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함(李涵)@1458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서자. 영양부정(英陽副正)에 봉해지고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458~152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함(李涵)
조선 후기의 종친ㆍ서화가. 본관은 전주(全州). 능원대군(陵原大君) 이보(李俌)의 아들로, 가야금과 그림에 능통하였으며, 조속(趙涑)의 화풍을 이어받음. 〈쌍작도(雙鵲圖)〉ㆍ〈해암응립도(海巖鷹立圖)〉ㆍ〈과전초충도(瓜田草蟲圖)〉 등의 작품이 있음.
163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
-
이함(李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황주 목사(黃州牧使)를 지내고, 명(明) 나라에 진하사(進賀使)로 다녀옴.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풍해군(豊海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함(李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공주(公州). 사직(司直)을 지낸 이종손(李從孫)의 아들로,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ㆍ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이함장(李諴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부윤(府尹) 이사관(李士寬)의 아들이며,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이수남(李壽男)의 아버지. 1457년(세조 3) 중시(重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함형(李咸亨)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이황이 《심경(心經)》을 강의할 때 내린 자구 해석을 이덕홍(李德弘)과 함께 필사하여 《심경석의(心經釋疑)》를 기록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이합(李㝓)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아들로, 1468년(세조 14) 남이(南怡)를 국문하던 중 그와 교분이 두터웠던 사실이 드러나 군호(君號)를 삭탈당하고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나 고신(告身)을 환급받음.
141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항(李恒)@이자영의아들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박영(朴英)의 문인으로, 반궁성의(反躬誠意)ㆍ주경궁리(主敬窮理)를 학문 경향으로 삼음. 1566년(명종 21) 학행으로 천거를 받아 의영고 영(義盈庫令) 등을 지냄.
1499~157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항(李恒)@이채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이며 의성군(誼城君) 이채(李寀)의 아들로, 봉성군(蓬城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항(李沆)@1474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이조 참의(吏曹參議)를 지낸 이세인(李世仁)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주도하여 조광조(趙光祖) 등을 숙청했으며, 영천 군수(榮川郡守)ㆍ대사헌(大司憲)ㆍ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냈음.
1474~1533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상도>개령 , 인명>관인>문신
-
이항(李沆)@송
중국 송(宋) 진종(眞宗) 때의 문신. 평장사(平章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선견지명이 뛰어나 천재(天災) 등 세세한 일까지 모두 아뢰어 진종의 마음을 경계하였으므로, 당시에 ‘성상(聖相)’으로 일컬어짐.
947~100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항(李沆)@1506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아들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증손. 고성군(固城君) 이강(李鋼)의 아들로, 인종(仁宗)의 장례를 담당한 공으로 덕평군(德平君)에 봉해짐.
1506~15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항무(李恒茂)
고려 말 조선 초의 유학. 권근(權近)과 동년(同年)으로 《양촌집(陽村集)》에 노곡(魯谷)의 시를 차운한 것이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이항복(李恒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까지 호종함. 1617년(광해군 9)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탈되었으나 사후에 복관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56~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이해(李偕)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이며 원천군(原川君) 이의(李宜)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왜군과 대적하다 전사함.
?~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해(李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대사헌(大司憲) 때 권신 이기(李芑)의 우의정 임용을 반대하다 탄핵되었으며, 무고 사건에 연좌된 구수담(具壽聃)의 일파로 몰려 귀양가던 도중 양주(楊州)에서 병사함.
1496~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이해(李蟹)
조선 연산군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1504년(연산군 1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712년(숙종 38) 건립된 나주의 영강서원(榮江書院)에 향사(享祀)됨.
14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이해(李該)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황(李滉)의 문인인 이중립(李中立)의 아버지로, 충의위(忠義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무신
-
이해(李𥩲)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의병장 이개립(李介立)의 아버지로, 어모장군(禦侮將軍)에 오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문사>유학
-
이해수(李海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건저 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종성(鐘城)으로 유배되었다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로 호종함. 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내고, 시와 예서에 뛰어남.
1536~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핵(李翮)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검교정승(檢校政丞) 이진(李瑱)ㆍ대제학(大提學) 이세기(李世基)의 아버지로, 문하부 평리(門下府評理) 등을 지내고 좌복야(左僕射)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행(李荇)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폐비윤씨(廢妃尹氏)의 복위를 반대하여 유배되었고, 중종의 원비 신씨(愼氏)의 복위를 반대함.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을 찬진함.
1478~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이행(李行)@고려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우왕(禑王) 때 탐라(耽羅)에 가서 성주(星主)의 아들 고봉례(高鳳禮)를 볼모로 데려옴. 조선 개국 후 형조 판서(刑曹判書)ㆍ개성 유후(開城留後) 등을 지냄.
1352~143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이행(李行)@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여섯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향령(李享齡)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중종(中宗)의 손자인 하원군(河原君) 이정(李鋥)의 아들. 임진왜란 때 선조(宣祖)를 호종하여 익성군(益城君)에 진봉(進封)되었으며, 김직재(金直哉)의 무옥(誣獄)에 연루되어 거제도(巨濟島)로 유배되었다가 그곳에서 죽음.
1566~161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허겸(李許謙)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인주(仁州). 문하시중(門下侍中) 이자연(李子淵)의 할아버지이고 문하시중 김은부(金殷傅)의 장인이며 원성왕후(元成王后)의 외할아버지. 상서좌복야 상주국 소성현 개국후(尙書左僕射上柱國邵城縣開國侯)에 추증됨. 인천이씨(仁川李氏)의 시조.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이헌경(李獻慶)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형조 참판(刑曹參判)을 지낸 이제화(李齊華)의 아들. 대사간(大司諫)ㆍ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지내고, 저서로 《간옹집(艮翁集)》이 있음.
1719~179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험(李嶮)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참판(參判) 이륙(李陸)의 아들이며 대사간(大司諫) 이찬(李澯)의 아버지로, 부사과(副司果)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이현(李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여섯 번째 아들.
1543~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현(李玄)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손자인 수천군(秀泉君) 이정은(李貞恩)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현(李賢)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부 상서(吏部尙書)ㆍ한림원 학사(翰林院學士) 등을 지냈고, 황제의 칙령을 받아 《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를 찬술함.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현(李鉉)@이희의아들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중종(中宗)의 서자인 해안군(海安君) 이희(李㟓)의 네 번째 서자로, 오산정(烏山正)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현(李鉉)@이포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褆)의 손자이자, 함양군(咸陽君) 이포(李𧦞)의 아들로, 호산군(湖山君)에 봉해지고, 1471년(성종 2)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이현동(李賢童)
조선 전기의 종친. 익안대군(益安大君)의 증손이며, 백파도정(白波都正) 이상(李常)의 장남. 생육신(生六臣)과 단종(端宗)의 복위(復位)를 꾀하였으나 실패하자 이를 비관하여 농맹아(聾盲啞)로 일생을 마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현보(李玄寶)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영천(永川). 지대구군사(知大丘郡事) 이보흠(李甫欽)의 아버지로, 부사직(副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무신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현손(李賢孫)
조선 전기의 종친. 이신요(李神饒)의 아들로, 김굉필(金宏弼)ㆍ이심원(李深源)의 문인(門人). 독실한 행실로 모범을 보이고, 주계군(朱溪君) 이심원의 유고(遺稿)를 수습하여 전함.
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현익(李顯益)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권상하(權尙夏)ㆍ김창협(金昌協)에게서 배우고, 생원시에 장원했으나 향리에 묻혀 학문에 힘씀. 학덕이 높아 세자시강원(世子講院)의 왕자사부(王子師傅)ㆍ진안 현감(鎭安縣監) 등을 지냄.
1678~171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현준(李賢俊)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이국량(李國樑)의 아버지로, 덕원 교수(德源敎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이형(李泂)@이쟁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증손인 회원군(會原君) 이쟁(李崢)의 아들로, 승평군(昇平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형(李泂)@이효충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전첨사 녹사(典籤司錄事)를 지낸 이효충(李孝忠)의 아들.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형(李珩)
조선 전기의 종친. 부사과(副司果) 이양필(李良弼)의 아들인 이종(李琮)의 사위로, 춘성령(春城令)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형(李衡)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손자로, 진남군(鎭南君) 이종생(李終生)의 아들. 문무의 재질이 있어 경상 병사(慶尙兵使)로 있다가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이름.
1426~149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이형례(李亨禮)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예빈시 소윤(禮賓寺少尹)을 지낸 이말정(李末丁)의 손자. 여러 차례 과거에 응시하였으나 합격하지 못하였음.
?~150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유학
-
이형손(李亨孫)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세조(世祖)의 즉위를 도와 원종공신(原從功臣)에 녹훈되고,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녹훈되어 가평군(嘉平君)에 봉해짐.
1418~149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가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이형신(李亨臣)
조선 전기의 문신ㆍ외척. 본관은 경주(慶州). 중종(中宗)의 후궁인 숙의이씨(淑儀李氏)의 아버지로, 사섬시 첨정(司贍寺僉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이형원(李亨元)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 이선제(李先齊)의 아들이며, 상의원 정(尙衣院正) 이달선(李達善)의 아버지.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이형윤(李炯胤)
조선 후기의 무신ㆍ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 이후(李垕)의 아버지로, 봉래군(逢萊君)에 봉해지고, 오위도총부 부총관(五衛都摠府副摠管) 등을 지냄.
1593~164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이혜(李寭)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온계(溫溪) 이해(李瀣)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조카로 일찍 부모님을 여의고 퇴계(退溪)에게서 교육을 받아 음보로 좌랑(佐郞)을 지냄.
1543~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이혜(李惠)
고려 말~조선 초의 문인. 몸집이 작고 이가 성글어 스스로 호(號)를 단활공(短豁公)이라 하였고 변계량(卞季良)과 시문으로 교유하였으며, 저서로는《단활집(短豁集)》이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이혜(李潓)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여섯 번째 서자인 희령군(熙寧君) 이타(李袉)의 장손이며, 화성군(花城君) 이감(李堪)의 장남. 창원군(昌原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혜(李蕙)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로, 서원군(瑞原君) 이친(李𡩁)의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호(李昊)
조선 단종(端宗) 때의 유학. 단종(端宗)의 복위 사건에 연루되어 죽임을 당하였고, 아내 개질지(介叱知)와 딸 이목금(李木今)은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 유하(柳河)에게 영속(永屬)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호(李灝)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손자이며, 의창군(義昌君) 이강(李玒)의 아들. 효행이 지극하고 문장이 뛰어났으며 문집이 있었으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고 있음.
1442~14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호(李瑚)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연산군 때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를 지낸 이철견(李鐵堅)의 손자이며, 종친부 전부(宗親府典簿)를 지낸 이성정(李成楨)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이호(李顥)
고려 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주(仁州). 이자겸(李資謙)과 순종(順宗)의 비(妃)인 장경궁주(長慶宮主)의 아버지로, 호부 낭중(戶部郞中)에 이름.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이호민(李好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호종하고, 명(明) 나라의 군대를 불러오는 데 기여함. 적서(嫡庶)의 구별 없이 장자를 옹립하자는 입장론(立長論)을 주장함.
1553~16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호변(李虎變)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사천(泗川). 구암(龜巖) 이정(李楨)의 손자로, 군기시 주부(軍器寺主簿)을 지냄.
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이혼(李混)
고려 원종(元宗)~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충선왕이 원(元) 나라에서 즉위하자 대사백(大詞伯)에 봉해지고 벽상삼한공신(壁上三韓功臣)에 녹훈됨. 뒤에 예안백(禮安伯)에 봉해져 예안이씨의 시조가 됨.
1252~131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ㅣ경상도>예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혼(李渾)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낸 이석형(李石亨)의 아들로,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ㆍ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등을 지냄.
144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이홍간(李弘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 등과 교유했고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남곤(南袞)의 과오를 지적하는 등 강직한 언사로 명망이 있었음.
1486~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이홍남(李洪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사복시 정(司僕寺正)을 지낸 이약빙(李若氷)의 아들.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좌되어 유배되었다가 동생 이홍윤(李洪胤)을 무고해 처형당하게 하고 자신은 풀려남.
15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홍윤(李洪胤)
조선 명종(明宗)~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사복시 정(司僕寺正)을 지낸 이약빙(李若氷)의 아들로,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좌되어 유배되었던 형 이홍남(李洪男)이 반역죄로 무고하여 처형당함.
?~154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이홍주(李弘胄)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도원수(都元帥)가 되어 공을 크게 세웠으며, 인목대비(仁穆大妃)가 죽자 애책문(哀冊文)을 지음.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ㆍ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562~163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홍준(李弘準)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로, 금호(琴湖) 이시민(李時敏)의 아들이며 용재(慵齋) 이종준(李宗準)의 동생.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ㅣ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이화(李華)@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응양군 대장군(鷹揚軍大將軍)을 지낸 이천(李仟)의 막내 아들로,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화(李華)@조선
조선 전기의 무신. 주세붕(周世鵬)의 시에 보이는데, 관직은 미조항 첨사(彌助項僉使)를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남해 , 인명>관인>무신
-
이화(李譁)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증손으로, 시안군(始安君) 이탁(李擢)의 아들.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를 지낸 이수언(李粹彦)의 사위로, 칠성수(漆城守)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환(李桓)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이성신(李省身)의 아들로, 이치신(李致身)에게 출계(出系)함.
1629~167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이활(李𤂾)
조선 전기의 종친. 세조(世祖)의 손자이며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아들. 숙부인 창원군(昌原君) 이성(李晟)에게 입후됨. 성희안(成希顔)과 사돈관계로 아들 성률(成瑮)을 사위로 맞이함. 왕족의 권세를 믿고 방자한 행실을 하여 지탄받음.
1469~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황(李璜)
고려 덕종(德宗) 때의 문신. 중국 한(漢)나라 무제(武帝) 때 중서사인(中書舍人)을 지낸 이반(李槃)의 24세손으로, 밀직 부사(密直副使)ㆍ이부 상서(吏部尙書) 등을 지냄. 고성이씨(固城李氏)의 시조.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이회림(李懷林)
조선 태조(太祖)~문종(文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 이석형(李石亨)의 아버지. 대호군(大護軍)을 역임했으며, 좌의정(左議政)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에 추증(追贈)됨.
?~145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이회수(李淮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영의정 이탁(李鐸)의 아들이자 약포(藥圃) 이해수(李海壽)의 동생으로, 군기시 판관(軍器寺判官)을 지냄.
153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횡(李竑)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계림 부윤(鷄林府尹) 이달충(李達衷)의 넷째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이효강(李孝綱)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간성(杆城). 참봉(參奉) 이장(李萇)의 아버지로, 주을온 병마 만호(朱乙溫兵馬萬戶)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간성 , 인명>관인>무신
-
이효공(李孝恭)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용인(龍仁). 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를 지낸 이길보(李吉甫)와 홍문관 직제학(弘文館直提學) 이우보(李祐甫)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문사>유학
-
이효독(李孝篤)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할머니가 종환(腫患)으로 고생할 때 먼저 지렁이 즙을 맛볼 정도로 효성이 지극했으며,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ㆍ군자감 정(軍資監正) 등을 역임함.
145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효문(李孝文)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때의 문신. 1495년(연산군 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이행(李荇)과 함께 동방급제(同榜及第)하고, 홍문관 응교(弘文館應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이효민(李孝閔)@이학정의아들
조선 후기의 종친. 서흥수(西興守) 이학정(李鶴貞)의 아들로, 위성령(渭城令)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효민(李孝閔)@이성익의아버지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아들 이성익(李星益)과 이성세(李星洗)의 교육을 위해 전라도 태인(泰仁)을 떠나 서울로 이주함. 통덕랑(通德郞)에 이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태인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효백(李孝伯)
조선 전기의 종친ㆍ무신.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아들로, 1468년(세조 14) 무과에 급제하여 병조 참판(兵曹參判)을 지냄. 활을 잘 쏘아 세조(世祖)ㆍ예종(睿宗)ㆍ성종(成宗) 등에게 총애를 받음.
1433~148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이효성(李孝誠)
조선 전기의 종친.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진성대군(晉城大君)의 집을 시위한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활을 잘 쏘고 무예에 뛰어남.
1445~151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이효손(李孝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금성 현령(金城縣令)을 지낸 이종윤(李從胤)의 아버지로, 사선 주부(司膳主簿) 등을 지냄.
1403~146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효숙(李孝叔)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손자로,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차남. 학문을 좋아하여 제자백가 등을 섭렵했고, 무예에도 뛰어났음.
1440~148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효순(李孝順)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봉성군(鳳城君) 이이(李𢓡)의 손자이며 부안정(富安正) 이증(李增)의 막내아들로, 유직경(柳直卿) 등과 교유함.
1494~155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효술(李孝述)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 주희(朱熹)의 제자 이번(李燔)의 조카로, 주자를 직접 만나지는 못하고 편지로 수학했다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이효신(李孝臣)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연안군(延安君) 아랄첩목아(阿剌帖木兒)의 아버지로, 판도 판서(版圖判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이효언(李孝彦)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으로, 충주 판관(忠州判官)을 지낸 이봉손(李奉孫)의 아들. 이조 정랑(吏曹正郞)ㆍ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효온(李孝溫)@고려
고려 후기의 호장. 본관은 여주(驪州). 금오위 중랑장(金吾衛中郞將) 이교(李喬)의 아버지로, 호장군윤(戶長軍尹)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아전
-
이효온(李孝溫)@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의평군(義平君) 이원생(李元生)의 아들이자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김철산(金鐵山)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효원(李孝元)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손자인 곡성군(鵠城君) 이금손(李金孫)의 아들로, 학문에 뜻을 두어 행동을 조심했고 형제들과 한 집에 살면서 우애가 좋았음.
1464~150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효원(李效元)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으로,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이관(李瓘)의 아들.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냈으며, 광해군(光海君)을 폐위시키고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옹립하려다 실패하여 거제도로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풀려남.
1550~1629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충청도>청양 , 인명>관인>문신
-
이효윤(李孝胤)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들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증손이며, 청원도정(靑原都正) 이간(李侃)의 장자(長子).
1554~161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효장(李孝長)
조선 전기의 종친. 영정수(永貞守) 이복중(李福重)의 아버지로, 도개부정(道開副正)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효지(李孝智)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 범허정(泛虛亭) 상진(尙震)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효창(李孝昌)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아들인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넷째 아들. 무과(武科)에 장원하고, 경서나 역사서도 두루 통할 만큼 학문에도 뛰어남.
1450~14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이효충(李孝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형(李泂)의 아버지로, 전첨사 녹사(典籤司錄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효충(李效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무예에 능해 예조 좌랑(禮曹佐郞) 겸 선전관(宣傳官)이 되었으나, 별시(別試)에 장원한 이듬해 병사(病死)함.
1484~152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후(李垕)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중종(中宗)의 아들인 덕양군(德陽君)의 현손(玄孫). 한충(韓忠)의 문집인 《송재집(松齋集)》에 〈삼송정실기(三松亭記實)〉가 실려 있음.
1611~166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