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찬(李纘)
조선 중종(中宗) 때의 종친. 중종반정(中宗反正)의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고 이과(李顆)ㆍ윤구수(尹龜壽)ㆍ김잠(金岑) 등과 모의하여 견성군(甄城君) 이돈(李惇)을 추대한 뒤 박원종(朴元宗)ㆍ유순정(柳順汀) 등을 제거하려 하였으나, 서얼 노영손(盧永孫)의 밀고로 처형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창근(李昌根)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이원영(李源英)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이창년(李昌年)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사옹원 별좌(司饔院別坐) 이중희(李仲禧)의 아들이며, 상의원 정(尙衣院正) 이안충(李安忠)의 아버지로, 봉상시 부정(奉常寺副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창량(李昌良)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진사 이제(李躋)의 아버지로,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창수(李昌壽)@이중희의아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중희(李仲禧)의 아들로, 태안 군수(泰安郡守)를 지냄.
1453~151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창수(李昌壽)@조선정종의현손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현손(玄孫)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조광조(趙光祖)와 친교를 맺었으며, 학문이 뛰어나 사림(士林)의 추앙을 받음.
?~151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창숙(李昌叔)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손자인 길안도정(吉安都正) 이의(李義)의 둘째 아들로,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화를 당한 맏형 시산정(詩山正) 이정숙(李正叔)에 연좌되어 유배되었다가 후에 풀려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창신(李昌臣)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한어(漢語)ㆍ이문(吏文)에 매우 능하였고,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역임하였으며,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섬으로 유배됨.
14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창우(李昌祐)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전중감(殿重監) 이장(李粧)의 아들이자, 낭성군(琅城君) 이계감(李季瑊)의 아버지로, 판도총랑(版圖摠郞)을 지냈으며, 밀직사사(密直司使)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이창응(李昌應)
조선 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재원(李載元)의 아버지로, 수원관(守園官)을 지냄.
?~182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창인(李昌仁)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영희(李永禧)의 아들이며, 성균관 학정(成均館學正) 이의(李薿)의 아버지로, 용양위 부사과(龍驤衛副司果)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무신
-
이창형(李昌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 광양 현감(光陽縣監) 이맹희(李孟禧)의 아들이자, 영의정(領議政) 이탁(李鐸)의 아버지로, 신천 군수(信川郡守)를 지냈으며, 영의정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무신
-
이채(李寀)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맏아들로, 내자시 직장(內資寺直長) 이차궁(李次弓)의 딸과 혼인함. 학문을 좋아하여 경사(經史)에 통달함.
1411~149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종친
-
이천(伊川)
강원도 서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구려 때 이진매현(伊珍買縣)이라 부르고 신라 때 이천(伊川)으로 고쳤으며, 벼를 비롯하여 보리ㆍ목화ㆍ대마 등이 경작됨. 별호는 화산(花山)임.
강원도>이천 , 지명>행정지명
-
이천(利川)
경기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기 중서부와 강원도ㆍ충청도를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 논농사로 유명함.
경기도>이천 , 지명>행정지명
-
이천(李仟)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 보승 별장(保勝別將) 이순(李順)의 아들로, 응양군 대장군(鷹揚軍大將軍)ㆍ문하평장사(門下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무신
-
이천(李蒨)@고려
고려 충숙왕(忠肅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첨의평리 상의(僉議評理商議)로 원(元) 나라에 가서 교사(郊赦)를 축하하고 돌아왔으며,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등을 역임함.
?~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천(李蒨)@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서원군(瑞原君) 이친(李𡩁)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천격양집(伊川擊壤集)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시인ㆍ학자인 소옹(邵雍)의 시가문집(詩歌文集). 20권. 소옹이 낙양(洛陽)에 은거할 때 스스로 즐기며 지은 시들로, 성정(性情)을 읊은 것이 내용의 주를 이룸.
1066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이천경(李天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 본관은 합천(陜川).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님의 봉양을 위해 관직을 사양했으며, 저서로 《일신당집(日新堂集)》이 있음.
1537~161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문인
-
이천계(李天啓)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좌의정 홍언필(洪彦弼)을 논핵(論覈)하였다가 이기(李芑)의 배척을 받고 삭탈관직되었으며, 정미사화(丁未士禍) 때 다시 이기의 무고를 받아 영해부(寧海府에 유배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이천문집(伊川文集)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정이(程頤)의 문집. 형인 정호(程顥)의 《명도문집(明道文集)》과 함께 《이정전서(二程全書)》에 들어 있으며, 8권으로 구성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이천상(李天相)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학자. 본관은 전의(全義)로, 통덕랑(通德郞) 이군정(李君靖)의 아들. 배유장(裵幼樟)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정통함.
1637~170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이천선(李千善)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참지중서정사(參知中書政事)를 지냈으며, 기철(奇轍)ㆍ권겸(權謙) 등이 주살된 사실을 원(元) 나라에 보고한 공으로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수사공(守司空) 주국(柱國)이 되어 낙안백(樂安伯)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이천수(李千壽)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자, 청안군(淸安君) 이영(李嶸)의 셋째 아들이며, 노공필(盧公弼)의 외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천우(李天祐)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서형(庶兄)인 이원계(李元桂)의 아들로, 이성계의 휘하에서 왜구를 토벌하는 데 공을 세우고, 조선 개국 후 찬성사(贊成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됨.
?~141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이철(李徹)
조선 세조(世祖)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다섯째 아들. 진법(陣法)에 밝고, 장기와 바둑을 잘 두었음.
?~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철(李轍)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손자이며, 부림군(富林君) 이식(李湜)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철견(李鐵堅)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공조 참판(工曹參判) 이연손(李延孫)의 아들로, 성종(成宗)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 등을 지냄.
1435~149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이철권(李鐵拳)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신평(新平). 이문충(李文忠)의 아들이며, 이천계(李天啓)의 아버지로, 부장(部將)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무신
-
이철균(李鐵均)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과 교유하였으며, 경학(經學)에 밝고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1450~15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철동(李哲同)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증손이고, 의성군(誼城君) 이채(李寀)의 손자이며, 운림도정(雲林都正) 이핍(李愊)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철용(李哲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정존재(靜存齋) 이담(李湛)의 아들로, 창녕 현감(昌寧縣監)을 지냈으며, 이해수(李海壽)의 《약포유고(藥圃遺稿)》에 그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이첨(李瞻)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 이종린(李宗麟)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세자(世子)를 호종한 공으로 구성군(龜城君)이 됨.
1553~159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첨(李詹)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신평(新平).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내고, 하륜(河崙) 등과 함께 《삼국사략(三國史略)》을 찬수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소설 〈저생전(楮生傳)〉을 지음.
1345~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청(李淸)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덕윤(李德潤)의 아들로, 1511년(중종 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등을 지냄.
1483~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이청조(李淸照)
중국 송(宋) 나라의 여류 문인. 이격비(李格非)의 딸로, 시문(詩文)에 뛰어나 명성을 떨쳤으며, 저서에 《수옥집(漱玉集)》이 있음.
1084~115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이초옥(李楚玉)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함풍(咸豊). 흡곡 현령(歙谷縣令) 이지렴(李之濂)의 아버지로, 전력부위(展力副尉)에 오름.
1606~164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무신
-
이총(李摠)
조선 전기의 종친. 우산군(牛山君) 이종(李踵)의 아들이며, 남효온(南孝溫)의 사위.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아버지를 비롯하여 여섯 형제가 모두 사사됨.
?~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총(李𤄓)
조선 전기의 종친.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아들로, 조광조(趙光祖)와 교유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연좌되어 울산(蔚山)으로 유배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최영(李最英)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이상연(李尙堧)의 아들이며, 이진영(李震英)의 아우.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이추(李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홍산 현감(鴻山縣監) 이의석(李宜碩)ㆍ사간(司諫) 이의무(李宜茂)의 아버지로, 온양 군수(溫陽郡守)를 지내고, 찬성(贊成)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이추(李菆)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이자 서원군(瑞原君) 이친(李𡩁)의 장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축(李蓄)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광주 목사(光州牧使) 이숙야(李叔野)의 아들로,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고양(高陽)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마침.
1402~147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이축(李軸)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안악 군수(安岳郡守) 시절 한준(韓準)ㆍ박충간(朴忠侃)ㆍ한응인(韓應寅) 등과 함께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고변하여 병조 정랑(兵曹正郞)이 되고,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1538~161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춘복(李春福)
조선 전기의 종친. 영성수(寧城守) 이경생(李敬生)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춘부(李春富)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 이나해(李那海)의 아들로, 1359년(공민왕 8) 홍건적(紅巾賊)을 물리쳐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가 되고, 충근절의동덕찬화공신(忠勤節義同德贊化功臣)에 책록됨.
?~137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춘양(李春陽)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증손이며, 처인수(處仁守) 이성종(李盛終)의 첫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춘억(李春億)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증손이며, 처인수(處仁守) 이성종(李盛終)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춘원(李春元)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증손이며, 처인수(處仁守) 이성종(李盛終)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춘정(李春程)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증손이며, 처인수(處仁守) 이성종(李盛終)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춘형(李春亨)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증손이며, 처인수(處仁守) 이성종(李盛終)의 다섯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출(李秫)
조선 중중(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1535년(중종 30)에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이충건(李忠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윤탁(李允濯)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파직됨. 안처겸(安處謙)의 옥사에 연루되어 고문을 받고 귀양 가던 도중 청파역(靑坡驛)에서 죽음.
?~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충량(李忠樑)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영천(永川). 이덕홍(李德弘)ㆍ이명홍(李命弘)ㆍ이복홍(李福弘)의 아버지로,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유학
-
이충작(李忠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효자.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후손이며, 당은군(唐恩君) 이휘(李徽)의 아들. 이기(李芑) 등의 보익공신(保翼功臣) 칭호를 삭탈할 것을 주장하였으며, 모친상을 슬퍼하다가 실명(失明)함.
1521~157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직산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충절(李忠節)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 훈도(訓導) 이영무(李英茂)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유학
-
이치(李寘)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 온계(溫溪) 이해(李瀣)의 넷째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조카로, 요절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보 , 인명>문사>유학
-
이치(李穉)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이지번(李之蕃)ㆍ이지함(李之菡)의 아버지.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진도(珍島)로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 이후 풀려나 판관(判官) 등을 지내고,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이치(李致)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인종(仁宗) 때 양사(兩司)와 더불어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킨 이기(李芑)를 탄핵하여 파직시켰으나, 이기의 사주를 받은 이무강(李無彊)에 의해 대역죄로 몰려 투옥된 후 장살(杖殺)됨.
1504~155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이치(李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인로(李仁老)의 아들로, 판교(判校)를 지냄. 동생 이여(李畬)와 함께 진천(鎭川)에 거주하면서 풍속 교화에 힘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이치신(李致身)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권(李勸)의 아들로, 후사가 없어 형 이성신(李省身)의 아들인 이환(李桓)을 양자로 들임.
1594~166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이칙(李則)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좌의정 이원(李原)의 손자로, 성종 때 임사홍(任士洪)의 등용을 반대하였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438~149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이친(李𡩁)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차남으로,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이희(李暿)의 딸과 혼인함.
1413~14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침(李琛)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증손인 석보정(石保正) 이복생(李福生)의 증손이며, 함라수(咸羅守) 이효원(李孝元)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탁(李倬)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탁(李擢)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손자이며, 칠성수(漆城守) 이화(李譁)의 아버지로, 시안군(始安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탁(李濯)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세 번째 서자이고, 이함(李涵)ㆍ이린(李潾)의 아우이며, 이옥(李沃)의 형.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탁(李鐸)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의(全義). 《중종실록(中宗實錄)》과 《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덕이 많고 청렴한 인물로 이름이 높았으며, 권신 이기(李芑)를 탄핵함.
1509~157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탄(李坦)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증손이며, 취성군(鷲城君) 이경(李熲)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탕(李宕)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병조 참판(兵曹參判) 이정암(李廷馣)의 아버지. 1534년 (중종 29)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사직서 영(社稷署令)을 지냄.
150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태(李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이사필(李師弼)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김정국(金正國)ㆍ이현보(李賢輔)ㆍ권벌(權橃) 등과 교유함.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낙향하여 학문에 전념하고,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483~153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이태백시집(李太白詩集)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시인인 이백(李白)의 시집. 30권. 현존하는 최고본은 송(宋) 나라 때 편집된 것이며, 주석서로는 송 나라의 양제현(楊齊賢), 원(元) 나라의 소사빈(蕭士贇), 청(淸) 나라의 왕기(王琦) 등의 저서가 있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이택(李澤)@이복로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봉상시 판관(奉常寺判官) 이복로(李福老)의 아버지로, 낭천 현감(狼川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택(李澤)@이교의아들
조선 성종(成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동지사(同知事)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문장에 능하고 해서(楷書)를 잘 썼으며, 사예(射藝)에도 뛰어남.
1509~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이통(李通)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선공감 감역관(繕工監監役官) 이인상(李麟祥)의 아들이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이경증(李景曾)의 아버지로, 순천 군수(順川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이파(李坡)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계전(李季甸)의 아들로, 《동국통감(東國通鑑)》과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의 편찬에 참여하고,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성리학(性理學)에 밝고 문장이 뛰어남.
1434~148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이팽복(李彭福)
조선 전기의 종실. 영성수(寧城守) 이경생(李敬生)의 첫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평(李坪)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부제학(副提學) 이윤(李胤)의 아버지로, 사온서 영(司醞署令)을 지냄.
1440~14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이평(李枰)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악(安岳)으로, 홍문관 제학(弘文館提學) 이희순(李希舜)의 아버지. 1468년(세조 1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참판(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안악 , 인명>관인>문신
-
이평(李泙)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좌의정 이원(李原)의 손자로, 음보(蔭補)로 벼슬하여 사온서 영(司醞署令) 등을 역임함.
1440~14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이포(李包)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이소생(李紹生)의 아버지로, 도염서 승(都染署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포(李褒)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조년(李兆年)의 아들로,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 등을 지냄. 여섯 아들이 모두 과거(科擧)에 올라 가문이 크게 중흥함.
1287~137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포(李𧦞)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둘째 아들.
1416~14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표(李彪)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익녕군(益寧君) 이치(李袳)의 손자이며, 수천군(秀泉君) 이정은(李貞恩)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표(李豹)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아들 익녕군(益寧君) 이치(李袳)의 손자이며, 수천군(秀泉君) 이정은(李貞恩)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풍(李灃)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맏아들로, 후사가 없어 아우인 부림군(富林君) 이식(李湜)의 둘째 아들 도안군(道安君) 이철(李轍)로 계대(繼代)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풍(李豐)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장수. 하후현(夏侯玄)ㆍ장집(張緝) 등과 함께 진(晉) 나라 경제(景帝)로 추존된 사마사(司馬師)를 제거할 것을 모의하다가 발각되어 죽음을 당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이필(李泌)
중국 당(唐) 나라의 재상. 어려서 신동(神童)으로 이름을 떨치고, 신선술(神仙術)에 탐닉하였으며, 현종(玄宗)ㆍ숙종(肅宗)ㆍ대종(代宗)ㆍ덕종(德宗) 네 황제에 걸쳐 국가 대사에 막중한 영향력을 행사함.
?~78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핍(李愊)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의성군(誼城君) 이채(李寀)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하(李河)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된 이식(李埴)의 둘째 아들이며 이굉(李宏)ㆍ이완(李完)의 아버지로, 예안 훈도(禮安訓導)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이하(李賀)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문장에 뛰어나 한유(韓愈)ㆍ황보식(皇甫湜) 등의 인정을 받았으나 요절함. 재주가 특출나고 초자연적 제재(題材)를 애용하여 ‘귀재(鬼才)’라 불렸으며, 〈장진주(將進酒)〉 등의 명작을 남김.
790~816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이하영(李夏英)
조선 후기의 서화가.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서화가인 조속(趙涑)의 화풍을 이어받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예술인>서화가
-
이학(李鶴)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로, 충좌위 부사과(忠佐衛副司果)를 지낸 이세원(李世元)의 아들. 성균관(成均館) 진사(進士)로 명성이 높았고,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와 절친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유학
-
이학정(李鶴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광국공신(光國功臣) 이양원(李陽元)의 아버지로, 이원부령(利原副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학정(李鶴貞)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의 서자인 해안군(海安君) 이희(李㟓)의 서자로, 서흥수(西興守)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한(李翰)
통일신라 때 전주(全州)의 호족.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21대조로, 전주이씨(全州李氏)의 시조. 사공(司空)을 지냄.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한(李漢)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한유(韓愈)의 제자이자 사위로, 한유의 문집인 《창려선생집(昌黎先生集)》의 서문을 씀.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이함(李咸)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 태위(太尉) 등을 지내고, 충직하게 바른 말을 간하여 예제(禮制)를 합당케 함. 시대에 아첨하였다는 호광(胡廣)과 비교가 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함(李涵)@1554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재령(載寧).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의 조부로, 선조 때 문과에 올랐으나 답안지 가운데 《장자(莊子)》에서 인용한 말이 있다고 하여 취소당하였으며, 의령 현감(宜寧縣監) 등을 역임한 후 광해군 때 낙향함.
1554~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