이지직(李之直)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이집(李集)의 장남.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보문각 직제학(寶文閣直提學) 등을 지냄.
1354~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지충(李之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우봉(牛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중종 때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한 뒤 평생을 경사(經史) 연구와 후진(後進) 양성에 힘씀.
1509~156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우봉 , 인명>문사>학자
-
이지함(李之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치(李穉)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아산 현감(牙山縣監) 등을 지내고, 《토정비결(土亭祕訣)》을 저술함.
1517~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지활(李智活)
조선 문종(文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세조(世祖)가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거창(居昌)의 박유산(朴儒山)에 은거하였으며, 단종의 승하 소식을 듣고 통곡하다 죽음.
14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이직(李溭)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이중호(李仲虎)의 아들. 이영(李嶸)ㆍ성혼(成渾)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직(李稙)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아들이며, 선사군(仙槎君) 이승손(李承孫)의 아버지.
1438~151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직(李稷)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성계(李成桂) 추대에 참여하여 지신사(知申事)로서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성산군(星山君)에 봉해짐.
1362~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직언(李直彦)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5대손으로,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인조를 강화도에 호종하여 척화를 주장했으며, 찬성(贊成) 등을 지냄. 유영건(柳永健)ㆍ이원익(李元翼) 등과 교유함.
1545~162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진(李瑱)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아버지. 정당문학(政堂文學)ㆍ검교첨의정승(檢校僉議政丞) 등을 지내고, 제자백가(諸子百家)를 섭렵하고 시문(詩文)에 뛰어남.
1244~132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이진(李璡)
중국 당(唐) 나라 영왕(甯王)의 맏아들. 활쏘기를 잘하였고, 하지장(賀知章)과 시주(詩酒)로 교유함. 술을 좋아하여 ‘주중팔선인(酒中八仙人)’ 중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짐.
?~750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이진(李稹)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한재(寒齋) 이목(李穆)의 아우로, 이목의 《이평사집(李評事集)》에 개성(開城)으로 떠나는 그를 전송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이진(李軫)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군량을 운반한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되었으며, 목사(牧使)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진(李鎭)@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褆)의 손자이며, 함양군(咸陽君) 이포(李𧦞)의 맏아들로, 부원군(富原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진(李鎭)@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 송응경(宋應慶)의 사위로, 선조 때 법을 어기고 서북 지방의 관기(官妓)를 데려다 거느리다가 추고(推考)의 처분을 받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진(李震)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이세응(李世應)의 아들로, 1537년(중종 3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참의(參議)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진수(李眞粹)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서거정(徐居正)과 남원(南原) 축천정(丑川亭)에 동행한 적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진숙(李晉肅)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종친. 시인 이하(李賀)의 아버지로, 미관말직에 있다가 일찍 죽음. 후에 이하가 진사시(進士試)에 응시하였을 때 진숙의 ‘진(晉)’과 진사의 ‘진(進)’이 음이 같으므로 피휘(避諱)해야 한다는 이유 때문에 낙방함.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이진영(李震英)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이상연(李尙堧)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이진유(李眞儒)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소론(小論)의 영수 윤증(尹拯)을 비난한 권상하(權尙夏)ㆍ정호(鄭澔)의 처벌을 주장하다가 삭출(削黜)되었으며, 김일경(金一鏡) 등과 함께 신임사화(辛壬士禍)를 일으킴. 추자도(楸子島)에 유배되어 〈속사미인곡(續思美人曲)〉을 지음.
1669~173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진효(李震孝)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참봉(參奉) 이면(李勉)의 아버지이며, 정헌(靜軒) 이기(李巙)의 장인으로, 송라도 찰방(松羅道察訪)과 충익부 도사(忠翊府都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질(李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좌의정(左議政) 이원(李原)의 아들이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이칙(李則)의 아버지로, 한성부 소윤(漢城府少尹)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이질(李耋)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손자이며, 경양군(景陽君) 이수환(李壽環)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질순(李質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집(李㙫)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통례(通禮)를 지냈으며, 윤근수(尹根壽)가 그를 위해 지은 만사(挽詞)가 《월정집(月汀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집(李潗)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1725년(영조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시절 민생 구제에 노력함. 저서로 《한주집(韓州集)》이 있음.
1670~172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이집(李諿)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파직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풀려났으며, 우찬성(右贊成) 등을 역임함.
1438~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집(李輯)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열 번째 서자인 담양군(潭陽君) 이거(李璖)의 계후(繼後)인 강양군(江陽君) 이숙(李潚)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집(李集)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이숭인(李崇仁) 등과 친분이 두터웠으며, 공민왕(恭愍王) 때 사직하고 여주(驪州)에서 시를 지으며 일생을 마침.
1314~138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ㅣ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징(李澄)@이쟁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며, 회원군(會原君) 이쟁(李崢)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징(李澄)@이황의형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형으로, 제원도 찰방(濟原道察訪)을 지냄.
1498~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징(李澄)@이구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다섯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징옥(李澄玉)
조선 태종(太宗)~단종(端宗) 때의 무신. 본관은 양산(梁山). 이숙번(李叔蕃)의 문인으로 김종서(金宗瑞)와 함께 육진(六鎭) 개척에 공을 세움. 함길도 도절제사(咸吉道都節制使)를 지내던 중 파직당하자, 후임자인 박호문(朴好問)을 죽인 뒤 반란을 일으킴.
?~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양산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무신
-
이징원(李澄源)@조선전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구순(具淳)의 장인이며, 의신군(義新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징원(李澄源)@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요동(遼東)으로 사신을 갔으며, 사간(司諫)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찬(李攢)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손자이고, 옥산군(玉山君) 이제(李躋)의 다섯째 아들이며, 안악 군수(安岳郡守) 심광문(沈光門)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찬(李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중종 때 이임(李任) 등을 탄핵한 일로 부여(扶餘)에 유배되었다가 사면된 뒤 집의(執義)ㆍ시강관(侍講官) 등을 지냄.
1498~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이찬(李穳)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아들.
?~14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